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leuze와 Guattari의 지식론이 통합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고찰

        조상연 ( Sang Yeo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수목적(arboreous) 지식과 근경(rhizome)적 지식으로 나누어 사유한 Deleuze와 Guattari의 지식론의 관점에서 통합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내용(지식)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살펴보았다. 우선 Deleuze와 Guattari의 지식론을 개괄하고 그 중 특히 근경적 지식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지식의 상대적인 관점과 구성적인 관점을 강조하는 통합교육과정에서 특히 요구되는 지식의 다양성과 상대성의 필요성을 근경적 지식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이 글의 논의 결과, 통합교육과정은 학습된 결과로서의 지식보다는 학습하는 과정으로서의 지식을 지향하고, 지식 자체와 구조나 가치보다는 학습자의 지식에 대한 해석과 그 과정에서 새롭게 구성되는 지식에 주목한다. 따라서 통합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내용 지식은 다양한 창조와 변이가 가능한 지식을 지향하고 사유의 `매끄러운 공간`을 자유롭게 여행하는 근경적 지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This thesi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as the contents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by Deleuze and Guattari`s the method of classifying the knowledge. This researcher reflected like down below. First, summarized Deleuze and Guattari`s theory of knowledge, specially searched educational means of `rhizomorphous knowledge`. In afterwords, tried to observe necessity of variety and relativity which is demanded specially from integrated curriculum that is from viewpoint of rhizomorphous knowledge. Discussion result of this wri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ims emphasizes the relativity of knowledge instead of absoluteness, and the learners` interpreting instead of the value of knowledge itself. Moreover, it puts more values on the learners` interpreting than the structured knowledges & moves toward to the knowledge as the process, not as results of learning So the knowledge that is regarded as the forming contents of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aim the knowledges which would be able to create and mutate. And that should be composed with `rhizomorphous knowledge` which travels `smooth space of reason` freely.

