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surability of Drunk Driving Liability in China -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Function of Liability Insurance -

        Li Kejing,Luo Can 중국지역학회 2021 중국지역연구 Vol.8 No.1

        음주운전 책임의 보험적용 가능성, 즉 보험사가 피보험자의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 사고에 대해 보험금을 지급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중국 내에서 논란이 있어 왔다. 이는 현재 발효 중인 입법과 상충되는데, 1995년 제정된 ‘보험법(保险法)’은 2002년, 2005년, 2013년 개정되면서 이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견지해 왔다. 또 2006년 ‘자동차교통사 고 강제보험 조례(机动车交通事故责任强制保险条例)’ 제22조는 이 문제에 대하여 별도 의 규정을 두고 있지만, 이견이 있다는 지적에도 2019년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2년 최고인민법원은 ‘도로교통사고 손해배상 사건의 적용에 관한 법률의 일부 문제 에 관한 최고인민법원의 해석(最高人民法院关于审理道路交通事故损害赔偿案件适用法 律若干问题的解释)’을 공포하고, 제18조에서 이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확정하였다. 이처 럼 규정들의 충돌은 법관의 사법 실무에 난제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10여 년 전부터 법관이 음주운전 책임의 보험적용 가능성을 지지하는 판례가 나오기도 하였는데, 2006-2012년 168건, 2013-2019년 262건으로 확인되었다. 또 같은 조문을 적용할 때 판사 가 내리는 결론이 일관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보험의 공적 기능이라는 관점에 서 볼 때, 음주운전 책임의 보장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도 법관들이 갈수록 지지 하는 요인이다. 책임보험의 공적 기능은 다른 보험에 비해 피보험자와 피해자를 더 많 이 보호함으로써 국가 금융 리스크 관리의 방안이 된다. 이는 미국의 실무와 이론에서 책임보험의 급속한 발전을 비롯하여 음주운전 책임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동력이 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으며, 그 진행 과정에서 도덕적 문제를 배제할 수 없다. 중국의 이와 같은 논란과 관련하여 균형 잡힌 책임보험의 공적 기능과 상업적 관계를 발전시키 는 데는 최근 영국의 자동차보험제도 개혁의 성과를 참고하여 중국 입법을 보완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자동차 음주운전의 보험금 지급과 관련하여 중국 입법에서의 충돌 여부를 확인하고, 실제 사례에서 판사의 지지 관점을 분석한다. 이를 다시 책임보험의 공공기능 관점에서 음주운전의 위험성을 입증한다. 이를 통해 책임보험의 공공기능과 상업성을 어떻게 균형 있게 할 것인지에 대하여 의견 을 제시하였다. The insurability of drunken driving liability, that is, whether insurance companies should pay for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he insured who is a drunk driver, has alway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China. Current legislation is conflicting. Insurance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95 insists a negative view through the amendments in 2002, 2005, and 2013. Article 22 of Regulation on Compulsory Traffic Accident Liability Insurance for Motor Vehicles 2006 specifically this issue is believed to be ambiguous and still did not respond it in the 2019 revision. the Supreme people's Court in 2012 enacted the Interpretation on Several Issues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Law in the Trial of Cases on Compensation for Damage in Road Traffic Accidents, which has established a supportive position in Article 18. These conflicts have been bringing difficulties to Judges in judicial practice. On the other hand, Judges have been increasingly inclined to support the insurability of drunk driving liability in judicial cases since more than a decade ago, as confirmed by the results of 168 cases between 2006 and 2012 and 262 sample cases between 2013 and 2019. However, these cases also show that the conclusions reached by judges in the application of the same provision are not uni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function of liability insurance, the insurability of drunk driving liability should be supported, which is also the main reason why more and more Judges have been becoming supporters. Compared with others, the public function of liability insurance means that it can provide more protection both for the insured and victims, as a result, it would be a financial approach in governing risks of the State. And the practice and theoretical research in the US have proved that it is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liability insurance, including settling the problem of drunk driving, and the decline of moral hazard is also essential for the developing process. As far as the dispute, we should bal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function and the commercial nature of liability insurance in the development, improve Chinese law by learning from the reform achievements of the UK in recent years. Accordingly,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our parts. First of all, conflicts in current Chinese legislation are sorted out; secondly, there comes an analysis of the supporting views by Judges in judicial cases; thirdly, a key argument is demonstrated, that is, the insurability of drunk driving risk should be af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function of liability insurance; finally, the focus is how to balance the public function and commercial nature of liability insurance.

      • KCI등재

        책임보험에 있어서 보험의 목적과 피보험이익에 관한 재검토

        이용석 한국무역통상학회 2017 무역통상학회지 Vol.17 No.6

        This study investigated existing theories on the object and insurable interests of liability insu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blems in the existing theories on the object and insurable interests of liability insurance published thus far and describe a new theory that can compensate the problems. Thus far, the object of liability insurance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the whole fortune of the insured person or the liability of reparation of the insured person. However, this paper is intended to regard the objects of insurance accidents that are insured instead of the whole fortune or liability of reparation of the insured person and describe the legitimacy and validity of this theory. Therefore,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object of liability insurance is not the whole fortune or liability of reparation of the insured person as argued by existing studies thus far but is the object of insurance accidents while explaining the reasons as well as actually presenting relevant cases to prove the argument. Thereafter, to understand the issue of insurable interests of liability insurance, the theory of whole fortune, the theory of financial conditions, the theory that denies the insurable interests, and the theory of liability interests will be compared and reviewed. Then, problems in the theory of whole fortune, the theory of financial conditions, and the theory that denies the insurable interests and the iniquity of these theories will be pointed out and the validity of the theory of liability interests, which is recognized as a relatively proper theory in the relative position, will be proved. Thereafter, a new theory that compensates the shortcomings of this theory will be made.

