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The Influences of Quality Team Interaction on the Changes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SelfEvaluated by Gifted Korean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a Project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프로젝트 기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국 영

        유현실(Yoo, Hyun Sil),백민정(Min-Jeong Bae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영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기반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의 교육성과(자기평가 기업영재성)의 변화에 대한 촉진적 팀 상호작용의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학기술대학교에서 이틀간 운영된 PBL 프로그램에 참여한 131명의 영재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각기 자기보고식 검사에 의한 기업영재성 측정치와 지각된 팀 상호작용 질 자료를 수집하였다. 반복측정 ANOVA를 적용하여 기업영재성에 대한 시간 및 팀상호작용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을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초반과 심화반에 대하여 각기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 실시 전에 기초반 학생들의 기업영재성 자기평가 수준은 심화반 학생들보다 높았으나, 초기치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는 기초반과 심화반 학생 간 기업영재성 자기평가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기초반의 경우 기업영재성 자기평가 수준의 프로그램 전후 변화는 팀상호작용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반면에 심화반의 경우 상호작용의 질이 높은 집단에서는 기업영재성 자기평가 수준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크게 상승하지만, 상호작용의 질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청소년 영재 대상 기업영재성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과 이들의 기업영재성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facilitative team interaction on the educational outcomes (self-evaluated entrepreneurial giftedness) of a project-based learning (PBL) program designed for entrepreneurial-gifted Korean adolescents. One-hundred thirty-one (131) gifted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two-day PBL gifted program provided by KAIST. Self-evaluations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for the basic and the advance course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provision of the program,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team interaction was also assessed.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time and perceived quality of team interaction on entrepreneurial giftedness were analyzed. The level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self-evaluated by the basic class participants before the program started was higher than that in the advanced course, while the post-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basic and advanced course after controlling for the impact of the pre-scoring. The quality of team interaction was shown to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changes in entrepreneurial giftedness for the advanced course than for the basic course. The change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for the basic cour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of the groups with high and low quality of team interaction. In contrast, however, the change in self-evaluated entrepreneurial gifte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with high quality of intra-team interaction, although the change was weak in the group with a low quality of interaction.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in light of the social influences interacting with entrepreneurial competence in gifted adolescent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ow to facilitate entrepreneurial giftedness.

      • The Effects of Prior Category Spanning and Social Networks within Serial Entrepreneurial Teams in Crowdfunding

        Yumi Ko,Myung-Ho Ch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2

        With a rapid growth of interest in serial entrepreneurship in crowdfunding,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prior success record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 of social connections established during the previous venturing experiences for the future entrepreneurial success. Employing a uniquely team-focused approach,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prior serial entrepreneurship literature which mainly focused on a single entrepreneurial individual. From the team-based perspective, this article tries to disentangle serial entrepreneurial team members’ prior experience into two aspects - where it occurred (i.e., prior category spanning) and with whom it was (i.e., prior sharing experience ties). Furthermore, we investigate under what conditions this prior experience was acquired. Hypotheses are tested using a longitudinal 2-wave data sample of 1,457 serial entrepreneurial teams for ten-year period in Kickstarter, the most prominent crowdfunding platform. Results showed that prior sharing experience ties positively predict entrepreneurial team success while prior category spanning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The effect of prior category spanning on serial venture success, rather, turns significantly positive in considering with the interaction effect of success experience. This indicates that whether the prior category spanning was successful or unsuccessful is highly valued in the prediction of serial venture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subsequent venturing.

      • KCI등재

        벤처 창업팀의 다양성이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성주 ( Sungju Cho ),이상명 ( Sang-myung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1

