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Z세대 공직자들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스트레스와 공직만족도에 미친 영향: 코로나19의 영향을 중심으로

        최병윤 한국행정연구원 2023 韓國行政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고려하에서 대한민국의 MZ세대 공직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공직만족도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독립변수로 상정한 공공봉사동기와 종속변수인 공직만족도의 영향관계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조직공정성이 공공봉사동기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공공봉사동기와 공직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인가도 함께 보았다.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매년 조사하는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과 코로나19 발생 이후인 2021년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설처럼 양 시기에 공통적으로 공공봉사동기는 공직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도 검증되었다. 이와 함께 조절변수로서 조직공정성의 효과는 분배적 공정성과 절차적 공정성이 공공봉사동기와 공직만족도의 영향관계, 공공봉사동기와 직무스트레스의 영향관계에 코로나 전・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대한민국 공직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조직의 혁신 방향과 운영 관리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미래 핵심 주체인 MZ세대 구성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공직만족도는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MZ세대 구성원들이 공직 근무를 통해 공공봉사동기를 함양하고, 이로부터 적극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이와 함께 공무원들의 조직공정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향상되어 주체성과 충성심을 가지고 공직에 임하여 적극행정과 책임행정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이 공공봉사동기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리더 및 관리자들의 채용 및 배치, 교육 및 능력개발, 내적 동기부여 및 외적 인센티브 제도 마련을 제언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job stress and public service job satisfaction of MZ generation officials in Korea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situati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ssum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public service job satisfaction,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were verified. In addition,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organizational justice would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job satisfaction. The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conducted annually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2019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in 2021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s hypothesized,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both periods had a static effect on public service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was also verified. In additi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as a moderating variab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COVID-19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job satisfac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stress. Job stress and public service job satisfaction of MZ generation members, who are key future players,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preparing organizational innovation directions and operational management guidelin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ublic service society. It is necessary to devise ways to foster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public service work and actively reduce job stress. In addition, public officials' positiv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should be improved so that active administration and responsible administration can be implemented by serving in public office with subjectivity and loyalty. Finally, it is suggested to recruit and deploy leaders and managers, develop education and capabilities, develop internal motivation, and prepare external incentive systems to help members internalize public service motivation.

      • KCI등재

        신임경찰관 입직동기와 공공봉사동기 사이에 대한 인과성 분석

        박재풍 ( Park Jae Poong ),박주혁 ( Park Ju Hyeok ),김가은 ( Kim Ka Eun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5

        경찰이 치안서비스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제도적·행태적 노력과 실제 많은 개선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이 인식하는 치안서비스의 양과 질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여론이 존재한다. 경찰과 시민의 치안서비스에 대한 인식차이요인은 매우 다양하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라는 경찰 개인인식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와 공공봉사동기와의 인과성을 분석하여 치안서비스라는 공공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신임경찰관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경찰이 되고 중앙경찰학교에서 일정기간동안 교육훈련과 조직사회화 과정을 거치면서 경찰관이 된다. 그리고 교육훈련을 통해 공공조직에서 추구하는 공직가치관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뒷받침해주는 공공봉사동기의 세가지 차원 중 정서적 차원에서 협소하게 나타났다. 특히 신임경찰관은 입직동기에서 대시민 서비스가 정서적 차원에서 “희생”과 “동정”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권력성은 “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신임경찰관이 조직사회화 과정 이전에 나타난 입직동기가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앙경찰학교 교육훈련과정에서 권력적 작용에 해당하는 교과목이 향후 공공봉사동기 발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신임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 교과목에 대하여 공공봉사동기에 기반이 되는 공공성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하고 합리적인 균형점을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 is a consensus that the amount and quality of policing services that citizens perceive are still insufficient, despite the ongoing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efforts to improve police services and many improvement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police and citizen policing services, but in this study, the police service approach is called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 and the motivation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 new police officer becomes a police officer with varying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dividual, and becomes a police officer while undergoing training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in the central police scho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public service values pursu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re formed in the emotional dimension of three dimension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particular, new police officers showed positive impacts on "sacrifice" and "sympathy" in emotional dimensions of motivations for “recruitment”, while “power” has a negative effect on "sacrific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 before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ffected the motivation of the public service, and the subject of the power action in the central police schoo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was nega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 program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and reasonable equilibrium to form the publicity based on public service motive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subject for the new police officer.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와 조절초점 성향의 상호작용 : 공무원 심층 인터뷰를 통한 탐색적 연구