      • KCI등재

        책임보험에서의 보험자의 지위- 의무책임보험의 관점에서 -

        김은경 (사)한국보험법학회 2019 보험법연구 Vol.13 No.1

        Liability insurance was born in the course of a person's liability for legal damages to third parties in the process of the civilization. As the principle of the strict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liability develops, regardless of individual or corporation, the discussion about shifting individual responsibility to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insurance system has expanded,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subject of compensation liability to bear all responsibility. Liability insurance assumes the liability of the insured to be an insured interest. So, the insurer’s obligation to pay the claims not arise unless the liability is determined. The insurer of liability insur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liability of the insured person, that is, the perpetrator, so it is essential to confirm the status of the insurer. The insurer of the liability insurance shall determine the insurance accident according to the obligation of care as a good manager, that is, the obligation to observe, and determine the extent of the damage. At this time, failure to find an important basis for determining an insurance accident or scope of loss, or failure to use appropriate methods of defense would negate the obligation of the state itself. Just as an insured person is obliged to defend the victim's groundless claim due to an insurance accident, the insurer is also obligated to defend. Under the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which has a prerogative provision for the insurer's defense obligation, the insurer's defensive obligation is the basic obligation or primary obligation of liability insurance. However, the insurer's obligation to pay the insurer is closely linked to the interests of the perpetrator (the insured) and the injured party. Since the policyholder must defend against the claims of the third party (the injured party), the insurer's defense obligation has the character of defens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the insurer and the third party because the third party wants to receive his or her compensation first. In this case, the insurer fulfills its role as the successor to the policyholder who is the assailant in the status of the debtor with respect to the creditor as the policy contractor, According to this, the insurer has the grounds for exercising the defense rights of the perpetrator, who is the other party to the claims of the third party who is the injured party. In addition, the insurer's right of defense is also called the insurer's right to intervene. When an insurance accident occurs, not only the insured but also the insurer inspects the insurance accident. At this time, the insured right of the insured person is not only a right that has an obligation to be recognized on the liability side of the liability insurance but also permits based on the group identity of the insurance. 개인이 문명의 이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3자에 대한 법률상의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는 문제에서 책임보험이 생겨났다. 이후 기업가인 가해자의 배상책임을 담보하는 것과 엄격책임의 발달에 따라 그것이 일반 개인이든 또는 기업가이든 스스로 그 책임을 모두 떠안기 어려운 상황으로 진전됨에 따라 해당 개인책임을 보험제도를 통하여 사회책임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논의에서 책임보험은 발전되었다. 책임보험은 피보험자의 책임에 관한 피보험이익을 담보하는 것이므로 그 책임이 확정되지 아니하면 보험자의 보상의무 역시 생기지 아니한다. 피보험자인 가해자의 책임확정과정에서 보험자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책임보험에서 보험자의 지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책임보험의 보험자는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주의의무, 즉 선관의무에 따라 보험사고를 확정짓거나 손해범위를 정하여야 하는데, 그 중요한 근거를 찾아내지 못하였거나 적절한 방어방법을 적용하지 아니하면 그 자체로 주의의무를 게을리 한 것이 된다. 피보험자는 보험사고로 인하여 피해자의 근거없는 배상청구에 대하여 방어할 의무를 부담하는 방어의무를 부담하여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험자 역시 제3자의 청구에 대하여 방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보험자의 방어의무에 대하여 명문의 규정을 가지고 있는 독일 보험계약법에서는 보험자의 방어의무를 책임보험에서의 기본의무 내지 주요의무라고 한다. 그런데 보험자의 급부의무를 담보하는 것에 관해서는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이해관계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므로 보험자의 방어의무는 방어권으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보험계약자 입장에서는 제3자의 청구에 대하여 방어를 해야 하는 것인 반면, 제3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손해배상을 우선적으로 받는 것에 이해가 상충하는 것이다. 이때 보험자는 보험계약관계상 보험계약자의 채무자로서의 지위에서 제3자에 대한 책임관계의 당사자인 보험계약자(내지 피보험자)의 권리승계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 이에 따르면 피해자인 제3자의 책임청구의 상대방인 가해자가 가지는 방어권을 행사할 수 있는 근거가 보험자에게 있는 것이다. 또한 보험자의 방어권은 소위 보험자의 개입권이라고도 볼 수 있다. 보험사고가 발생하면 피보험자뿐만 아니라 보험자도 보험사고를 조사하게 되데 이때에 인정되는 보험자의 개입권은 책임보험에서 신의칙상 인정되는 의무의 성질을 가진 권리라고 판단되고 보험의 단체성에 근거하여 허용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 외에도 보험자의 제3자에 대한 정보제출요구권은 올바른 손해액 산정이나 보험사기 방지를 위한 측면에서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책임보험의 운용에 있어서 한ㆍ독 보험계약법상 차이

