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상복합아파트와 집합건물의 하부관리단

        김영두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7 집합건물법학 Vol.21 No.-

        A residential-commercial condominium is a mixed-use condominium which is composed of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units. Residential and commercial unit owners differ in their use of common elements, choice of lifestyles, consumption of energy, preferences for organizing condominium management and allocating common expenses.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for management, cost allocation and interacting among different types of unit owners in Korean Condominium Act("KCA"). Practically the residential part of building is managed by the council of residential unit owners's representatives subject to "Collective Housing Management Act" which is a special law to KCA, but there is no rule which enables the commercial unit owners to establish or organize the association for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part of commercial building. These problems should be resolved by adopting the measure establishing subsidiary association for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unit owners in KCA. The subsidiary association for commercial unit owners shall be established by the resolution of commercial unit owners when the commercial part of building is physically detached from the residential part of building. It shall perform the duty of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common elements and limited common elements of commercial part of building. 집합건물의 규모가 대형화되면서 하나의 집합건물에 서로 용도가 다른 전유부분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주상복합아파트가 대표적인 경우인데, 주상복합아파트는 주거용 전유부분과 상업용 전유부분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의 집합건물이다. 주거용과 상업용뿐만 아니라 사무용 전유부분(비주거용 오피스텔이나 사무실)이 결합된 형태의 복합용도용 집합건물도 많이 볼 수 있다. 복합용도용 집합건물도 단일용도의 집합건물과 마찬가지로 집합건물법에 따라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복합용도용 집합건물은 규모가 큰 경우가 일반적이고, 대규모의 집합건물의 경우에는 구분소유자의 수가 많고 상당수 전유부분을 임차인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집합건물 관리단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더 나아가서 전유부분을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구분소유자들은 관리의 목적이나 방식에 있어서 의견을 달리하기 때문에 전체 구분소유자로 구성된 집합건물 관리단에 의해서 건물이 관리되는 것이 어렵다. 주상복합아파트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주거용 전유부분은 집합건물법이 아니라 실제로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라서 관리되기 때문에 이러한 어려움은 더욱 커진다.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른 입주자대표회의에 의해서 관리되는 주택을 제외한 상가와 같은 나머지 건물부분은 집합건물 관리단에 의해서 관리되어야 하는데, 주거부분이 이미 공동주택관리법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다면 주거용 구분소유자들은 전체관리단을 운영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주거용 구분소유자들이 적극적으로 전체관리단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집합건물 관리단에 의해서 상가부분이 관리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실제로 상가부분에서는 상가번영회나 자치회가 구성되고, 건물의 사무용부분에서도 자치회가 별도로 조직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단체들은 법적인 근거가 없기 때문에 관리행위의 적법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법이나 규약 또는 관리단 내부기관을 통한 자치회 등의 관리행위에 대한 통제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일부공용부분관리단의 설립을 통해서 상가부분이나 사무용부분을 관리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전체공용부분과 일부공용부분을 구분하는 일이나 일부공용부분의 공유자의 범위를 확정하는 일의 어려움 때문에 일부공용부분관리단에 의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쉽지 않다. 이 문제는 집합건물법에 서로 다른 용도의 건물부분을 해당 용도의 구분소유자들이 전체관리단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부관리단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여 해결할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주거문화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지역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실태를 중심으로 -

        박인옥 ( Park Inock ),김민규 ( Kim Mingyu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2 언어와 문화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measures to support a residential-culture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upon a premise of its importance. By analysing the supporting programs of Gangwon provinc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e residential-culture education status was examined an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five immigrant women who resides in the city of Chumcheon, their liv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living environment and the difference of residential-culture between Korea and their home country were researched. As a result, there are almost no residential-culture education programs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only eight among those fourteen centers have a few introductory classes mentioning food-culture as multicultural families integration education, therefore immigrant women experiences psychological distress not only by the overall immigrant living discomfort but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family members caused by the different living style. Consequently, residential-culture education program to be conducted not only for immigrants but also for every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lso ‘Education program to understand residential-culture’ and ‘Education program to support adaptation for residential-culture transition’ to be proposed in the early stage of immigration. These programs shall help them to adapt to the different living style and minimize the cultural conflict of family members by understanding different residential-culture of each oth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KCI우수등재

