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간관계론의 교육방향 정립을 위한 교과서 내용 분석

        김선종 우송대학교 1999 우송대학교 논문집 Vol.4 No.-

        In the situation that the human relations in societies and organization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than the management of the other resources, it is very valuable to develop the new human relations text book. There fore, this article is analyzed and compared nine documents which were in existence, in the point of view of contents and substances, and found the frequencies of them. And the study is treated contents and substances of the new text books to be read frequently because the fluctuation of frequency reflects the important and necessity of contents. As a result, I found out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9), the meanings of Human-Relations Theories(8), and Motivation Theories(7). Into the bargain, I dealt with the cases of human-Relations in practical social lives owing to the necessity of them inspire of the low frequencies of hem. New Human-Relations Textbook, results of the study is composed of 27 chapters entirely. That is to say, in New Human-Relations Textbook I dealt with the appearance of Human-Relations Theories, their theories, techniques and strategies in the first half section ; I treated the cases of Human- Relations in practical lives and preparation for desirable Human-Relations, chiefly, in the half section.

      • KCI등재

        동기부여와 인간개발, 자기관리형 인간의 탄생 ―1970~80년대 한국에서 인간개발 담론과 ‘성과주체’ 생산

        이상록(Lee Sang-rok) 역사비평사 2020 역사비평 Vol.- No.132

        This article is a study to explore how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the human relations management theory affected Korean society in the 1970s and 1980s. Human relations management theory emphasizing motivation, communication, morale promotion, and horizontal human relations in the workplace was a knowledge design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rporate man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companies and between humans and society, humans were being induced to desir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controlling themselves for the performance goals of the company or society. Humans who are well motivated toward performance goals and able to manage themselves have emerged as ‘competent beings’ and are represented as subjects who are entitled to ‘success’. A good example of the spread of acceptance of the theory of human relations management was the ‘Business Breakfast Meeting for Human Development’ of the Korea Human Development Institute, which began in 1975. At this breakfast meeting, scholars and entrepreneurs jointly presented theories and examples of “human development”, which served to urge the introduction of “human relations” management. Amid the craze for selfdevelopment and the reinforcement of corporate education, which led to office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in the 1970s and 1980s, a “achievement subject” was born.

      • KCI등재

        장기요양요원의 정서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

        강동철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노인복지연구 Vol.71 No.2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whether affective motives and human relations can provide a reason for turnover intentions reduction.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relationships among human relations and affective motives, and the turnover intentions of Long term care workers were mediated by human relations. Using a sample of 217 long term care workers drawn from eight nursing home, this study found that affective motives had some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turnover intentions reduce of Long term care workers when human relations was considered. In order to identify how the affective motives influenced human relation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All two sub-variables of affective motives turned out not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s. However, Human relations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among subvariables of affective motives, compas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human relations, but self-sacrifice not to significantly influence human relations. Major accomplishment in these research is that mediated effect on the human relations was some confirmed when affective motives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s, and also that a indirect effect of affective motives was confirmed as well. 본 연구는 정서적 동기와 인간관계가 이직의도 감소에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는지 그 여부를 알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로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사회복지법인 산하 장기요양기관 8개소에서 217명의 장기요양요원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서적 동기는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장기요양요원의 이직의도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일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정서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경로에서 측은지심과 자기희생은 직접적으로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인간관계는 이직의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정서적 동기가 인간관계에 미치는 경로에서 측은지심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자기희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기희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는 것은이타주의의 약화가 우려된다. 왜냐하면, 본 연구의 표본이 오랫동안 노인복지를 실천해 온사회복지법인 산하 장기요양기관들이기 때문이다. 즉,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 이후 영리와비영리는 혼재되어 왔으며, 이러한 혼재는 이타주의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타주의의 약화는 고차원적 동기를 가진 장기요양요원을 감소시키게 되며, 고차원적 동기를지닌 장기요양요원의 감소는 장기요양에 관련된 비용을 상승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장기요양제도에서 이타주의를 강화시킬 수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서비스 품질 강화와 재정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 KCI등재

