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이우재(Lee, Woojae) 한국상고사학회 2021 한국상고사학보 Vol.114 No.114

        본고는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지역별로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낙랑계토기가 나타나던 시기의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흐름을 분기별로 파악해 보았다. 먼저 변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북한지역 낙랑토기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점차 옅어지면서 독자적 변화 과정을 거쳤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에 낙랑토기에서 확인되는 특징적 속성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낙랑계토기에서 나타나는 유의미한 속성들을 통해 기종별로 분류 기준을 세워 형식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북한강유역에서 나타나는 물질문화상의 특징적 변화들을 기준으로 단계를 구성하고, 단계별로 낙랑계토기 기종과 형식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낙랑토기 제작기법은 늦은 단계까지 지속되지만 단계적으로 형태·양식적 측면에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몇몇 기종과 형식은 단계별로 새롭게 출현하거나 낙랑토기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데 이는 서북한지역과의 지속적 교류에 따라새롭게 등장한 낙랑계토기로 이해된다. 또한 평저호와 타날문단경호는 형식 변화가 단계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기에 이를 중심으로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천안의 큰 틀을 설정하였고, 기타 기종들을 단계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 변천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 설정한 변천안을 토대로 지역별 낙랑계토기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결과 춘천 지역 취락에서 기원후 1세기 어느 시점에 낙랑계토기가 출현한 이후 2세기에 이르러 주변 지역으로 점차 확산된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 변천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북한강유역 전역에서 낙랑계토기가 확인되는 가운데 가평 대성리 유적, 홍천 태학리 유적 등으로 대표되는 대규모취락들이 각지에서 출현 또는 성장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그리고단계 구분에서의 표지자료를 통해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분기를 Ⅰ기와 Ⅱ-1기, Ⅱ-2기로 나누고각 시기별로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화 및 전개 과정과 기존 편년연구를 통해 알려진 물질문화상의 변화가 상호 연동되어 나아가는 일련의 흐름을 짚어볼 수 있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in settlements in the Bukhan River basin. In addition, 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and furthermore, identified the flow of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during the period when the pottery first appeared. Firs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development, I assumed that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ent through its own changes as the characteristics of Lelang pottery in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gradually faded over time. Thu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identified in Lelang pottery and set up models by establishing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type through the significant properties found in Lelang-type pottery. In addition, I constructed the phases based on characteristic changes in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and looked at the types and models of Lelang-type pottery phase-by-phase. As a result, I could see the making techniques of Lelang-type pottery lasting until late phases, but being transformed in terms of form and style by phase. However, some types and models were newly introduced by phase or strongly influenced by Lelang pottery, which were understood as a newly emerged Lelang-type potteries due to continuous exchanges with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Also, the changes of the Flat-bottomed Jar and the Beating- Patterned, Short-Necked Jar were more clearly identified than other models. Therefore, I proposed an idea how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as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the two models and positioning other models within the phase. Next, I looked at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based on the idea set by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believed that Lelang-type pottery appeared at some point in the 1st century A.D. in Chuncheon region and gradually spread to neighboring areas in the 2nd century. While Lelang-type pottery was identified throughout the Bukhan River basin at the last phase of the development, I understood that large-scale settlements like Daeseong-ri site in Gapyeong or Taehak-ri site in Hongcheon had appeared or grown in various regions. Through the changes, aspects of development, and markers used for phase division, I divided the divergence of the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into Phase Ⅰ, Phase Ⅱ-1, and Phase Ⅱ-2, and examined it phase-by-phas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point out a series of flows in which the phase-by-phas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and the changes in material culture known through existing polarization studies are being interconnected.

