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年代 ‘北部 大陸棚協定’에 관한 日本國會의 論爭-日本國會 議事錄을 통한 檢證-

        최장근 한일민족문제학회 2013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5 No.-

        After the 1965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as signed, the Continental Shelf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was signed in 1974.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was not active on Dokdo polic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Japanese Dokdo policy and its influence on the Continental Shelf Agreement. First, Japan did not give up Dokdo territorial sovereignty. Th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was beneficial to Korea. In the 1965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Japan recognized Korea’s Dokdo occupation indirectly. Second, Japan has hoped the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in solving the Dokdo issue. During the cold war, there was the confrontation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sm. U.S.A wanted Korea and Japan to restore their diplomatic relations. According to SCAPIN 677, U.S.A declared that Dokdo belonged to Korea. The United States supported Japan i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Therefore, the treaty did not contain the status of Dokdo as the Korean territory. It also did not conclude the status of Dokdo as the Japanese territory. Finally, the UN did not define the status of Dokdo. After that, Japan has wanted the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but U.S.A has supported the position of Korea. Third, South Korea has stationed the police on Dokdo. The Japanese government has acknowledged this situation. Opposition lawmakers attacked the Japanese government because they did not say anything about the situation to Korean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repeatedly has answered that if good atmosphere between two countries for the conversation takes place, the Japanese government will resolve territorial disputes peacefully. In Korea-Japan Agreement, the Japanese government admitted Korea’s occupation of Dokdo indirectly. Fourth, the Korea-Japan Agreement was signed during the Sato government in 1965. Since Sato government, both Miki government and Tanaka government have not been active about Dokdo policy because Sato government recognized Dokdo as the Korean territory indirectly.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has recently claimed that Dokdo is the Japanese territory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 does not understand the above fact. Or even though he Japanese government knows the above fact, Japan may intentionally insist that Dokdo is the Japanese territory. 本研究は韓日協定が締結された直後、韓日間に大陸棚協定が締結されたが、当時の日本政府の消極的な独島政策が大陸棚協約に影響を及ぼしたことを考察した。それを要約すると以下のようである。第一に、日本は独島に対する領有権を放棄していなかったが、韓日間の大陸棚協定の締結にあたって韓国に有利になった。その理由は大陸棚協定締結の前に行われた韓日協定において日本が独島に対する韓国の実効的な占有を黙認していたからであった。第二に、日本は独島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米国の支持を希望していた。アメリカは冷戦秩序の中で韓国と日本が国交を回復し、自由陣営の一員として結束を望んだ。米国はSCAPIN677号で独島を韓国領土として処理し、また対日平和条約では日本のロビーを拒否せず、韓国領土として規定されるのを妨害した。それによって最終的に連合国は独島の地位を規定しなかった。韓日協定では米国は韓国の立場を支持した。それで日本は韓国の実効的支配を黙認した。このように独島問題において日本は米国の支持を希望したが、事実上米国は韓国の立場を支持した。第三に、日本政府は野党委員から韓国が独島に警察を駐留させて実効的に管理している状況について非難された。それに対して日本政府は平和的な解決に向けた雰囲気が造成されれば、議論するとの繰り返し答弁だけで、実際に韓国政府に対して独島問題の解決のための協議を要求しなかった。これは、日本政府が事実上韓日協定で韓国の実効的な占有を認めていたからだった。第四に、韓日協定は1965年佐藤内閣で締結されたが、その次の政権だった田中内閣も三木内閣も独島の領有権を主張する韓国の立場を防ぐことができなかった。それは佐藤内閣のことをよく知っていたため、独島政策に対して消極的だった。要するに、日本政府が当時対日平和条約で独島が日本の領土として決定されたと主張していたが、事実上連合国の政策によって韓国が独島を実効的に占有したし、その後の韓日協定でも韓国の立場を貫徹させ、今日まで韓国領土として管理してきている。たが、最近、日本政府が独島の領有権を主張することは、こうした事実をきちんと理解しなかったか、それとも知っていながらも無理して領有権を主張しているかだと思う。

