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도시재생 디자인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박광신,최원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4

        The projects that are promoted in the name of 'urban regeneration' are made up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which pave the way for a long history of culture and history, revealing their limitations and fail to provide clear criteria for planning and evaluating 'urban regenerat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andard.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collection of 'Secondary Search of Urban Regeneration' and 'Design'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mong the KCI catalogs and theses published after the enactment of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analyze the academic background, research purpose and application areas of 'design' by analyzing meta - analysis of 29 articles (17 dissertations and 12 academic pap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6 (55%) showed the application criteria of design, and the design application was centered on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urban landscape. The planning and evaluation standard items of 'Urban Renaissance Design' derived on the basis of them are 'historical', 'identity', 'physicality', 'place', 'relationship' And 'Symbolism', which are all five items. This is a clear criterion that in planning and evaluating 'Urban Renaissance Design', it should be done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the unique brand of the city through the symbol that can reveal the history and identity in consideration of the place and relation of the city. And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diverse and profound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the 'urban regeneration design' of the related department of design. ‘도시재생’의 명목으로 추진되는 사업들이 오랜 문화와 역사를 싹쓸이하는 재개발, 재건축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도시재생 디자인’을 기획·평가하는 데 있어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연구를 통하여 그 기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본 연구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법령이 시행된 이후에 발표된 KCI 등재지 및 학위논문 중에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도시재생’과 ‘디자인’의 2차 검색을 통해 수집된 총 29편(학위논문 17편, 학술논문 1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종합적 메타분석을 통해 학문적 배경, 연구 목적 그리고 ‘디자인’ 적용 분야 및 기준을 조사·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디자인의 적용기준을 제시한 것은 총 16편(55%)이었으며 디자인 적용대상은 유휴(산업)시설, 도시경관이 중심이었다. 이를 기초로 도출된 ‘도시재생 디자인’의 기획·평가 기준 항목은 비물리적인 항목인 ‘역사성’, ‘정체성’과 물리적인인 항목인 ‘장소성’, ‘관계성’ 그리고 이 요소들을 관통하는 ‘상징성’ 등 총 5가지 항목이었다. 이는 ‘도시재생 디자인’을 기획·평가함에 있어서 해당 도시의 장소와 관계를 고려하여 역사와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상징을 통해 그 도시만의 고유한 브랜드를 정립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디자인 관련학과의 ‘도시재생 디자인’과 관련한 다양하고 심도 있는 학술적 연구 참여의 폭을 넓혀줄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기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도시재생 연계형 스마트관광도시 계획기준 연구

        유민태,박태원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6

        This study proposes planning criteria for smart tourism city linked to urbanregeneration projects. This criteria aimes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individuals can use customized urban services based on ICT and various externaleffects can be controlled. This criteria consist of four main categories and 24planning elements which are identified by literature review and FGI with experts. Inaddition, comparing perceived importance of major groups, namely centralgovernment, local government, private companies, and researchers to find praticalimplication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onvergent use of local resources (0.408)gets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creating reciprocal local economic ecosystem(0.280), making shared smart infrastructure (0.163), managing place data platform(0.150). In particular, private companies have very different perspectives on makingshared smart infrastructure from other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aclear goal and discuss more between stakehol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it re-conceptualize smart tourism city and practical planning criteria based on publicmaterials.

      • KCI등재

        수변공간재생을 위한 도시설계요소 및 가중치 분석 - 한강르네상스 사례를 중심으로 -

        김민선,민현석,김현수,이제선 한국지역학회 2010 지역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waterfront revitalization; to identify crucial urban design criteria;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importance to urban design criteria between experts and user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is paper identifies waterfront urban design criteria; accessibility, activities in public space, waterfront identity,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urban text. While analyzing hierarchy process (AHP), it finds out that there exist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n priorities of urban design criteria among experts and users.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mplementing the waterfront revitalization.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한강과 같은 하천 수변공간의 재생을 위한 도시설계요소는 어떤 것이 있으며, 계획에 참여하는 전문가와 실제 이용자들 간에 도시설계요소에 대한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수변공간 도시설계요소를 접근성, 공공공간에서의 활동, 수변공간의 정체성, 환경개선, 도시맥락의 다섯가지 요소로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모형을 구축하였다. 여기에 AHP 기법을 통해 각각의 요소들이 설계 목적에 기여하는 바에 따라 상대적 중요도(가중치)를 판단하였으며 전문가와 실제 이용자가 부여한 가중치 값을 비교하여, 두 집단 간에 인식차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변공간 재생을 위한 도시설계요소 분석 및 가중치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수변공간 활성화 및 설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도시재생사업 환경평가를 위한 예비 평가기준 항목 수립연구

        이언화(Lee Eon-Hwa),이은희(Lee Eun-Hee),이규인(Lee Kyu-I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Recently, the existing housing reconstruction re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ather than a new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s around the city are growing. But sustainability of the city is having a negative impact because system to evaluate environmental aspects of these projects is nonexistent. In this paper, to asses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ased on Index of environmental assessment, we are going to establish Preliminary standard index. And Quantitative environmental assessment standard is needed for practical assessment. To prepare quantitative evidence of environmental assessment standard, we going to establish final 28 index by comparing with Items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final review.