      • KCI등재

        들뢰즈와 가타리의 ‘동물-되기’ 연구

        이수경(Lee, Soo-Kyu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2 No.2

        들뢰즈와 가타리(G. Deleuze/F. Guattari)는 우리 삶의 현실성, 즉 고정되어 있는 어떤 본질이나 상태가 아니라 변화하는 것을 통해서 삶을 전개시키기를 바란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러한 다른 삶으로의, 즉 바깥으로의 이행을 ‘되기(생성)’라 부른다. 『천 개의 고원』에는 동물-되기의 다양한 사례들이 등장한다. 예컨대 윌라드의 쥐-되기, 한스의 말-되기, 에이허브 선장의 고래-되기, 카프카의 쥐-되기, 로렌스의 거북이-되기, 그리고 한 문인화가의 물고기-되기 등이 있다. 동물-되기에서 드러나는 주체들의 의식 상태는 단순하거나 기괴해 보이기도 하고, 악마적이기까지 한 상태를 보이기도 하며, 그리고 ‘무’의 체험을 경험하기도 하며, 아주 고차적인 자연과의 합일 상태에 이르기까지 하는 다양한 차이를 드러낸다. 따라서 이들 되기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주장하는 인간의 비인간적 지대에서 인간성 경계의 지대, 곧 합리적이고 의사소통적인 인간의 지대 이하이거나 그 이상의 영역과 연관된다. 그런데 이러한 동물-되기의 방식들은 비슷하나 그 결과 혹은 되기 이후 드러나는 상태들은 차별성을 띄고 있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것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다. 이 글은 동물-되기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서 되기 이후에 드러나는 되기 주체자들의 의식 상태를 고찰해봄으로써 진정한 생성의 길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기존에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생성연구에 국한된 논의들이대부분이었다. 이 글은 동물-되기 이후 주체들에게서 드러나는 차별성을 살펴봄으로써 인간의식의 또 다른 측면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윌라드의 쥐-되기는 윌라드가 어머니나 쥐들과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성공함으로써 여러 가지 병리적 현상들을 드러내며, 한스의 말-되기는 한스의 아직 미발달된 정서 상태를 나타낸다. 요제피네의 쥐-되기와, 그레고르 잠자의 갑충-되기는 카프카가 처한 실존상황과 유사한데 이는 카프카가 언어의 탈영역화를 통해 다른 삶으로 이행하고 있는 것이다. 로렌스의 거북이-되기는 로렌스가 특이자인 거북이를 따라 실재 세계와 대면한 것에 가깝다. 또한 에이허브 선장의 고래-되기는 실존적 무의 체험과 그것을 넘어서고자 하는 ‘초월충동’과 관련 있다고 여겨지며, 한 문인화가의 물고기-되기는 자연의 한 대상과의 근본적 합일을 나타낸다. 이 글은 동물-되기의 주체들이 전제하고 있고 사용하고 있는 기관 없는 신체 혹은 일관성의 평면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체험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동물-되기가 지각불가능하게-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동물-되기의 주체들에게서 드러나는 다양한 의식 상태를 고찰해봄으로써 오늘날 인간의식의 다양하고 차별적인 측면들을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진정한 생성의 길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Deleuze and Guattari wishes to unfold life through our life"s actuality, in other words; through change and not through a state or nature that is fixed. Deleuze and Guattari wishes to call this transition to another live, in other words; a transition to the exterior as "becoming (creation)". The concept of "becoming" forms the core of the practice philosophy (The Ethics of Inherence) of Deleuze and Guattari. One of the many forms of becoming is animal becoming, Kafka"s mouse becoming, Lawrance"s turtle becoming and the fish becoming of one literary artist. However these animal becoming methods are similar but show a differentiation in the result or the shown state after the becoming. Deleuze and Guattari does not argue about this. Willard"s mouse becoming shows many pathological phenomena by succeeding in the state of not achieving a proper separation with the mother or mice; and the horse becoming of Hans shows that Hans has a state of an undeveloped emotion. The mouse becoming of Josefine and the beetle becoming of Gregore Samsa is similar to the existence situation that Kafka has encountered but this is that Kafka is implementing to another life through the de-territorialization of language. Lawrance"s turtle becoming seems that Lawrance faced the real world following an eccentrical turtle. Also the whale becoming of Captain Ahab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existential emptiness and the "transcendency impulse" of wishing to overcome it, and the literary artist"s fish becoming is thought to express fundamental unity with one target of the nature. The conscious state of the agents shown in the animal becoming that appears in the Thousand Plateau"s 10th plateau can be seen simple or uncouth, if anything it might show a state of demonical state that they talk about, and it also experience the "emptiness" and show a diverse difference until reaching to a condition where they unify the highly developed nature. Therefore these becoming is related to the humanity border zone in the human"s non-human zone that Deleuze and Guattari argues, in other words to a higher region or an below the human region. But Deleuze and Guattari can"t sufficiently evaluate the differentiation that unifies each animal becoming, therefore doesn"t seem to succeed in capturing the comprehensive importance or defining the ethics included in the becoming itself. This text evaluates the animal becoming cases that appear in the Thousand Plateau"s 10th plateau, capturing the importance that the becoming itself has and tries to take notice in how is the conscious state that is shown in them after the becoming (formation). And by examining how the body without organs or the consistency structure that is used by or possessed by the agents of these becoming is ultimately experienced, we wish to prove that the animal becoming is in the process of an awareness imperceptible-becoming.