      • KCI등재

        일본의 독도 강탈 정당화론에 대한 비판 - 쯔카모도 다카시의 오쿠하라 헤키운 자료 해석을 중심으로 -

        김화경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7

        일본은 독도를 강탈하면서, 주인이 없는 땅을 자기네가 점령했 다는 무주지 선점론(無主地先占論)을 전제로 하였다. 하지만 독도 의 강탈을 위해 영토 편입원을 제출한 나카이 요사부(中井養三郞) 는 독도를 한국의 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일본의 무 주지 선점론은 처음부터 성립될 수 없는, 논리적 모순을 가진 것 이었다. 그러나 쯔카모도 다카시(塚本孝)는 근래에 발견된 오쿠하라 헤 키운(奧原碧雲)의 다케시마 경영자 나카이 요사부로 씨 입지전(竹 島經營者中井養三郞氏立志傳)에서 새로운 것을 찾아냈다고 떠들 고 있다. 그에 의하면 나카이가 독도를 한국의 땅으로 인식한 것 은 해도(海圖) 에 의한 것이었는데, 이 해도는 1896년 4월에 일본 의 해군 수로부에서 제작한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면서 쯔카모도 는 해도가 선박의 안전한 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제작되어, 대상 지역에 있는 도서(島嶼)와 해안선, 수심(水深) 등의 정보를 실 은 지도로, 국가의 영토와는 무관한 것이기 때문에, 나카이의 인식 은 잘못된 것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쯔카모도의 이런 연구가 독도의 강탈을 합리화하 기 위한 궤변에 불과하다는 것을 밝혔다. 왜냐하면 조선전안 에 독도를 그려 넣은 것은 이 섬이 한국의 영토라는 사실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그는 이것이 한국의 영토가 아니란 것은 이 지 도에 그려진 일본의 일부가 한국의 영토가 될 수 없다는 것을 그 증거로 제시하였다. 만약에 이러한 그의 논리가 사실이라면, 일본 이 한국을 합병하고 난 다음에 제작된 지도에 독도가 들어가지 않 은 이유가 명확하게 설명될 수 없다. 그러므로 이것은 합병을 하 고 난 다음에는 독도에 대한 해양 정보가 필요하지 않았다는 해괴 한 논리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본의 해군 수로부가 그린 조선 전안 이란 해도는 영 국의 영향을 받은 서양 기원의 정보여서 법적 정치적 의미에서 영 유권의 귀속과는 관계가 없다고 하는 주장도 말이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당시에 해군대신이 명치 헌법(明治憲法)에 부서를 한 것으로 보아, 일본 해군이 헌법기관이었음을 증명해주고 있다. 그 러므로 헌법 기관에 의해 만들어진 지도를 정치적 법적인 의미에 서 그 책임이 없다고 하는 것은 그들의 헌법을 무시하는 처사가 되기 때문이다. 또 쯔카모도는 자기가 편리한 대로 논리를 전개하다가 보니, 오 하라 육군하사가 독도에 일장기를 꽂았던 것을 일본 영토로 볼 수 있다고 했다가, 일본의 영토였다고는 말할 수 없다고 한 것은 일 관성이 없음을 스스로 증명해주는 것이라고 보았다. 게다가 당시 해군 수로부장이었던 기모쯔키 가네유키(肝付兼行)가 일본에서 독 도까지의 거리가 한국보다 10해리 더 가까우며, 당시에 조선 사람 은 독도의 경영에 종사하는 자가 없고 일본 사람은 종사하는 자가 있기 때문에 독도를 일본에 편입해야 한다고 한 주장도 거짓말이 었음을 구명하였다. 일본에서 최근에 만들어진 지도에 의하더라도 한국 본토로부터 독도까지의 거리가 일본 본토로부터의 거리보다 5Km 가까웠고, 울릉도에서 독도까지의 거리는 오키 섬에서의 거 리보다 58Km나 가까웠다. 그리고 입지전에 의하면 당시에 독도 에 조선 사람들이 상당히 드나들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 기 때문에, 기모쯔키의 언급은 독도를 강탈하기 위한, 치밀한 계획 에서 마련된 거... Coveting Dokdo, Japan has claimed that it was terra nullius and acquired by occupancy. But Nakai Yosaburo(中井養三郞), who submitted the territory ownership of Dokdo, recognised Dokdo as Korean Territory. Japan's claim has been an obvious contradiction ever since Japan insisted on its prior occupancy of Dokdo as terra nullius. Tzkamoto Takashi(塚本孝) spoke out that he found out something new from "A Story of Self Made Man, Nakai Yosaburo the Takesima Manager(竹島經營者中井養三郞氏立志傳)" by Okura Hekiwun(奧原碧雲). According to his self made-story, it was the "Marine Chart(海圖)" by which Nakai recognized Dokdo. The Marine Chart was made by the Department of Japanese Navy Hydrography in April 1896. And yet Tzkamoto asserted that Nakai's recognition of Dokdo was wrong, because the Chart was the map not only made for the information of islands, coastlines, and the depths of water in the area but also for the safety of ships sailing around. This article was to disclose the fact that Tzkamoto's words were mere a quibbling. Because the "Whole Map of Josun" was drown to inform that Dokdo was Korean Territory. Nonetheless, he insisted that the part of Japan drown on the map could not be Korean Territory, presenting it as evidence. Had his insistence been true, it was impossible to explain why Dokdo was not included in the map drown after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His argument made no sense at all, because Japan did not need to have information about Dokdo after its annexation of Korea. It was also ridiculous that the "Whole Map of Josun" made by the Department of Japanese Navy Hydrography had nothing to do with dominium and ownership in terms of regal and political sense, since it was western origin drown under England influence. At that time, Japanese Navy was the constitutional institution, seeing that the Minister of Navy endorsed Meizi Constitution(明治憲法). Therefore that the map made by the constitutional institution having nothing to do with responsibility in terms of regal sense, was neglecting their constitution. Tzkamoto tried to evolve his theory in his own way but he failed to prove that Dokdo was Japan's land, saying first Dokdo was Japan's, as to see Sergeant Ohara fixed Japanese flag on Dokdo and then it was not. This was shown his own inconsistence. Moreover, this article proved that the claim of Kimotzki Kaneyuki(肝付兼行), the director of Department of Japanese Navy Hydrograpy, was wrong. His claim was that the distance from Japan to Dokdo was 10 knots closer than that from Korea to Dokdo, and Dokdo belonged to Japan because at the time Josun people did not work on Dokdo but Japanese did. According to the map recently made by Japan, the distance from Korean Mainland to Dokdo is 5km closer than that from Japan to Dokdo and the distance from Ulleong-do to Dokdo is 58km closer than that from Oki to Dokdo. Since there was quite a many Josun visitors to Dokdo according to "A Story of Self Made Man, Nakai Yosaburo the Takesima Manager", Kimotzki's claim was a pure fabrication in order to seize Dokdo with elaborate plan. To conclude, in this article it was proved that the study of Kimotzki justified to grab Dokdo was a groundless logic interpreting the materials in his own will.