      • KCI등재

        『說文解字』의 고조선ㆍ낙랑 기록과 典據

        김남중(Kim Nam Jung)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1

        『설문해자』에는 요동ㆍ낙랑 일대의 토산물과 생활상, 낙랑설령 및 조선의 방언 등에 대한 내용을 살필 수 있다. 토산물에 대한 기록 태도를 통해 먼저 낙랑 지역은 하나의 국(낙랑반국)으로 인식하는 시각과 한의 군현(낙랑군)으로 인식하는 시각이 공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 지역 토산물의 산지를 薉邪頭國과 樂浪東暆 두 가지 형태로 표시한 점에서는 한과 예 사이에 최소한 두 계통 이상의 교역 루트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예맥 지역에 대한 시각도 독특한데, 이러한 기록들은 한의 공식 문서에서 얻은 것으로 보인다. 『설문해자』에 소개된 조선의 방언은 양웅이 쓴 『방언』의 내용과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런 점에서 『설문해자』가 『방언』을 직접 참고했는지는 불분명하고 별도의 자료를 통해 얻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언어 구역을 논하면서 조선과 동이를 구별하여 서술하였다는 특징도 보인다. 『설문해자』에는 한의 법령이 실려 있는데, 형법 조항뿐만 아니라 행정에 필요한 여러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허신이 본 낙랑설령도 형법뿐만 아니라 낙랑 통치에 필요한 여러 정보들이 담겨져 있었을 것이다. 『설문해자』에는 출전을 알기 어려운 낙랑 일대의 토산물이나 조선의 방언이 실려 있는데, 이중 일부는 낙랑설령에서 얻었을 수 있다. 고조선의 범금 역시 낙랑설령에 실렸을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the local products of Liaodong(遼東) & Lelang area, the life cycle of the local residents, Lelang-Qieling(樂浪挈令) and Chosun dialect in Shuowenjiezi(說文解字). Through recording methods for the local products, we can see that Han(漢) people considered Lelang both an independent nation(namely Nakrangban state) and also a Gunhyeon(郡縣) of Han(namely Lelang county). Through two forms of recording methods, Ye-Sadu state(薉邪頭國) and Lelang Dongyi(樂浪東暆), for the local products of Ye(薉) area, we can see to be two trading routes between Han and Ye at least. Their perspective on Yemaek(薉貉) area is unique, these records may be obtained from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Han. The records of Chosun dialect in Shuowenjiezi differ slightly from those records in Dialect written by Yangxiong(揚雄). In this regard, it seems that the dialects in Shuowenjiezi had quoted from not Dialect but Other resources. In addition, describing the area of tongues, the book distinguished between Chosun and Dongyi(東夷). Shuowenjiezi contains the law of Han, which include several provisions necessary for the administration as well as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code. Lelang-Qieling that Xushen(許愼) saw had seen contained not only criminal code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Lelang regional governance. The some records of Lelang area which sources are unknown in Shuowenjiezi, would have been in Lelang-Qieling. Prohibitive legislations of Old-Chosun also would have been in Lelang-Qieling.

      • KCI등재

        삼한-후한의 교류와 염사국의 역할

        김남중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4 한국고대사탐구 Vol.46 No.-

        이 글은 염사국을 중심으로 1~2세기 무렵 삼한과 후한과의 교류를 살핀 것이다. 염사국은 건무 20년(44)에 후한의 낙랑군에 內附하였으며 계절마다 찾아갔다. 당시 내부의 사용 예로 볼 때 염사국은 후한과 매우 긴밀한 관계에 놓이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염사국은 지황 연간(20~23) 호래 사건을 계기로 삼한의 여타 세력과 척을 지게 되면서 낙랑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는데, 125년에 낙랑군의필요로 부역 면제를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2세기 후반 韓이 강성해져 염사국이한에 흡수되면서 염사국과 후한의 교류는 끝이 났다. 처음에 진한 우거수 염사착이 낙랑에 거하기 위하여 본래 거주지를 떠났다는점에서 호래 사건 이후의 염사국은 염사착의 본거지에 있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 호래 사건 이후 호래 무리의 유입으로 염사국은 어느 정도 힘을 지니게 되었다. 호래 무리는 천봉 4년(17)에 일어난 臨淮 해적 무리(江蘇省 유민 집단)의 일부로『위략』 마한전에 언급된 東鯷 사람과 관련이 있는 자들이다. 이들은 김포를 비롯한 서해안 일대에 정착하였는데, 김포 일대의 신리국은 그 중 하나였다. 염사국은충남 서산・당진 일대에 있었는데 이 지역은 고고학적으로 김포 일대와 연결된다. 인근의 천안・아산 일대에 목지국(진왕)이라는 강대한 세력이 있었기 때문에 염사국은 군사적 도움을 얻기 위해 수시로 낙랑을 찾아 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염사국은 낙랑과 자주 왕래하였고 중원에서 들어온 주민이 있었으며 韓的인 요소가 많았기 때문에 삼한의 여타 세력이 중원 문물을 받아들이는 통로 역할을 하였다. 韓에 완전히 흡수되어 염로국, 사로국 등으로 재편된 이후에도 韓과 중원 세력의 교류에 중계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1세기 중엽 낙랑군의 주도로 왜 노국이 후한에 사신을 파견하였는데, 삼한 내 대표적인 親漢派 국가였던 염사국이 여기에 협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낙랑군의 필요에 의해 이루어진 일이었다는 점에서 이 무렵 염사국이 낙랑군과 교류에서 저자세를 보였다고 단정할 수 없다. 당시 염사국은 낙랑의 필요에 적절히 대처하며 교역상의 이익을 어느 정도 추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국 입조 추진은 염사국이 서・남해안을 따라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였다. 큰 국가 사이에 있었던 염사국은 생존을 위한 노력을 하며 삼한과 후한의 교류를 중계하면서 삼한 사회의 기술・문화적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This article examines exchanges between sam-han and later-han china around the first and second centuries, centering on yeomsa-state. In the 22nd year of jianwu(A.D. 44), yeomsa-state was subordinated(內附) to lelang-jun in later-han, and later visited every season. From the example of the use of the subordination(內附) at that time, it can be seen that yeomsa-state was placed in very close relations with later-han. Yeomsa-state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lelang as it confronted other forces in sam-han due to the horae incident during the jihwang annual(A.D. 20-23), but in A.D.125, due to the need of lelang-jun, it was exempted from the obligation to pay in public. However, as han korea strengthened in the second half of the second century, yeomsa-state was absorbed into han, and exchanges between yeomsa-state and later-han ended. At first, given that yeomsachak, the right-geosu of jinhan, left his original residence to live in lelang, it cannot be concluded that yeomsa-state after the horae incident was in yeomsachak's original residence. After the horae incident, yeomsa-state gained some power as the horae group was introduced. The horae group is part of the linhuai pirates(a group of exiles from jiangsusheng) that took place in the fourth year of tianfeng(A.D. 4), and is related to the dongje people mentioned in the mahan chapter of weilue. They settled in gimpo and other areas of the west coast, and silli-state in gimpo was one of them. Yeomsa-state was located in seosan & dangjin, chungcheongnam-do, which is archaeologically connected to the gimpo area. Because there was a powerful force called mokji-state(jin’s king) in cheonan and asan, nearby there, yeomsa-state had no choice but to visit lelang from time to time for military help. Yeomsa-state frequently went to lelang and had residents from china, and there were many elements of han, so the country served as a channel for other forces of the sam-han to accept chinese culture. It seems to hav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exchange between han and chinese forces even after being completely absorbed by han and reorganized into yeomlo-state & salo-state. In the middle of the first century, under the plan of lelang-jun, the no-state of wae(japan) dispatched envoys to later-han, and it seems that yeomsa-state, a representative pro-china country in sam-han, cooperated with this. Given that this was accomplished by the needs of lelang-jun,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yeomsa-state engaged in diplomacy with lelang-jun. At that time, it seems that yeomsa-state responded appropriately to the needs of lelang and pursued some profits in trade. In particular, no-state's dispatch of envoys was an opportunity for yeomsa-state to expand its influence in the west and south coast regions. Yeomsa-state, which was between large countries, is noteworthy in that it contributed to the technological and cultural development of sam-han’s society by making efforts for survival and relaying exchanges between sam-han and later-han.