      • KCI등재

        Beckett’s Becoming-Body without Organs and Irish

        정문영 한국영어영문학회 2008 영어 영문학 Vol.54 No.6

        This paper is a politicized reading of Beckett’s Irishness which deals with his Irishness by coupling Irish Beckett and poststructural Beckett, especially focusing on Deleuze’s reading of Beckett. It argues that Beckett’s politics and his Irishness go beyond the binary distinction of universal and historical contexts and aim at constructing a new, fully real, virtual Irish instead of a possible, or an ideal Irish. In this light, it discusses on Beckett’s Irishness in terms of the “body without organs,” terminology borrowed from Artaud by Deleuze and Guattari. And it argues that Beckett’s own, i.e., “Beckettian” way in constructing his Irishness is exactly the same method as Deleuze and Guattari’s in making body without organs. This paper reads Waiting for Godot as his first project of constituting a body without organs and examines how Beckett begins to make theatre, himself and Ireland a body without organs. It appropriates Z ˘ iz˘ek’s reading of Deleuze as well as Deleuze’s reading of Beckett and his terminologies for the purpose of revealing Beckett’s politics in making himself, Ireland, theatre bodies without organs. It is time perhaps that Ireland overwhelmed by the shock of sudden changes through the so-called Celtic Tiger sidesteps the actual context in order to find its body without organs suffocated beneath multi-layered baffling strata in social formation. Thus, this paper shows that timely Beckett’s theatre can provide the virtual space of the multiple singular potentialities where we can find a virtual and singular Irishness. This paper is a politicized reading of Beckett’s Irishness which deals with his Irishness by coupling Irish Beckett and poststructural Beckett, especially focusing on Deleuze’s reading of Beckett. It argues that Beckett’s politics and his Irishness go beyond the binary distinction of universal and historical contexts and aim at constructing a new, fully real, virtual Irish instead of a possible, or an ideal Irish. In this light, it discusses on Beckett’s Irishness in terms of the “body without organs,” terminology borrowed from Artaud by Deleuze and Guattari. And it argues that Beckett’s own, i.e., “Beckettian” way in constructing his Irishness is exactly the same method as Deleuze and Guattari’s in making body without organs. This paper reads Waiting for Godot as his first project of constituting a body without organs and examines how Beckett begins to make theatre, himself and Ireland a body without organs. It appropriates Z ˘ iz˘ek’s reading of Deleuze as well as Deleuze’s reading of Beckett and his terminologies for the purpose of revealing Beckett’s politics in making himself, Ireland, theatre bodies without organs. It is time perhaps that Ireland overwhelmed by the shock of sudden changes through the so-called Celtic Tiger sidesteps the actual context in order to find its body without organs suffocated beneath multi-layered baffling strata in social formation. Thus, this paper shows that timely Beckett’s theatre can provide the virtual space of the multiple singular potentialities where we can find a virtual and singular Irishness.

      • KCI등재

        분열분석 비평의 수사학적 탐구

        오형엽(Oh Hyung-Yup)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 No.151

        This writing tries to attain critical theorization, investigating ‘schizoanalysis’ on the viewpoint of ‘synthetic rhetoric’ to establish its footing that can progress literature study and criticism deeply. For this, we try to propose the standard of literature criticism by investigating schizoanalysis laying stress on Gilles Deleuze?Fe'lis Guattari's theory on viewpoint of rhetoric. This writing is progressed laying stress on language philosophy, special quality of art, special quality of literary language, minority literature, schizoanalytic criticism.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sees base unit of speech act as ‘enuniciation’, and enuniciation's base unit as ‘imperative’. They understands correlating sign with ‘assemblage’, introduce concept of ‘remainder’ that have called ‘frequency’ and ‘resonance’ for this.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call ‘mechanical assemblage’ and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iciation’ that these are detected within literary field ‘content’ and ‘expression’. They regards that problem of language is involved internally with politic problem, and system of signifiance and subjectivation are decided ‘system of signs’.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explains special quality of ‘plateau’ regarding ‘rhizome’. They sees special quality of art that create ‘affects' and ‘percepts’, and sees special quality of signs ‘intensive’. Gilles Deleuze seeks plan that philosophy solves problems that was absorbed with ‘affects’ and ‘percepts’ through ‘Proust's semiogy’ and ‘Kafka's expression theory’. They wishes to think language in side of ‘peculiarity’ ‘continuous variation’.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iciation’ wears form of ‘free-indirect narration’. ‘Vision’ and ‘audition’ compose suitable picture and music in writing like effect of color and sound that forms external surface of language. The minority litreature is one of the language deterritorialization. It progresses through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iciation something to use minority of language, and functions by political behavior pattern. They think a subject of language or literary as ‘impersonal self’.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handles interpretation by form of ‘symptomology’ or semiogy. When symptom discoverer or writer designates achieve activity that is semiotics. Gilles Deleuze refers to about ‘line of flight’ under proposition that literature seeks possibility of new life. Line of flight is line of creation and experiment of life. ‘Hallucination’ counts as symptoms of schizophrenia that schizoanalysis makes by main object. Gilles Deleuze?Fe'lis Guattari explain hallucination regarding ‘simulacre’. Immanent unfolding of hallucination is expressed in play of grammatical modifications. This is a hint that schizoanalysis is gone by grammatical reductions of expressed language also.