        김은경 한국상사법학회 2019 商事法硏究 Vol.38 No.2

        Liability insurance is an insurance contract of which the subject-matter insured is the loss of property in case the insured bears the liability of compensation to a third party. The liability insurance in the modern sense is intertwined with the nineteenth-century industrialization. Beginni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early compulsory insurance based o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system of liability insurance, it has taken about 200 years to connect this system to various risks of industrial society and to stabilize it as a social system until now. As Article 719 to Article 726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hereafter ʻKCCʼ) Part 4 Chapter 2 Section 5 are provisions on liability insurance and have not been particularly arranged in logical sequence, the common provision and the special provision have somewhat been confused systematically. The provisions of the German Insurance Contract Act 2008 Part 2 Chapter 1 (Liability) have been separated into Division 1 (General provisions) Article 100 to Article 112 and Division 2 (Compulsory insurance) Article 113 to Article 124 and have an identical legislative system with the previous Act. The most conclus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egislative systems is that while the KCC provisions on liability insurance do not differentiate voluntary liability insurance and compulsory liability insurance and acknowledge the direct right of action to the insurer by the third party in every liability insurance, the German Insurance Contract Act 2008 only accepts the direct right of action to the insurer by the third party in compulsory insurance. The acknowledgement of the direct right of action to the insurer by the third party without differentiating voluntary insurance and liability insurance frequently conflicts with foreign liability insurance accidents in international private law. This was the case with the insurance legal solutions of the Sewol ferry case. Therefore, it is utterly crucial to correct this situation by acknowledging the direct right of action by the third party only in compulsory liability insurance. Furthermore, I suggest the following specific stipulation by law concerning the duty required in compulsory insurance. As an insurance accident and an causation accident are differentiated in compulsory insurance, its specificity should be recognized so that the duty of notice of the occurrence of a causation accident should be imposed apart from the duty of notice of the occurrence of an insurance accident in KCC Article 657. Moreover, if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 right of action raised by the third party after a causation accident actualizes into a lawsuit, this should be notified to the insurer. The hitherto mentioned duty of notice is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the extension of the loss to an insurance accident in compulsory insurance. Based on this notification, the insurer may be able to cope with an insurance accident. Therefore, in accordance with this object, besides the duty of notice of the occurrence of a causation accident and the duty to notify a lawsuit on the part of the policyholder, the duty of notice of the occurrence of a causation accident and the duty to notify a lawsuit on the part of the third party should be stipulated. In addition, liability insurance necessarily premises a third party unlike other insurance, and in case the third party performs the direct right of action against the insurer and the insurer demands related information, then it should be provided and the duty of cooperation by the third party in submitting required documents or evidence should also be stipulated. 피보험자가 제3자에게 배상책임을 부담할 경우 그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을 보험의 목적으로 하는 보험계약을 책임보험이라고 한다. 현대적 의미의 책임보험은 19세기 산업화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책임보험이라는 제도를 생성시키는 과정에서 착안한 초기 의무보험의 도입을 시작으로 하여, 산업사회가 가지는 다양한 위험에 이 제도를 연계시켜 사회적 제도로 안착시킨 지금에 이르기까지 약 20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한국 상법 제4편 제2장 제5절 제719조에서 제726조까지가 책임보험에 관한 규정이고 특별히 규정이 논리적인 순차성을 염두해 두고 배치된 것이 아니어서 책임보험의 일반 규정과 특수한 책임보험 규정이 체계상 혼재된 측면이 있다. 독일은 제2편 제1장에서 책임보험을 규정하면서 제1절 통칙(제100조에서 제112조)과 제2절에서 의무책임보험에 관한 규정(제113조에서 제124조)으로 나뉘어 구법과 동일한 입법체계를 가지고 있다. 두 법체계상 가장 결정적인 차이는 우리 상법 책임보험규정에 따르면 임의책임보험과 의무책임보험을 구분하지 아니하고 모든 책임보험에 제3자의 직접청구권 행사를 인정하는 것인 반면, 독일보험계약법에 따르면 제3자의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은 의무보험에 한하여 인정하는 데에 있다. 임의보험과 의무보험을 구분하지 아니하고 받아들였던 제3자의 직접청구권 인정은 국제사법상 해외 책임보험 사고와 충돌이 되는 경우가 많다. 세월호사건의 보험법적 해결이 그러했다.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것은 의무책임보험에서만 제3자의 직접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으로 바로 잡는 것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책임보험에서 이행해야 할 의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구체적으로 명문화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책임보험에서는 보험사고와 손해사고가 다른 것이므로 그 특수성을 인정하여 상법 제657조의 보험사고발생의 통지의무와는 별개로 손해사고를 통지하도록 할 의무를 부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손해사고 이후 제3자가 제기한 청구권의 행사가 소송으로 구체화될 경우 보험자에게 이를 알려야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통지의무는 책임보험에서의 보험사고로 그 손해가 확대가 될 가능성을 억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통지에 기반하여 보험자는 보험사고에 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취지에 따라 보험계약자 측의 손해사고발생 통지의무 및 소송통지의무 외에도 제3자 측면에서 손해사고발생 통지의무와 제소사실통지의무를 명문화해야 한다. 그 외에도 책임보험은 다른 보험과 달리 제3자가 반드시 전제되는 것이고 제3자가 보험자에 대하여 직접청구권을 행사할 경우 보험자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필요한 서류나 증거의 제출에 협조해야 할 제3자의 협조의무 역시 명문화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동차책임보험 보험회사 보상책임에 관한 소고 - 대인배상Ⅰ과 대인배상Ⅱ를 중심으로 -