        지금까지 창업 성과에 관한 연구는 주로 창업자의 특성, 역량, 전략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달과 경영환경의 복잡성은 개인에 의한 창업보다 창업팀에 의한 창업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팀 특성이 창업 초기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벤처 창업팀의 다양성이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전국 17개 지역, 18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는 벤처 창업 기업 중 287명의 대표가 응답한 설문을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적 다양성에서는 성별 다양성만 비재무적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정보 다양성은 경력 다양성이 재무적 성과에, 교육수준 다양성이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전 공유경험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 다양성은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 모두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Many researchers conduct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 characteristic, capability, strategy and performance of new venture. However,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ique and the complexity of the business environment have stimulated entrepreneurial teams rather than individuals.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ial team on the new venture companies was suggested. Initial research on entrepreneurial team diversity has primarily addressed the impact of demographic diversity on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287 delegates of new venture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jects at the 18 Centers for Creative Economy & Innovation in 17 regions of the country condu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based on the questionnaire to which they answered. The result shows that only gender diversity among demographic diversity affected non-financial performance. Information diversity influenced career diversity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diversity in education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lso, the higher the previous sharing experience, the better the financial performance. Value diversity has negative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Also suggested are methodological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초기 기술창업기업의 창업가 역량과 창업팀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혜영(Lee, Hye-Young),김진수(Kim, Jin-Soo)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기술창업기업의 창업가 및 창업팀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사업화 단계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업력 3년 이내의 초기 기술창업기업 창업가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결과를 수집하였으며, 가설 검증에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 역량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기술적 성과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팀 역량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기술적 성과에 모두 유의한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팀 역량이 기술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사업화가 진행 및 준비 중인 기업보다 사업화가 완료된 집단에서 더 강한 것으로 분석되어, 창업팀 역량과 기술성과 간의 관계에서 사업화 단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 competency, entrepreneurial teams’ competency, and the performance of new technology-based startups. Also, this study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ercialization stages through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ial teams’ competen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financial performance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positivel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ercialization stages is on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teams’ competency and technical performance. Base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acquiring both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ial teams’ competency regardless of commercialization stages for new technology-based startups. However, after the commercialization is complete, the startups need to maintain high level of team eligibility and team commitment to improve technical performance since the competitive advantages come from the innovativeness of technologies and products.

      • KCI등재

        대학생의 무형식학습이 구직능력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팀 학습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혜영,전혜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3

        University Students go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expertise in a single field based on theoretical knowledge they have learned in the university. Their plans to develop their careers could lead to a shift in business as they choose to find jobs and start businesses throughout their lives. The attitude of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has been changed from learning in the form of receiving and memorizing existing knowledge to learning in a more proactive and autonomous manner, and there is a growing need for informal learning. In this study, the informal learning is investigated to clarify the impact on the employment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New implications are deduced by the introduction of start-up business to the traditional approach based on the employment ability.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eam-work has been increased in the field of eduction and business. The impact on the employment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studied based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eam-based learning. Survey was conducted on 163 university student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from March to June 2019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informal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employment competency, but not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the employment competencies have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informal learning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the satisfaction on the team-based learn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by informal learning, bu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pendency between employment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se days, start-up education at universities has been strengthened. Throughout this research, the need for informal learning is confirmed to enhance the employment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the university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team-based learning is introduced actively to utilize a variety of information from the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은 학교 내에서 배운 이론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가지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우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학교생활을 토대로 경력 개발의 방향은 과거의 취업 중심의 형태에서 벗어나 전 생애에 걸쳐 취업과 창업을 선택하기 위한 업의 전환을 고려하는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다. 교육의 방향 또한 기존의 지식을 전달받고 암기하는 형식 학습에서 보다 자율적이면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무형식학습과 팀 기반 학습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무형식학습 활동이 구직능력과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취업역량에만 연결시켜왔던 연구에 창업을 더함으로써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 및 교육 현장의 팀워크가 중요해짐에 따라 팀 기반 학습 만족도에 따라 무형식학습 활동이 구직능력과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보이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무형식학습은 구직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창업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직능력은 대학생의 무형식학습과 창업의도를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팀 기반 학습의 만족도는 대학생의 무형식학습에 따른 구직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구직능력과 창업의도 사이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대학 내 구직능력과 창업의도를 높이기 위해 무형식학습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만족도 높은 팀 기반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팀 학습을 통한 대학생의 창업교육에 있어서 팀원의 창업의지, 다양성 및 조력자의 지원활동이 팀 학습 유효성 및 창업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중석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team learning positively influences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and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curriculum. To do this,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 data of 149 students who took the entrepreneurship course that was conducted by the team learning method focused on problem solving task among the entrepreneurship courses opened in the venture autonomous major. First, we examined the effect of team learning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satisfac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learning by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diversity of team members, and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and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mediates between these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will influence team learning effectiveness. However, the hypothesis that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or team diversity influences team learning effectiveness was rejecte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was found to be influential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was mediating between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nd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specially,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decreased remarkably. This suggests that the mediating path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very meaningful through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learning although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re partially medi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re important in the team lear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is also important. Especially,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essential to designing a practical education course that meets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i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networking with the particip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or entrepreneurs. In addition,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think more thoughtfulness about the composition of team members in the team learning, and to provide more meticulous support to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팀 학습을 통한 창업교육이 팀 학습의 유효성 및 창업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017년 1학기 국내 K대학의 벤처창업 자율전공에 개설된 창업교과목 중에서 문제해결 과제중심의 팀 학습 방식으로 진행된 창업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149명의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먼저 팀 학습의 유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의 창업의지, 팀 구성원의 다양성, 조력자의 지원활동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팀 학습 유효성 및 창업교육 만족도 간의 영향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독립변수 각각이 팀 학습의 유효성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고 아울러 팀 학습의 유효성이 이러한 독립변수와 교육 만족도 사이에서 매개작용을 하는지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조력자의 지원활동이 팀 학습 유효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하지만 개인의 창업의지 또는 팀 다양성이 팀 학습 유효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반면 회귀분석 결과를 통하여 창업의지가 창업교육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서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창업의지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팀 학습의 유효성이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어 팀 학습 유효성이 조력자의 지원활동과 창업교육 만족도 사이에서 매개작용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특히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로 조력자 지원활동의 유의도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력자의 지원활동이 부분매개작용을 하고는 있지만 팀 학습 유효성을 경유하여 창업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매개경로가 매우 유의미함을 설명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팀 학습 창업교육에 있어서 조력자의 지원활동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개인의 창업의지 역시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력자의 지원활동은 팀 학습 유효성을 매개로 창업교육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창업교육에 있어서 개인의 창업의지에 부합하는 실무형 교육과정의 운영과 함께 내·외부 전문가 또는 기업가의 교육 참여와 네트워킹을 형성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팀 학습에 있어서 팀원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숙고하여 편성하고, 조력자는 팀 학습의 유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활동 및 구성원의 다양성을 고려한 세심한 지도가 동시에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 및 지각된 성과의 관계

