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감부 시기 대한제국의 간도문제 인식

        이성환(Lee Sung-Hwan) 부산경남사학회 2007 역사와 경계 Vol.65 No.-

        The perception of the Gando sovereignty during the Residency-General perio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y practical discussion over Gando during policy consultation between Empire of Korean government and Residency-General rarely occurred, and Empire of Korea hardly attempted to secure its sovereignty over Gando either. The Korean government policy which appeared to concession sovereignty over Gando was from the beginning backward-looking in the sense that it only confirmed the policy proposed by Residency-General. Second, the attitude of The Korea Daily News toward Gando appears to be complicated. Its early reports strongly claimed Gando sovereignty and looked to accuse Japan of invading Gando. From early 1908, however, it seemed to have recognized that we have to accept it as a fact that Gando is Chinese territory Because standing up for Japan's Gando invasion would results in concession and justification of Japan's Korea invasion policy, it probably had to change its attitude toward Gando and had to recognize to prevent Japan's Korea invasion. The following could be another possibility. As Japan's Korea invasion policy was intensified, Gando became the base for struggle against Japan. In such a situation, Korean people might have thought that independent movement would be easier and safer if Gando were Chinese territory. Put differently, if Gando became Korea territory Korean community would not be formulated there, and thus it could not be the base for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 It should not be neglected that Gando could be the largest independence movement base during the Japan's colonial period, just because it was Chinese territory.

      • KCI등재후보

        일본의 대륙정책에서 본 간도 - 러일전쟁 후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를 중심으로 -

        이성환 동북아역사재단 200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the significance of Gando area,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Manchuria, in the Japanese continental policy is due to its geopolitical peculiarity. The geopolitical peculiarity consists of three dimensions;geographical, historical and political. Geographically, the Gando area borders with three major political players - Manchuria, Russia, and Korea. Historically, Koreans had migrated into Gando throughout history and formed a sizable cultural community. Finally, Gando had great political importance because Korea and China insisted its own sovereignty over the area. Furthermore, for Japan, Gando turned out to be crucial in preparing a war with Russia. Even though Russia became less threat to the interests of Japan after the first Russo-Japanese Convention (1907), Japan continued to consider Gando as an extremely crucial area in order to build a continental state. With the completion of the first stage of continental state-building process after the forced annexation of Korea, the peculiarity of Gando was diminished due to Twenty-one Demands (1915) along with the phenomena of Manchurization of Gando or Gandorization of Manchuria. After the empire of Japan made the Twenty-one Demands, Japan began to use Koreans in Manchuria a mean of Japanese continental policy. The empire of Japan also treated Gando as the base of imperial enlargement to the Continent before the Gando Agreement (1909). Therefore, since the Twenty-one Demands, the “Manchurian Korean Problem”turned out to be the center of “Manchurian Problem.”The best example of such tendency is the“ Mt. Manbo Accident”(1931) built-up by Japan, which later brought on the “Manchurian Incident”, or“ Mukden Incident”(1931). However, the significance of Gando in the Japanese Manchurian policy decreased as its peculiarity dwindled. In early 1920s,“ the Great Korean Nation Plan”was set forth by the Continentalists as a new idea regarding how to control Gando. Around the“ Manchurian Incident”, “Gando Special Zone’”or “Return of Gando to Korea”were proposed by Japanese Continentalists. They argued that the better option for Japan to effectively control Gando was to force Gando to be returned to Korea, just like before the Gando Agreement. In order Japan to more easily control Manchurian Koreans and to manage the Korea colony, returning Gando to Korea semed more beneficial than leaving it as a part of Manchuria. 근대 일본의 대외정책의 기본적인 특질은 섬나라를 탈피하여 대륙국가화 하는 것이었다. 일본의 대외 팽창의 대상은 이른바 대륙이었으며, 이것은 대륙국가 구상으로 구체화되었다. 대륙국가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대륙정책은 일차적으로는 한반도 지배이며, 이차적으로는 한반도를 발판으로 하여 만주 및 중국으로 세력을 확대해 가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일본의 대륙정책의 핵심은 중국과 한반도를 연결하는 만주정책이라 할 수 있으며, 그 가운데 간도가 위치하고 있었다. 간도는 한반도와 만주 및 중국을 목표로 전개되는 일본의 대륙정책에 다양한 형태로 관련되었다. 간도가 일본의 대륙국가 구상의 일환으로 전개된 만주정책(대륙정책)에 있어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일본의 간도에 대한 관심은 1차적으로는 러시아와의 전쟁에 대비한다는 군사적 측면에서 매우 중시되었다. 제1차 러일협약체결 후에는 러시아의 위협이 감소함으로써 간도는 한반도 지배 및 만주권익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새로운 가치가 부여되었다. 그 후 간도는 일본이 한반도 및 만주를 포함한 대륙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하여 대륙국가화한 이후에는 대중21개조 요구를 계기로 간도의 만주화 또는 만주의 간도화 현상이 진행되면서 간도의 특수성도 약화되었다. 간도협약 이전에는 간도가 일본의 대륙정책의 발판으로서의 역할을 했다면, 대중21개조 요구 이후에는 간도를 기반으로 하는 만주의 조선인이 일본의 대륙정책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따라서 그 이후 일본의 만주정책에서 간도의 특수한 역할도 약화되며, 간도는 일본의 만주정책 속에서 새롭게 자리매김된다. 일본의 대륙정책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상황에서는 간도를 만주의 일부로 남겨두기보다는 간도협약이전의 상태로 되돌려 조선의 일부로 회귀시키려는 움직임도 나타난다. 조선식민지의 안정적 지배야 말로 일본 대륙정책의 초석이라는 측면에서 간도조선인에 대한 통제가 필요했기 때문일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인의 북방영토 인식 - 간도 및 간도문제를 중심으로 -