        『프라아파이마니』에 나타난 비일상적 상상력: 인간과 비인간의 결연을 중심으로

        신근혜 ( Shin Keun Hye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7 東南亞硏究 Vol.26 No.3

        쑨턴푸의 『프라아파이마니』는 태국의 대표적 고전서사문학이자 환타지소설이다. 『프라아파이마니』에 펼쳐진 상상적인 세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 중 하나는 남자주인공 프라아파이마니와 비인간 여성인물인 낭피쓰(여성 거인)와 낭응으악(인어)의 결연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프라아파이마니에 나타난 비일상적 상상력의 구체화라고 할 수 있는 인간-비인간의 결연 양상을 살펴보고, 결연의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인간과 비인간의 결연이야기는 작품의 도입부에 위치하여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이후 다양한 에피소드로 방대한 분량의 스토리가 완성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프라아파이마니』에 나타난 인간-비인간의 결연은 강제적/수동적이든, 자발적/능동적이든 간에 그 관계가 끝까지 지속되지 않고 죽음이나 이별로 끝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인간-비인간의 결연은 초자연과 자연의 조화와 공존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Phra Aphai Mani, a poetic tale by Sunthon Phu is one of the great poetic tales and well known fantasy stories of Thailand. The stories of conjugal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may be considered as the most attractive part of this literatur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aspects of conjugal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that might be called embodiment of unusual imagination in Phra Aphai Mani and to determine the meanings of those conjugal relations. Stories about conjugal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namely Phra Aphai Mani who is a human and a protagonist and both a female Yak or giantess and a mermaid which are non-human beings, are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literature and stimulate the reader`s curiosity and then make the story of large volume complete by various episodes. Conjugal relations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in Phra Aphai Mani do not last all the way and end with the death or separation. This shows that harmony and co-existence of the supernatural and the natural is not possible.

      • KCI등재

        인문학의 정체성 물음에 대한 전기 하이데거의 대답 - 관계개념을 중심으로

        조홍준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in the history of human thought and to suggest ways to overcome it.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the humanities. As a study of human beings, the humanities are historically linked to the concept of human freedom. However, in the context of a human-centered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of freedom, the humanities have resulted in the reduction and self-destruction of themselv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human thought over time and analyzed how it formed and led to the current crisis. From this proces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humanities mean human freedom. The problem is that the essence of the humanities has been understood only in a human-centered and empirical way, which led to a crisis. This calls for a new perspective on freedom as the main body of the humanities. Therefore, I believe that freedom is a relation and I insist on bringing it to the agenda of the humanities. This concept of relation is derived and established from Heidegger's original concept of existence. This argument can be said to have originality, compared to the fact that research in Korea has only analyzed realistic measures to deal with the causes of the crisis.

      • KCI등재후보

        The Impact of Human Security upon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 a Paradigmatic Shift or another Academic Mirage?

        Kang Sung-Hack(강성학)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8 평화연구 Vol.16 No.1

        인간안보는 UN의 설립자들로부터 나온 일종의 “예기치 않은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각 국가가 자국민을 책임지는 UN의 전통적 위치를 거부하였다. 넓은 의미의 인간안보 규범은 UN 시스템 안에서 “세계적 공익”로서의 실용적인 표현방식을 계속해서 찾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새로운 개념인 인간안보는 국제정치의 이론화에서 패러다임의 변화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인간안보에 대한 UN의 지지는 국제정치의 학문 영역에 뿌리내렸다. 하지만 인간안보는 국제정치학의 다른 신기루들처럼 지나치게 확장된 안보의 개념이다. 그리고 “개념의 확장”은 군사행동에 위험하다. 이것은 소위 국제정치에 대한 간략한 이론을 구성하려는 목적을 가진 “학문적 행위”에도 위험하다. 우리는 물론 안보의 우선 수단으로써 국가를 중시하는 강력한 견해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있지만 또한 인간안보의 국제적 공동체라는 유토피아적 세계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다. Human Security was “a kind of unintended child” of the founding fathers of the United Nations. Once born, it refuses to accept the conventional position of the United Nations that how a state treats its own people is its own business. The broad human security norms will continue to find practical expression “as a global public good” in ongoing work of the United Nations System. But, until now, human security as a new concept has not reached the point of a paradigmatic shift in the theoriz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UN’s espousal of human security has taken root in the academic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human Security is an overstretched concept of security like a mirage of many other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overstretch” is not simply dangerous for military operations. It is also dangerous for “disciplinary operations” which purport to construct so-called parsimonious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We may be a long way away from the unchallenged dominance of the state as the principal referent of security, but we may be also a longer way from the utopia of the universal, global community of human security.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의 삼위일체