        박정우 ( Jungwoo Park ),김진모 ( Jinmo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 및 지각된 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정적 영향에서 팀 학습 행동이 갖는 매개효과와 팀 학습 행동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정적 영향에서 팀 경계 확장 행동이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78개 초기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팀 학습 행동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09, p<.05). 둘째, 초기 스타트업에서 팀 학습 행동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팀 경계 확장 행동에 의해 조절되었다(β=.259, p<.05). 팀 경계 확장 행동은 팀 학습 행동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적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세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초기 스타트업에서 팀 학습 행동은 성과를 창출하는데 기여하는 중요한 활동으로, 팀 학습 행동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초기 스타트업의 학습 문화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으로, 창업 생태계에서는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을 진단, 개발할 수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한다. 셋째, 팀 학습 행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외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보의 탐색과 습득이 중요하다. 후속 연구를 위한 두 가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팀 학습 행동을 시점 차이를 두고 측정하여 인과관계를 실증해야 한다. 둘째, 초기 스타트업들이 성장한 이후 재무성과와 이 연구에서 측정한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과의 관계를 구명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founders’ entrepreneurial leadership, team learning behavior, team boundary spanning,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early-stage start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corded: (i) the indirect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n perceived performance via team learning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β=.309, p<.05). (ii) relationships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r and perceived performance were strengthened by team boundary spanning behavior (β=.259, p<.05). In this study, three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as follows: (i) startups need to seek team learning readiness and external learning stimulus to facilitate generative and transformative team learning; (ii) accelerators need to develop an entrepreneurial leadership program for founders; and (iii) startups need to explore external information by interacting with investors, R&D institutions, and other startups to strengthen the impact of team learning behavior on performance. Furthermore, two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as follows: (i) future researchers need to tes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team learning behavior based on a newly designed time-series measurement plan; (ii) the actual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boundary spanning on financial performance need to be tested two or three years later whe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early-stage startups usually becomes evident.

