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백제 불교조각의 대외교섭

        진정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e Later Baekje Kingdom, founded by Gyeonhwon in 892, had for a brief period the most powerful army among the Three Later Kingdoms, and used its own reign title, Jeonggae (literally meaning “Authoritative Opening”). The kingdom was embroiled in almost permanent war with the other two Korean kingdoms, Silla and Later Goguryeo (later Taebong, and then Goryeo), over the unification of all three, until Goryeo brought about its final collapse in 936. It also maintain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not only with Goryeo and Silla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with Wuyue and Later Tang in China, and with Japan. This study focuses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Later Baekje and its mutual exchanges with Silla, Goryeo, and the Chinese dynasties as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The first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various aspects of Buddhist ceremonies and rites held in Later Baekje and the Buddha statues produced by Baekje artisans for the purposes of worship. The study then takes up other topics such as the relations between Later Baekje, Silla and Goryeo (and Taebong before it) and their mutual influence on each other’s respective sculptures, as well as the Buddhist statues of the Five Dynasties in China.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892-936) is extremely short compared with other time periods in Korean history, yet the Buddhist sculpture of Later Baekje shows a unique combination of Baekje and Unified Silla styles. The Buddhist sculptural works of Taebong exhibit similar features, although they are more decorative and elaborate, while Goryeo statues tend to be more imposing figures. The stylistic differences in the Buddhist statue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lso reflect the differences in the three kingdoms’ political goals and relations with Silla. The artisans of Later Baekje actively adopted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Unified Silla statues, as evidenced by the Buddha Triad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in Wanju and the Standing Stone Buddha in Cheolcheon-ri, Naju. These statues suggest that Gyeonhwon admired the cultural heritage of Silla, as shown by the fact that he regarded himself as a provincial administrator of Unified Silla, while proclaiming that he did so in order to restore Baekje. Meanwhile, the Buddhist statues of Later Baekje show few signs of influence of the statues of Taebong or, after the later 1920s, those of Goryeo, with which it had been at war since its foundation. Interesting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Later Baekje Kingdom (i.e. the area around present-day Naju), which had previously been occupied by Taebong and Goryeo, there are various Buddhist sculptural works made by Taebong and Goryeo artisans, including the Seated Stone Buddha of Yonghwasa Temple in Jangheung (Taebong) and the Rock-cut Seated Buddha of Bungmireugam Hermitage, Daeheungsa Temple, Haenam (Goryeo). Of the Later Baekje sculptures,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discovered at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and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of Buljusa Temple in Gunsan exhibit the influence of sculptures from Wuyue in China, which maintained close diplomatic relations with Later Baekje. Statues with a voluminous face and lean body, characteristic elements of Wuyue statues, are found mostly around Gunsan, which was a major port linking Later Baekje and Wuyue, suggesting that the Buddhist artisans of Later Baekje were under the influence of Wuyue across the Yellow Sea. 892년 甄萱이 건국한 後百濟는 한때 후삼국 중 가장 강대한 군사력을 자랑하였으며,‘正開’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후백제였던 만큼 936년 고려에 의해 멸망하기 전까지 끊임없이 三韓一統을 위한 전쟁을 진행하는 한편, 신라·고려는 물론 中國의 吳越과 後唐 그리고 일본과도 적극적인 외교를 펼쳤다. 본고는 후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복원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써, 후백제 불교조각이 신라·고려, 그리고 중국 불교조각과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후백제 佛事의 양상은 어떠하였으며, 어떠한 불상이 조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후백제 불교조각과 신라 불교조각과의 관계, 태봉과 고려 불교조각과의 영향 여부와 함께 중국 오대 불교조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후삼국기가 매우 짧은 기간이었음에도 후백제 불교조각은 통일신라 불상양식을 바탕으로 일부 백제 형식을 차용한 특징을 보인다. 반면, 태봉의 불교조각은 후백제 불상과 마찬가지로 통일신라 불상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섬세함과 장식성이 두드러지며, 고려의 불교조각은 건장함과 당당함이 극대화 되었다. 이처럼 후삼국의 불교조각이 제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후백제, 태봉, 고려가 추구하였던 정치적 지향점과 對新羅觀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특히 후백제는 완주 봉림사지 삼존불이나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에서 볼 수 있듯 통일신라 불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데, 이는 후백제가 백제의 부흥을 표방하였음에도 견훤이 신라의 지방관을 자임하는 한편 신라의 문화를 동경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건국부터 적대적이었던 태봉이나 920년대 후반부터 적대관계였던 고려의 영향은 후백제에서 살펴볼 수 없다. 다만 태봉과 고려의 점령지인 후백제 서남해일대(나주일대)에 태봉과 고려가 직접 조성한 불상이 전하고 있을 뿐인데, 전자의 사례가 장흥 용화사 석불좌상이고 후자의 사례는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좌상이다. 또한 후백제 불교조각 가운데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입상, 군산 불주사 금동불입상 등에서는 후백제와 빈번한 교류를 하였던 중국 오월 불교조각의 영향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 불상은 오월 불상에서 볼 수 있는 풍부한 양감의 얼굴과 평판적이고 홀쭉한 신체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들 불상은 지역적으로는 후백제와 오월의 중요한 무역항이었던 군산지역 인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정치뿐만 아니라 불교조각에 있어서도 후백제와 오월과의 교류가 빈번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후백제역사문화권 정립과 추진 방향