        오현규(Oh Hyungy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조절초점이론의 관점에서 공공봉사동기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맥락에서 공무원의 동기를 폭넓게 이해하는 것이다. 공공봉사동기는 정부 조직에 유효한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이끌어 주는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공공부문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개념이지만, 그동안 많은 연구들이 공공봉사동기와 다른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접근에 주로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사회 및 공동체 친화적 행동만을 단순히 강조해왔던 한국정부의 인사 관리자 중심의 권위적인 접근과 해석을 피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공직사회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 없이 일률적 관점으로부터 도출되는 집단화된 함의를 넘어설 필요성을 제기한다. 특히, 본 연구는 동일한 수준의 공공봉사동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다른 행동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공무원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공무원들의 공공봉사동기가 태도와 행동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 본 연구는 개인의 향상초점 성향이 강한 공무원들의 경우 좋은 결과의 달성으로 인해 느끼게 되는 성취나 보람이 공공봉사동기의 발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개인의 예방초점 성향이 강한 공무원들의 경우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적은 범위에서만 행동하게 되므로 공공봉사동기의 발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성향과 정합성이 높은 일을 할 경우 공직 업무에 대한 즐거움이 공공봉사동기와 긍정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는 정부조직이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한국 공무원의 동기를 개인 성향과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기여도를 발견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갖는 이론적 기여와 향후 체계적 동기부여 전략에 대한 정책적 함의들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thorough understanding the motives of public servants in the Korean context by examin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ulatory focus theory. Alth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which serves as a means to guid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is an important concept among scholars studying the public sector, most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ther variables. By contrast, the present study aims to avoid the authoritative approach and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s human resources manager-centered approach, which has only emphasized pro-social and pro-community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argues for the need to go beyond the uniform implications derived from a one-size-fits-all point of view without considering the peculiarities of the Korean public sector. In particular, this study seeks to reveal that, even if people have the sam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strategies to guide actions may vary across different individuals. This study aims to confirm in detail the process by which public service motives of public servants are connected to attitudes and behavio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ublic servants.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analysis show that, in the case of public servants with a strong promotion focus, the achievement or reward felt by the achievement of good result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urthermore, public servants with a strong prevention focus are found to tend to act positively only in the range where problems are less likely to occur, and thus could negatively interact with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 results also confirm that the enjoyment of public service can positively interact with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if the job is well suited to one s own regulatory focus. A particula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s the motivations of Korean public servants in the special environment of a government organization and undertakes a thorough analysis of previous theoretical contributions, providing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systematic motivational strategies.