        이성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1

        Koreans’ Perception of the Northern Border Area Lee, Sung-Hwan In this thesis presented several features of the main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e Korean perception of the northern boundary is not clear, because it is divided in the Yalu-Tumen River or 38th ceasefire line. To the lower generation, 38th line tends to be perceived as boundary of the north border. Second, about 67% of Koreans are aware of the Gando, and around 45% know that Gando is currently the territory of China as Yanbian Autonomous Prefecture. In particular, little of over the age of 60 were aware of Gando, given that the Gando issue is opened as the discourse of Korean society in earnest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Third, as far as the claim to Gando is concerned, only 28.6 % of Koreans think that Gando belongs to Korea.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of Gando, however, is strong among those who had higher education and knew the Gando Agreement. Interestingly, there is some inconsistencies between territorial consciousness of Gando and awareness of Korea's northern border. Many Koreans who know Gando and think that Gando is under the Korean sovereignty, consider the Yalu-Tumen River Line as the Korean north border. Fourth, the possibilities of returning Gando to Korea are not large. Among those who consider Gando as territory of Korea, not much more than 42.2%(20.1% of the total sample)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attribution of Gando to Korea positively. Nevertheless, the more people get the knowledge of Gando Agreement, the higher is the prospect of returning Gando to Korea. It seems indirectly to imply the injustice of the Gando agreement. Fifth,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doesn't claim sovereignty over the Gando to China. There are pros and cons(45.6%) for it. One of the most significant reasons of no ac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is the possibility of worsening relations with China. Only 23.0% insist sovereignty over the Gando, despite all these. Sixth, for Koreans, condominium of both Korea and China is the most preferable solution of the Gando problem. And the most urgent measure for South Korean government to do is to support the survival and maintenance of Korean Culture in Gando. Seventh, it is worth remembering there is a tendency in which the Gando issue i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Korean unification. With regard to South and North Korea unification issues, this has implications that the consciousness of the need for unity is weakening.