        진정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which was enacted in 2020 and revised in 2021,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law is applicabl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The main discussion of the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revising the Special Act and on determining whether the detailed plan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corresponds to the standards provided by the act. The discussion will be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various directions and measure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Later Baekje existed for just 45 years, during which time it assumed a definite attitude as the successor to Baekje while struggling to remain a unified country with a well-defined identity. In its early phase, Later Baekje show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a military regime formed by a coalition of powerful local warlords, but it gradually developed into a kingdom ruled by a powerful monarch and a centralized government, thus exhibiting the general trend of development shown by its predecessor, Baekje.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vari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but in its heyday the kingdom encompassed present-day Jeolla-do, a part of Chungcheong-do,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buk-do, and the western part of Gyeongsangnam-do. The archaeological sites scattered across the area once occupied by Later Baekje have produced a variety of artifacts and archaeological features dating back to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including Buddhist statues and stone pagodas from Baekje that display the cultural influence of Later Baekje, which persisted around the area even after the kingdom’s fall. These archaeological remains, together with the social and philosophical heritage of Later Baekje, which aspired to overcome the existing order of the transitional period and establish a new order, are regarded as clear evidence that Later Baekje deserves far more attention from historians regarding its significance in Korean history.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corresponds to the standards set by the Special Act on the Mainten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make it a perfect candidate for designation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to be promoted and preserved by the Korean government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Despite that, special legal status cannot be accorded to the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s on the principle of appropriateness or reasonableness alone. Rather, it is the activities of the consultative bodies operated by the local administrations of the provinces, cities and counties located in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that are most important. Therefore, local governments and their consultative bodies should focus their activities on raising public awareness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and shedding new light on its heritage. One priority among these activities should be to designate Jeonju as a Ancient City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Ancient Cities. The efforts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combined with those of organizations from the academic milieu and civil society that are devoted to discovering and propagat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Later Baekje across society. 이 논문은 2020년 제정되고 2021년 개정된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후백제역사문화권이 포함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제·개정 과정을 살펴보고, 후백제역사문화권이 법이 정하는 역사문화권에 부합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여기에 덧붙여, 후백제역사문화권 정립을 위한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후백제는 비교적 짧은 45년 동안 존속하였지만, 백제 계승을 기치로 건국하였고 종국에는 통일국가를 지향하였다. 이처럼 후백제는 뚜렷한 정체성을 갖춘 국가였다. 이뿐만 아니라, 초기에는 호족 연합 정권의 특징을 보였지만 절대왕권 구축과 중앙집권 국가를 지향하는 등 고대국가의 일반적인 발전 양상을 보인다. 고대에 속하며,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발전시킨 후백제의 영역은 시기에 따라 달라졌지만, 현재의 전라도와 충청 일부, 경북 북부지역과 경남 서부지역을 포괄하였다. 이러한 곳에서는 후삼국시기 즉 후백제의 유적과 유물이 확인된다. 후백제 문화의 영향은 후백제 멸망 후에도 이어져 후백제지역에 소위 백제계 불상과 석탑이 만들어졌다. 한편, 후백제는 사회편성의 원리나 종교·사상의 측면에서 변혁기 기존 질서를 극복하고 새로운 질서를 세우고자 한 나라였던 만큼 한국사에서도 조명할 가치가 충분한 국가다. 이러한 후백제역사문화권은 역사문화권정비법이 정하는 기준에 합당할 뿐만 아니라 그 의미와 가치가 크므로, 역사문화권정비법에 하나의 역사문화권으로 지정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후백제역사문화권의 법제화는 당위성이나 합리성만으로 이룰 수 없다. 그래서 후백제 영역에 속했던 시·군이 참여하는 후백제문화권 지방정부협의회의 활동이 중요하다. 협의회 차원에서, 시·군마다 후백제 역사와 문화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후백제를 조명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이 필요하다. 그 가운데서도 후백제가 하나의 독자적인 국가였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서 선도적으로 전주를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서 규정하는 고도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해볼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방정부 차원에서만 이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바로 후백제 역사문화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학계의 노력, 가치와 의미를 지역사회에 확산시키기 위한 시민사회단체의 노력 역시 필요하다.