        박윤철 한양법학회 2020 漢陽法學 Vol.31 No.2

        This is a study on ‘liability prescribed by the Automobile Liability Insurance Law’ in the Insuring Agreement Clause of the Compulsory Auto Liability Coverage of the new policy amended in this year. It was provided in the old Insuring Agreement Clause that ‘the coverage provides protection for the insureds against legal liability’. And it is provided in the new Insuring Agreement Clause that ‘the coverage provides protection for the insureds against liability prescribed by the Automobile Liability Insurance In the case of a driving insured, the auto insurance policy adds a clue, ‘If there is a person who is a car owner in the subjugation law, the person is considered an insured person of personal liability I’, but this clue will guarantee the driver’s civil liability for damages. It is not to be interpreted as meaning. Rather, the driver’s insured cannot acquire the status of the holder under the subsidiaries law, and the insured profit of the driver’s insured is further deprived. In the case of permissioned insured persons, despite being injured by taking responsibility for damages under the Civil Law, the current personal insurance I covers only the liability for damages under Article 3 of the Voluntary Act, thereby depriving the insured from the permissioned insurance. In the event of a surrogate driving accident, a registered insured person is liable for general illegal acts under civil law, so the surrogate driver who stands in the position of the insured person under the Personal Indemnification I contract makes the other person injured and bears the liability for damages under the civil law. You will not be able to exercise your claim in Ⅰ.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surance coverage of the personal insurance company I (the liability under Article 3 of the Autonomous Law) under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automobile liability insurance was revised to be the same as the security scope of the personal insurance policy (the liability for legal damages). Need to protect. This revision will ensure the unity of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auto insurance and protect the victims and the insured, while also meeting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subjugation law. It is hoped that as soon as possible, the insurance coverage of insurance coverage for personal compensation Ⅰ will be revised to be the same as the coverage of personal compensation Ⅱ. 자동차사고 발생시 민법의 법적불비를 보완하여 피해자 보호에 만전을 기하기 위하여 민법의 특별법으로 만들어진 자배법(입법취지는 피해자 보호와 자동차운송의 건전한 발달을 목적으로 제정됨)에 의하여 강제 보험화 된 자동차책임보험(대인배상Ⅰ)은 피해자 보호를 위하여 만든 보험이다. 자동차보험약관상 보험회사의 보상책임을 보면 강제보험인 대인배상Ⅰ은 자배법 제3조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보상하고, 임의보험인 대인배상Ⅱ는 법률상손해배상책임을 보상하여 책임보험인 대인배상Ⅰ이 임의보험인 대인배상Ⅱ보다 담보범위가 축소되어 자배법의 입법취지인 피해자보호에 역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자동차사고 발생시 민법의 법적불비를 보완하여 피해자 보호에 만전을 기하기 위하여 민법의 특별법으로 만들어진 자배법(입법취지는 피해자 보호와 자동차운송의 건전한 발달을 목적으로 제정됨)에 의하여 강제 보험화 된 자동차책임보험(대인배상Ⅰ)은 피해자 보호를 위하여 만든 보험이다. 자동차보험약관상 보험회사의 보상책임을 보면 강제보험인 대인배상Ⅰ은 자배법 제3조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보상하고, 임의보험인 대인배상Ⅱ는 법률상손해배상책임을 보상하여 책임보험인 대인배상Ⅰ이 임의보험인 대인배상Ⅱ보다 담보범위가 축소되어 자배법의 입법취지인 피해자보호에 역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운전피보험자의 경우 자동차보험약관상 ‘자배법상 자동차보유자에 해당하는 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자를 대인배상Ⅰ의 피보험자로 봅니다’ 라는 단서를 추가하고 있으나 이 단서가 운전피보험자의 민법상의 손해배상책임을 담보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되지는 아니한다. 오히려 운전피보험자는 자배법상 보유자의 지위를 취득할 수 없어 운전피보험자의 피보험이익은 더 더욱 박탈되게 된다. 허락피보험자의 경우 민법상 손해배상책임을 짐으로써 손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자동차보험약관상 대인배상Ⅰ은 자배법 제3조상의 손해배상책임만을 담보하므로 허락피보험자의 피보험이익이 박탈된다. 대리운전사고시 기명피보험자 사상된 경우 민법상 일반불법행위책임만 부담하게 되어 대인배상Ⅰ계약상 허락피보험자의 지위에 서게 되는 대리운전자는 타인을 사상케 하여 민법상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고도 운전피보험자처럼 대인배상Ⅰ의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책임보험약관상 대인배상Ⅰ의 보험회사 담보범위(자뱁법 제3조상의 책임)를 대인배상Ⅱ의 담보범위(법률상손해배상책임)와 동일하게 개정하여 피해자와 피보험자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개정하면 자동차보험약관상의 통일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피해자 및 피보험자를 보호하게 되어 자배법의 입법취지에도 부합하게 될 것이다. 빠른 시일 내에 대인배상Ⅰ의 보험회사 담보범위가 대인배상Ⅱ의 담보범위와 동일하게 개정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지자체 행사 중 동료 가해와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계약상 보상 여부 —서울중앙지방법원 2019.10.24. 선고 2018가단5104934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최병규 한국경영법률학회 2020 經營法律 Vol.30 No.4