        공동주택 거주자 단위공간 구성인식 현황진단 및 공간개선 요구

        김상호,이화영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5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at the current residential space has by diagnosing theperception and demand for Korean dweller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850 residents of apartment in koreaaged 20 to 70. The survey consisted of the questionnaire category; household status, location, space usage behavior, preferred housing type,etc. Based on the data out of the survey, statistical analysis are conducted to find out significant pattern of respondents’ percepion andsatisfaction.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the respondents stay in and the perception of the most importantspace in residential. The longer the repondents stayed in the house, the more they chose the kitchen‧dining room and living room. Secondly,satisfaction degree of residential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investigated. Even though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3.44 points inaverage,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by region. In particular, the score was lower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Gyeonggi,and Busan compared to Sejong City where new housing was actively supplied, which is indicating that the location the respondets live hadan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Next, we looked at the demand for housing scale expansion. The gap between the current and desiredresidentaial size was the highest on 20s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heck that sufficient residential spaceis provided to young single-family households with relatively low economic efficiency. The survey also includes the spatial compositionpreference of the residential, showing that most prefered residentaial is the type the space is divided into 3 part; the living room, bedroom,and kitchen/dining(51.5%). Although there is a typical preferred spatial composition type across all respondents, the preferences are diverseeven in the same age group and family composi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way of constructing apartment that arecurrently uniformly supplied by typical type.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COVID-19 and the rapid change in the residential paradigm,this study was meaningful in deriv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perception survey related to residential spaces in Korea. 본 연구는 공동주택 거주자의 주거공간에 대한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새로운 공동주택의 계획방향 설정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주요 조사항목은 주거공간에 대한 이용현황과 만족도, 선호하는 주택의 유형 및 공간구성 방식, 설비에 대한 선호도, 주거공간에 대한 공유의식 등이며 분석결과로부터 새로운 공간구성 방식과 설비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기존의 화장실에서 변기에 대한 공간적 분리 요구와 의류관리기, 의류건조기 등 새로운 가전의 도입에 따른 공간적 대응과 설비적 대응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주상복합건축물의 개념과 특례(特例)

        김종보(Kim Jong-Bo)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06 法學論文集 Vol.30 No.2

          최근 실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주상복합건축물은 건축법과 주택법에 의해 규율되는 주택의 일종으로서 ‘동일건축물’에 주택과 함께 상가 등 주택외의 시설이 복합되는 건축물을 말한다. 통상 주상복합건축물이라 불리는 이유는 제도가 도입된 후 주택과 복합되는 용도의 대부분이 판매시설(상가)이었기 때문이지만 복합되는 용도가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정법상의 명칭도 단순히 복합건축물일 뿐이다(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12조).<BR>  주상복합건축물에 대한 근거규정이 마련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주택건설촉진법의 하위법령에서 그 단초가 보이므로, 주상복합건축물제도는 2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오랜 기간동안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 수없이 건축된 주상복합건축물은 최근 세금문제, 용도변경, 용적률, 분양가문제 등에서 많은 법적 분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주상복합건축물과 관련된 법령들은 각각의 필요에 의해 산발적으로 제정과 개정을 거듭하였고, 단일의 법조문에 의해 체계적으로 규율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글은 이렇게 불분명한 주상복합건축물의 개념과 법적 특정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BR>  주상복합건축물의 경우에 주택법에 의해 사업승인을 받는 것과 건축법에 의해 건축허가를 받는 것으로 나뉘게 되고 전자는 주택법의 적용을 받지만, 후자는 주택법의 적용대상이 아니므로 법적 지위에 차이가 난다. 건축허가를 받는 주상복합건축물은 이론상 주택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부대시설, 복리시설이라는 개념도 직접 적용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사업승인을 받은 주상복합건축물은 용도변경과 관련해서 별도로 규율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주택법상의 행위 허가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어려운 문제가 남는다.   A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 which has attracted public attention recently is a type of building that is used both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use and is regulated by Building Act and Housing Act. It is called as such, because adding commercial stores to the residential building was the main purpose in the early stage of its introduction. However, there have been other variations in building those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lately. Its legal term, in fact, is only named as a multiplex building.(Enforcement Decree of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 no. 12).<BR>  The basic provisions for the regulations of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were framed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Housing Construction Promotion Act from 1980s. Numerous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especially in metropolises including Seoul for more than 20 years. It is only recently that some legal issues are brought into the spotlight such as taxation, floor space index, lot sales prices and changes of the registered building usage and so on. Nevertheless, the regulations of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have been made sporadically, and there are no single methodical regulations. This article is intended to provide the definitive concept and leg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BR>  There are two categories in regulating the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The first category is for those buildings that are under the Housing Act. It is mandatory to gain an official project approval to construct the buildings under this Act. The buildings are not subject to the regulations when changing the registered usage. Still, a problem exists: it is very difficult to interpret conduct permit under the general Housing Act. Secondly, the buildings in another category are regulated under the Building Act, and it is requested to obtain permission to start a construction. In this category, the concepts of subsidiary and welfare facilities are not applied.