      • KCI등재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백제 정벌(征伐)이 가진 의미에 대하여 -392년~394년을 중심으로-

        신정훈 대한정치학회 2011 大韓政治學會報 Vol.19 No.2

        King Gwanggaeto of Goguryo had a battle with Baekje between 392 A.D. and 394 A.D. This paper analyzed several combats between Goguryo and Baekje correlated with North China and Mongol area. In that time, Later-Yan and Northern Wei became emerging countries in North China and Mongol area. In 385 A.D., Goguryo had a war with Later-Yan for taking Yodong. In this battle, Goguryo was defeated by Later-Yan. There was plenty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iron in Yodong. At that time, the iron was fundamental element in the military forces and economic power in the nation. So it was vital to take possession of the Yodong to Goguryo. After the war between Goguryo and Later-Yan, both countries became potential enemies for each other. From 392 A.D∼to 394 A.D., Later-Yan against with Northern Wei and took a control of Geakso and Western Yan. And Later-Yan raise an large scale army to capture Sandong. It seems that only small defense troops of Later-Yan stationed in Yodong. As the unstable condition of North China, King Gwanggaeto should have invaded in Yodong area. In that time, King Gwanggaeto blitzed Baekje. Through the invasion, Goguryo took 10 castles and a castle of Goanmi in strategic point in this era. If King Gwanggaeto had invaded in Yodong, Later-Yan would have attacked Goguryo. Under these circumstances, Goguryo had to raise the tomahawk with Later-Yan and Baekje. On this reason, Goguryo did not attack Yodong. Therefore, King Gwanggaeto's attack on Baekje came from serious consideration on Later-Yan from 392 A.D. to 394 A.D. Goguryo was surrounded by hostile countries such as Later-Yan and Baekje. Later-Yan and Baekje would have attacked on Goguryo by pincer movement. In fact, King Gwanggaeto had to meet the situation by pincer movement. Therefore King Gwanggaeto attacked Baekje in 392 A.D. Through the invasion, Goguryo made military forces of Baekje weaker. Under these circumstances, Goguryo could prepare for emergencies efficiently. In conclusion, King Gwanggaeto's policy toward Baekje was a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among North China and Mongol area from 392 A.D.∼to 394 A.D. 고구려의 광개토왕은 392년~394년에 백제와 공방을 벌였다. 이 연구는 고구려와백제의 공방을 북중국⋅몽골 지역의 정세와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이 시기에 북중국과 몽골 지역에서는 후연과 북위 등이 각축하고 있었다. 그런데 앞 시기인 385년에, 고구려는 요동지역을 차지하려고 후연과 전투를 하였으나 패하였다. 이 지역에는 풍부한 철이 매장되어 있었다. 철은 군사력과 경제력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고구려에게 요동지역의 확보는 긴요한 것이었다. 385년부터 두 나라는 잠재적인 적대국으로 국경을 접하며, 394년까지 정치적⋅외교적 접촉을 하지 않았다. 후연은 392년 무렵부터 394년까지, 북위와 대립하며 적소집단과 서연을 멸망시켰다. 그리고 산동을 점령하려고 대규모의 군대를 동원하였다. 이때 후연이 점령한 요동지역에는 방어병력만 주둔하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광개토왕은 요동지역을 공격하지 않았다. 그는 이 때, 백제 지역에 대해 전격적이고도 단기간에 걸친 공격을 단행해 10개의 성을 빼앗았다. 그리고 백제의 요새인 관미성을 함락시켰다. 광개토왕이 이 시기에 요동을 공략했다면, 후연은 그 군사적인 예봉을 고구려로 돌렸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고구려는 후연⋅백제와의 양면전쟁을 해야만 된다. 이것이 고구려가 요동을 공략하지 않은 주된 이유였다. 그러므로 광개토왕이 392년~394 년에 행한 백제에 대한 공략은 후연을 의식한 것이었다. 적대국인 후연과 백제에 둘러싸여 있던 고구려는 양면에서 협공을 받은 위험이 있었다. 광개토왕은 협공을 받을 경우에 효율적으로 대처해야만 했다. 광개토왕이 392년에 대군을 동원해 백제를 공략한 것은 후연 보다 약한 군사력을 가진 백제를 더욱 약화시키려는 데 있었다. 이렇게 될 때, 고구려는 협공을 받게 되는 최악의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광개토왕이 392년~394년에 행한 백제에 대한 정책은 한반도와 북중국 지역, 몽골의 정세를 감안한 것이었다.