      • KCI등재후보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 연구

        김홍택(Kim, Hong Teak),우신구(Woo, Shin Ku),권진혁(Kwon, Jin Hyeok) 대한부동산학회 2014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간도관련 석ㆍ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범위로서 시간적 범위는 1955년부터 2014년 10월 현재까지로, 공간적 범위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발표된 석ㆍ박사학위논문으로, 내용적 범위는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특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간도관련 학위논문의 정량적 특성으로는 첫째, 시간에 비례하여 간도관련 학위논문 발표가 증가하고 둘째, 앞으로의 간도관련 학위논문 발표 추세는 교육계열과 사회계열에서 많은 학위논문이 발표될 것으로 예측되며 셋째, 간도연구를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진행할 특성화된 대학이 없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성적 특성으로는 첫째, 앞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간도지역에 대한 영유권관련 학위논문 발표와 간도지역 사회문제를 다룬 학위논문의 발표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둘째, 간도에 대한 영유권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간도협약과 조ㆍ중 변계조약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간도지역 전역에 대한 통합적인 의미로서 통합성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Gando-related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Korea and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ndo-related theses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time frame is from 1955 to the present, October 2014 whereas the spatial scope is limited to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Korea and the scope of the contents is limited to suggesting the characteristics of Gando-related theses. Research method included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research, and technical analysis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Gando-related thesis include first, publication of Gando-related theses is increasing proportional to time; second, future trend of Gando-related thesis publication will be related to education and social realm; and third, it was easy to see that no college was specialized to conduct systematic, in-depth study on Gando. Qualitative characteristics include first, publication of Gando dominium related theses and theses on Gando region s social issues is expected to increase as time goes by; second, resolution of Gando dominium issue requires continuous in-depth study on Gando treaty and Chosun/China Border Treaty, as well as integration of the overall Gando region as a whole.