      • KCI등재

        욕망으로 흐르는 영아 놀이: 들뢰즈(Deleuze)와 가타리(Guattari)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동풀잎,신미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Deleuze와 Guattari의 욕망이론을 바탕으로 2세반 영아들의 바람 놀이의 시작과 변화 과정을 추적하며 그 속에서 형성되는 생산적인 욕망에 대해 탐구하였다. 연구자들은 Deleuze와 Guattari의 이론과 함께 5개월간 만 2세 영아들의 놀이를 참여관찰 하였으며, 담임교사와 비형식적 면담과 놀이관찰기록, 사진, 동영상, 메모 등의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바람 놀이는 영아의 몸, 바람, 종이, 리본, 선풍기 등과의 우연적이고 구성적인 배치 속에서 서로 얽히며 새로운 움직임과 놀이를 생성하였다. 또한 영아들에게 보이지 않는 바람이라는 존재가 종이와 리본 등과의 물질과 접속 및 배치되며 그들만의 감각적 체험으로 이어져 보다 창의적인 새로운 놀이들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영아들의 감각적이고 역동적인 놀이를 이끄는 에너지이자 새로운 아이디어, 그리고 끊임없이 탈주를 시도하는 힘의 원동력을 욕망으로 바라본다. 이러한 관점은 기존의 결핍된 수동적인 영아의 개념에서 벗어나 보다 생산적이고 능동적인 영아의 존재와 놀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roductive desires of 2-year-old infants during play through the initiation and transformative processes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s desire theory. We conducted participatory observations of 2-year-olds’ play activities for five months. Additionally, data were collected from informal interviews with teachers, play documentations, photographs, videos, and researchers’ notes. Play activities of 2-year-olds using wind involved the unintentional and intentional use of the wind, paper, ribbons, fans, and their bodies, which generates new movements and activities. Furthermore, play activities using paper and ribbons in the wind enriched toddlers’ sensory experiences and generated creative win play. This study considers children’s sensory and dynamic play as productive desires, which propels new ideas and a constant impulse to explore. It also The argues that we should move beyond the conventional notions of passive infancy care and seek a more productive and active understanding of infants, toddlers, and their play.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의 욕망론에 기초한 독자 욕망 탐구