      • KCI등재

        ‘瓦質土器 樂浪影響說’의 검토

        정인성 영남고고학회 2008 嶺南考古學 Vol.- No.47

        It has been a general understanding that Wajil pottery(pottery which have similar features with roof tile in intensity)had appeared by influence of Han(漢)style pottery, namely Lelang pottery, from the prior pottery culture(clay-rimmed pottery culture) in Young-Nam region. This understanding have contributed to regard the upper limit date of Wajil pottery as the time of installation of Lelang commandery. There also has been opposing understanding about the appearance background of Wajil pottery; the hypothesis which are relating warring states period pottery to Wajil pottery. But, it is not quite differ from the former because it also connect the appearance date of Wajil pottery to the time of installation of Lelang commandery. This paper intends to clarify that there seems distinction in producing techniques of short-neck jar excavated from the both regions. In the sites of Nakdong river basin such as Seong-ju, Neuk-do, Ul-san, beating pottery which could be dated earlier than the time of installation of Lelang commandery have been excavated. The producing techniques of these pottery are much similar with that of warring states period pottery, especially in that of east region of liaoning, rather than pottery of Lelang. Thus,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Wajil pottery in Nak dong river basin is owing to transition of its own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trade network. That network that was ranged from north-east region of China, north Kyushu to Okinawa was being operated mainly by Wiman-joseon(衛滿朝鮮). 瓦質土器는 낙동강유역권의 점토대토기가 漢式土器에 기원하는 낙랑토기의 영향으로 일대 변화를 일으켜 성립된 새로운 토기양식이라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와질토기는 낙랑군 설치가 편년연구에서 상한연대의 기준이 되어 왔다. 뿐만아니라 낙랑군에서 낙동강유역권으로 유물이 반입되거나 또는 새로운 문화가 이입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제하는 경사편년관으로 연대를 정해왔다. 한편 와질토기의 전국영향설을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으나, 이는 기술적 계보가 전국시대나 고조선과 연결된다는 것이지, 이입경로와 시기는 낙랑군과 관련된다고 보는 것이기 때문에 낙랑영향설과 근본이 다르지 않다. 이 글에서는 낙동강유역권의 와질토기가 낙랑토기의 영향 하에 제작되었다는 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선 양 지역의 타날문단경호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작기법면에서 서로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성주 예산리, 사천 늑도, 울산 달천 유적 등지에서 낙랑군 설치보다 시기가 소급될 것으로 보이는 타날문토기의 존재를 확인했다. 이 토기들은 그 제작법이 낙랑토기와 다르며 오히려 전국토기에 통하고 구체적으로는 중국 요동지역의 토기들과 유사함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낙동강유역권에서 와질토기가 발생하는 배경은 낙랑군의 설치에 따른 여파가 아니라 이미 그 이전에 중국동북지방과 북부구주, 오키나와까지를 연결하는 국제교역망에 낙동강유역권이 편입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보았다. 또한 그러한 국제교역망을 운영한 주체를 위만조선으로 판단했다.