      • KCI등재

        독도 관련 법령의 체계성과 정합성

        배병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6 독도연구 Vol.- No.21

        Dokdo is a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This paper studies the legisl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pplied to Dokdo. There are 38 Acts concerning Dokdo, and this paper covers 7 out of 38 Acts. Special Act on Ecosystem Preservation in Island Areas including Dokdo Island is the first Act that dealt with Dokdo, established on December 1997. Act on the Sustainable Use of Dokdo Island is the first Act that directly applied on Dokdo. This Act has features of the fundamental law. Support for Dokdo Volunteer Defense Team Act is an Act for members of Dokdo Volunteer Defense Team and the bereaved, established on July 2005. But because of legislative problems, this Act is not in effective opera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ct on Biodiversity is established on October 2010, based on the U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Due to this Act, people who carries out natural resources of Dokdo are subjected to criminal punishment. Islands Development Promotion Act, is a law that may or may not be considered relevant to Dokd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treats Dokdo as a cultural asset and tries to conserve and protect Dokdo by restricting access to it. Dokdo is a national prid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 territory which continually has been sought by Japan. For that matter, we must legislate the fundamental law of Dokdo, so it can be easily accessed by written statutes, and to declare indisputable territorial integrity. 독도는 대한민국의 영토이다. 대한민국 법령 중 독도에 관한 법령은 38개이고, 이 연구는 그 중 7개 법률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은 1997년 12월에 제정된 독도에 관련된 최초의 법률이다.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은 2005년 5월에 제정된 독도를 직접 적용대상으로 한 최초의 법률이다. 이 법은 독도에 관한 기본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독도의용수비대지원법은 2005년 7월에 제정된 독도의용수비대의 대원과 유족에 관한 법이다. 그러나 이 법은 입법상의 문제로 인하여 제대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은 UN의 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라 2010년 10월에 제정된 법이다. 이 법은 독도의 자원을 반출하는 경우에 형사처벌하는 규정이 있다. 도서개발촉진법은 독도와는 관련이 있으면서도 관련이 없다고 할 수 있는 법이다. 문화재보호법은 독도를 문화재로 취급하여 우리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하여 독도를 보호하려고 하는 법이다. 독도는 우리나라의 자존심이고, 일본이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우리의 영토이다. 독도는 우리나라 성문법령에 의해서 우리가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도록 독도기본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 KCI등재