        The insurance system started from marine insurance like active insurance. However, over time, the importance of liability insurance, which transfers liability for others to insurance, has emerged. The liability insurance system has emerg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various types of accidents that have increased rapidly a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s urbanization progresses, liability insurance is growing rapidly as the human society is complicated, manufacturing activities including manufacturing industries are increasing, and individual awareness of rights is increased. At the core of auto insurance is the contents of liability insurance as personal or object compensation. Liability insurance varies widely. Among them, the insurance that compensates for the liability incurred in daily life is the daily life liability insurance. In general, package insurance such as comprehensive family life insurance often includes daily life liability insurance as a special contract. However, the Liability Insurance provides for various reasons for immunity. In some cases, the terms of the provisions stipulate that th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ion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insured person's performance is not a liability. The interpretation of this provision is specifically problematic. In Korea, its use is relatively self-supporting. In other countries, however, daily liability insurance is widely used. Liability insurance belongs to non-life insurance. In case of non-life insurance, accidents caused by intentional or gross negligence are insurer's indemnity. In liability insurance, however, only the intention of the policyholder or the insured person is exempt from the liability because of its particularity and the need to protect the victim. In the case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which was a problem in this article, the victim directly exercised his / her right to claim against the insured who had indemnified daily life insurance. However, in the terms of the indemnity insurance policy of the perpetrator, 'liability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insured person's performance' was defined as a responsibility not to compensate. There was an accident when a public official participated in a foot ball practice game included in an event schedule organized by a local government. In other words, when a civil servant was playing a foot ball at an event of a local government at work, the victim tried to head and shout “My,” and the victim was kicked. In such cases, it is difficult for the offender to admit intentional negligence. In addition, it is a case where a person accidentally plays a role in the footsteps at a workplace event, and it is regarded as 'compensation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insured person's performance', which is defined as a exemption ground in the relevant daily liability insurance policy. do. In this respect, the judgment of the Seoul Central Court is justified. In addition, it is hard to say that the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indemnity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performance of the insured person is exempt from the liability insurance of daily life is invalidated by the legal regulations of the agreement. The risks in the performance of the job are exempt from the risks of daily life, and the risks are not exempt from making the terms and conditions empty. The Daily Life Liability Insurance provides various indemnity terms. A dispute arises as to whether the reasons for immunity apply. More thorough research into the contents of the reasons for immunity and its implications in relation to daily liability insurance is necessary to seek legal stability in this field and to prevent disputes in advance. 보험제도는 해상보험이 화재보험처럼 적극보험으로부터 출발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타인에 대한 배상책임을 보험으로 전보하는 책임보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책임보험제도는 19세기말 도시화・산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급증하는 각종의 사고에 대한 대책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인간 사회가 복잡해지고, 제조업을 위시한 기업활동이 증가하며, 개인의 권리의식이 높아감에 따라 책임보험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자동차보험에서도 핵심에 속하는 것은 대인배상 또는 대물배상으로서 책임보험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책임보험의 내용은 매우 다양하다. 그 가운데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배상책임에 대하여 보상을 하는 보험이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이다. 보통 가정생활종합보험 등 패키지보험에서는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을 특약 등으로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에는 다양한 면책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그 가운데 약관에서 '피보험자의 직무수행에 직접 기인하는 배상책임'은 보상하지 않는 책임으로 규정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조항의 해석이 구체적으로 문제가 된다. 국내에서는 그 이용이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이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책임보험은 손해보험에 속한다. 손해보험의 경우 고의・중과실에 의한 사고는 보험자 면책사유로 되어 있다. 하지만 책임보험에서는 그 특수성과 피해자를 보호하여야 할 필요성 때문에 보험계약자나 피보험자의 고의만이 면책사유가 된다고 하여야 한다. 이글에서 문제가 된 서울중앙지방법원의 사건에서는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계약이 성립된 후, 보험자에 대하여 피해자가 직접청구권을 행사한 경우이다. 그런데 가해자의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약관에서는 '피보험자의 직무수행에 직접 기인하는 배상책임'은 보상하지 않는 책임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공무원이 소속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한 행사 일정에 포함된 족구 연습경기에 참여하다가 사고가 난 경우이었다. 즉 공무원이 직장에서 소속 지자체의 행사에서 족구를 하다가 피해자가 ‘마이’를 외치고 헤딩을 하려는데 순간적으로 가해자가 공을 걷어차려다가 피해자의 머리를 차서 다친 경우이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해자 측에게 고의・중과실을 인정하기는 어렵다고 하여야 한다. 그리고 직장 행사에서 족구를 하다가 통상적으로 있음직한 경위로 사고가 난 경우로서 결국 해당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약관에서 면책사유로 규정을 하고 있는 '피보험자의 직무수행에 직접 기인하는 배상책임'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서울중앙법원의 판시는 타당하다. 그리고 피보험자의 직무수행에 직접 기인하는 배상책임을 면책사유로 하고 있는 것이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에서 면책사유로 되어 있는 것이 약관의 규제 법리상 무효로 된다고 보기도 어렵다. 직무수행중의 위험은 일상생활에서의 위험과는 그 위험률의 정도가 달라 면책사유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해당 약관을 공허한 것으로 만드는 면책사유로 보기는 어렵다.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에는 다양한 면책약관을 규정하고 있다. 그 면책사유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다툼이 발생한다.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과 관련하여 면책사유의 내용과 그에의 해당여부에 대한 보다 정치한 연구가 진행되...

      • KCI등재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의 면책사유와 피보험자의 사용 또는 관리의 개념