        여수현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2

        The philosophy of Deleuze and Guattari is called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In traditionalphilosophy, differences were regarded as disparate, but Deleuze and Guattari saw differencespositively.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emphasizes admitting a difference in one's encounters withothers. But what's more important is to make a difference in oneself. The reader must go through aprocess of new creation from various encounters in the text. Through the process, the reader mustcreate new wrinkles of desire.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res of readers revealed in readingactivities based on the desire theory. To study the reader's reading phenomena through the conceptof desire described in the theory of desire, in section II, I explored the desire and the assemblagesof desire defined by Deleuze and Guattari, and based on the theory, in section III, I explored thereader's desire during reading.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layout about the assemblages of desire ofreading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echanical assemblages of the first axis of the desireassemblages are connected to the reader and the text's desire assemblages, the collective assemblageof enunciation are linked to creation of a reader's meaning through a signifying machine of the text. Next on, poin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the second axis of the desireassemblages, are related to questions to generate a reader's desire. Lastly, affect between the firstand second axis is related to expansion or limitation of acting capacity of a reader. We have put alot of effort into training identity in the course of reading. The exploring of the desires of readersrevealed in reading activities based on the desire theory of Deleuze and Guattari provides readerswith a way to raise themselves through the thought and realization of desire .I would like tocontribute this research to people who are studying or trying to study reading education.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은 ‘차이의 철학’이라 불린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기존 철학에서 차이를 이질적인 것으로 사유한 것과 달리, 차이를 긍정하였다. 차이의 철학에서는 타자와의 마주침에서 서로간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에게서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 독자는 텍스트에서 만나는 다양한 마주침 속에서 새로운 생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 과정을 통해새로운 욕망의 주름을 만들어내야 한다. 본 논고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론을 바탕으로 읽기 활동에드러난 독자의 욕망을 다룬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욕망 개념을 통해 독자의욕망을 연구하기 위해, Ⅱ절에서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한 욕망과 욕망 배치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Ⅲ절에서 독자의 읽기 활동에 드러난 욕망을 탐구한다. 욕망은 결코 단독으로 나타나지않고 배치 속에서 나타나는데, 배치를 이루는 두 축 중 첫 번째 축은 기계적 배치와 집단적 배치이고,두 번째 축은 탈영토화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이며, 이 두 축 사이에서 독자는 감응하거나 감응된다. 읽기 욕망의 배치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욕망 배치의 첫 번째 축 중 기계적 배치는 독자와텍스트의 욕망 배치와 접속되고, 집단적 배치는 텍스트의 기표 기계(또는 기표적 자극제)를 통한 독자의 의미 생성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욕망 배치의 두 번째 축인 탈영토화의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은 독자의 욕망 생성을 위한 질문과 관련된다. 마지막으로 첫 번째 축과 두 번째 축 사이의 감응은 독자 행위용량의 확장 또는 제한으로 이어진다. 우리는 독서 과정에서 주체성을 길들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론을 바탕으로 한 독자의 욕망 탐구는 독자 욕망에 대한 사유와 깨달음을 불러 일으킨다. 본 연구를 읽기 교육을 진정으로 실천하고 연구하고 있는, 혹은 연구하려는 이들에게 기여하고 싶다.