        독도의용수비대 해산 이후 대원들의 독도 수호 활동

        김경도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1

        After Dokdo Volunteer Guards were disbanded, the members of Dokdo Volunteer Guards activities to protect Dokdo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is Dokdo Security Police establish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strengthen Dokdo sovereignty, laying the foundation for Dokdo security. The nine members were specially hired by Gyeongsangbuk-do Provincial Police and they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security of Dokdo while working as police officials. Their activities greatly contributed to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Dokdo Security Police in Dokdo. The second is civilian activities targeting Dokdo. Activities centered on Hong Soon-chil can be divided into Dokdo Development, the establishment of a corporation. Most of their civilian activities were not implemented because they were not approved by the government. But their proposed projects were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in the 1990s and achieved great results. As such, it can be seen that even after the dissolution of Dokdo Volunteer Guards, the members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d to Dokdo protection activities. 독도의용수비대가 해산된 이후 독도의용수비대원의 독도 수호활동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독도경비대로 활동하며 독도경비의 기틀을 다진 것이다. 경북경찰에 특별 채용된 대원은 경찰로 활동하면서 독도경비업무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독도경비대의 안정화에 기여하였다. 둘째, 홍순칠을 중심으로 독도개발, 사단법인설립 등 다양한 민간 활동을 한 것이다. 대부분의 민간 활동이 정부의 불허로 시행되지 못했으나, 1990년대에 정부 및 기업 주도하에 해당 사업들이 시행되며 결실을 맺었다. 이처럼 독도의용수비대가 해산된 이후에도 대원들은 직·간접적으로 독도 수호활동에 기여하였다.

      • KCI등재

        학령기 학생들의 독도 인식 비교 및 독도 마케팅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박성아 ( Seong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독도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 및 독도에 대한 홍보와 마케팅 수단으로써 SNS의 활용에 대해 고찰하여 잘못된 독도에 대한 정보 및 인식을 바꿀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독도 인식 및 세계사회에서 독도의 영유권을 지킬 수 있는 마케팅 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이에 독도에 대한 인식, 교육, SNS마케팅에 대해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 학생 24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독도는 우리땅 이라는 인식은 강하지만 이에 대한 정규수업 이외 독도와 관련된 체험 및 경험이 부족하며,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을 보인 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도가 우리 땅으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홍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SNS를 활용한 마케팅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독도에 대한 정규교과 이외의 다양한 비교과 활동 등을 통해 독도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세계 속에서 독도가 우리 땅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마케팅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시간 접할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는 SNS마케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awareness of Dokdo, and to find a way to change the information and perception of the wrong Dokdo by examining its problems and the use of SNS as a means of promoting and marketing Dokdo.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Dokdo awareness and marketing measures to protect Dokdo’s sovereignty in the world society. According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4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to graduate school about perception, education, and SNS marketing on Dokdo.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ception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is strong, but there is a lack of experiences and experiences related to Dokdo other than regular classes.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more publicity is needed in order for Dokdo to be recognized as our land, and marketing using SNS is essential for this. Integrating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Dokdo through various comparisons and activities other than the regular curriculum on Dokdo, and to make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Dokdo. It suggests that you need SNS marketing that can be accessed and utilized the most time.

      • KCI등재

        독도 영유권 논쟁의 쟁점 탐구(하)