        최병규 한국기업법학회 2019 企業法硏究 Vol.33 No.1

        Individuals live in a complex environment. In the process, responsibility for damages to others is occurring in everyday life. In this way, liability insurance is the system that compensates for someone who is liable to compensate others. Although it is easy to think only about car liability insurance, there are many types of liability insurance. It is the daily life liability insurance which compensates for the damage liability that occurs while carrying out the daily life. In the advanced countries, daily life liability insurance is widely. However, this insurance provides immunity for indemnification liability for the damages of property owned, used or managed by the insured person, in particular, to those who have a legitimate right to the property. In some cases, however, it may not be easy to judge whether or not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is immunity. As an excuse for indemnity of the daily life liability insurance, the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accidents during the performance of duties, the property owned by the insured person, the use or management of the insured person, and the injury of the employee are excluded. In doing so, it provides liability for indemnification liability, in particular for liability for damages to property owned, used or managed by the insured person. However, while the insured child was trying to buy a violin bow, the violin bow was damaged and was liable for compensation. In this way, before the purchase of the violin bow, it is for the purpose of testing whether the damage is the indemnity of liability for the damage to the property owned, used or managed by the Assured to the person with the right to the property It is the key. In the case of Germany, accidents during the lease as objects of other persons are for reasons of immunity. However, in this case, the insured person is indemnified for damages of property owned, used or managed. In the end, the concept of use or management should be judged as to whether or not to include a violin bow in order to buy a violin bow as in this case, or to include in the concept of use or management. As a possession of another person, there is no ownership in the possession of a violin bow for sale prior to buying it. Therefore, whether it corresponds to use and management is a problem. However, even if you have to test before purchasing, it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concept of use and management. Before you make a purchase, you should have the right to use it within the scope of testing. Also within this scope, management should be viewed by the insured, not the seller. If you understand the concept of ‘comma’ as ‘ownership’, ‘use’ or ‘management’ and not the concept of ‘and. Though, the insurer should interpret that the insurance company do need to pay insurance money. According to the German case, the transfer for the test purpose does also not mean transfer of occupation. In the event that the meaning of the terms is obvious by interpretation, the principle of subsidiary disadvantage, supplementary interpretation principle, does not apply. Interpretation of reasons for exemption of various terms becomes a problem. The insurance contracts should be interpreted objectively and rationally considering the language and grammar structure. 현대에는 개개인들은 복잡한 환경에서 생활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타인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일이 일상사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타인에게 배상책임을 지는 경우 그를 보험으로 보상하여 주는 제도가 책임보험이다. 주로 자동차책임보험만을 생각하기 쉽지만 책임보험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다.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중에 발생하는 손해배상책임을 보험으로 보상하여 주는 것이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이다. 선진 외국의 경우에는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보험에서는 면책사유가 규정되어 있는바, 특히 피보험자가 소유, 사용 또는 관리하는 재물의 손해에 대하여 그 재물에 대하여 정당한 권리를 가진 사람에게 부담하는 배상책임을 면책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구체적인 경우에 이 면책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의 면책사유로서 직무수행 중의 사고, 피보험자가 소유, 사용 또는 관리중인 부동산으로 인한 배상책임, 피용자의 상해 손해 등을 면책사유로 하고 있다. 그러면서 특히 피보험자가 소유, 사용 또는 관리하는 재물의 손해에 대하여 그 재물에 대하여 정당한 권리를 가진 사람에게 부담하는 배상책임을 면책사유로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피보험자의 자녀가 바이올린 활을 사기 위해 시험하는 중 바이올린 활에 손상이 발생하여 배상책임을 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바이올린 활을 구매하기 전 테스트목적으로 가지고 있다가 손상한 것이 피보험자가 소유, 사용 또는 관리하는 재물의 손해에 대하여 그 재물에 대하여 정당한 권리를 가진 사람에게 부담하는 배상책임에 해당하여 면책되는지가 관건이다. 독일의 경우에는 타인의 물건으로서 임차 중의 사고는 면책사유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사안에서는 피보험자가 소유, 사용 또는 관리중의 재물의 손해에 대하여 면책으로 하고 있다. 결국 사용 또는 관리의 개념에 본 사안처럼 바이올린 활을 구입하기 전에 테스트를 위하여 가지고 있다가 손상한 경우도 사용 또는 관리의 개념에 포함할 것인지의 여무를 판단하여야 한다. 타인의 소유물로서 판매목적의 바이올린 활을 사기 전에 테스트하기 위하여 가지고 있던 중에는 아직 소유권은 없다. 따라서 사용 또는 관리에 해당하는지가 문제된다. 소유, 사용 또는 관리라고 약관에 표현이 되어 있어 콤마를 ‘및’의 개념이 아니라 ‘또는’의 개념으로 파악하여야 함은 맞다. 그럼에도 본 사안의 경우는 면책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험자는 보험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피보험자가 사용 또는 관리하던 중에 발생한 손해라고 해석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 경우는 점유권리와 점유의무를 넘긴 것이 아니라고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독일에서는 시험을 위하여 넘긴 경우는 점유권한과 점유의무를 넘기지 않은 취지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도 고려하여야 한다. 약관의 뜻이 해석에 의하여 분명한 경우에는 보충적 해석원칙인 작성자불이익의 원칙은 적용되지 아니한다. 보험약관은 언어표현과 문법구조 등을 고려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 보험의 법적 과제

        김은경 한국상사법학회 2020 商事法硏究 Vol.38 No.4

        According to various legislations on vehicle operation, a vehicle is ʻa moving object powered by a motor with two wheels.ʼ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notion of vehicle,「Motor Vehicle Management Act」Article 2 states that a vehicle which can self-operate without any operation by a driver or passenger is an autonomous vehicle. Recently, as the autonomous vehicle is consider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facing a new era.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 is vehicle operation without accidents. The overriding aim is thus safety. Nevertheless, in case of an accident caused by autonomous vehicle operation, the question of the principle party for liability is a continuous legal issue. A fully autonomous vehicle(Level 5) does not require the operation by a driver or a passenger so that the driver is not considered as the principal party for liability. However, concerning a conditional autonomous vehicle(Level 3), the operator or owner, the manufacturer of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or autonomous vehicle, even the seller can become the principal party for liability. That the insurance system took liability sharing upon the conditional autonomous vehicle(Level 3) in case of vehicle operation accident will not change much. The only consideration is whether it will be the existing vehicle liability insurance or product liability insurance regarding it as a defect or deficiency of products or whether a third system will be required. In case an autonomous vehicle causes an accident to another party due to a defect of the autonomous vehicle itself, product liability insurance could be applied on account of product defect, but due to issues of the burden of proving product defect, this is not so favorable to the victim. The autonomous vehicle does not require a driver, but there is an operator in possession of operation benefit. Therefore, solving the problem by applying operatorˈs liability under the existing no-fault liability principle (or risk liability principle) seems to be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protect victims. The suggested alternative is to adopt compulsory insurance employing the single motor insurance policy model which simultaneously protects the driver and the victim. In case of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level 5), risk diversification through product liability insurance seems logically appropriate. However, liability sharing through insurance system is judged to be cost-ineffective, so that risk diversification of product liability in the form of government security business is recommended. 자동차운행과 관련한 다양한 법제에 따르면 자동차란 ʻ두 개 이상의 바퀴를가지고 원동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전통적인 자동차의 개념에 덧붙여 자동차관리법 제2조에는 운전자나 승객의 조작 없이도 스스로 운행이 가능한 자동차를 자율주행자동차라 한다. 최근에는 소위 자율주행자동차로 4 차 산업혁명을 관통한다고 볼 만큼 새로운 시대를 앞두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를 개발하는 목표는 사고 없는 자동차운행이다. 즉 안전이 최우선목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한다면 그 책임의 주체는 누가될 것인가가 끊임없는 법적인 논제이다. 완전자율주행자동차(레벨5)는 운전자나 승객의 조작이 필요 없는 것이니 운전자는 책임주체로서 고려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부분자율주행자동차(레벨3)와 관련해서는 운행자나 보유자, 그리고 자율주행시스템의 제조자 또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제조자 심지어 판매자가 책임주체가 될 여지가 있다. 자동차 운행으로 인한 사고와 관련하여 그 책임의 분담을 지금까지 보험제도가 하였던 것 역시 부분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에도 크게 달라질 것 같지 않다. 다만 그것을 기존의 자동차배상책임보험제도로 할 것인지 아니면 제조물의 하자나 흠결로 보는 제조물책임보험으로 할 것인지 그도 아니면 제3의 제도가 필요할 것인지를 정하여야 한다. 자율주행자동차가 타인에게 사고를 유발한 경우 이것이 자율주행자동차 자체의 결함으로 인한 것이라면 제조물의 하자를 이유로하여 제조물책임에 따른 제조물책임보험으로 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제조물의하자를 증명하는 증명책임부담 등의 문제로 인하여 피해자 측에게는 그다지 유리할 것이 없다.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는 운전자가 필요 없는 것이지만 운행이익을 가지고 있는 운행자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무과실책임원리(또는 위험책임원리) 하에서의 운행자책임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원리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피해자 보호에 가장 적절하다고 보인다. 이때 운전자와 피해자를동시에 보호하는 단일보험증권모델을 채용한 자동차의무보험으로 운용하는 것을방안으로 제시한다. 레벨5인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는 보험을 통한 책임분담은 비효율적이므로 정부보장사업의 형태로 그 제조물책임의 위험을 분산하는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음주운전대행중의 자동차사고에 대한 책임관계와석 연구