      • KCI등재

        낙랑국의 실체와 낙랑 조선․낙랑군의 관계

        김남중 고조선단군학회 2022 고조선단군학 Vol.47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nakrang-guk, lelang-jun, and nakrang joseon, focusing on the nakrang-guk shown in the samguksagi. Nakrang-guk was destroyed in 37 A.D. due to the invasion of king daemusin of goguryeo. Nakrang-guk is found in the lelang-jun area or near ogjo, and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it was in the mountainous area in eastern pyeongannam-do when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the stone mound tombs of gogulyeo and the ruins of lelang-jun. This area was not properly controlled by lelang-jun, and some residents of nakrang-guk, which flowed into lelang-jun, were organized into ledou-xia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 were forces that had been building dolmens and stone coffin tombs since the bronze age, and forces related to the sehyeong bronze dagger connected to the bronze age culture in northeastern china. The distribution of the two forces tends to be slightly divided, and dolmen remains are concentrated in the eastern part of pyeongannam-do and northern part of hwanghae-do.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the two forces with the census register produced in the 4th year of chuyuan(45 B.C.), it can be seen that the former-related forces made up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Nakrang-guk was a force related to the former, and was a force distinct from nakrang joseon, that is, ancient joseon people who migrated to the lelang-jun area. The etymology of the word lelang/nakrang originated from nakrang-guk. Han's law was translated and applied as if it were their prohibition law. For this reason, it was seen that the people of nakrang joseon stood at the center of the rule for indigenous forces such as nakrang-guk. In addition, even under han's rule, the indigenous forces of non-han did not assimilate to han and maintained their identity. In this respect, the history of lelang/nakrang is not only seen as chinese history, but can also be treated as part of ancient joseon's history. 이 글은 『삼국사기』에 보이는 낙랑국을 중심으로, 낙랑군, 낙랑 조선의 관계를 다루었다. 낙랑국은 37년에 고구려 대무신왕의 침공으로 멸망하였다. 낙랑국은 낙랑군 지역 또는 옥저 부근에서 찾는데, 고구려 적석총과 낙랑군 유적의 분포를 비교해 보았을 때 평안남도 동부 산간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지역은 낙랑군의 통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곳인데, 낙랑군에 유입된 낙랑국의 일부 주민은 낙도현으로 편제되었다. 한반도 북부 지역은 청동기 시대 이래로 고인돌ㆍ석관묘 등을 축조하던 세력, 중국 동북의 청동기 문화와 연결되는 세형동검 관련 세력 등이 있었다. 두 세력의 유적 분포를 보면 약간 구분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고인돌 유적은 평안남도 동부와 황해도 북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두 세력의 분포를 초원 4년(기원전 45) 호구부와 비교해 보면 전자와 관련된 세력이 인구의 다수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낙랑국은 이들과 관련된 세력으로, 낙랑군 지역으로 이주한 고조선 즉 낙랑 조선인들과는 구별되었다. 낙랑군의 낙랑은 낙랑국에서 유래하였다. 낙랑 조선은 한의 낙랑군 통치 과정에서 중간 통치자 역할을 하였다. 한의 법은 이들의 犯禁으로 번역ㆍ적용되었다. 이로 인해 낙랑국 등 토착 세력에게는 낙랑 조선인들이 통치의 중심에 서 있었던 것으로 비춰졌다. 또한 한의 통치 속에서도 非漢系 토착 세력은 한에 동화되지 않고 정체성을 유지하였다. 이런 점에서 낙랑은 중국사로만 볼 수 없고 고조선사의 일부로도 다뤄질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낙랑군 출토 봉니의 진위에 대한 기초적 검토