      • KCI등재

        ‘앙가주망’에서 ‘소수문학’으로 - 사르트르, 들뢰즈·가타리의 문학 사용법

        변광배 ( Byun Kwangbai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6 No.-

        2차 세계대전 직후 사르트르는 『문학이란 무엇인가』를 통해 이른바 ‘참여문학론’, 즉 문학의 ‘앙가주망’을 제시한다. 이 문학론에서 문학의 근간인 쓰기 행위는 드러내기, 고발하기, 변화하기와 동의어로 이해된다. 사르트르는 쓰기 행위에 배태된 자유와 부정성의 정신에 주목한다. 문학은 이와 같은 정신을 바탕으로 작가가 속해 있는 사회의 지배세력과 항상길항 관계에 놓이게 된다. 여기에는 이 작가가 성실한 태도로 쓰기 행위를 수행한다는 조건이 따른다. 사르트르에게서 문학은 지배세력에 의한 억압과 폭력이 없는 ‘유토피아’의 건설을 지향한다. 이처럼 사르트르는 문학을 한 사회의 구성원들 모두가 완전한 자유를 누리는 것을 가능케 해주는 ‘전체’로 여기는 입장을 취한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는 점차 다원화되어 간다. 그 구성원들의 욕망이 다양하게 분출되며, 이처럼 다양하게 분출된 욕망을 단순히 지배-피지배세력, 또는 부르주아-프롤레타리아의 구분과 같은 대립 구도로 이해하기 힘들게 된다. 게다가 이런 욕망을 통제하기 위한 권력의 파시즘적 작용은 더욱교묘해진다. 이와 같은 권력에 맞서 문학은 사회 변혁에의 기여 가능성 문제에 다시 한번부딪치게 된다. 들뢰즈와 가타리가 주창한 ‘소수문학’ 개념이 그 좋은 예이다. 문학의 위기감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는 지금, 그리고 유토피아와는 거리가 먼 현대 사회에서 사르트르와 들뢰즈·가타리가 문학에 부여한 사회변혁적 기능을 비교, 검토하는 일은 문학의 미래에 대한 성찰과도 무관하지 않은 일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volution of the usage of literature in consideration of Sartre``s literary ‘Engagement’ and also Deleuze/Guattari``s ‘Minor Literature’. In fact, it is just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at Sartre estabilished a theory of literary ‘Engagement’. The presence of the enemy that should be defeated is so real in this time. One can list, among others, Germany, the Collaborators and the bourgeois class, etc. This is followed by the Manichaean attitude of Sartre by which litterature must be ‘All’, that is to say, literature must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total man’ and the construction of Utopia. Nontherless, this Sartrean attitude towards literature weakens over time. It is around the May 1968 that Deleuze/Guattari raise the following question : what can literature do still socially? This question is significant, especially since this time was a debut of a literary crisis. In this situation, Deleuze/Guattari attempted to establish the theory of ‘Minor Literature’. This theory focuses on the destructive power of the minor language, therefore the political and revolutionary function of literature. Between these two usages of literature, there ar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The Sartrean commitment aims at a total revolution, while Deleuez/Guattari``s ‘Minor Literature’ does a molecular revolution. Paradoxically, also occur the limitations of these two usages of literature : contrary to that literature is power-weakened in Sartre because of its overload and overestimation, literature can suffer from a practical impuissance of the minor language in Deleuze/Guattari. Despite all this, the meaning of these two usages of literature is not insignificant exactly in the aspect that they show a path on which literature plays a role as the watchman of our time called as the critcal time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의 "되기" 이론으로 살펴 본 장 쥬네의 <하녀들>

        김효 ( Hyo Kim ) 한국연극학회 2008 한국연극학 Vol.0 No.36

        Comme Kate Millet, auteur de Sexual Politics, l`a bien estime, Genet est un auteur qui revele, a travers ses personnages, les phenomenes socio- psychologiques des gens oppresses qui se placent en marge de la societe. Cet article a pour objet de faire des investigations sur la correspondance correlative entre l`aspect du mimesis que Genet a montre a travers Les Bonnes et le discours que Deleuze et Guattri ont deploye a propos du `devenir`. Comme les autres personnages de Genet, les deux bonnes, Claire et Solange desirent se liberer d`une vie quotidienne qui les contraint a des roles sociaux malgre eux et revent de devenir d`autres personnes de la vie reelle. Voila pourquoi elles inventent en secret leur jeu a elles seules ou leurs desirs sont representes hors de la censure reelle. Genet d`ailleurs oppose la scene a la vie, car la scene est un lieu ou toutes les libertes sont possibles. Cette argumentation nous parait evidente dans la mesure ou nous pouvons faire tout ce que nous desirons dans l`espace imaginaire du jeu scenique. Cependant, Genet explore, a travers Les Bonnes, quelles sont les situations ou le jeu n`est plus libre. L`entrave qui empeche le jeu d`etre une action libre est le desir qui ne se debarasse pas du `regime` du code investi par le paradigme etabli. En prenant le terme de Deleuze/Guattari, on peut dire que Genet demontre comment le desir des bonnes est `territorialise` au niveau molaire. Deleuze/Guattari definit imitation de passer sur l`instance molaire, par contre un devenir, du changement sur l`instance molaiculaire. Enfin, Solange se deterritorialise du `regime` du code en se faisant criminel meurtrier. Deleuze/Guattari a appele `devenir` cette deterritorialiation de du `regime` du code dominant. A travers cet article, on est arrive a decouvrir que Genet est un auteur precursseur qui a trouve avant Deleuze/Guattari la possibilite d`etre suave dans devenir.