        윤현철,정염 고조선단군학회 2024 고조선단군학 Vol.53 No.-

        한‧일 고대 문헌을 살펴보면 독도 영유권 문제를 둘러싸고 한‧일 간 異見이 없었음을 알 수 있다. 독도는 그동안 한국에 의해 그 소유권이 인정되었으며 역사적으로도 신라시대부터 한국의 영토였다. 그러나 근대 이후 일본은 대륙으로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독도 침탈을 시작으로 일련의 침략 전쟁을 도발하여 독도의 영유권이 문제로 되기에 이르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동맹국들은 독도가 일본의 영토가 아니므로 한국에 반환해야 한다고 명시하였는데 이것이 독도 문제 해결의 종착점이어야 했다. 그러나 냉전시기 미국은 일본과 한국을 동북아의 군사적 동맹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일본을 두둔하는 이른바 “중립적” 입장을 취해왔고, 이로 인해 한국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논란이 끊임없이 격상되기에 이르렀다. 냉전이 끝난 후 한일 양국 관계는 미묘한 변화를 겪었으며 독도 영유권 문제도 다시 이슈화되면서 점차 격화되기에 이르렀다. 독도 영유권은 고대~근대까지 줄곧 한국에 속했다가 일본침략으로 일본에 넘어갔다. 이 문제가 지금까지 지속된 것은 한‧일 양국의 해양권익 쟁탈과 역사적 갈등의 연장선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은 냉전적 사고에서 비롯된 미국의 의도적인 결과이다. 2000년대 이후 한‧일 양국 학계는 독도 영유권 문제를 둘러싸고 여러 차례 논쟁을 진행하여 論戰의 국면을 초래하였다. 한‧일 사이의 독도 논쟁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한국과 일본 사료 속의 독도가 울릉도 부속 섬인가 하는 문제에 있다. 사료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독도가 울릉도의 부속 섬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국과 한‧일 간의 구조적인 국가관계 때문에 독도 문제 해결의 주도권을 한국과 일본이 아닌 미국이 쥐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미국은 독도 영유권 문제의 해결에는 관심이 없고 한‧일관계의 “쐐기”(楔子) 역할로 한‧일 양국이 서로 적대시하고 싸우게 하는 것에만 집중했다. 한국은 독도가 한국 영토라는 확고한 입장을 견지하고 끊임없는 노력과 국제사회의 지지를 통해 궁극적으로 독도의 영유권 문제를 해결하여 한국의 주권과 영토 완정을 수호하여야 한다. 2부에서는 러‧일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도 영유권의 변화 상황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focus of the Dokdo Island territorial dispute between Korea and Japan. Historical evidence from ancient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reveals that there was no dispute regarding the ownership of Dokdo Island between the two countries. Dokdo Island has long been recognized by Korea as its own and, based on historical facts, it has been under Korean sovereignty since the Silla Dynasty. However, in modern times, Japan, driven by its expansionist ambitions to the mainland, initiated a series of aggressive wars, starting with the annexation of Dokdo Island, which led to a change in its ownership.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the Allied powers explicitly declared that Dokdo Island did not belong to Japan and should be returned to Korea, which should have settled the Dokdo Island issue. However, during the Cold War, the United States, aiming to strengthen its military alliances in Northeast Asia with Japan and Korea, maintained a biased "neutral" stance in favor of Japan. This resulted in an escalation of disputes between Korea and Japan regarding the ownership of Dokdo Island. Regardless of ancient or modern times, Dokdo Island has always belonged to Korea, and its transfer to Japan was a consequence of Japanese aggression. The continuation of this issue appears to stem from the competition for maritime rights and the lingering historical disputes between Korea and Japan. However, in reality, it is a deliberate manipulation by the United States driven by its Cold War mindset. Since the 21st century, scholars from Korea and Japan have engaged in multiple debates on the ownership of Dokdo Island, resulting in an ongoing academic battle. The central issue in the Dokdo Island territorial dispute between Korea and Japan revolves around whether Dokdo Island is an affiliated island of Ulleungdo, as documented in Korean and Japanese historical records.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se records, it is evident that Dokdo Island is indeed an affiliated island of Ulleungdo. However, due to the structural state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d Japan, the initiative to resolve the Dokdo Island issue does not lie directly with the two countries but rather with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States is not concerned about whether the issue of Dokdo Island ownership can be resolved; instead, it exploits this issue as a "wedge" in Korea-Japan relations, maintaining a prolonged state of hostility and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Korea must maintain a steadfast position, firmly believing that Dokdo Island belongs to its territory. By continuing its efforts and seeking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Korea can ultimately resolve the issue of Dokdo Island ownership, ensuring its sovereignty and territorial integrity. This section discusses the changes in Dokdo's sovereignty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and after World War II.