      • KCI등재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 연구: 행태적 매개효과 및 채용제도와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형,김성엽,오수연,박성민 서울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1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and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 situation where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officials is urgently needed nationwide, such as COVID-19.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study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officials' behavior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s personnel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the recruitment system and rank in relation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respectively,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each medium of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thr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ruit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or variab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at the grad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s a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duc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govern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can be exercised.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ermanent learning system, revitalize the learning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and provide customized contents for individual learn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active administration,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personnel management and strategically utilize public officials' behavio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recruitment and grade. 본 연구는 최근 COVID-19와 같이 국가적으로 정부 및 공무원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에서 공무원의 적극행정 강화를 위해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 다. 구체적으로는 공직사회 상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공무원의 행태(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공무원의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변혁적리더십,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채용제도와 직급의 영향 여 부를 검증하여 정부 인사전략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 학습지향성과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공봉사동기는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각각을 매개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리더십과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채용제도는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만 조절변수로서 유 의한 영향을, 직급은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와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조절변 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정부 인사행정 운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공직 내변혁적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해 상시 학습제도의 개편, 공무원 학습조직의 활성화, 개별학습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봉사동 기가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공공봉사동기 제고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채용유형과 직급에 따라 달라지는 공무원의 행태를 적극적으로 인사관리에 포섭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 연구: 행태적 매개효과 및 채용제도와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형(Kim, Jae Hyoung),김성엽(Kim, Sung Yeop),오수연(Oh, Su Yeon),박성민(Park, Sung Min) 서울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최근 COVID-19와 같이 국가적으로 정부 및 공무원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에서 공무원의 적극행정 강화를 위해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공직사회 상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공무원의 행태(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공무원의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변혁적리더십,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채용제도와 직급의 영향 여부를 검증하여 정부 인사전략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공봉사동기는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각각을 매개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리더십과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채용제도는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만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직급은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와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정부 인사행정 운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해 상시 학습제도의 개편, 공무원 학습조직의 활성화, 개별학습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봉사동기가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공공봉사동기 제고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채용유형과 직급에 따라 달라지는 공무원의 행태를 적극적으로 인사관리에 포섭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and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 situation where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officials is urgently needed nationwide, such as COVID-19.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study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officials" behavior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s personnel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the recruitment system and rank in relation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respectively,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each medium of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thr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ruit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or variab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at the grad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s a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duc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govern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can be exercised.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ermanent learning system, revitalize the learning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and provide customized contents for individual learn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active administration,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personnel management and strategically utilize public officials" behavio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recruitment and grade.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김재경,김남미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2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police official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ir relationship. Analysis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internal behavior perceived by police officials, it served as a factor that increased their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rfac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it acted as a factor that hindered public service motivation.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both the supervisor's support and the organization's support, which ar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lice's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the police,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ort of the boss and the support of the organization rather weake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s internal behavi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ort of the boss and the support of the organization allev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s surface behavi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how to manage emotional lab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police officials.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부실한 설문을 제외한 총 407건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찰공무원이 지각하는 내면행동은 그들의 공공봉사동기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표면행동의 경우에는 공공봉사동기를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적 지원의 하위변수인 상사의 지원 및 조직의 지원 모두 경찰의 공공봉사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의 감정노동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사의 지원 및 조직의 지원 모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내면행동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의 지원과 조직의 지원은 공공봉사동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표면행동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의 지원과 조직의 지원은 표면행동에서 발생하는 감정의 부조화가 경찰의 공공봉사동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상사 및 조직의 지원이 이를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공공봉사동기, 사회적 지원 등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직무중요성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조영윤,이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4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i) to compare public service motivation among different age groups of public employees and (ii)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job significance, intrinsic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to present implications for enhanc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within public institutions. For these purpos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308 public employees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test and Model 4 from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those in their 50's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ose in their 20's. Second, job signific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have positive direct impact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rd, intrinsic motiv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ignificanc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이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연령별 공공봉사동기를 비교하고, 직무중요성, 내재적 동기, 공공봉사동기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조직차원에서 공공봉사동기를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사회간접자본 분야의 대표성이 있는 공공기관 종사자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연령별 공공봉사동기를 비교분석하고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사용하여 변인 간 관계 및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기관 종사자의 공공봉사동기는 연령별 집단 간 평균의 차이가 있으며, 20대보다 50대가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중요성과 내재적 동기는 공공봉사동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는 직무중요성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주상 한국치안행정학회 2023 한국치안행정논집 Vol.20 No.4