        오영찬(Youngchan Oh)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8 No.-

        낙랑군 유적에서 출토된 봉니는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수집품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된 99건 197점, 1935년 낙랑토성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후 도쿄대학에 남겨진 15점, 그리고 1937년과 1938년 두 차례에서 걸쳐 도쿄국립박물관에서 구입한 9점이 전해진다. 낙랑 봉니는 1919년 최초 확인되었는데,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정식 발굴품이 아니라 식민사학의 불순한 의도 하에 조선총독부박물관 주도로 수집되었기 때문에 진위에 대한 의심이 끊이지 않았다. 이후 계속적으로 확인된 봉니들도 대다수가 발견품으로 신고되어 입수되었거나 고미술상을 통해 구입된 발견품이어서 진위의 논란은 계속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1930년대 위당 정인보는 '낙랑 봉니 위조설'을 제기하였고, 해방 이후 고조선의 재요녕성설에 입각한 북한 학계에서도 '낙랑 봉니 위조설'을 다시 주장하였으며, 1980년대 일본 학계의 반론이 이어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봉니의 진위는 印文의 내용과 印式의 시대적 특징, 인문의 관명과 印制, 봉니의 형태적 특징 등을 통해 판별이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먼저 봉니의 후면과 측면에 있는 세부 흔적으로 통해 봉함 방식을 복원하고, 이를 진위 판별의 단서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1935년 낙랑토성에서 정식 발굴된 봉니들과 그 이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수집한 봉니를 상호 비교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대부분의 낙랑 봉니는 檢위에 부착된 것이었다. 낙랑 봉니는 형태에 따라 크게 凹式檢과 箱式檢에서 나온 두 종류로 구분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검 바닥면의 홈이나 돌대의 유무를 두었으며, 마지막으로 끈을 돌리는 방식에 따라 다시 분류하였다. 이러한 낙랑토성 출토품 봉니의 제 형식을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수집한 다수의 봉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낙랑토성에서 출토된 봉니와 그 이전 시점에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입수한 봉니의 인문 字體를 상호 비교하여 낙랑 봉니의 진위 문제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낙랑토성 발굴품과 1935년 이전 입수된 조선총독부박물관 구입품 사이에 동일한 군명을 공유하고 있는 사례를 파악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진위 여부를 검 토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수집품 낙랑 봉니들이 진품임이 밝혀졌으며, 일부 진위가 의심스러운 봉니들도 확인되었다.따라서 정인보와 북한학계의 주장처럼 낙랑 봉니가 전부 위조품은 아니었으며, 藤田겮策의 주장대로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구입한 낙랑 봉니에 대해 진위를 의심할 필요가 없는 것도 아니었다. 따라서 낙랑 봉니의 전체에 대한 일방적인 진위 주장을 근거로 낙랑군의 실재나 군현 지배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낙랑 봉니의 경우 개별 유물에 대한 진위 검증을 전제로 역사 자료로 활용되어야 하며, 앞으로 본고에서 제기한 방법론 뿐 아니라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clay seals from Lelang Commandery sites has been stored in three institutions; 197 piec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were turn over from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45, 15 pieces in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Japan that were excavated in 1935, 9 pieces in Tokyo National Museum of Japan which were purchased in 1937 and 1938. The clay seals in Lelang were first found in 1919, of which the authenticity had been suspected continuously, because these were not excavated by the archaeologists but discovered, and collected by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the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Lelang commandery in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which was the one of intentions of reconstructing Korean history in view of colonial perspective. Jeong Inbo, the famous nationalist historian insisted that the clay seals collected by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ere all forgeries, which was an attempt to deny the existence of Lelang commandery in the northwestern Korea. The scholars in North Korea since 1950s followed Jeong’s opinion, which was linked with the discussion on the capital of Old Joseon, but some Japanese scholars argued back in 1980s. In this article, I try to restore the sealing method with clay seals by looking into the details of the back side and sides of the clay seals in Lelang. Then I compared the clay seal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acquir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clay seals excavated at the Lelang fortress in 1935 which have not been suspected forgeries, in terms of the details of the back and sides, the character shapes and the names of the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imprinted in the clay seals. These surveys are all utilized as the clues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 KCI등재

        식민주의 역사학 속의 일본과 중국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任那日本府 및 樂浪ㆍ帶方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정상우 ( Jeong Sang Wo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2