      • KCI등재

        독도 관련 고지도의 현황과 특징 분석-영남대 소장 고지도를 중심으로-

        김도은,이태우,최재목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9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vidence that Dokdo is a Korean territory, using 48 maps of Ulleungdo and Dokdo out of the old map material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This study also aims at affirming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using map material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Dokdo-related old map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as a Hub for Dokdo Research, aims at establishing its status of Dokdo Institute of Yeungnam University. Since the 18th century, The old maps of Korea(Joseon Dynasty) have shown that "Dokdo" is located on the right side(East) or left side(West), bottom side(South) or up side(North) of Ulleungdo, especially a part of map of Gangwon-do.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displayed separately on the left (southwest) and lower right (southeast). Next, the map also shows whether Dokdo is located correctly and how Dokdo displayed in different locations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location as the current Dokdo location. It can be seen through the status survey. Of the foreign maps depicting Korea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especially on the map of Japan, "Dokdo" is all drawn in "Ulleungdo". It is said that there is also a way to fold Dokdo inside or below Ulleungdo on an old map of Korea. Foreigners at the time, who did not know how to fold the map in this way, displayed Dokdo on the left side of Ulleungdo in order to imitate the name of a place in the detailed part of Korean map Gangwon-do. The point is that Such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Dokdo cannot be seen without considering the viewpoint of the cartographer and at that time the geographical and oceanographic aspects. These map status surveys are important materials and are seen as evidence in that they have taught us the well-known fact that there were two large islands in the East Sea since ancient times and the clear facts that they have been engaged in fishing activities in the nearby sea of Ulleungdo and Dokdo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자료 중 총 48점의 울릉도․독도 관련 지도를 통해 독도가 한국의 영토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 자료를 통해 독도의 영토주권을 재확인하고,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독도 관련 고지도의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독도연구의 구심점으로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18세기이후 한국의 고지도, 특히 강원도 폭상에 나타난 ‘독도’의 위치는 ‘독도’가 울릉도의 오른쪽(동쪽) 또는 왼쪽(서쪽), 아래쪽(남쪽), 아래왼쪽(남서쪽), 아래오른쪽(남동쪽)에 각기 다르게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독도는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 각기 다른 위치로 표시된 독도가 현재의 독도위치와 같은 곳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지도의 현황 조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의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지도 가운데는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가 현재의 위치가 아닌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은 당시의 지도 제작법의 유형에 따른 현상으로 당시 고대 시대의 사람들은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고, 후대 시대로 오면서 지도로 나타난 증거자료가 되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는 이미 조선시대 이전부터 당시 사람들이 동해 바다에는 두 개의 큰 섬(울릉도·독도)이 있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어로활동 등을 통해 두 섬과 인근해역을 이용해왔다는 명백한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증거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도 교육의 변화와 과제

        전기석,박경근,이슬웅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4 독도연구 Vol.0 No.36

        일본에서 교육적 차원의 독도 도발은 2008년 시작된 이후 매년 그 정도가 심해지고 있다. 심지어 2022년부터는 ‘독도가 일본의 영토이며, 한국이 독도를 불법적으로 점령하고 있다.’라는 왜곡된 내용을 담은 일본의 모든 사회과 교과서를 통해 일본의 미래세대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도에 대한 왜곡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2022년 12월에 개정·고시된 우리나라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과 학교급별 비교를 통해, 학교 교육에서의 독도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바탕으로 학교에서의 독도 교육을 위한 종합적인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단원의 개관,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까지 6단계이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까지 3단계로 서술되면서, 독도 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표현된 횟수나 분량이 절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독도 교육을 강조한 교과목들이 없어지면서, 전체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독도 교육 내용은 축소되었다. 특히 4장에서는 두 교육과정의 비교·분석을 통한 독도 교육의 문제점을 학교급별로 도출하고 그에 대한 대안점을 제시하였다. 그 대안점은 첫째,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독도특별단원의 재설정이 필요하고, 둘째, 중학교 『사회』교과에서 지리적 차원의 독도 교육의 강화와 『역사』교과에서 독도 교육 내용이 추가되어야 하며, 셋째, 고등학교 공통과목인『한국사』교과에서 역사적 관점의 독도 교육 강화와 함께 『통합사회』교과에서 지리적 관점의 독도 교육의 보완이 이루어져 일반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의 모든 고등학생에게 역사적·지리적 관점의 독도 교육이 진행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학교에서의 독도 교육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 개정 교과서의 집필에서 ‘독도교육내용체계’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범교과 학습 주제로의 독도 교육이 권장이 아닌 필수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독도에 대한 관심과 올바른 인식이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전달되기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독도 연수를 법정 의무 연수로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Japan’s Dokdo provocation through its distorted education has begun since 2008 and it keeps aggravating until now. That is, from 2022 all of its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re asserting that Dokdo belongs to Japan and that Korea is illegally occupying it — it is an obviously distorting education toward the students, the future generation for Japan. For its successful countering, the present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current Korean Dokdo-education’s limitations and at drawing out comprehensive suggestions, through cross comparison of 2022 Revised Curriculum System with that of 2015 across different school levels. And findings were as follows. While 2015’s curriculum was described by six steps covering from chapter overviews, evaluation to notes. Meanwhile, however, 2022's one was described only by three steps — achievement standards, its description and considerations —, by which the frequency and quantity of citation on Dokdo education were substantially decreased in 2022 version. Also, several subjects having emphasized Dokdo in 2015 curriculum disappeared in 2022 version, by which Dokdo-education became more superficial in 2022 curriculum. In this study, as such, I drew out limitation on Dokdo education from two curriculum cycles, and suggested the following alternatives. First, the chapters on Dokdo contents should be reorganized in elementary school’s social studies curriculum. Meanwhile, in the subject of geography and history in middle school curriculum, there is need of enforcing contents about Dokdo. In high school curriculum, the historical contents on Dokdo should be reinforced in Korean history subject, while more geographic perspective on it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in the subject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as such,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school's students would be able to fully learn about Dokdo in both historical and geographical perspective. To add, to make Dokdo education successfully settle in schools, the organized learning system about Dokdo should be included in prospective curriculums. To add, the Dokdo education should be switched from elective to mandatory subject to be learnt in the given curriculum. Lastly, since teachers' viewpoint meaningfully affects students' thought, Dokdo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should be set as legally mandatory program.

