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2015년 한복 구성요소 변화연구 - 인터넷신문에 나타난 여자한복 이미지 중심으로 -

        이춘희 ( Lee Choon-hee ),한정민 ( Han Jung-min ),강혜승 ( Kang Hae-s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2000년 이후 정부의 한복진흥정책과 맞물려 여자한복은 발전 및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한복산업 활성화, 세계화 도약을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여자 저고리와 치마 중심으로 구성요소 변화를 연구하고자 16년간 인터넷 신문에 나타난 한복 이미지를 파악하여 분석대상 이미지 660점을 추출하였다. 전통한복 중 저고리를 구성하는 길, 깃, 동정, 소매 등과 치마를 구성하는 말기, 폭, 끈 등의 구성요소가 제거되거나 축소 또는 확대되어 변화된 한복을 모던한복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모던한복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한복 유형을 구분하고, 구성요소의 변화와 유형 경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질적 조사를 하였으며, 유형을 보수적 모던형과 진보적 모던형 두 가지로 구분하였고, 시기를 3기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미지 분석결과 구성요소 크기변화와 제거는 다른 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요소를 대체하는 경우와 전통한복을 재해석한 사례가 나타났다. 저고리의 세부적 변화는 길이와 깃, 소매길이와 치마는 주름이 보수적 구성요소의 활용이 강화되었고, 저고리의 패턴 및 암홀과 치마의 길이 및 폭은 진보적 구성요소 활용이 강화되었다. 유형 경향 분석결과 저고리와 치마의 유형은 진보형와 보수형이 서로 교차되어 변화 되었고, 상호 연관성이 있게 조화를 이루며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모던한복 저고리와 치마 구성요소 세부항목별 빈도를 분석하고, 구성요소 변화 특징을 밝혔다. 저고리와 치마의 유형 경향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상호연관성을 조명하였다. 2000년 이후 연구 자료가 부족한 시기를 선택하여 시기별 유형 경향을 분석하여 저고리와 치마 유형의 상호 연관성을 조명 한 것에 의의를 둔다. Along with Korean government`s Han-bok Promotion Policy, women`s han-bok developed and changed after year 2000. For han-bok industry`s vitalization and leap to glob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660 images of han-bok to study the changes of components of women`s jeogori and skirt from 2000 to 2015 of Internet newspapers For han-bok industry`s vitalization and leap to glob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660 images of han-bok to study the changes of components of women`s jeogori and skirt from 2000 to 2015 of Internet newspapers. The han-bok which has changes in length of jeogori, collar of jeogori, dongjeong, sleeves that comprise jeogori and malgi that comprise skits was classified as modern han-b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s of han-bok and discover the changes and trend of compon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above, the qualitative survey was conducted by a group of experts. The survey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conservative modern type and progressive modern type. The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The result of image analysis shows that the component size variation of han-bok influences on other components, and substitu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han-bok was shown. The changes of jeogori are length and collar, length of the sleeves and the crease of the skirts showed increase in conservative use of the component. And, pattern of jeogori, armhole, and the length of the skirt showed increase in progressive use of the components. As the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changes of conservative type and progressive type of jeogori and skirts intersect with each other. This study analyzed frequency of modern han-bok`s jeogori and skirt components and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jeogori and skirt and traced the correlation between trends of them. This study gives significance in showing correlation of jeogori and skirt after 2000, which is the period that lacks data.