      • KCI등재

        주거용 오피스텔에 관한 법제 개선방안

        김봉수(Kim, Bong-su) 한국부동산법학회 2020 不動産法學 Vol.24 No.1

        건축과정에서 이미 그 용도가 사실상 확정되는 다른 건축물과 달리 오피스텔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업무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거주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어 그 용도가 사전에 정해지는 다른 건축물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오피스텔은 건축법령과 조세법령에서 정책적 관점에서 불가피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용도가 미확정적인 건축물로서 취급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또한 아울러 주거용 오피스텔을 취득하거나 오피스텔에서 주거하는 자의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거주목적 또는 거주용으로 임대목적을 가지고 오피스텔을 보유하는 경우라면, 취득의 목적, 소유자의 경제적 지위 등을 고려할 때 이를 주택보다 불리하게 취급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다음으로 건축법령은 주거 및 업무의 용도를 모두 가지는 오피스텔의 특성상 양 용도에 모두 적합하게 건축되도록 하여 오피스텔을 주거용으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개정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종합부동산세와 관련해서 주거용 오피스텔은 현행과 같이 과세대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 판단에 있어서도 주거용 오피스텔은 현행과 같이 주택으로 보아 1세대 1주택 등의 요건을 갖춘 경우 양도소득세 비과세대상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하지만 부가가치세의 경우는 오피스텔을 그 용도를 구분하지 않고 업무시설로 보고 있는데, 현황과세의 원칙과 조세의 형평의 관점에서 주거용 오피스텔은 주택과 동일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행 지방세법에 따르면 주거용 오피스텔을 취득하는 경우는 주택의 취득보다 높은 지방세를 부담하게 되는데, 법개정을 통하여 주택과 동일한 세율이 적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 use of the officetel is undetermin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n other words, the officetel may be used for work or residential use depending on the user s choic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officetels, it is desirable to view them as buildings whose use is indeterminate. In particular, residential officetels are the same as homes in that they are residential. Therefore, reidential officetels should be legally treated the same as houses or apartments. Next, the building Act should be revised to improve the habitability of residential officetels. At present, the provisions for residential officetels for gross real estate tax and capital gains tax are valid. However, there is a problem with the VAT law, which does not classify officetels according to their use. For equity, residential officetels should be treated the same as housing. Finally, local taxes on residential officetels are higher than on housing. This problem should be solved through amendment of local tax law.

      • KCI등재후보

        제주도 ‘신구간’ 이사풍속의 주거문화 의식구조 분석

        김동진(Kim, Dong-Jin),방경식(Bang, Kyung-Sik),장희순(Jang, Hee-Soon) 한국주거환경학회 200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Jeju Island’ people's conscious structure as to what effect ‘Sinjugan’ has on the residential movement and residential culture by analyzing their behavior. The scope of this article was confined to the contents of consciousness related to ‘Jeju Island’ people's residential movement at the time of ‘Singugan ’ from a perspective of real estate science. This article attempted to analyze the conception, normativeness, spiritual culture value and conservability of ‘Singugan ’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Jeju Island’ people's consciousness of it. It employed the descriptive study and direct questionnaire research as the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 for data processing, along with a test for reliability in the measuring tools and correl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cross-tabu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alyses were all tested all the p<.05 significance leve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707 observations, the following results are found. It sought to analyze the season customs of ‘Jeju Island’ from a perspective of real estate science that “The peculiar custom of a particular region has a spiritual effect on the movement of residence, and the reasonable and ecological human being made an external residential movement to harmonize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with internal chang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ingugan ’ is not only the peculiar season customs of the region but also the internal factor of the residential movement culture that has a tremendous effect on the residential movement of ‘Jeju Island’ people.

      • KCI등재

        주거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배민경(Bae, Min-Kyung),박승훈(Park, Seung-Hoon) 한국주거환경학회 201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6 No.2

        Unlike in the past, housing styles and characteristics have gradually diversified.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can meet people"s needs beyond housing supply.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is the main factor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he empirical study. The 2014 housing survey data and GIS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multi - 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level and local level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re you stay in an apartment, the higher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house. The higher the location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residential. In the second level of local variables, bus stops, libraries, and large commercial facilitie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rough this study,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identified. It also suggests that the planned supply and operation of the municipal infrastructure is necessary for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housing welfare.