      • KCI등재

        일본의 독도영유 주장과 근대논리의 한계

        곽진오 한국일본학회 2021 日本學報 Vol.- No.127

        This thesis analyzes the territorial issue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Dokdo. In this regard, Japan’s claim for sovereignty over Dokdo can be seen in four ways. First, the ground for the sovereignty claim on Dokdo cannot be found in Korea. Second, the Japanese fishermen worked in Dokdo since 17th century because Japan has been aware of Dokdo since then. Third, Japan already included Dokdo in their map representing as Japanese territory from early time. Fourth, Dokdo became a territory of Japan based on modern logics because it was the place where Japanese people ran business in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the documents underlying Japan's claim of Dokdo sovereignty remarked that Dokdo has nothing to do with Japan. For example, the Oya-Murakawa Fisheries Document, where Japan uses Dokdo as the basis for its indigenous territory, but Oya-Murakawa Fisheries Document said that Dokdo was a subsidiary island of Ulleungdo rather than Japan. In addition, Shimane Prefecture Notice No. 40 in 1905 reveals the illegality of Japan's compulsory incorporation of Dokdo.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s why the modern logics of Japan's claim of Dokdo sovereignty is contradictory, and furthermore, why the post-war Korean ownership of Dokdo is legal. 이 논문은 독도영유를 둘러싼 한일 간의 쟁점사안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전후 한국영토가 된 독도에 대해서 일본은 매년 외교문서를 통해 독도영유를 주장해오고 있다. 일본의 이러한 행위는 한일 간 현안이 되어 자주 외교문제가 되기도 한다. 일본에 의한 독도영유주장은 이하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한국의 독도영유주장은 그 근거를 찾을 수 없다. 둘째, 일본어부들은 17세기에 울릉도근해에서 어업을 했으며 일본은 이때부터 독도를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일본은 일찍이 일본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에 독도를 포함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넷째, 독도는 20세기 초 일본인들이 사업을 경영하던 터전이었기에 근대논리에 근거해서 일본의 영토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논문은 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영유에 대해서 그 근거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서는 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에 대한 영유주장과 근대논리가 왜 모순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일본은 외무성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독도가 왜 일본의 영토이며 동시에 한국의 독도영유주장이 잘못인지에 대해서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독도영유주장의 근거가 되는 자료들은 오히려 독도가 일본과는 무관하다는 내용들이다. 예를 들면, 일본이 독도를 고유영토의 근거로 사용하고 있는 오야・무라카와 어업문서는 독도가 울릉도의 부속 섬임을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1905년 시마네현 고시40호는 일본의 독도강제편입의 불법성을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일본의 독도영유주장에 대한 근세・근대논리가 왜 모순이며 더 나아가서는 전후 한국의 독도영유가 왜 합법인지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 KCI등재