      • KCI등재

        일제시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간도(間島) 인식

        장영숙 ( Young Sook J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3 No.-

        본고에서는 일제시기 출간된 역사지리서를 통해 일본이 간도문제에 대해 가진 시각과 인식이 시기별로 변화해간 점을 살펴보았다. 우선 일본은 한국주차사령부, 외무성, 통감부 간도 임시파출소 등의 기관에서 영토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조사를 하기전까지 간도는 당연히 중국에 속하는 땅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외교권 강탈 후 간도 한민의 보호라는 명목 하에 간도에 진출하여 간도영유권 문제를 조사하면서는 한청 양국 모두에 논리적인 합당함이 있다고 간주하였다. 따라서 간도를 간광지대, 무인지대, 중립지대 등으로 파악하였다. 일본이 한국에 대한 보호권을 갖게 되고 간도에 진출한 이후에는 국익차원에서, 그들의 명분을 합리화하기 위해서라도 간도는 한국의 영토라는 것이 전제될 필요가있었다. 더불어 간도를 한국의 영토로 주장할만한 역사적, 국제법적 근거는 충분히 있었다. 태조 이성계 이후 세종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상 한국의 고토로 존재해 왔다는점, 한국은 시종일관 토문강 경계를 고수하고 있다는 점, 간도지역의 한민이 압도적으로 많은 가운데 이들은 한국민이라는 인식 속에서 청의 억압에 저항해 왔다는 점, 한국은 간도관리사를 파견해 간도민들을 자국민으로 관리하고 있었다는 점 등은 간도를 실질적으로 한국영토로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일본은 만주로의 진출이라는 그들의 필요에 의해 간도가 한국영토라는 주장을 하기 시작하였지만, 그 근저에는 한국의 주장이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타당한 점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일본정부는 중국이 간도에 대해 절대 양보하지 않자 시급한 현안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중국의 간도영토권을 인정해 주는 것이 득책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간도협약으로 일본이 차지한 경제적 이득은 많았지만, 그들 스스로 한국영토로 인정했던 간도영토권을 중국에 넘긴 사실이 알려지게 되면 국가이미지는 실추할 수 있었다. 때문에 일본은 간도를 둘러싼 한중 영토분쟁과 이에 개입하게 된 경위 등에 대해 자신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할 수 있는 논리를 개발하여 국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었다. 이에 스스로를 동북아의 분쟁을 해결한 ``평화의 중재자`` 내지 ``평화의 수호자`` 로서 사실을 왜곡하는 논리를 만들어 내었다. 이어서 역사 지리 서에도 반영하여 서술함으로써 국가이미지 창출의 기제로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간도협약을 통해 차지하게 된 이익은 소략한 채 한중간의 갈등을 봉합하고 평화를 안착시킨 평화의 주인공, 중재자, 수호자로 스스로를 粉飾하였다. 특히 한중일 삼국의 감정과 이해가 교차되는 간도지역의 역사를 서술하면서 침략국가로서의 이미지를 탈각하기 위한 수사로만 일관하였던 것이다. 이는 현안의 독도문제 외에도 일본이 저지른 또 하나의 역사왜곡으로 볼 수 있다. Japan used to recognize the Gando as a land that belongs to China before they performed investigations to cope with territorial problems through Japanese military HQ in Korea,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Residency-General``s temporary police station in Gando. However, the Japanese regarded that both countries of the Qing Dynasty and Korea have logically right reasons while they investigated the Gando ownership as they advanced into the Gando after robbing diplomatic right. Therefore, they regarded the Gando as a vast in-between zone, no man``s land and neutral zone. After advancing into the Gando, the Japanese needed to set a precondition that the Gando was a Korean territory in order to justify themselves for their national interest. Moreover, there were enough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legal ground to insist that the Gando was a Korean territory. The Gando could be regarded as a Korean territory with some reasons that the Gando has been existed as Korea`s old territory in the history since the first king of Joseon Dynasty, Yi Seong-gye; there were overwhelmingly large number of Korean people living in the Gando and they resisted to the Qing`s suppression with a recognition that they were Korean people; Korea dispatched the Gando managers to control the people of Gando as Korea`s fellow countrymen. Therefore, Japan began to insist that the Gando was Korean territory because Korea`s insistence was valid and they need to advance into Manchuria. The Japanese could have a lot of economic gains from the Gando agreement concluded with the China, but their national image could fall if it was known to the world that they passed over the territorial right of Gando to the China because they accepted that the Gando was a Korean territory. Therefore, the Japanese made a logic to distort the reality by making their image as the ``peacemaker`` or ``peace guardian`` who solved the conflict in the Northeast Asia. So they described it in the historical geography book so as to make it as a matter which was already settled to raise their national image. They neglected the profit they took from the Gando agreement but disguised themselves as a peacemaker and guardian who settled down the conflict between the Korea and China and brought peace. Especially, the Japanese was consistent in clearing out their image as an aggressor nation while describing the history in the Gando region for which the Korea, China and Japan have mingled emotions and understandings. It can be seen as another historical distortion done by the Japanese beside current Dokdo issue.