      • 공동주택 재생을 위한 리모델링 계획요소 연구

        고산화,한연오,박태원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6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우리나라의 공동주택 공급은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1980년대 중반 이후까지 1기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대량으로 공급해 왔다. 이 시기에 건설된 공동주택은 20년 이상이 경과되어 노후화된 공동주택이 급증하면서 주택의 유지ㆍ관리 및 개ㆍ보수의 필요성 증대와 주택의 질에 대한 사회의 다양한 요구 변화로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재정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과 함께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서 신규주택수요가 급감하고, 주택가격의 안정과 사업비부담으로 재건축사업의 사업성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노후불량 주택은 매년 30만호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공동주택 리모델링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사업이 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신도시가 지속적으로 건설됨에 따라 기존의 신도시들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가기 때문에 리모델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기 신도시가 본격적으로 노후화 되면서 리모델링에 대한 필요성의 증대와 리모델링 사업 활성화가 예상됨에 따라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계획기준을 선정하여 향후 진행될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을 위한 기초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인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의 계획기준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내외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의 고려사항과 시사점을 종합하여 예비변수를 선정하였다. 이후 도출된 예비변수를 중심으로 부동산, 건축, 단지계획 등의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변수의 위계 및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The supply of apartment houses began in 1970`s, and the 1st stage new town was constructed until mid-1980`s to be supplied in mass-scale. The apartment houses constructed in this period is now over 20 years since they were constructed, and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deteriorated apartment houses, the necessity of reorganization is brought up for improving the housing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e in the necessity of maintenance and repair of houses and changes in various requirements of the society on the quality of housing. Along with these conditions, the demand for new housing is rapidly decreasing in the low-birth & aging period, and the business feasibility of the reconstruction is worsening du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housing price and burden of reconstruction cost. Each year, approximately 300,000 deteriorated and defective houses are increasing, and remodeling of apartment houses is now not an option, but an essential project. In addition, as new towns are continuously being newly constructed, the existing new towns are relatively being falling behind, therefore, the expectation on remodeling is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study, as the 1st stage new towns are being deteriorated to increase in need for remodeling and as the activation of remodeling business is expected, the remodeling planning standard of apartment houses is to be selected to be provided as the basic foundation for future apartment house remodeling projects. To sel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planning standard for the apartment house remodeling project, domestic and foreign apartment house remodeling cases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he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on the apartment house remodeling project that were discussed in advanced studies were gathered to select the preparative variables. Then, with the preparative variables that were derive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perts in the fields of real estate, architecture and complex planning to review the hierarchy and conformance of the variables. Through this, the elements of the apartment house remodeling project plan were derived.

      • KCI등재

        판별분석을 이용한 도시재생뉴딜사업장 예비평가분석 연구

        방두완(Doo-Won Bang),한승욱(Seoung-Uk Han),권혁신(Hyuck-Shin Kwon) 한국주택학회 2021 주택연구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사업장 100곳(우수 29곳, 미흡 71곳)을 대상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수와 미흡 사업장에 대한 세부사업, 거버넌스, 가점 변수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계별 선택법을 이용해서 최종 판별함수를 분석한 결과 세부사업, 거버넌스 변수가 최종 판별함수로 선정되었다. 판별점수와 집단 간의 관련성 정도를 나타내는 정준 상관관계(canonical correlation) 분석결과는 0.906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판별함수의 판별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판별함수를 이용하면, 도시재생 사업장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초 평가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가적으로 판별분석의 기준항목을 조정하고 종료된 도시재생사업의 평가결과를 점수화한 후, 판별분석 기법을 적용하면 사전 사업성 평가단계에서 우수 도시재생사업장을 예비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사업장 수가 부족하여 광역시나 도 등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판별함수를 제안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충분한 도시재생 사업장 자료가 확보되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to classif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to excellent and poor projects. To this end, we used the evaluation data for each detailed item unde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estimated a discriminant function that could help us pre-classify projects as excellent or poor. We examined a total of 100 projects (29 excellent projects and 71 poor projects). After analyzing the discriminant function, detailed projects and governance variabl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discriminant function. Moreover, the result of th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relevance between discriminant scores and groups, was 0.906, showing that the power of the discriminant function proposed in this study was very good. The financial data of construction companies, project feasibility evaluation data, and promotion results of existing similar projects were evaluated. Then, if we would apply the discriminant analysis method by using the scores at the pre-project feasibility evaluation stage, we would expect that the method could identify excellent projects and good constructors in advance.

      • KCI등재

        축소도시의 진단 기준과 사례 분석 및 발생 요인 연구

        이삼수(Lee, Sam-Su),전혜진(Jeon, Hye-Jin),이재수(Lee, Jae-Su) SH도시연구원 2018 주택도시연구 Vol.8 No.3

        This study aims to define and establish a set of evaluation criteria for shrinking cities. To do this, overseas and domestic cities shall be examined on their mode of urban shrinkage. The study shall also analyze the realities and causes of urban shrinkage and the implication of current policies for Korea.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shrinking cities suffer from a steady decrease in population and changing industrial structure causing economic recession. The studies further develop the criteria for assessing urban shrinkage as based on either population decline or economic downturn. Case studies of both overseas and domestic cities then continue to suggest that indicators related to population, economy and industry, and physical and built environment are on the decline in the shrinking cities. Finally, they explain that no less than one-quarter cities in Korea can be categorized as shrinking cities. As economic conditions, population structure and spatial structure change, the number of residents decreases and properties become abandoned in the urban areas, resulting in continued decline of their socioeconomic statu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causes of shrinking cities and establish programs and initiatives suitable for the type of urban shrinkage in Korea.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