        가장 대표적인 식민주의 역사학자 가운데 하나로 고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를 연구했던 이마니시 류의 연구가 일본의 침략과 식민통치를 옹호하는 것이었음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만 그의 연구는 20세기 전반 일본의 대륙침략이라는 역사적 국면만이 아니라 당시 일 본의 역사학계라는 자장 속에 있는 것이기도 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생각에서 이마니시 류의 연구에 나타나는 일본과 중국에 대한 논의들을 임나일본부와 낙랑ㆍ대방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그것이 일본사의 해명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강점 이전부터 한국을 직접 조사해 본 경험이 있던 이마니시는 시종일관 일선동조론에 대해 선을 긋고, 한일은 빈번한 “교통”에 따른 “지배ㆍ피지배”의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고대 일본이 삼한과 신라에 비해 진보해 있었다고 보았다. 이러한 고대 한국에 대한 일본의 우위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바로 고대 일본의 한반도 남부 경영이었다. 수차례의 고고학적 조사에도 어떠한 유물이 발견되지 않은 임나일본부에 대한 이마니시의 믿음은 흔들리지 않았다. 특히 그는 한반도 남부 지방에서 일본 세력의 성쇠를 일본의 국가 발전과 연결지었다. 즉 神功皇后의 신라 정벌은 일본 朝廷의 집권력이 일본 전체에 미칠 정도로 발전ㆍ성숙한 이후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일본에서 神功皇后代에 이르러 통일적인 집권력을 갖춘 국가가 성립했다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내부적 역량을 바탕으로 신라 정벌을 단행한 이래 雄略天皇代까지 한반도 남부에서 일본 세력은 전성기를 구가했다는 설명으로 이어졌다. 또 神功皇后의 신라 정벌의 시기를, 나카 미치요와 마찬가지로 日本書紀의 기년에 대략 120여년을 더하는 기년론에 입각하여, 4세기 초ㆍ중반이라고 보았는데, 이는 일본에서 4세기에 들어 집권력을 갖춘 국가가 등장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일본이 이렇게 이른 시기에 발전을 구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일찍부터 선진적인 중국 문명을 받아들였기 때문이었다. 이마니시는 중국 문화를 한국과 일본의 문화적 “연원”으로 위치짓고, 일본의 중국 문화 도입 시기를 낙랑군을 통해 끌어 올렸다. 강점 이후 일본인 연구자들이 평양 일대의 고분군을 낙랑군과 연결지으며, 낙랑군을 평양 일대로 비정하는 데에 결정적인 유물을 발견했던 이마니시는 중국과 일본의 교류를 낙랑군과 일본의 교통으로 치환하여 그 시기를 기원 전후로 소급하는 한편 중국 문화의 수용도 더욱 편리해졌을 뿐만이 아니라 3세기 중반까지도 대방을 통해 魏와 倭가 계속해서 접촉을 이어갔다고 이야기한 것이다. 당시 일본인 연구자들은 낙랑과 대방은 한반도에 있었지만, 당대 중국 문화의 정수를 간직한 곳으로 파악했으며, 이마니시 역시 이러한 연구자 가운데 하나였다. 이는 일본이 기원 전후 이래 낙랑과 대방을 통해 수용한 중국 문화는 바로 당시 최고 수준의 것이었으며, 이러한 문화 수용이 일본의 발전에 중요한 자양분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즉 이마니시는 낙랑과 대방을 통해 기원 전후부터 중국 문화를 수용해 성장을 거듭하여 통일적인 집권력을 갖춘 국가로 성장한 일본이, 4세기 두 郡이 소멸하고 삼국이 정립되는 가운데 신라의 압력으로 위협을 받던 任那 小國들의 구원을 위해 신라를 정벌함으로서, 한반도를 둘러싼 동아시아는 새로운 국면으로 나아간다는 역사상을 제시했다고 하겠다. Most of the studies by Imanishi Ryu, one of the leading historians of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were about ancient Korean history. And it is indisputable that his work advocated Japanese aggression and colonial rule to Korea. However, his studies were not only in the historical phase of Japan’s invasion to the continent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but also in the magnetic field of Japanese academia of history at that tim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examines how Imanishi’s research on the Japanese Ministry of Imna and Lelang-Daifang Commandery were linked to the explanation of ancient Japanese history. Imanishi, who had investigated Korea before the colonial rule, believed it all the time that Korea and Japan had a “dominance-subordinance” relationship based on frequent “transportation” and that ancient Japan was more advanced than Samhan and Silla. What symbolized Japan’s dominance over ancient Korea was that it dominated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ven though no relics had not been found in several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manishi’s belief in the Japanese ministry of Imna remained unwavering. In particular, he linked the rise and fall of Japanese power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Japanese state.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conquer Silla by Empress Jingu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s power was mature enough to affect Japan as a whole. This meant that by the time of the Empress Jingu’s reign, a state with unified power was established in ancient Japan. Based on these internal capabilities, it was explained that the Japanese power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reached its heyday from conquering Silla by the Empress Jingu until the reign of Emperor Yūryaku. And Imanishi regarded the time when the Empress Jingu conquered Silla, based on the year adjustment, which adds 120 years to Nihon Shoki’s Calendar year, like Naka michiyo, as the middle of the 4<sup>th</sup> century at the latest. This meant that in the 4<sup>th</sup> century, a unified state that stretched its power to the whole of Japan emerged. The reason Japan was able to make progress in this early period was because it adopted advanced Chinese culture early. Imanishi argued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cultures originated from Chinese culture, and argued that ancient Japan was more advanced than Korea on the grounds that Japan adopted Chinese culture before Korea. After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Japanese researchers linked the tomb clusters in Pyongyang with Lelang Commandery, and Imanishi discovered a decisive relic proving that Lelang Commandery was in Pyongyang. Since then, Imanishi replaced the exchanges between China and Japan with transport between Lelang Commandery and Japan, insisting that this exchange began around A.D. In addition, he said that China and Japan continued to maintain contact through Daifang Commandery until the middle of the 3<sup>rd</sup> century. At the time, Japanese researchers agreed that the essence of Chinese culture was preserved in Lelang-Daifang Commandery, although they were locat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manishi was also one of these researchers. This also meant that the Chinese culture that Japan had embraced throughLelang-Daifang Commandery since around A.D. was the highest level at the time, and that this culture acceptance was an important nutrient for the development of Japan. Imanishi’s discussion about Lelang-Daifang Commandery was that Japan grew up to embrace Chinese culture since around A.D. and matured into a unified state in the 4<sup>th</sup> century. In addition, he suggested that in the early 4<sup>th</sup> century, while the Lelang -Daifang Commandery disappear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three kingdoms were established, and in order to save the small states of Imna from the pressure of Silla and Baekje, Empress Jingu conquered Silla. As a result, Imanishi suggested that a new historical phase of East Asia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was developed after 4<sup>th</sup> century.