      • KCI등재

        여자한복 변화에 따른 현대 수의디자인 개발-여자 수의 저고리, 치마, 속옷 연구를 중심으로-

        이춘희,강혜승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한복은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 민족성, 한 민족 고유의 얼이 담긴 전통 의복이다. 한복은 평면적인 재단으로 구성되었고, 저고리에는 섶, 깃, 고름을 달고, 치마에는 주름을 잡고, 속옷을 받쳐 입음으로 입체적인 옷이 된다. 이러한 한복에 기초하여 전통적인 수의가 만들어 졌다. 현대인들은 수의를 선택할 때 전통적인 옛것을 고수하고, 수의 재질도 삼베를 선호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재배되는 삼베는 드물고 고가이며,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는 수의도 전통 수의형태가 변형된 실정이다. 대부분 사람들이 이러한 수의를 선택하는 이유는 수의 디자인의 개발의 부족과 수의에 대한 바른 인식의 부재에 있음으로, 연구자는 여자 옷을 중심으로 한복의 변화에 따른 수의 디자인 개발을 주제로 연구 목적을 설정했다. 첫째,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여자 한복의 변화를 분석하여 현대 한복의 착용이 간소화 된 것과 같이 수의 품목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둘째, 생활한복 디자인을 분석하여 기존 수의보다 제작 방법이 용이하고 입히기 쉬운 수의디자인을 개발하고 실제 완성된 수의 작품을 제시하는 것이다. 수의는 염과 습에 사용되는 물품을 포함하나 본 연구는 저고리와 치마, 속옷으로 한정시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수의 재질은 거친 삼베가 아닌 구하기 쉬운 천연소재의 원단을 사용하였고, 여자 현대수의를 상의, 하의, 속옷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작게는 25벌에서 많게는 100벌까지 착장을 제안하여, 현대 수의가 장례의식에서 고인을 보다 편안하고, 고인의 모습이 가족들에게 아름답게 기억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체계적인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의 과제는 본 연구에서 검토하지 못한 여자수의겉옷 디자인의 개발이다. 소재, 색상 등 보다 현실적인 패턴으로 다양화한 디자인의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Korean traditional dress, Han-Bok, contains history of Korea along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ul of Korean people. The composition of Han-Bok is two-dimensional with its straight cuts but as a gusset and a collar are added to Jeogori (the upper garment of Korean traditional dress) and by wearing underclothes to plaited skirt, Han-Bok becomes three-dimensional.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Han-Bok, traditional shrouds are made. Nowadays, when people are choosing shrouds, they try to maintain traditional shrouds and they prefer hemp cloth for shrouds. However, hemp cloths are rare and expensive, and the shrouds that are manufactured and sold are modified from the traditional designs. The reason most of the people choose those shrouds is in lack of effort to disseminate shroud designs and lack of correct understanding of shrouds. Therefore, researcher set the purpose of the study to develop shroud designs that is appropriate and that suits for modern days. First, by analyzing the changes of the design of women’s Han-Bok from Joseon Dynasty to modern days, simplify the items of shrouds as reformed Han-Bok were simplified. Second, by analyzing designs of reformed Han-Bok, develop simple shroud designs and actually present complete form of those shrouds. Shrouds include all the items that are needed for cleaning and shrouding corpses, but this study puts its boundaries to Jeogori, skirt, and underskirt in development the shroud desig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ead of using hemp cloth, which is ruff to wear, use cloths that are made of natural materials, simplify the items for shrouds so it would be easier to make and wear the shrouds. This study develops women’s modern shrouds by developing Jeogori’s, skirts, underskirts, and underpants separately, which makes 25 to 100 possible designs of shrouds. In suggesting various and systematic modern shroud designs, the ones who are departed would be comfortable and beautifully remembered by their families

      • KCI등재

        한·일 불교 근대화 관점에서 본 금당 이재복의 불교대중화

        권동우 대각사상연구원 2024 대각사상 Vol.41 No.-

        본 고는 만해와 석전의 한국불교 근대화와 대중화의 시도가 그 후대를 통 해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만해와 석전의 뜻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 현실 속에서 구현해 가고자 했던 금당 이재복 대종사의 불교 근대화 혹은 대중화의 의미에 대해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근대 이후 한국불교의 근대화와 대중화 양상에 대 해 그 일단의 흐름을 이해해 보고자 했다. 근대 ‘종교’ 개념의 형성은 한국과 일본의 불교계에 ‘종교로서의 불교’라는 과제를 안겼고, 이는 불교의 근대화와 연동되었다. 따라서 불교계 인사들은 과거의 불교와 차별화되는 근대적 종교로서의 불교를 지향해야 했고, 그 방 향은 출가에서 재가로, 의례에서 교학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정하고 교학의 학습을 통한 개개인의 깨달음을 추구했다. 이러한 가운데 불교의 대중화는 시대적 과제가 되었고, 불교계 지도자들은 재가신자들을 깨달음으로 이끌기 위한 교학적 체계를 수립 하는데 노력하게 된다. 한국불교에서 이러한 노력은 만해 한용운이나 석전 박한영 등을 통해 잘 드러나는데, 특히 이들은 조선불교계의 상황에 맞는 불교의 혁신을 주장했 다. 본 고에서는 해방 이후 이들의 정신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 불교대중화 또는 재가를 중심으로 하는 근대불교의 방향을 충실하게 모색한 것이 바로 금당 이재복이었으며, 그는 만해의 불교 ‘대중화’를 위한 방법과 석전의 ‘불 교 혁신’의 근대화 정신을 충실히 계승하면서 한국불교계, 특히 재가들의 삶 에 불교를 깊이 천착해 가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대장경 강해와 불교 포교의 길을 개척했다는 것을 밝혔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how Manhae(萬海) and Seokjeon(石顚)’s attempt to modernize and popularize Korean Buddhism has been being passed down by their subsequent gener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places the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Great Master Geumdang Lee Jae-bok’s modernization or popularization of Buddhism, who pursued the success of Manhae and Seokjeon’s will whilst attempting to implement it in reality. Through such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 aspect of the mod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Buddhism after modern times. The crea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presented a task of ‘Buddhism as religion’ to the Korean and Japanese Buddhist community, which was eventually linked to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Thus, Buddhist figures were pressured into the pursuit Buddhism as a modern religion, and from Renunciant Practitioners to Lay Practitioners, Funeral retes to Buddhist Thoughts, the direction was set; the enlightenment of each individual was pursued through the learning of Buddhist Thoughts.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became a generational task, and the leaders of Buddhism strived to establish a Buddhist Thoughts system to lead Lay Practitioners to enlightenment. Such efforts in Korean Buddhism are well represented through the modern Manhae Han Yong-un or Seokjeon Park Han-young; in particular, they insisted on the innovation of Buddhism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Joseon Buddhism. This paper states that Geumdang Lee Jae-bok was the one to seek directions of modern Buddhism centered on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whilst strictly inheriting their spirit post liberation, and that he inherited Manhae’s ways of Buddhist popularization and Seokjeon’s modernization spirit of Buddhist innovation, and especially focused on studying Buddhism in the lives of the Lay Practitioners when he pioneered the path of Buddhist missionary work and Tripitaka’s Exposition.