      • KCI등재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백제 정벌(征伐)이 가진 의미에 대하여 -392년~394년을 중심으로-

        신정훈 ( Jung Hoon Shin ) 대한정치학회 2011 大韓政治學會報 Vol.19 No.2

        고구려의 광개토왕은 392년~394년에 백제와 공방을 벌였다. 이 연구는 고구려와 백제의 공방을 북중국·몽골 지역의 정세와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이 시기에 북중국과 몽골 지역에서는 후연과 북위 등이 각축하고 있었다. 그런데 앞 시기인 385년에, 고구려는 요동지역을 차지하려고 후연과 전투를 하였으나 패하였다. 이 지역에는 풍부한 철이 매장되어 있었다. 철은 군사력과 경제력의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고구려에게 요 동지역의 확보는 긴요한 것이었다. 385년부터 두 나라는 잠재적인 적대국으로 국경을 접하며, 394년까지 정치적·외교적 접촉을 하지 않았다. 후연은 392년 무렵부터 394년까지, 북위와 대립하며 적소집단과 서연을 멸망시켰다. 그리고 산동을 점령하려고 대규모의 군대를 동원하였다. 이때 후연이 점령한 요동지역에는 방어병력만 주둔하고 있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광개토왕은 요동지역을 공격하지 않았다. 그는 이 때, 백제 지역에 대해 전격적이고도 단기간에 걸친 공격을 단행해 10개의 성을 빼앗았다. 그리고 백제의 요새인 관미성을 함락시켰다. 광개토왕이 이 시기에 요동을 공략했다면, 후연은 그 군사적인 예봉을 고구려로 돌렸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고구려는 후연·백제와의 양면전쟁을 해야만 된다. 이것이 고구려가 요동을 공략하지 않은 주된 이유였다. 그러므로 광개토왕이 392년~394년에 행한 백제에 대한 공략은 후연을 의식한 것이었다. 적대국인 후연과 백제에 둘러싸여 있던 고구려는 양면에서 협공을 받은 위험이 있었다. 광개토왕은 협공을 받을 경우에 효율적으로 대처해야만 했다. 광개토왕이 392년에 대군을 동원해 백제를 공략한것은 후연 보다 약한 군사력을 가진 백제를 더욱 약화시키려는 데 있었다. 이렇게 될때, 고구려는 협공을 받게 되는 최악의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광개토왕이 392년~394년에 행한 백제에 대한 정책은 한반도와 북중국 지역, 몽골의 정세를 감안한 것이었다. King Gwanggaeto of Goguryo had a battle with Baekje between 392 A.D. and 394 A.D. This paper analyzed several combats between Goguryo and Baekje correlated with North China and Mongol area. In that time, Later-Yan and Northern Wei became emerging countries in North China and Mongol area. In 385 A.D., Goguryo had a war with Later-Yan for taking Yodong. In this battle, Goguryo was defeated by Later-Yan. There was plenty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iron in Yodong. At that time, the iron was fundamental element in the military forces and economic power in the nation. So it was vital to take possession of the Yodong to Goguryo. After the war between Goguryo and Later-Yan, both countries became potential enemies for each other. From 392 A.D∼to 394 A.D., Later-Yan against with Northern Wei and took a control of Geakso and Western Yan. And Later-Yan raise an large scale army to capture Sandong. It seems that only small defense troops of Later-Yan stationed in Yodong. As the unstable condition of North China, King Gwanggaeto should have invaded in Yodong area. In that time, King Gwanggaeto blitzed Baekje. Through the invasion, Goguryo took 10 castles and a castle of Goanmi in strategic point in this era. If King Gwanggaeto had invaded in Yodong, Later-Yan would have attacked Goguryo. Under these circumstances, Goguryo had to raise the tomahawk with Later-Yan and Baekje. On this reason, Goguryo did not attack Yodong. Therefore, King Gwanggaeto`s attack on Baekje came from serious consideration on Later-Yan from 392 A.D. to 394 A.D. Goguryo was surrounded by hostile countries such as Later-Yan and Baekje. Later-Yan and Baekje would have attacked on Goguryo by pincer movement. In fact, King Gwanggaeto had to meet the situation by pincer movement. Therefore King Gwanggaeto attacked Baekje in 392 A.D. Through the invasion, Goguryo made military forces of Baekje weaker. Under these circumstances, Goguryo could prepare for emergencies efficiently. In conclusion, King Gwanggaeto`s policy toward Baekje was a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among North China and Mongol area from 392 A.D.∼to 394 A.D.