      • KCI등재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에 기반한 ‘독자 되기’ 고찰

        여수현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3

        들뢰즈와 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독자 되기’ 현상을 다루는 본 논고는 독자 그 자체가 아니라 생성 에 주목한다. ‘기관 없는 신체에서 독자 되기’에 대한 고찰을 위해 ‘기관 없는 신체’와 ‘되기’ 각각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들뢰즈와 가타리 철학에서 바라본 ‘독자’란 어떤 독자인지 탐구한다. 들뢰즈와 가타리에 의하면 ‘기관 없는 신체’란 기관’을 단순히 없앤 신체가 아니라 ‘유기체적인 신체’ 로 한정되지 않는 보다 폭넓은 변용역량을 가진 신체로서, 어떤 기관도 고착되지 않은 순수한 잠재성 의 상태를 뜻한다. 그리고 이 기관 없는 신체를 느끼며 끝없는 반복 속에서 자기 자신을 변형시켜 나 가는 것을 ‘되기’라고 보았다. 본 논고에서 ‘기관 없는 신체’와 ‘되기’의 개념을 바탕으로 바라본 독자 는 들뢰즈가 말한 유목민이자 다양체로서, 미리 정해진 길을 따라 걷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나아가면 서 길을 만드는 자이다. 독자는 ‘되기’로서의 독서 과정을 통해 필자와의 만남, 텍스트와의 만남, 더 나 아가 다른 세계와의 만남을 하게 된다. 이 때 독서는 독자 밖의 절대적 기준에 의해 평가될 수 없으며, 되기 그 자체가 지닌 강도적 역량에 의해 매 순간 평가될 수 있을 뿐이다. 이상의 ‘기관 없는 신체’, ‘독자’, ‘되기’의 의미를 기저로 본 논고는 ‘기관 없는 신체에서 독자 되기’ 현상을 고찰한다. 이 현상의 시간적 계열을 언어 맥락, 독자 맥락, 상황 맥락, 사회 맥락 순으로 탐구하고 이에 대한 접근 방식을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한 ‘임’과 ‘됨’의 차이를 바탕으로 논한다. 독자 되기 과정은 독자 ‘임’의 본질적 측면보다는 독자 ‘됨’의 생성적 측면에 주목함으로써 이 과정 자체가 하나의 사건으로 파악되어야 한 다. 이는 ‘되기’라는 개념적 도구를 활용하여 ‘기관 없는 신체’가 ‘독자’로 변환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 써 독자를 이해함을 뜻한다. 이 논고를 시작으로 한국초등교육에서 진정한 ‘독자 되기’ 과정을 탐구하 는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This paper with the phenomenon of ‘becoming a reader’ based on the philosophies of Deleuze and Guattari pays attention to creation, not to a reader himself. We look at each meaning of a ‘corps sans organs’ and a ‘becoming’, based on this, we will look at a 'reader' based on the philosophies of Deleuze and Guattari. According to Deleuze and Guattari, a ‘corps sans organs’ is not a body that simply eliminates the organ. It is a body with a wider range of metamorphic abilities that are not limited to a "organic body, as a condition of pure potential with no organ stuck. And they define to transform oneself in endless repetition while feeling the a ‘corps sans organs’ as a ‘becoming’. In this thesis, a reader based on a concept of a ‘corps sans organs’ and a ‘becoming’ is nomadic people and multiplicity that Deleuze said, don’t walk along a predetermined path, but make a path by going on one's own. A reader will meet with the writer, with the text, and even with the world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 as a ‘becoming’. Reading cannot be assessed by absolute standards outside a reader at this time, but it can only be evaluated by the intensity of its own power. After exploring the time lines of this phenomenon in order of language context, reader context, situation context, and social context, we will consider the approach to this phenomenon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re’ and ‘devenir’ that Deleuze and Guattari said. The process of becoming a reader should be identified as an event in itself by paying attention to the generative aspects of a reader 'devenir' rather than to the essential aspects of a reader 'tre'. This means understanding a reader by using a conceptual tool called 'becoming' to look at the process of a 'corps sans organs' being transformed into a 'reader'. Starting with this thesis, I hope that research will continue to explore the true process of a ‘becoming a reader’ in Korea Elementary Education.