      • KCI등재

        1930년대 초 간도 문제의 소환과 식민지 간도 담론의 변용

        배성준 역사학연구소 2024 역사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1930년 초반에 간도 문제가 만몽 문제와 결부되어 새롭게 소환되었으며, 간도 문제 서술에서 간도협약에 대한 재평가를 통하여 간도 문제를 직접적인 개입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을 창출하였음을 규명하였다. 중·일 간의 통상조약 교섭은 1926년부터 시작되는데, 1930년 초 관세 문제를 타결하고 치외법권 철폐 교섭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중국측은 치외법권의 즉각 철폐와 더불어 간도협약 폐지를 제기하였다. 이에 일본측은 중국 본토와 만주를 분리하여 만주와 간도의 이권을 보장받고자 한 반면, 중국측은 여전히 치외법권의 즉각적, 전면적 철폐를 고수하였기에 양국 간의 교섭은 난관에 봉착하였다. 대공황으로 내외적인 위기에 처한 일본은 만몽 문제를 사회적 이슈로 만들고 만주사변을 통하여 만주를 장악함으로써 만몽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만몽 영유 구상은 괴뢰국인 만주국 건국으로 귀결되었다. 간도를 식민지 조선의 연장으로 간주하고 있는 조선총독부는 만주사변을 계기로 간도를 만주에서 분리된 특별구역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총독부의 이러한 구상은 만주국의 반대로 실현되지 않았지만, 1934년 간도성 설립으로 귀결되었다. 1930년 초반에 대폭 간행된 간도 문제 저술은 간도파출소의 소환과 간도협약에 대한 재평가를 통하여 간도 문제를 새롭게 제기하였다. 이들 저술에서 주목되는 점은 간도협약에 대한 재평가를 통하여 간도 문제와 만주 문제를 결부시킨다는 점인데, 간도협약 체결을 일본 외교의 실패로 간주하고 간도협약 이래새롭게 생겨난 간도 문제를 만몽 문제와 마찬가지로 간도에 대한 무력 개입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을 창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Gando issue was newly recalled in connection with the ‘Manchuria-Mongolia issue’ in the early 1930s and that through a reevaluation of the Gando Agreement, the writngs on the Gando issue created the perception that the Gando issue could be resolved through military intervention in Gando. The negotiations for a trade treaty between China and Japan began in 1926, and in the early 1930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tariff issue and moving on to negotiations on the abolition of extraterritorial rights, the Chinese side proposed the immediate abolition of extraterritorial rights and the abolition of the Gando Convention. Japan, facing an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due to the Great Depression, attempted to resolve the Manchuria-Mongolia issue by making it a social issue and taking control of Manchuria through the Manchurian Incident. However,the plan to seize Manchukuo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Manchukuo, a puppet stat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hich regarded Gando as an extension of colonial Joseon, sought to make Gando a special area separate from Manchuria folowing the Manchurian Incident. This pla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not realized due to opposition from Manchukuo, but it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Gando Province in 1934. The writings on the Gando issue, which were widely published in the early 1930s, raised the Gando issue anew through the recall of the Gando police station and a reevaluation of the Gando Agreement. What is noteworthy in these writings is that they link the Gando issue and the Manchurian issue through a reevaluation of the Gando Agreement. They regard the Gando Agreement as a failure of Japanese diplomacy and created the perception that the Gando issue, like the Manchuria-Mongolia issue, could be resolved through military intervention inGando.

      • KCI등재

        間島領有權 主張의 地籍學的 범圍 分析

        曺秉鉉(Cho, Byung-Hyun) 백산학회 2011 白山學報 Vol.- No.9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geographic range of Gando area by combining the approach method of cadastral science with an artificial satellite photograph. As the result, we firstly determined the location of Gando area as follows; - the edge of East : ten degrees nine minutes thirteen seconds of the North latitude and one hundred forty one degrees thirty two minutes forty one seconds of the East longitude. - the edge of West : forty degrees thirty minutes twenty one seconds of the North latitude and one hundred twenty one degrees eleven minutes forty two seconds of the East longitude. - the edge of South : thirty eight degrees forty three minutes seventeen seconds of the North latitude and one hundred twenty one degrees eleven minutes forty two seconds of the East longitude. - the edge of North : fifty three degrees twenty minutes fifty six seconds of the North latitude and one hundred thirty nine degrees fifty minutes fifty nine seconds of the East longitude. Secondly, we worked out the area of Gando at 777,748㎢ which come near to 3.5times of Han peninsular. It could be concretely expressed at 220,431㎢(West Gando), 243,744㎢(East Gando) and 313,573㎢(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Finally, we examined that the shape of Gando is comprised of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East Gando and West Gando, located to the north of Yalu River. It is very similar to Han peninsular. Although we analysed and presented the location, size and shape of Gando, we should recognized that it is very hard to recover the territory of Gando.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proclaim that the Gando area is korean territory and try to support in many directions. We strongly expect that this study can led to our descendant to realize the problems of Gando territory.