      • KCI등재

        전남지역의 후백제유적과 역사적 성격

        이동희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7 No.-

        This study examined the trac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Later Baekje through the remains andrelics of Jeollanam-do region where Gyeonghwon rose in arms and laid the groundwork for thefoundation of Later Baekje. According to the data excavated and examined until today, the remains related with Later Baekje arefound in Suncheon, Gwangyang, Naju, and Gwangju. The main remains are fortresses as if they reflectthe chaotic circumstances at the time. The place where Gyeonghwon would have taken arms for the first time is assumed to be the easternregion of Jeollanam-do. The reason Gyeonghwon could use this area to raise army here has relevanceto the fact that the native power became isolated from the central power of Silla before the end of the9th century is proven archeologically. Especially, the fact that the major buildings and relics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in the MaroFortress belong to the mid 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the 10th century implies that importantpolitical innovations took place at the time. In other words, the appearance of various prestige goodsalongside the rapid increase of large buildings indicate that new power occupied Maro Fortress. The roof tile marked ‘Marogwan’excavated in Maro Fortress is important for it symbolicallyexpressed that Gwangyang was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by using the old name of Baekje used inGwangyang at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fact that relics of outstandingly unique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a large amount in MaroFortress compared with other remains supports the idea that it was the origin of Gyeonhwon’s regimeand that it was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for the longest time. Okryong Temple in Gwangyang was the temple that Priests Doseon and Gyeongbo settled in, and itdraws attention in relation to Gyeonhwon’s policy for supporting the temples of the Zen Sect. Gyeonhwon occupied Mujinju at the end of the 9th century and founded Later Baekje and he usedMujingoseong Fortress of Gwangju as the back fortress. Naju was the ferocious battlefield betweenLater Baekje and Goryeo led by Wanggeon, and Jamisan Fortress in Naju is estimated to be thefortress constructed by Later Baekje at the time. 견훤이 무장봉기하여 후백제 건국의 기틀을 마련한 전남지역의 유적·유물을 통하여 후백제의 자취와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발굴조사된 자료로 보면, 후백제와 관련된 유적은 순천·광양·나주·광주 등지에서 확인된다. 당시 혼란기 상황을 반영하듯 주된 유적은 성곽이다. 견훤이 처음 거병한 곳을 순천·광양 일대의 전남동부권으로 보았다. 견훤이 이곳을 근거로 봉기할 수 있었던 배경은 견훤이 방수처로 부임하는 9세기말 이전에 토착세력이 신라 중앙과 유리되는 양상이 고고학적으로확인된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 광양 마로산성의 통일신라시대 중요 건물과 유물이 9세기중후엽–10세기전엽에 속한다는 것은 이 무렵에 중요한 정치적 변혁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즉, 각종 위세품의 출현과 더불어 대규모 건물의 급증은 새로운 세력이 마로산성을 점유했음을 의미한다. 마로산성 출토‘마로관’명 기와는 통일신라말에 광양의 백제 古號를 사용함으로써 광양이 (후)백제영역이었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마로산성에서 다른 유적에 비해 독자성이 두드러진 유물이 많이 확인된 것은 후백제와 견훤 정권의 시발지이자 가장 오랫동안 후백제의 영역이었다는 점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한편, 광양 옥룡사는 도선과 경보가 주석하였던 사찰로서, 선종사찰을 지원한 견훤의 정책과 관련지어 주목된다. 견훤은 9세기말에 무진주를 점령하고 후백제를 건국했는데, 배후산성으로 광주 무진고성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나주는 후백제와 고려 왕건과의 격전지인데, 나주 자미산성은 그 무렵에 후백제에 의해 축조된 성으로 추정된다.

      • 논문(論文) : 백제계 석탑의 특징과 건립배경

        박지훈 ( Jihun Park ) 강원사학회 2015 江原史學 Vol.0 No.27

        고려시대, 이르게는 후백제시대에 재현된 것으로 보이는 백제계 석탑은 탑신부에 비해 낮고 좌우로 좁은 기단, 부재의 個別化,기단보다 좌우로 넓은 옥개석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백제의 석탑 2基,彌\勒寺址石塔과 定林寺址五層石塔을 모방·계승한 것이다. 백제계 석탑은 과거 백제의 영토, 자세하게는 후백제의 영토인 車嶺山脈以南부터 蘆嶺山脈以北에 집중되어 있다. 백제석탑과 신라석탑이 절충된 백제-신라절충양식 석탑은 대체로 노령산맥 이남에 먼저 건립되었고 뒤이어 노령산맥 이북에서도 나타나는 모양새를 보인다. 백제계 석탑은 백제가 멸망한 이후 200여 년간 등장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백제가 멸망한 이후 석탑을 건립할만한 주체들이 당에 끌려가거나 일본, 고구려 등지로 이주·망명하였기 때문이다. 후백제의 甄萱이 彌\勒寺開塔과 관련이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할 때 백제계석탑은 그가 자극한 백제의식의 소산물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러한 백제의식은 고려의 후백제 유민에 대한 차별정책으로 인하여 사라지지 않고 남아 고려중기까지 백제계석탑이 나타는 데 역할을 하였다. 일찍이 고려에 협조하여 후백제에 귀속하지 않았던 노령산맥 이남의 전라남도 연안지역은 노령산맥 이북보다 더 많이 중앙의 고위관료를 배출했기 때문에 백제-신라절충양식 석탑이 등장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백제계 석탑은 고려가 지방통치조직을 정비하는 시기와 맞물려 그 특징이 쇠퇴하였다. 그리고 무인정권기에 지방통치조직이 더욱 강화되었고 몽골의 침입을 받으면서 동류의식이 싹트는 시기와 맞물려 백제계석탑은 더 이상 건립되지 않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Baekje Style pagodas have features called stereobate part that is lower and narrower than main frame part, individualized members, roof part that wider than stereobate part. Most of Baekje style pagodas were built in south of the range of Charyeong, north of the range of Noryeong that were once the Later Baekje territory. Baekje-Silla eclectic pattern pagodas generally were begun to build in south of the range of Noryeong that was under the control of Goryeo. After Baekje was came to the ground by Silla-Tang forces, Baekje pagodas were not constructed for almost two centuries. The main cause is because the ruling class defected to Japan orwas dragged by Tang. Baekje style pagodas could be built because Gyeonhwon, the Lord of the Later Baekje stimulated Baekje-consciousness. And Goryeo dynasty excluded people of the Later Baekje from officialdom of Goryeo. It makes Baekje-consciousness was extant in the Later Baekje territory and caused Baekje style pagodas.