      • KCI등재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상황에서 촉진적 상호작용이 기업영재성 및 창의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유정신모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현실(Hyun-Sil Yoo),백민정(Min-Jung Baek)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3

        21세기 현대사회의 문제들은 실제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생산적이면서도 융복합적인 창의적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시대적 배경 아래 한국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지식재산 기반 기업영재 육성위한 교육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기업영재들의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상황에서 팀원들 간의 촉진적 상호작용이 이들의 기업영재성과 창의적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이론의 공유정신모형 개념을 적용하여 팀 내의 공유된 정신모형이 팀상호작용과 기업영재성 및 창의적 효능감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을 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AIST 산하 IP영재기업인교육원에서 운영하는 팀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한 87명의 청소년 영재들에게 팀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 기업영재성, 창의적 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설모형으로 제시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상호작용과 기업영재성의 관계에서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만이 완전매개하였으며, 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팀상호작용과 창의적 효능감의 관계에도 팀원 관련 공유정신모형만이 완전매개하였으며 과제 관련 공유정신모형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재들의 기업영재성과 창의적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팀원의 자원을 활용하는 능력이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oday"s complex and uncertain 21st-century society requires productive, convergent and creative tales with practical problem-solving skills. South Korea has been pushing for educational policies on fostering intellectual property-based the entrepreneurial gifted persons over the past decade, especially striving to enhance productive creativity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team project-based learning for the entrepreneurial gifted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aimed to verify how facilitative interactions among team member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situations for youth the entrepreneurial gifted children enhance their entrepreneurial giftedness and creative efficacy.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a shared mental model in the team project-based learning theory was applied to establish and verify the research model for a shared mental model based on team interaction, entrepreneurial giftedness and creative efficacy. To that end, the IP Center for the Gifted in Korea conducted a team project-based activity for one week. Eighty seven gifted youth students were surveyed on team interactions, shared mental models, entrepreneurial giftedness and creative efficac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o measur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following the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suggested by Hayes (2013). As a result of the study, only team member-related shared mental models were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interaction and entrepreneurial gifted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s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despi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interaction and creative efficacy, only team member-related shared mental models were fully mediat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bility to utilize team members" resources is a key factor to enhance the productive creativity of intellectual property-based talents.

      •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innovativeness:The mediating role of team psychological safety

        Joon Hyung Park,Li Da Hu,Chendong Wu,Angus Hooke 대한리더십학회 2014 리더십연구 Vol.5 No.3

        기업 환경이 보다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혁신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기업의 혁신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는데, 그 중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리더십이다. 기업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이기 위해서는 기업 내의 팀 리더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고, 팀원들이 그들의 일에 몰입하게끔 할 수 있는 비 전을 제시할 수 있는 기업가적 리더를 필요로 한다. 최근에 다른 리더십 형태와는 차별 된 기업가적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21세기의 경제와 기업의 발전의 역동성을 고려해볼 때, 기업가적 리더십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기업가적 리더십 분야는 아직 개념과 이론적인 측면에서 초기단계에 있고, 계속 발전해 나가고 있다. 기업가적 리더십 이 혁신성에 도움을 준다고 보지만, 이 부분에 관하여 실증적 연구가 많이 되어있지 않 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업가적 리더십과 혁신성의 연결고리를 연구하였고, 구체적으로 팀 심리적 안전이 기업가적 리더십과 혁신성을 매개하는 지를 검증하였다. 기존 문헌 연구를 토대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네덜란드의 여러 기업에서 54개 팀 (팀장 54명, 팀원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PLS 구조방정식 모형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분석 결과, 팀 심리적 안전이 기업가적 리더십과 팀 혁신성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리더십 형태와 다른 기업가적 리더십이 어떻게 팀의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고찰함으로서 리더십 분야에 기여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서 기업가적 리더십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혁신성을 촉진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 에서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과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oday’s dynamic and competitive environment organizations must innovate in order to survive. Researchers have identified a wide range of factors that affect innovativeness. Leadership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factors. To be innovative, organizations may need entrepreneurial leaders who can mobilize the necessary resources and create the kind of visionary scenarios which commit followers to their work. Recently researcher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entrepreneurial leadership as a distinct form of leadership. Entrepreneurial leadership is regard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dynamics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21 st century and evolving style of leadership that might offer a signifiant break from the past. The field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conceptual and theoretical development. Despite the plausibility of expecting that entrepreneurial leadership would enhance innovativeness,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into the existence and nature of this lin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psychological saf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innovativeness. We developed a model to explain this relationship and tested it using data covering 54 supervisors and 257 subordinates from a range of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LS-SEM) showed that team psychological safe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team innovativeness.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the leadership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a new style of leadership which is the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fostering innovation in organizations. Also this study helps us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 through which entrepreneurial leadership promotes innovativenes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identify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