        박세민 한국보험학회 2006 保險學會誌 Vol.73 No.-

        There is no proper legislation about the driving agency. The car owner is highly likely to bear the unexpected pecuniary liability to the sufferer while driving by the driving agent as the insurance for the driving agency is not compuls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terpretation, the third party liability I to the damages of the sufferer is supposed to be provided by the car owner's insurance, not by the driving agency's insurance. This seems to be irrational. The driving agency's insurance must be considered on the preferential basis. If the car owner is dead or injured by the driving agency, the car owner is interpreted as the third party under the Automobile Liability Insurance Law. Even though the car owner enters into a comprehensive insurance, the insurance company denies its pecuniary liability to the injured whose damages are beyond the limit of the third party liability I. It is because the driving agency is not one of the approval insureds under the third party liability II policy. However, considering the Article 726-2 of the Commercial Law, the comprehensive insurance company should bear the liability to the damages of the injured. In addition, the facts that the driving agency is not one of the approval insureds under the third party liability II policy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comprehensive insurance company is likely to defense its liability should be clearly explained by the insurance company through the insurance salesman. 난립 양상을 띠고 있는 운전대행업에 대한 관리감독 법령이 미비하고 대리운전자 보험가입이 의무화되어 있지 않는 현재의 상황에서 운전대행을 의뢰한 차주는 대리운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대행업체에 의해 야기된 사고에 대해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개인적으로 부담할 밖에 없다. 현행 해석론상 운전대행자가 야기한 대인사고 중에서 대인배상 I 범위내의 손해는 차주의 책임보험이 우선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이는 불합리한 해석이며,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을 가지는 운전대행업체 또는 운전대행자가 피해자에 대한 대인배상 I의 책임을 부담해야 한다. 만약 동승한 차주가 죽거나 다친 경우에는 운전대행업체와의 관계에 있어서 차주는 타인으로 인정되어 자배법상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차주가 누구나 운전할 수 있는 종합보험에 가입했다고 하더라도 약관의 해석상 대인배상 I의 범위를 초과하는 손해나 대물배상 등에 대해 차주의 보험회사는 면책을 주장하고 있다. 차주가 종합보험에 가입하면서 운전자연령 한정특약이나 가족운전 한정특약에 가입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적어도 전자의 경우에는 이론적으로 차주의 보험회사의 부책을 주장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상법 제726조의2의 내용이기도 하다. 또한 현행 해석론상 운전대행업체나 운전대행자가 대인배상 II의 피보험자의 범위에서 제외되므로 종합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은 상법 제638조의3 및 약관의규제에관한법률 제3조상의 명시설명의무가 적용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보험자는 이에 대한 설명을 보험계약자에게 해야 한다.국문 색인어 : 운전대행, 대인배상 I, 대인배상 II, 운행자, 타인성, 상법 제726조의2