      • KCI등재

        高句麗 廣開土王代의 稗麗 征討와 後燕과의 冊封이 가진 의미

        신정훈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3 중앙사론 Vol.0 No.37

        In 395 A.D., King Gwanggaeto of Goguryo conquered Paeryo in the area of Siramuren river. In that time, Later-Yan gone into war with Northern Wei. Northern Wei invaded territory of Later-Yan in march of 395 A.D. Northern Wei defeated utterly Later-Yan in Chamhabpa of Eastern Mongolia. In 385 A.D., Goguryo had a war with Later-Yan for taking Yodong.. After the war between Goguryo and Later-Yan, both countries became potential enemies for each other. Later-Yan had a battle with Northern Wei In 395 A.D. At that time, King Gwanggaeto conquered Paeryo without check of Later-Yan. Goguryo obtained flocks of sheep, horses and cattle. These material resources were used attack on Baekje. After conquest of Paeryo, King Gwanggaeto of Goguryo made a round of Yodong for hunting. In that time, Yodong was territory of Later-Yan. Later-Yan raise an large scale army against Northern Wei. In the face of these situations, the Goguryo forces could understand topograpies and planimetric feat1ures of Yodong area. Meanwhile, this theses takes note of relationship between Goguryo and Later-Yan. Goguryo employed a foreign policy in which it maintained the installation relationship with Later-Yan in 396 A.D.. At this time, Later-Yan was consistently attacked by Northern Wei. In this situation, if Goguryo had invaded in Later-Yan, Later-Yan had to raise the tomahawk with Goguryo and Northern Wei. On this reason, Later-Yan used installation relationship as a safety device. On one hand, Goguryo accepted installation relationship. Why did accept Goguryo installation relationship from Later-Yan? Because Goguryo was admitted the dominium in the region of Pyeongju, Yodong and Daebang by Later-Yan. Also, It had relevance to a relation with Baekje. Goguryo captured 58 castles and 700 country of Baekje in 396 A.D. In this situation, Goguryo could concentrated on attacking Baekje without unawaring of Later-Yan.