        백충현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7 No.-

        Today we are facing an era of posthumanism. A posthuman refers to a human person in a state beyond/post being human, and posthumanism means an ideology or a movement that seeks to be beyond/post being human, that is, beyond/post humanism. In a sense, humanism is moving towards posthumanism through transhumainsm as a transitional humanism, which is somewhere in a halfway between humanism and posthumanism. Considering this radical change of humans,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a question whether we could still talk about God and even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In order to do so, first, this paper seeks to critically examine terms such a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ccording to this analysis,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in an essential continuity, thereby encountering the same criticisms as anthropological dualism, reductionism, individualisticism, and anthropocentricism. Next, it is significant that some groups seek religion or spiritual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by arguing for the compatibility of posthumanism and religion/spirituality. They are different from many forms of posthumanism which are secular or anti-religious. However, a careful analysis of those groups show that they are sure to inescapably encounter those above-mentioned criticisms raised against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Therefore what is lacking or missing in such posthumanism and in posthuman religious groups is a robust understanding of relationality, namely, an indispensability of relationality, which could be learned from contemporary “renaissance or revival of Trinitarian theology” in th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Considering this point, this paper argues that we could still talk about the Trinity in an era of posthumanism, not only because humans could not be completely resolved into algorithms or data-processing, but also because relations ‘with-in’ humans and even ‘with-out’ humans would be very necessary in such a posthuman era. 오늘날 우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포스트휴먼(posthuman)은 인간됨(being human)을 넘어서는 상태에 있는 인간을 가리키며,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은 인간됨을 넘어섬을, 즉 휴머니즘(humanism)을 넘어섬을 추구하는 이념 또는 운동이다. 어떤 의미에서 휴머니즘은 포스트휴머니즘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고,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사이의 중간 어딘가에 있는 과도기적 휴머니즘(transitional humanism), 즉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 을 거쳐 가고 있다. 인간들이 철저하게 변화하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 우리가 하나님에 관하여 그리고 심지어 삼위일체에 관하여 여전히 말할 수 있는지 아닌지에 관한 질문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 논문은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과 같은 용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문에서의 분석에 따르면,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본질적인 연속성을 지니고 있기에 둘 모두 동일한 비판들에 직면할 수 있다. 즉, 둘 모두 인간론적 이원론, 환원론, 과도한 개인주의, 인간중심론 때문에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몇몇 단체들이 포스트휴머니즘과 종교/영성사이의 양립 가능함을 주장함으로써 종교 또는 영성을 추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들은 세속적이거나 반(反)-종교적인 많은 형태들의 포스트휴머니즘과는 다르다. 하지만, 이러한 단체들 조차도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해서 제기되는 위의 네가지 비판들에 직면하는 것을 확실히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 종교단체들에게서 부족하거나 빠진 것은 관계성에 관한 강력한 이해, 즉 관계성의 필수불가결성이다. 여기에 관해서는 20세기와 21세기에 일어나는 현대적 “삼위일체 신학의 르네상스 또는 부흥”으로부터 우리가 배울 수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서,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도 인간이 알고리듬 또는 데이터-처리로 완전히 해소될 수 없기 때문에, 또한 인간들 내에서의 관계들과 인간들 외에서의 관계들이 그러한 포스트휴먼시대에서 매우 필수적일 것이기 때문에,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서 삼위일체에 관하여 우리가 여전히 말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가정과의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 -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임정하,전미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introduce and examine ‘development’ and ‘relations’ as the core concepts of Home Economics in 2015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in Korea. The 2009 and 2015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26 published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promoting four key competencies (i.e. the self-management competency,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the community competency) of 2015 revision. Also, four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e. character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human right education) in 2015 revision could be effectively discussed with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Second, whe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core concept, human ‘development’, continuous dynamic aspects of life-span development, the connectedness of different domains of development, systematic approach of various concepts in development, specificity and empirical evidence of information and variability of developmental patterns in adolescence should be considered. Third, whe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core concept, family ‘relations’, family trait such as generational relations, gender relations, role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exclusively focusing on normal family ideology or image of middle-class family and lecture-centered instruction methods should be changed for students to achieve the competencies relevant to family relations. The future directions for applying core concepts, ‘development’ and ‘relations’ in classroom will b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가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또 중학교 수업현장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과 13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1, 2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자기관리 역량, 의사소통 역량, 심리적 감성 역량, 공동체 역량의 함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발달’에서는 범교과 학습주제 중 인성교육, 안전・건강교육, 인권교육을, ‘관계’에서는 안전・건강교육, 인성교육, 다문화교육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수업현장의 교수학습과 교재개발 시 고려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핵심개념 ‘발달’은 전생애적 관점에서의 지속적인 역동성, 신체, 인지, 사회정서발달의 연계성 및 주요개념들의 위계와 체계, 전달정보의 구체성, 경험적 연구결과에 근거한 과학적 정보의 활용, 청소년 발달의 다양성 측면을 충분히 고려해 다루어져야 한다. 다음으로, 핵심개념 ‘관계’는 세대관계, 성별(젠더)관계, 역할관계, 권력관계라는 가족 집단의 특징을 염두에 두면서, 지식 위주,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중산층 중심의 가족상을 중심의 설명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개념 ‘발달’과 ‘관계’의 추후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도시의 비인간 이웃: 대전시 주민-백로 갈등을 중심으로