      • KCI등재

        제조물책임보험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에 관한 소고

        김명준(Kim Myong Jun) 한국보험법학회 2009 보험법연구 Vol.3 No.2

        현대 과학기술의 발달로 수많은 제품들이 제조ㆍ판매ㆍ유통 및 소비되고 있다. '위험이 없으면 보험도 없다.'는 말이 있듯이 우리가 편리하고 안락한 경제활동을 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뒤에는 위험이 따르기 마련이고, 이러한 동일한 위험을 가진 사람들 간에 단체를 구성하여 그 위험을 대비하고 분담하기 위한 것이 보험이다. 각종 산업의 발달로 경제생활이 점차적으로 복잡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오늘날 보험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다. 고도의 기술집약적 상품이 대량생산, 대량소비 시대를 맞이하게 되면서 기업자들은 제품의 안전성 보다는 제품의 양적인 면이나 제품의 성능 및 기능에 더 비중을 두게 되었다. 그 결과 제품에 대한 설계상ㆍ제조상ㆍ표시 및 경고상의 결함으로 인하여 소비자나 사용자에게 예상하지 못한 신체적ㆍ재산적 확대손해가 발생하게 되어, 그 손해발생에 대한 책임문제를 논의되게 된 것이 '제조물책임'이다. 제조물책임은 기업자에게는 새로운 경영과제로 출현하게 되어 소비자에게는 확실한 피해구제체계를 확립하고, 제조업자에게는 제조물책임의 무거운 리스크를 보험회사에 전가함으로서 제조물결함으로 인한 손해배상의 이행자력확보의 수단으로써 제조물책임보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제조물책임보험에 있어서 피보험자의 책임을 묻기 위한 근거로써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경제구조의 변화로 전통적인 계약법적 법리와 과실책임주의는 피해자인 소비자로서는 제조물의 결함과 결함에 의한 손해발생 사실을 입증한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계약책임에 있어서 채무불이행책임론과 하자담보책임론은 그 한계가 있어 제조물책임에는 적용여부에 동의하지 않으나, 채권자대위책임의 문제(민법제404조)는 제조자와 최종소비자 간의 직접계약관계가 없더라도 소비자의 손해를 구제할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이다. 불법행위책임론에 있어서는 특수불법행위책임에 있어서 사용자배상책임의 규정은 제조물책임에 적용과는 별개로 보며, 다만 공동불법행위책임에 관한 규정은 제조물의 제조 및 판매자가 수인이거나 의약품과 같은 손해발생 사실은 분명하나 가해자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시장점유율에 따라 손해배상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고 그 적용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제조물의 결함을 판단함에 있어서 지시ㆍ경고상의 결함에 있어서도 합리적 인간의 행동관점에서 사용자에게 제품에 대한 사용방법이나 위험성의 존재를 표시ㆍ경고의무를 위반한 경우에 결함을 인정하고, 여기서 지시ㆍ경고는 제품의 안전성에 대하여 기대하는 기준에 부응하는가 여부에 따라 결함판단을 하여야 하는 기대기준설을 적용하여 결함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고 본다. 또한 제조물책임에 있어서 미가공 농ㆍ수ㆍ축산물은 자연력에 의하여 자생하는 동식물로서 제조물로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인공적인 기술이 가미된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이 된 농산물로 인한 인체의 질병인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제조물 책임의 주체에 대해서 당해 제품에 대하여 직접 제조, 가공에 관여하지 않은 자인 도ㆍ소매업자나 임대 및 리스업자도 책임의 주체로 보고 제조물책임 법리인 엄격책임 내지 무과실책임을 적용하는 것은 불합리적이라고 보고, 계약책임 내지 과실책임을 지우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보험의 목적이 물건이 아닌 제조물책임보험에 있어서 보험가액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행 상법 제672조의 초과중복보험의 문제와 관련하여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보험자에게 통지 및 고지의무를 위반한 사실이 사기에 의한 계약으로 추정되지도 않으며, 보험자에게 중요한 사항이 아니라고 본다. 또한 제조물책임보험은 피보험자나 보험계약자가 그 물건의 손해에 대한 보상을 받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부당이득이나 도덕적 위험을 유발할 확률이 낮고 보험자에게는 손해보상의 분담을 결과를 가져오므로 보험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수개의 보험계약 체결 사실을 고지 및 통지의무를 위반한 경우에는 보험계약을 해지된다는 규정과 손해보험에서의 초과중복보험인 경우에는 보험사고발생시 각 보험자의 연대비례보상 한다는 내용을 상법전에만 규정할 것이 아니라, 보험계약 체결 시 보험계약자가 직접 그 내용을 이해하고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약관에 명시와 설명을 충분히 하는 것이 사전에 부당이득을 취하려는 의사와 도덕적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보험자에게는 보험계약에 대한 위험율을 측정하여 보험요율 및 계약조건을 정함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Around the world, attempts were made by governments and citizens to resolve these serious damages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defec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ntract law, a fault liability theory of illegal act law.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consumers, who generally had insufficient knowledge about the capacity and structure of the product concerned, to demonstrate defect, fault and the interactions of cause and effect,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product distribution and the process of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e. As a result, a new legal principle was required to redress the consumer damages. This is a strict liability as a new principle of law that for consumers need not to demonstrate a fault presumption of manufacturer, a presence of defect, the relation of damage with defect. A simple 'no-fault liability' is appled, whereby the manufacturer and distributor must take re-sponsibility when a consumer demonstrates damage resulting from a product. However, if the manufacturer, distributor have no compensation security even though they admit a no-fault liability as a strict liability so as to redress the damage of product defects, this new principle of law goes down the drain. Despite the fact that the product liability law was enforced six years ago, manufacturers, distributors and even consumers are still not aware of its significance and its practical effec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to find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with product liability insurance that protects and recompenses the sufferer (consumers) for physical damage and property loss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defects, secure the offender(manufacturing people & distributors) for compensation funds. The problems with product liability insurance are as follows. we have to examine the interpretation of lapse prescription in claims of insurance money for the insured and in claims of compensation for damage for the sufferer in the product liability law. product liability insurance must provide the basis for an increased interest in product safety, encourage new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crease com-petitive power in international dealings, as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still tend to prioritize the quantity and capability of products over their safety and tend to minimize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 liability. product liability insurance must provide for a quick and impartial resolution of issues by researching procedures & methods for solving the product-related accidents and considering a countermeasures to protect against incidents of damage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defects. we must examine the problems of operation and the reason for the low join rate despite the enforcement of the product liability law and then contribute to activating the product liability insurance that protects consumers by ensuring sufficient compensation for damage, protects the manufacturers by securing the compensation funds, and increases exports by ensuring product reliability for consumers & importers on an international basis. It is not assumed that the contract is agreed by fraud and it is not important issue to the insurer because the insurance contractor and the insurer just violate their duty to notify or inform it to the insurer associated with the problem of exceed overlapping insurance in case there isn't insurable value in product liability insurance that does not protect things. Also it is assumed that the insurer has the advantage of share the damages as well as low probability of moral hazard or unfair profits because product liability insurance doesn't protect the insurer and the insurance contractor by ensuring compensation for damages of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