      • KCI등재

        後百濟와 高麗의 吳越國 交流 硏究와 爭點

        이도학(Lee, Do-hac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2 No.-

        후삼국시대 한반도 정치세력의 오월국과의 교류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후백제 일변도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면 후백제가 오월국과의 교류에서 機先을 잡을 수 있었던 요인을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한반도 서남부 지역을 근거지로 한 후백제와 중국 동부 연안을 끼고 있는 오월국과의 지리적 관계에서 찾았다. 그러나 이보다는 진훤이 신라군 비장으로 승평항인 순천만과 광양만에 屯營했던데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오월국 건국 이전 진훤과 전류와의 교류를 일괄 소급시켜 국가적 교류로 기록한 사실을 구명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후삼국시대에 오월국과 교류했던 항로는 사단항로로 밝혀졌다. 이때 이용되었던 항구 가운데 강주 덕안포의 경우는 전통적인 항구인 섬진강 하구의 하동 다사진으로 추정되는 성과가 따랐다. 그리고 진주 촉석루 근처에서 출토된 오월국의 "보정" 명 연호가 양각된 기와를 통해 양국 관계의 유착이 다시금 포착되었다. 935년 왕위계승과 관련한 신검 정변으로 인해 반신검계 내지 친금강계 호족들이 오월국으로 피신한 사실을 새롭게 밝힐 수 있었다. 후백제는 오월국을 통해 선진 문물을 습득하였다는 사실도 새롭게 확인된 성과이다. 가령 후백제는 오월국을 통해 청자 제작 기술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이는 우리 나라 청자 역사의 효시라는 점에서 의미가 지대하다. 불교 사상과 관련해서는 후백제와 고려 모두 오월국의 天台敎法을 전수받았다. 이와 관련해 천안 지역 절터에서 확인된 보협인석탑에 대해 건립이나 중국에서 반입해서 건립했을 가능성을 모두 타진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 본 후백제와 고려의 오월국과의 교류는 정치 뿐 아니라 불교사상을 비롯한 문화 전반과 경제 분야까지도 활발하게 이어졌음이 확인된다. 앞으로의 과제는 오월국이 후백제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 이유를 구명하는 작업이다. Interchanges study between Kingdom of Wúyuè and political power group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has been absolutely for Later Baekje until now. So, researchers could find the reason why Later Baekje had been able to get the start of interchanges with Wúyuè. Until now, the reason was their geographic relationship.Later Baekje established a base in southwest area of the peninsula and Wúyuè was located in the east coast of China. But I could find a clue in that Jinhwon (甄萱) had stationed in Seungpyeonghang Port(昇平港), now in Suncheonman Bay and Gwangyang Bay, as an advisor of Silla troops. It was revealed that exchanges between Jinhwon and Qian Liu before building Kingdom of Wúyuè had recorded retroactively as national interchanges. In the view of study so far achieved, the seaway for interchanges with Wúyuè turned out to be a crossing seaway. Among the ports used, Gangju Deokanpo was presumed to be Hadong Dasajin of the mouth of Seomjin River, which is a traditional port. And a roof tile embassed with ‘寶正’, era name of Wúyuè, was found near Chok-seok Pavilion in Jin-ju. It shows a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wo nations. A new fact that the powerful family related to Prince Geumgang or against Shingum due to his political upheaval for succession to the throne in 935 has come to light. It was newly discovered that Later Baekje had adopted advanced civilization through Wúyuè. Later Baekje absorbed production techniques such as celadon.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origin of Korean celadon history. Both Later Baekje and Goryeo inherited Tiantai Teachings(天台敎法) from Wúyuè. According to it, I could sound out the two possibilities of Stone Dhatu-Karanda Stupa, discovered in the temple site in Cheonan, being constructed or carried from China and later constructed in the country. A review of Later Baekje and Goryeo’s past interchanges with Wúyuè reveals that there were vigorous exchanges of Buddhism, culture, and economics not limiting to politics. The task is to study the reason why Wúyuè had maintained close relations with Later Baekje.

      • KCI등재

        근ㆍ현대 한국 사학의 후백제 서술

        김수태 한국고대사학회 2004 韓國古代史硏究 Vol.35 No.-

        Historical studies of Later Baekje started by Japanese imperialist historians in the early 20th century. Choe Nam - seon may be the first Korean scholar who payed attention to Later Baekje in the 1920s, but his approach largely remained a romanticist rather than scientific endeavor. Afterwards, Son Jin - tae furthered the study of Later Baekje history on the basis of his neo-nationalism, and his analysis of the Gyeonhwon narrative shows an example of his social historical approach. Positivist approaches dominated the post- colonial Korean history in the middle 20th century. Lee Byeong - do focused mainly on the changing power relationships between Gyeonhwon and Wang Geon. In the 1960s, Kim Sang - gi attempted to understand Gyeonhwon's diplomatic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among various local gentry classes, including problems of Gyeonhwon's birthplace and the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Lee Ki - baik attempted to provide a new approach to Later Baekje's diplomatic relation with China, and most of all he tried to find a right place of Later Baekje in his famous A New History of Korea. Kim Cheol- jun emphasized that the period of late Silla to early Goryeo was a key to the transition from the Ancient society to the Medieval society from a macro-historical perspective. Studies of Later Baekje history till the middle 1970s were mostly fragmentary and remained introductory descriptions. But, one of the positive aspects may be the diverse interests in various aspects of Later Three Kingdoms. These interests and polemics in the late 1970, provided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s in the 1980s.