      • KCI등재

        금당 이재복의 선사상

        김방룡 대각사상연구원 2024 대각사상 Vol.41 No.-

        본 고는 대전-충남지역의 대표적인 교육자이자 시인으로 알려진 금당 이재복(1918~1991)의 선사상을 밝힌 글이다. 이재복은 일제강점기 석전 박한영의 영향 아래 불교 근대화의 길을 찾기 위해 애국 애족의 마음을 가지고 교학과 역경 및 문예 분야에 큰 노력을 기울였다. 해방 이후 한국 불교태고종의 창종에 큰 역할을 하였던 이재복은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 로 교육자와 시인 그리고 불교 대중화에 크나큰 족적을 남겼다. 근현대 고승으로서 이재복의 위상이 확고하지 않은 현실에서 이재복의 선사상에 대한 연구는 미개척 분야이다. 이재복의 선사상을 밝히기 위하여 그의 생애 및 용봉 대종사 이재복 선생 전집 그리고 금당의 시집을 분 석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이재복의 삶과 사상 속에 드러난 선사 상의 내용과 특징을 규명하였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분단과 혼란의 시기를 살다 간 이재복의 삶은 승 속(僧俗)을 초탈한 보살승이자, 선교(禪敎)를 아우르면서도 선사(禪師)의 모습에 얽매이지 않은 선사였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재복의 선사상 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는 근현대 한국불교의 질곡 속에서 타자화되고 우리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져가는 고승들의 삶을 복원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reveals Seon thought of Geumdang Lee Jae-bok (1918~1991), known as a representative educator and poet in the Daejeon-Chungnam area. Under the influence of Seokjeon Park Han-young in Japanese colonial era, Lee Jae-bok made great efforts in the fields of Buddhist studies,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 and literature with the heart of patriotic love to find the way to modernize Buddhism. Lee Jae-bok,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unding of the Taego order of Korean Buddhism after liberation, left a great mark on educators, poets, and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the Daejeon-Chungnam area. In the reality that Lee Jae-bok’s status as a modern high monk is not firm, research on Lee Jae-bok’s Seon thought is an unexplored field. In order to reveal Lee Jae-bok’s Seon thought, the writer analyzed his life, The Great Master Yongbong, Lee Jae-bok’s collection, and the poetry of Geumdang, and then identifie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eon thought revealed in Lee Jae-bok’s life and thoughts through this work. It can be said that Lee Jae-bok, who lived in a period of division and chaos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liberation, was a Bodhisattva who transcend the sangha and the vulgar and a Seon master who was not bound by the appearance of a Seon master while encompassing Seon school and doctrinal school. Therefore, attempts to identify Lee Jae-bok’s Seon thought can be said to be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lives of the ancient monks who are otherized in the fetter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disappearing from our memories.

      • KCI등재

        현대 여성한복에 나타난 퓨전스타일의 표현적 특성 연구

        김미영(Kim Mi-young) 한복문화학회 2013 韓服文化 Vol.16 No.2

        Nowadays many people want to get new and diverse experience like fusion. Fusion is derived from post-modernism, which implies no limitation from other cultures. The purpose of study is to know fusion expression on contemporary style of Korean costume, Han-bok which is one of contents of Korean culture for global publicity. The method of study is several Han-bok figures collected by magazines, news, on-line news releases etc. are analyzed by expression of fusion style - form, fabric, color and presentation. As a result, the style of Han-bok will get changed to fusion culture style which means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globalizationin fashion trend because of Han-bok is not the clothes only for national old consumers but also for consumers from all over the world.

      • KCI등재

        안동지역 축제의상 개발에 관한 연구

        김희숙 ( Hee-sook Kim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7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dustrialize and to localize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of Andong by developing festival costumes related to `Andong Mask Dance Festival`. We tried several methods to deliver meanings and images of festival costumes, as followings. Frist, from April, 2009 to October, 2012, we created the new design of the festival costumes after consulting with 7 festival experts about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ndong Mask Dance Festival`. The festival costume design is characterized by the detachable parts of clothing based on Han-bok style, the front and back of bodice, right and left side of both sleeves, and pockets, which can be tied up with strings. Therefore the consumers can choose and attach the part they want. Secondly, the newly created festival costumes were evaluated appropriately to the consumer`s satisfaction, implementation, practicality, and long-term development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survey of 85 participants who were, in fact, wearing the festival costumes in the festiv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festival costumes ar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and it appears wearing object as festival costumes. Secondly,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beauty are well matched up, so men and women of all ages are possible to wear. Thirdly, size of costume can be controlled, so it`s easy to wear. Finally, construction method is very simple. The possibility of long-term development by various material development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