      • 투입자재 분석을 통한 대표 주거시설에서의 환경영향 평가

        최윤철,전흥찬,김한도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5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10 No.1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nstruction input materials on residential-commercial and apartment buildings to assess their environmental impact on residential buildings. In terms of analysis on construction statements for residential-commercial and apartment buildings, the energy consumption of construction input materials was estimated through input-output table assesment, and then their environmental impact was assessed.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in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civil engineering was the highest with 38.5%, followed by construction (33.1%), landscape architecture (13.8%), machine (8.7%) and electricity & communication (5.9%) in terms of environmental impact. In addition, total environmental impact by unit area (/㎡) in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was 9.67E-02pe․yr/㎡, about 2.7 times higher than apartment buildings (3.57E-02pe․yr/㎡). 본 연구는 국내 대표 주거건물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주상복합 건물 및 아파트 건물에 대한 투입자재의 환경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상복합 건물 및 아파트 건물의 공사내역서 분석을 산업연관분석하여 투입자재에 대한 에너지소비량을 산출,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주상복합 건물에 대한 공종별 환경영향 분석 결과 토목공사(38.5%), 건축공사(33.1%), 조경공사(13.8%), 기계공사(8.7%), 전기‧통신공사(5.9%) 순으로 환경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상복합 건물에서의 단위면적당(/㎡) 총 환경영향은 9.67E-02pe․yr/㎡로 아파트 건물의 3.57E-02pe․yr/㎡에 비해 약 2.7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재택ㆍ순회교육 연구의 동향

        최하영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본 문헌분석의 목적은 장애학생을 위한 재택ㆍ순회교육에 대한 지난 10년간 국내 연구의 동향과 연구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11년 6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교육연구방법론을 사용한 18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된 18편의 논문은 발표연도별 연구의 수, 순회교육의 유형(통합교육형과 분리교육형), 연구 주제별, 연구 참여 대상자, 그리고 연구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총 18편의 논문 중 16편은 조사연구로 그 중 2편은 설문과 면담법을 활용한 연구였고, 2편은 실험연구였다. 재택ㆍ순회교육 관련 연구 주제는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재택ㆍ순회교육의 실태 및 요구조사, 지역사회 참여, 보조공학, 치료지원,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및 소진특성, 그리고 가족특성에 관한 주제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총 1,843명의 연구 대상자가 참여하였는데 대부분은 재택ㆍ순회교육 담당 특수교사(78%)가 차지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재택ㆍ순회교육의 연구동향과 더불어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이 제공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review studies on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n peer-reviewed journals between 2001 and June 2011. Total 18 stud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se studies were reviewed by five major categories: (1) the number of studies in every year, (2) type of residential /itinerant education, (3) themes of studies on residential/itinerant education, (4) participants of each study, and (5) methodology of each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wo out of 18 reviewed studies dealt with in terms of itinerant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schools, and the rest of them were studies on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profound disabilities. Survey was conducted for 16 studies, among them two studies conducted survey and interview and two studies were experimental studies. Comments on current research and relevant issue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재택,순회교육 순회교육 연구의 동향

        최하영 ( Ha Young Choi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본 문헌분석의 목적은 장애학생을 위한 재택ㆍ순회교육에 대한 지난 10년간 국내 연구의 동향과 연구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11년 6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교육연구방법론을 사용한 18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된 18편의 논문은 발표연도별 연구의 수, 순회교육의 유형(통합교육형과 분리교육형), 연구 주제별, 연구 참여 대상자, 그리고 연구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총 18편의 논문 중 16편은 조사 연구로 그 중 2편은 설문과 면담법을 활용한 연구였고, 2편은 실험연구였다. 재택ㆍ순회교육 관련 연구 주제는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재택ㆍ순회교육의 실태 및 요구조사, 지역사회 참여, 보조공학, 치료지원,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및 소진특성, 그리고 가족특성에 관한 주제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총 1,843명의 연구 대상자가 참여하였는데 대부분은 재택ㆍ순회교육 담당 특수교사(78%)가 차지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재택ㆍ순회교육의 연구동향과 더불어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이 제공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review studies on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n peer-reviewed journals between 2001 and June 2011. Total 18 stud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se studies were reviewed by five major categories: (1) the number of studies in every year, (2) type of residential /itinerant education, (3) themes of studies on residential/itinerant education, (4) participants of each study, and (5) methodology of each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wo out of 18 reviewed studies dealt with in terms of itinerant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schools, and the rest of them were studies on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profound disabilities. Survey was conducted for 16 studies, among them two studies conducted survey and interview and two studies were experimental studies. Comments on current research and relevant issue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