      • KCI등재

        後百濟王 甄萱의 900~901年 言行의 意味

        진정환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7

        본고의 목적은 900년에서 901년 사이 후백제왕 견훤과 관련된 두 사건, 즉 900년 완산주 선언과 901년 8월 군사행동의 참뜻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900년 완산주 선언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확인해보고 무슨 목적으로 그러한 이야기를 하였는가를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901년 대야성 침공과 금성(나주) 남쪽 공략의 의미와 성과, 그리고 이 두 지역을 통합하기 위한 견훤의 노력에 대해서도 검토해보았다. 견훤은 신라의 변방이라 할 수 있는 서남해 방수군 비장으로 자립한 후 무주의 주치에 도읍을 정하고 지역민들을 포섭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이것이 여의치 않자 견훤은 900년 완산주를 순행하면서 향후 국가 통합과 운영의 방향을 천명한다. 그 선언의 핵심은 ‘백제의 뿌리가 마한에 있고, 백제를 계승한 자신이 마땅히 의자왕의 숙분을 풀겠다.’고 한 것이다. 이 선언에서 견훤이 표방한 마한과 백제가 하나라는 인식, 즉 ‘마한-백제 일체의식’은 구백제지역을 통합하려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자신의 선명성을 내세우기 위해 ‘의자왕의 숙분을 풀겠다.’고 한 것은 이후 국정 운영의 지표가 되었다. 이 900년 선언은 말로만 그친 것이 아니라, 전주로 천도한 후 불과 1년여 남짓한 시점에 군사행동으로 이어졌는데, 바로 ‘대야성 침공’과 ‘금성 남부지역 공략’이었다. ‘대야성 침공’은 의자왕의 숙분을 풀겠다는 그의 선언을 실천하기 위한 것이자 자신이 의자왕의 계승자임을 대내외 드러내는 하나의 정치적 행위였다. 그리고 대야성 원정길에 부수적으로 친신라적 경향이 강했던 남원지역을 자신의 판도에 둘 수 있었다. 이어서 견훤은 마한에 대한 귀소의식이 강했던 금성의 주민들에게 자신이 900년 천명했던 ‘마한-백제 일체의식’을 공유하고 확산시키기 위해 그 주변을 공략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견훤이 건원한 시기가 전주로 천도한 900년이 아니라, 901년인가 하는 의문이 풀린다. 즉 900년의 전주 천도는 내부적 모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임에 불과할 뿐이었을 것이지만, 901년 8월의 군사행동은 자신이 백제의 계승자이자 ‘마한-백제 일체의식’으로 지역을 통합할 수 있는 적임자임을 드러낸 금성의 마한유민들에게 이해를 구하는 행동이었다. 아마도 견훤은 901년의 군사행동의 성과를 바탕으로 고조선에서 시작하여 마한을 거쳐 백제로 이어지는 정통성이 자신에게 있음을 드러내기 위해 건원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meaning of the two historical actions undertaken by Gyeon-hwon (867-936), namely, the Wansanju Declaration that he issued in 900 and the military action that he initiated in the eighth month of the following year. The main discussion of the study is focused on the background to the Wansanju Declaration made in 900 and the process, achievement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ilitary actions initiated by Gyeon-hwon in 901 to seize the fortified cities of Daeyaseong (present-day Hapcheon) and Geumseong (present-day Naju) as well as his effort to unify the two areas. Following his service as the leader (Bijang) of a border defense unit responsible for protecting the southwestern coast of Unified Silla, Gyeon-hwon chose Juchi in the province of Muju as the capital of the kingdom he aimed to establish. However, his efforts to win the hearts of local people were unsuccessful, thus compelling him to turn to the province of Wansanju, where he declared the restoration of Baekje in 900. In the declaration, he stated that "as the roots of Baekje are in Mahan, I, as the successor of Baekje's former rulers, will avenge the tragic fall of King Uija." This declaration, which reveals Gyeon-hwon's belief that Mahan and Baekje were one and the same, would form the ideological basis for his exploration of the territory of Baekje for his new kingdom. His decision to avenge the disgrace of King Uija, Baekje's last king, becam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kingdom he aimed to establish. The Wansanju Declaration made by Gyeon-hwon in 900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apital of his new kingdom in present-day Jeonju the following year and to his decision to invade Daeyaseong and the southern part of Geumseong. His invasion of Daeyaseong was, therefore, not only the expression of his decision to avenge the humiliation of King Uija but also a political action designed to show both his followers and his enemies that he was the only successor to the fallen king. His exploration of Daeyaseong resulted in the subjugation of the area around present-day Namwon, which had been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and that of Geumseong, whose people had long been closely connected with Mahan, the predecessor of Baekje, and whose unity was highlighted in the statement of Gyeon-hwon. A comprehensive view of the history of this period shows that the establishment of Later Baekje by Gyeon-hwon took place in 901, not in 900, when he established the capital of his new kingdom in present-day Jeonju. The establishment of Later Baekje's capital in Jeonju was, for the founder of the new kingdom, the result of his efforts to overcome the instability spreading among his followers, while the military actions he initiated in the eighth month of 901 were intended to convince the people of Mahan in Geumseong that he was the legitimate successor of Baekje and the right person to integrate the kingdom with its predecessor, Mahan. As such, the achievement resulting from the military action of 901 should have given Gyeon-hwon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his legitimacy as the successor of Baekje's rulers, following Mahan and the earliest Korean state, Go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