        에도시대 이후 일본의 공적 지도에 나타난 독도 영유권

        정태만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7 독도연구 Vol.- No.22

        Dokdo is the attached island of Ulleungdo geographically. Historically, Japanese also regarded Dokdo as an island attached to Ulleungdo. In the 1690s, the An Yongbok Incident ended with Japanese prohibition of fishing in Ulleungdo by the Japanese Edo shogunate. Kotani Ihei Map was submitted to the Edo Shogunate from Tottori Prefecture at that time to explain that Dokdo was not Japanese territory. Since then, after confirming the result of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t the time of the An Yongbok Incident, Japanese Meiji Government confirmed that Ulleungdo and Dokdo were Chosun's territory once again by 1877’s Dajyoukan directive. Japan claims that Matsushima in Dajyoukan Directive is not Dokdo. However, the fact that Matsushima in Dajyoukan Directive is Dokdo has been clarified by the Isotakeshima Map, subsidiary map of Dajyoukan Directive, which was published in 2006. The Supreme Command of the Allied Powers, which ruled Japan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separated Ulleungdo and Dokdo from Japanese territory on both sides of the jurisdictional area and the fishing area. In August 1948, the Dokdo issue was concluded, as it was transferred to the Republic of Korea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in the process of drafting the peace treaty to make Japan independent from the occupation of the Allied Powers, Dokdo issue came out again due to the interests of the Allied Powers and Japan. At the end of the twists and turns,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as concluded without reference to Dokdo, but the recently published Japanese Territory References Map shows that Japan had recognized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at that time. Japanese government had produced a map of ‘Dokdo in Korea’ before signing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it was used as an attached map to the treaty in ratifying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Four Japanese official maps related to Japan's sovereignty over Dokdo from the Edo period to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re showing Dokdo as a Korean territory or intended to show Dokdo as a Korean territory. Of these, except for the SCAP Map during the Allied Power's occupation, the three maps prove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recognized Dokdo as Korean territory. 독도는 지리적으로 울릉도의 부속섬과 같은 위치에 있다. 역사적으로 일본에서도 독도를 울릉도에 부속된 섬으로 보았다. 1690년대 안용복사건은 일본 에도막부에서 울릉도 도해금지령을 내림으로써 종결되었는데, 그 당시에 돗토리번에서 에도막부에 제출한 지도가 「소곡이병위 제출 죽도지회도」(小谷伊兵衛差出候竹嶋之絵図)이다. 이 지도는 독도가 일본땅이 아니라는 사실을 판단할 때 사용된 지도이다. 그 후 명치시대에 들어 안용복사건 당시 조선・일본 양국간 외교교섭 결과를 한 번 더 확인하여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땅임을 확인하고 공시한 자료가 1877년의 『태정관지령』이다. 일본측에서는 『태정관지령』의 마쓰시마(松島)는 독도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2006년에 공개된 부속지도 「기죽도약도」에 의해 『태정관지령』의 마쓰시마(松島)는 독도라는 사실이 명명백백해졌다. 광복 후 일본을 점령통치한 연합국최고사령부는 관할지역과 어선조업구역 양면에서 울릉도와 독도를 일본영토로부터 분리하였는데, 관할지역에 있어서는 연합국최고사령부훈령(SCAPIN) 제677호로, 독도를 일본영토에서 제외하고, 「SCAP관할지역도」로써 독도가 남한지역에 포함됨을 분명히 하였다. 1948년 8월, 그 관할지역 그대로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대한민국에 인계됨으로써 독도문제는 일단락되었다. 그런데, 일본을 연합국의 점령통치로부터 독립시키기 위한 샌프란시스코조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연합국과 일본의 이해관계에 따라 독도문제는 다시 불거져 나왔다. 우여곡절 끝에 샌프란시스코조약은 독도에 대한 언급이 없이 체결되었으나, 최근에 공개된 「일본영역참고도」는 당시에 일본이 한국의 독도 영유권을 스스로 인정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왜냐하면, 독도를 한국 땅으로 그린 「일본영역참고도」를 샌프란시스코조약 조인 전에 일본정부에서 제작하여, 샌프란시스코조약 비준과정에서 동 조약의 부속지도로 썼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사료적 가치가 높고, 국제법적으로 증거능력·증명력이 큰 공적인 지도를 대상으로 분석하면, 에도시대부터 샌프란시스코조약 때까지, 일본의 독도 영유권 판정과 관련된 4개의 공적 지도는 모두 독도가 한국 땅임을 표기하고 있거나, 독도가 한국 땅임을 보여주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중 연합국점령통치 기간 중의 「SCAP관할지역도」를 제외하고, 3개의 지도는 일본정부 스스로 제작한 지도로서, 일본정부 스스로 3번이나 독도를 한국 땅으로 인정한 근거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