      • KCI등재

        들뢰즈 철학에 나타난 성(性)과 신체의 문제

        정익순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4 철학탐구 Vol.16 No.-

        들뢰즈 철학에는 많은 명령어와 용어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들뢰즈의 철학은 서구 전통 형이상학에 기본 토대를 두고 다양한 학문적 분야를 두루 섭렵한 결과의 산물이다. 이 논문은 들뢰즈가 철학적 재현의 문제를 다룬 여러 가지 분야 중에서 성과 신체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성과 신체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들뢰즈의 주요 저작인 『의미의 논리』와 『앙티 오이디푸스』에 대한언급이 필수적이다. 『의미의 논리』에서 들뢰즈는 기본적으로 '사건'을 다루고 있다. 사건이 던져주는 심층적인 즐거움은 의미와 무의미의 놀이와 사건을 통한 다양한 만남이다. 사건은 서구 철학의 형이상학이 어떻게 특이한 방식으로 전개되는가와 역설의 계열로 구성되는가에 달려 있다. 들뢰즈는 사건과 의미를 동시에 사유함으로써 서양철학을 한 차원 높이 끌어 올린다. 『앙티 오이디프스』에서 들뢰즈와 가타리는 독자적인 철학적 견지에서 현대 문명을 비판하고 정신분석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고 있다. 특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비판하면서 인간의 성적 충동의 원인과 욕망하는 기계 그리고 유목민적 주체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사유에 대한'탈주의 선'을 보여주고 있다. 들뢰즈 읽기는 우회의 논리와 새로운 지형의 확립에 대한 철학을 배우는 것이다. 과거의 철학을 현대적인 의미로 재해석 하는 것과 그것을 통해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것은 새로운 사회의 장을 만들어 보려는 들뢰즈의 욕망이며 철학이다.우리는 인간의 내면과 외면을 탐색하고 언어의 장으로 사유의 선을 그리게 된다. In Deleuze's philosophy there are a lot of decrees and terms existed. The philosophy in Deleuze is based on the traditionally western metaphysics and it is derived from the production of various studying fields that he devoted himself to.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sexuality and body that Deleuze studied for the representation of problems in philosophy. In order to deal with them, we must discuss his major works, The Logic of Sense and Anti-Eedipus. In The Logic of Sense, Deleuze basically treats the event The deep pleasure the event gave is an encounter through sense and nonsense of game and event And the event depends on the way how metaphysics is singularly developed in the western philosophy and how the structure of it is made up in the series of paradox. Deleuze had in mind the event and sense at the same time so that he drew the western philosophy up in its scale. In Anti-0deipus, Deleuze and Guattari, with their particular point of view, criticized modem civilization and newly opened the horizon for the psychology. Especially, criticizing Freud's psychology, they taught us the line of flight to analyze the cause of human's sexual motivation, desiring machine and nomadic subject The reading of Deleuze means to learn about the logic of detour and establishing new territory of philosophy. It is Deleuze's philosophy and desire that we can reinterpret the past philosophy into modem sense and open new field where we make new locus of society. Therefore, we can explore the human mind inside and outside and map the line of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