        최근 공무원에 대한 인기가 하락하고 있는 시점과 더불어 공공조직들이 직면하고 있는 내·외부의 환경은 매우 복잡하고 역동적이며, 불확실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해양경찰 공무원들의 헌신과 희생 그리고 혁신행동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혁신행동은 개인과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 새롭고 유익한 아이디어를 조직에 도입하여 적용하는 활동이다. 일반적으로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요인이 공공봉사동기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자신의 직무에 불만족하거나 이로 인하여 근무할 때 조직에 몰입하지 못하는 조직구성원에 게는 혁신행동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무원의 혁신행동 여부는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도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즉, 공공봉사동기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 간에 직무만족도가 조절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해양경찰공무원은 위험에 노출되거나 격무에 시달리기 쉬운 업무환경에 있기 때문에 다른 공무원에 비해서 공공봉사동기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 나아가 직무만족이 공공봉사동기와 혁신행동 간에 어떠한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 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 약 2주간에 걸쳐 온라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설문 대상자는 전국에서 근무하고 있는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응답이 완료된 설문지 중 부실한 설문 응답을 제외하고 총 153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SPS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분석한 직무만족은 공공봉사동기와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조절변수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long with the recent decline in popularity of public officials,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faced by public organizations are characterized by very complex, dynamic, and uncertain. In this situation, the importance of the dedication, sacrifice, and innovative action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is being emphasized even more. Innovative action is an activity in which new and beneficial ideas are introduced and applied to an organization to improv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general,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public officials' innovation action, but among them, the most representative factor is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innovative action from organizational members who are dissatisfied with their job or are unable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organization when working. In this context, it can be seen that the innovation action of public officials is also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job satisfaction in an organization will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job involvemen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job satisfaction can act as a controlling variable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action. In particular,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public officials because maritime police officials are in a work environment that is prone to danger or suffering from heavy work.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public service motivation affects innovative action for maritime police officials, and also empirically examined how job satisfaction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novative action.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maritime police officials. The survey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online over a period of about two weeks from May 1 to May 14, 2023. The survey subjects were set for maritime police officials working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15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poor questionnaire respons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 program.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analyz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did not ac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novative action.

      • KCI등재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공직동기 요인에 관한 연구

        강길현(Kang Gil-Hyu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7 지역사회연구 Vol.25 No.2

        The study was intended to research social welfare major education, which 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for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granted to social welfare majors, the professional identity and volunteering experience have influenced, to analyze whether these factor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ccupational values. To achieve the goal of study, we targeted 238 senior students of university in Jeon-nam, Jeon-buk and Gwangju. Following are the result of analysis. It showed the result of little more than name 36.1% among senior students, and finally selected non-major areas. Also the major subjects (theoretical understanding) in social welfare education didn’t influence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contrary, the professional job identity showed that the systematic knowledge, ethical conduct, professional culture and the volunteering experience have influenced to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respectively. It was followed by the occupational values of control variations that have the control effects between the volunteer activity and the sympathy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But other variations did not show meaningful relations with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ts control role. In order to have public service motivation by elevat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social welfare major education, the contents of major subject should be improved while the expansion of volunteer activity, teacher’s training course, operation rule. Also guideline should be reviewed in order to elevate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by enhancing the right occupational values. Therefore we suggest the measures which can elevate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students.

      • KCI등재

        군사학전공 대학생의 공공봉사동기, 직업선택 동기, 전공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김덕기(Tuck Key Kim),박효선(Hyo-Sun Park)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2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군사학전공 대학생의 공공봉사동기 및 직업선택 동기와 전공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공공봉사동기와 직업선택의 내재적・외재적 동기의 전공만족에 대한 관계를 살펴본 후 공공봉사동기와 내재적・외재적 동기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 군사학과 및 전문대학 부사관과 6개교의 군사학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총 354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봉사동기와 전공만족은 긍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직업선택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전공만족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의하였다. 셋째, 공공봉사동기는 내재적 동기와 긍정적 관계로 유의한 반면, 외재적 동기와는 무관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결과는 공공봉사동기가 직무태도 뿐 아니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과도 긍정적 유의관계를 가짐을 규명하여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또한 공공봉사동기와 내재적 동기의 차이점 및 긍정적 유의관계를 설명함으로써 학문적 개념을 보완하였다. 더불어 외재적 동기가 전공의 특성에 따라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긍정적 유의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여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choice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militar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choice on major satisfaction was examined, and then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was analyzed. In this study, a survey was performed by sampling from six universities and colleges. A total of 35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 service motivation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major satisfaction. Second, it was noted that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of job sele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Third,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significant 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rinsic motivation, but there is no influence with ex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the study by clarifying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a variable that can affect not only job attitudes but also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cademic concept was supplemented by explaining the difference and positive significance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xtrinsic motivation can affect the major satisfaction of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and the necessity for follow-up research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