      • KCI등재

        고구려(高句麗)의 동옥저(東沃沮) 정벌과 낙랑군(樂浪郡)

        이종록 ( Lee Jong-rok )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49 No.-

        『三國志』등의 사료에 따르면 高句麗가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땅에 위치하여 늘 식량 공급등의 경제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고 한다. 때문에 고구려는 정복전쟁을 통해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고, 1세기경의 동옥저 정벌은 그 전쟁의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동옥저 정벌에 있어서 고구려에게 최대의 장애물은 이미 이 지역에 지배권을 확보하고 있었던 樂浪郡세력이었다. 따라서 大武神王代고구려는 정복전쟁은 그 목표가 바로 이들 낙랑군세력이었을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파악하였다. 고구려는 呑列縣을 비롯한 낙랑군의 縣을 공략하여 동옥저 지역의 교통로를 확보하였으며, 그 여파는 낙랑군이 하여금 영동 7현을 방기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동옥저에서 군현 세력이 사라지고 토착 小國들이 서로 相爭하는 기회를 틈타, 고구려는 본격적으로 이 지역에 대한 정벌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동옥저에서는 여전히 親漢勢力이자 군의 지배질서를 수용하던 집단이 잔존하고 있었다. 이들은 영동 7현의 방기 이후에도 여전히 樂浪郡의 소속으로써 그 정체성을 보유하고 있던 집단이던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는 이들 친한세력을 제압하는 방식으로 동옥저 정벌을 수행하였으며, 이것이 사료상에서 ‘樂浪國’이라는 나라와의 전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 이들은 낙랑군을 대신하여 토착 세력들(渠帥)에게 지배자의 입장에서 조세의 貢納을 받으며 경제적 욕구를 충족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such as Sanguozhi(三國志;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Koguryo(高句麗) had constantly suffered economic problems because of its inadequate earth for agriculture. Thus, Koguryo used militaristic methods as a solution to their scarcity of provisions, and the invasion into East Okcho(東沃沮; Dongokcho) was an exemplary case for this mechanism in the first century. The biggest obstacle to Koguryo``s conquest of East Okcho was Chinese Lelang(樂浪) Commandery, which had already secured control over the region using local pro-Chinese groups in East Okcho. Consequently, the consistent purpose of King Taemusin(大武神王)``s campaigns was to defeat these groups. Koguryo attacked Lelang’s counties such as Tunlie(呑列縣) to acquire a route to East Okcho, and the invasion’s aftereffect severed the commandery’s direct reign over the region. After Chinese commanderies’ recession from East Okcho, small countries(小國) started quarrels with each other, a situation which allowed Koguryo to easily infiltrate into this region. Arguably, the leaders of small countries were the local pro-Chinese groups who kept their identity as a part of Chinese commandery even after the commandery``s recession. It was natural that Koguryo’s aggression targeted at these groups remained in East Okcho, since they were potential threats to Koguryo’s rule over the region. This invasion was described as a war with a kingdom named Lelang(樂浪國; Nangnangguk), supposedly one of the local countries under a pro-Chinese leader. After successful occupation of East Okcho, Koguryo adopted a similar method of Chinese commanderies’ control over the region, as it was the most effect way to satisfy their economic needs.

      • KCI등재

        위만조선의 영역구조와 漢郡縣의 재편

        박대재(Park, Dae-Jae) 고조선단군학회 2021 고조선단군학 Vol.46 No.-

        위만조선이 한에 의해 멸망한 후 설치된 낙랑·진번·임둔·현토 4군은 기원전 107년부터 82년까지 25년간 병립하였고 그 후에는 폐합과 이치를 반복하며 큰 변화를 겪었다. 기존까지는 위만조선과 한군현을 분리해 연구하는 경향이 강하였지만, 최근 알려진 낙랑군 호구부를 통해 위만조선과 낙랑군을 계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군현 설치 초기에 위만조선이 가지고 있던 중층적 영역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채 한의 내지와 같은 중앙집권적인 군현체제를 일률적으로 적용한 결과 진번·임둔 2군의 폐합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원전 75년 이후 임둔군의 고지에 東部都尉를 설치하고 진번군의 고지에 南部都尉를 설치하면서 위만조선 시기와 비슷한 중층적 지배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이른바 ‘大樂浪郡’ 체제가 성립할 수 있었다. The four commanderies of Lelang, Zhenfan, Lintun, and Xuantu, established by the Han Dynasty after conquering Wiman Chosŏn, coexisted for 25 years from 107 to 82 BC. Afterwards, these commanderies experienced drastic changes of being repetitively abolished, amalgamated and transferred. Previously, there had been a strong tendency in studies about Wiman Chosŏn and the Han Commanderies analyzing separately. Yet, through the recently known “Household Register of Lelang Commandery,” it became possible to understand Wiman Chosŏn and Lelang Commandery as a causal relationship. At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Han commanderies, the centralized system for the commanderies in the interior region of the dynasty was uniformly applied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multilayered territorial structure of Wiman Chosŏn. As a result, Zhenfan and Lintun Commanderies were abolished, and some of their prefectures were incorporated to Lelang. To compensate for the instable governance, the commandery established the Eastern Section Commandant in the previous territory of Lintun(Yŏngdong Region) and Southern Section Commandant in Zhenfan(Daifang Region), a structure which was similar to the Wiman Chosŏn multi-layered ruling system.