      • KCI등재

        일본의 간도 정책 : 일본외교문서를 중심으로(1906~1909)

        이성환 ( Lee Sunghwan ) 대한정치학회 2017 大韓政治學會報 Vol.25 No.1

        본고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간도(Gando) 연구에서는 일본이 간도에 진출한 후 만주권익(Japanese interests in Manchuria)과 교환하는 형태로 일본이 간도 영유권을 포기했다는 주장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일본이 간도 영유권을 포기한 근거와 과정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일본외무성 기록 가운데 「간도문제 1건」이 아니라 「만주에 관한 일청협약 체결 1건(滿州に關する日淸協約締結一件)」에서 일본이 간도를 포기하게 이유와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종래의 연구에서는 일본이 만주권익과 간도를 교환한 이유가 다소 불명확했으나, 본고에서는 러일전쟁을 통해 일본이 확보한 만주권익의 실현을 위해서 간도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또 일본이 간도를 포기하는 근거로 이중하의 이른바 `별단(別單)`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점도 지적했다. 셋째, 간도협약 제2조에서부터 제7조까지의 내용이 구체화되는 과정을 고찰했다. 이를 통해 간도협약의 체결과정 및 내용에 대한 분석을 보다 구체화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studies on Gando commonly argued that Japan renounced sovereignty over Gando in the form of exchanging with its interests in Manchuria after Japan advanced into Gando. In other words, Japan sacrificed Gando to secure the rights and interests in Manchuria. However, as reviewed in this study, Japan aimed to `protect` the Koreans in Gando from the beginning, and securing sovereignty over Gando was secondary. Second, in the existing researches, it was somewhat unclear why Japan traded its interests in Manchuria with sovereignty over Gando. However, this study clarified that Japan did not have no choice but to renounce the sovereignty to realize the rights and interests in Manchuria that Japan obtained by the Russo-Japanese War. It was only possible that the purpose of Japan`s advancement into Gando was not securing sovereignty over the region. In addition, it pointed out that so-called Byeoldan (別單, the documents or registers added to the texts or sentences reported to the King) by Lee Joong-ha had a huge influence on Japan`s renunciation of Gando. Third, it considered the process of concretization of the content of Article 2 to 7 of the Gando Convention. By doing so, it was able to concretize the analysis on the process and content of establishment of the Gando Agreement.

      • KCI등재

        통감부시기 간도의 경계 분쟁과 統監府臨時間島派出所의 역할

        이왕무(Lee, Wang-Moo)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0 No.-

        간도파출소는 한국과 청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만주를 둘러싼 열강의 세력 분열에 따른 결과였다. 간도는 단순히 군사적인 문제로만 접근하기에는 포괄적인 문제를 안고 있었다. 무엇보다 간도에 거주하던 한인들의 생명과 재산, 나아가 간도의 영토문제까지 포함하는 복잡다난한 일이었다. 간도는 20세기 이전부터 한국과 청국 사이에 영토분쟁화 되었던 곳이다. 숙종대 백두산정계비의 설치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양국 인민들의 왕래를 범금하는 문제로 외교문제화 되었다. 그러다 19세기말 간도거주 한인들이 청국화를 거부하며 조선정부에 정식으로 한국영토화를 요구하면서 한국과 청국 사이에 간도의 영토분쟁이 시작되었다. 당시 간도는 청국관헌에 의해 장악되어 있었으며 강제적으로 한인들을 귀화시키기 위해 薙髮易服까지 시키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일본 정부가 간도에 진출하는 것은 한국과 청국간의 영토문제를 시작으로 한인의 인명과 재산에 관련된 사법, 경찰 문제까지 다루어야 하는 정치, 외교, 군사 등에 걸친 일이었다. 이런 배경에서 간도파출소는 항일세력의 진압, 독립운동가의 색출이라는 단편적인 일 이외에 청국을 상대로 간도의 영토귀속, 간도 거주 한인의 생명과 재산권 보호 및 한국국적 확인, 간도의 역사와 지리 조사, 간도의 산업과 교육, 청국관헌의 조직과 대응방안 등에 이르기까지 간도 한인에 관련된 모든 부분을 주무로 하였다. 본고는 간도 거주 한인들의 실질적인 모습을 간도파출소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최근 번역된 『통감부임시간도파출소기요』를 활용하였다. 이 책은 간도파출소의 설치 배경에서부터 간도의 역사와 한인들의 거주 상황을 다양한 답사와 조사를 통해 작성한 보고서와 사료를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이 기존 간도 연구에서 많이 이용되기는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일부분을 발췌해 사용하거나 전후사정을 일괄해 인용하지 않아 전체적인 맥락을 오인한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도파출소의 간도영유권 주장에 대한 시기적 변화와 함께 간도 및 한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세기초 간도 역사의 면모를 밝히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Gando police, rather than Chosun dynasty and Qing only problem, was organized on the basis of division of powers over Manchuria. Gando is not just military problem, was having a comprehensive problem. More than anything, the life of Chosun people and property, who lived in Gando, was complex problems that was included to the territorial issue is these settlements. Gando had just been territorial disputes into between Chosun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from the 19th century or earlier. It has been foreign affairs of the ongoing problem to prohibit the two both side peoples. While doing, the end of the 19th century Gando resident Chosun peoples refused become a Qing of people. While a request to be included in Chosun dynasty of the land. Thus, this is a territorial disputes of Gando began. At that time Gando has been seized by the Qing authorities, she was trying to change to clothes and hair style in order to forcibly naturalized Chosun peoples.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advance to the Gando is, justice related to the beginning of the territorial issue and the Chosun peoples life and property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Meanwhile, Gando police station search the anti-Japanese forces, the independence activists, in addition to the other party, territorial attribution of Gando with Qing Dynasty, Gando resident Koreans of life and property rights protection and Korean nationality confirmation, history and geography of the investigation of Gando, education and industry of Gando, up to such measures and the organization of the Qing authorities, was a competent all of a portion related to Korean Gando. Finally, In this study, view of the Gando police station t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vereignty of Gando and Koreans along with the time of the change in the position.