        최명애,박현빈,Joelle Champalet,성한아 한국도시지리학회 202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6 No.1

        The urban is often viewed as a space of human. However, wildlife-egrets, pigeons, pigs, and dogsemerges and roams around unexpected corners of the city. Urban wildlife disrupts the prevalent urban-rural, and human-animal oppositions, demanding a new way of thinking of human-animal relations in the city beyond the purported dualisms. By drawing on the case study of the human-egret conflicts in Dajeon Metropolitan City, this paper explores diverse ways through which residents and wildlife are related in an urban setting. It first outlines the changes in the human-egret relations over the past 20 years by tracing the successive processes of verminisation, displacement, alternative habitat making, and the precarious coexistence. It then considers what implications the changing human-egret relations might have on the spatiality and ethical-political thoughts toward animals in the c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sustained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egrets reconfigures the urban green spaces-parks and university campus-as ‘more-than-human’ space shared by humans and the birds together. Such rethinking of the urban as a multispecies space would allow the possibility for an affirmative mode of humanwildlife biopolitics in the city, rather than the prevalent mode based on an exclusionary politics. 도시는 종종 자연과 대비해 ‘인간’의 공간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도시의 녹지, 건물 틈, 뒷골목에는 백로, 비둘기, 멧돼지, 들개 같은 야생동물이 나타난다. 이들 도시 야생동물의 존재는 익숙한 도시-자연, 인간-동물의 이분법을 교란하며 도시를 새롭게 사유할 것을 요구한다. 이 논문은 대전의 인간-백로 갈등과 충돌을 중심으로 도시의 인간-야생동물 관계를 탐색한다. 필자들은 먼저 지난 20여년간 대전에서 벌어진 인간-백로 관계의 변화를 유해조수화, 연쇄 철거와 이주, 대체 서식지 모색, 갈등 봉합의 4단계로 나눠 살펴본다. 이어, 인간-백로 관계의 변화가 도시의 공간성과 인간-동물의 윤리적, 정치적 관계에 갖는 효과를 살펴본다. 이 논문은 인간의 계획과 의지만큼이나 백로의 생태와 행동도 인간-백로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백로의 행위성과 인간의 다양한 응답을 통해 인간-백로 관계의 양상과 성격이 만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이같은 다종적 상호 작용은 도시 공원과 대학 캠퍼스를 백로와 인간이공유하는 ‘인간 너머의 공간’으로 새롭게 만들어낸다.