      • KCI등재

        연구논문 : 百濟(백제)의 遼西(요서) 영유와 "樂浪(낙랑)"

        김성한 ( Sung Ha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2 No.-

        百濟의 遼西 영유에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중국 正史 등에는 遼西를 영유한 주체를 百濟라고 한 반면에 『梁職貢圖』에서는 樂浪이라 하였다. 『梁書』『通典』 등에 의하면 百濟가 遼西를 영유한 것은 ‘百濟’라는 국호를 사용하기 이전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는 百濟가 遼西와 관계를 가질 때 ‘百濟’라는 명칭으로 관계를 맺은 것이 아니라 樂浪이라는 명칭으로 관계를 맺은 것을 의미한다. 중국 史書에 의하면 百濟라는 명칭은 345년 이전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그 상한은 불분명하다. 중국 史書에 百濟라는 명칭은 慕容□에 의해 徙民된 高句麗宇文氏段氏와 함께 언급되는데, 徙民의 사례를 살펴보면 百濟만이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다. 반면에 徙民의 사례에 百濟가 보이지 않는 대신 遼東大姓이 등장하는데, 이 遼東大姓이 百濟의 前身이 아닌가 생각된다. 313년을 전후한 시기에 遼東大姓 출신인 張統이 樂浪郡과 帶方郡 지역에서 高句麗에 대항하다가 流民 천여 家를 이끌고 慕容□에 귀부하자, 慕容□는 이들을 安置하기 위해 樂浪郡을 遼河 以西에 僑置하고 張統을 그 太守에 임명하였다. 樂浪郡이 僑置된 지역은 『通典』에 의하면 唐代의 柳城(오늘날의 朝陽市) 부근으로 遼河(大凌河 또는 小凌河) 以西에 위치하였다. 이 지역은 『通典』에 의하면 百濟가 遼西를 영유한 지역으로 比定한 곳이기도 하다. 遼東大姓 출신의 張統이 遼河 以西에 僑置된 樂浪郡의 太守를 지낸 사실을, 百濟의 前身이 된 遼東大姓들은 그들이 遼西를 영유한 것처럼 南朝에 전달하였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百濟 遼西 영유설의 실체이다. The point that draws our attention regarding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is that the Chinese authentic history recorded Baekje as the subject that possessed Liaoxi but on the other hand, 『Yangjikgongdo』 described the subject as Lelang. According to 『Liangshu』·『Tongdian』, it means that because Baekje seemed to possess Liaoxi before it used the country name of `Baekje`, Baekje made the relationship not with the name of `Baekje` but with the name of Lelang when Baekje make the relationship with Liaoxi. Based on the Chinese history, the name of Baekje started to be used before 345 but its least upper bound is not clear. The name of Baekje based on the Chinese history was mentioned together with Koguryo·the Yuwens·the Duans forced to move by Murongwei and the case of forced movement can not be found only from Baekje. While there is no record of forced movement in Baekje, Zhangtong bred from a Liaodong`s noble family appeared and this Liaodong`s noble family is believed to be its former self of Baekje. Around 313, Zhangtong bred from a Liaodong`s noble family obeyed Murongwei with the wandering people of around 1,000 households after confronting Koguryo in the areas of Lelanggun and Daifanggun and Murongwei placed Lelanggun in the west of Liaohe and appointed Zhangtong as its governor-general in order to rule them by restricting their residence. Accoridng to 『Tongdian』, the area where Lelanggun was placed was located at the west of Liaohe (Dalinghe or Xiaolinghe) around Liucheng (present Chaoyangshi) Tang Dynasty. This area was also designated by Baekje to possess Liaoxi according to 『Tongdian』. Liaodong`s noble families that became the former self of Baekj transferred to Nanchao the fact that Zhangtong bred from a Liaodong` noble family was a governor-general of Lelanggun that was placed at the west of Liaohe as they possessed Liaoxi. This is the real fact of the Baekje`s possession of Liaox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