      • KCI등재

        간도문제에 있어서 일본의 책임론에 관한 연구

        조병현 한국지적학회 2019 한국지적학회지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on Gando by analyzing Japan’s perceptions about Gando and the process of Japan’s intervention in the Gando problem, and identifying Japan’s responsibility for the Gando problem.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found that although at first, Japan intervened in the Gando problem with recognizing Gando as the Korean territory, it concluded the Gando Convention with China and surrendered Gando to China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for the sake of its own benefits, rather than solving the Gando problem fundamentally. As for Japan’s responsibility for the Gando problem, first, Japan has the responsibility for having surrendered Gando to China and not having taken measures after its defeat in the second world war. Second, it has the responsibility for the suffering of Joseon people in Gando and the education of wrong histor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ird, it has the responsibility for having made Manchuria be recognized as the Chinese territory through its control of Manchukuo. And fourth, it has the responsibility for having given cause for the division of Korea into south and north and blocking the opportunity for Korea to restore Gando. Conceivable Methods for holding Japan responsible include first, making diplomatic efforts to have the Japanese government raise the Gando problem to China, together with the promotion of the ‘joint declaration of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second, claiming compensation from Japan, and thir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간도 인식과 개입과정을 분석하여 간도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규명하여 우리 정부의 간도문제와 관련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일본은 간도를 한국 영토로 초기에는 인정하고 간도문제에 개입하였으나, 중국과 협상과정에서 간도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하기 보다는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간도협약을 체결하여 간도를 중국에 넘겨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간도문제에 있어서 일본의 책임은 첫째, 간도의 중국 양도와 패망 이후 조치하지 않은 책임이다. 두 번째, 간도 조선인의 고통과 일제강점기 잘못된 역사교육에 대한 책임이다. 세 번째, 일본의 만주국 경영으로 만주를 중국영토로 인식하게 한 책임이다. 네 번째, 남북분단 원인 제공으로 한국이 간도회복을 위한 기회를 차단한 책임이 있다. 일본에게 책임을 묻는 방법은 첫째, ‘한‧일 지식인 공동선언’ 추진과 함께 일본 정부에 간도문제를 중국에 제기하도록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다. 두 번째, 일본에 보상을 요구하는 것이다. 세 번째, 북한과 협력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