      • KCI등재후보

        유학의 인륜성과 정감적 인간형에 대하여

        전성권 한국공자학회 2014 공자학 Vol.27 No.-

        This paper is on the roles of all humans who are in between which is firstly the sky and the earth and is secondly the human and the human and i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feeling human type of confucianism which is through the confucianism history. This theme is derived from having a critical mind for seeking a solution to the damage and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or death with dignity and euthanasia and so on. This problematic situations are related with the anthropocentricism which has started from human endless endeavor for fulfilling the desire of being the perfect human which has a self-reliance and autonomy. It is true that the self-reliance and autonomy start to be an opportunity of promoting the private property and human-rights, but it is also true that the self-reliance and autonomy cause a lot of problems which are for instance human isolation and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and so on in the modern society. We should find the solution to the basic causation which is the anthropocentricism to get over this problems. The solution is a feeling human type for the restoration of humanity of confucianism. The feeling human type needs to be broadened to the aesthetic human type which pays attention to the will to live which all things in the universe has. In conclusion, the feeling human type which has a kind of empathy or sympathy needs to be broadened to the aesthetic human type which has a sort of will to live. The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cluding all humans has will to live which is naturalistic will and is linked by common sense and sensibility. This view is only through self-awareness, understanding through all creation can be. 생태계의 훼손과 파괴 및 인간의 안락사와 존엄사 등과 관련한 인류사적 문제의식은, 그간에 진행되어 왔던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성찰’에 대한 반성적 성격을 띠게 한다. 왜냐하면 과거와 지금의 수많은 논의들이 인간중심주의의 맥락을 놓지 않은 채, 인간과 자연의 문제적 상황을 해결하려고 애써왔기 때문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인간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한,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수많은 문제들을, 역설적이게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풀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아르케를 찾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은 그 자체로 완전한 영혼의 자립성과 인간의 자율성을 모든 학문의 최종심급으로 확정하는 잘못을 범하였다. 분할이 불가능한 인간을 설정함으로써, 모든 개인은 그들이 관계 맺고 있는 그물망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게 되었으며, 이는 사유재산의 확보와 인간 개체의 권리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인간을 하늘과 땅의 관계망에서 떨어져나감으로써 인간 소외와 생태계 파괴 등 현대사회의 수많은 문제의 원인을 양상하고 말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유학이 제시해주는 인륜의 회복을 위한 정감적 인간형이다. 역사가 제공해주는 쟁탈성의 원인은 인륜의 파괴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인간과 인간 사이의 유대관계를 지시해주는 인륜을 회복함으로써 쟁탈적 사회를 무쟁탈적 사회로 이끌어가야 한다. 그러한 방법이 바로 정감적 인간형이 갖는 유효한 방식으로써의 서(恕)의 실천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를 확대하여 세상만물이 갖는 생명의 유대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인간이 서로 다른 인간에 대하여 갖게 되는 측은지심 등의 정감은, 인간과 동일하게 삶의 의지, 곧 생의(生意)가 있는 천지만물로 확대되어야 한다. 삶의 의지는 인간을 포함한 천지만물의 자연스러운 의지이며, 이러한 의지는 상호 의존적 존재자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감각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천지만물을 하나로 바라보는 관점은 이러한 자각을 통해서만이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산적해 있는 수많은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하나의 단초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