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독자 자아에 대한 이해-들뢰즈 철학의 시뮬라크르(simulacre) 개념을 기반으로-

        여수현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3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reader’s self in the course of text reading process basedon the concept of simulacre in the philosophy of Gilles Deleuze(1925-1995). The goal of this paperis to find a new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reader’s self through text reading, as well as thedirection in which reading education should move. Chapter II explores a 'reader', 'text' and 'reading'as simulacr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imulacre. Simulacre, meaning an eventthat has no consistency with persistence but can give change and meaning to human life, can act asan important mechanism for reader to self-understand through text reading. Chapter III explores thereader’s self in three aspects : plurality, passivity and potential. The reader's self is not fixed as onefrom the beginning, but has a pluralistic character in that it is broken up into fragments. And it ispassive in that defined only under the form of time. Also, it has potential in that it cannot betrapped in a fixed form of identity. Based o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reader self, ChapterIV deals with the meaning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simulacre. Reading education to express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er self based on simulacre is oriented toward reading as creative copy,creating differences, and assemblage. Reader’s self aims to ‘read as a creative copy' based on fuite,’read as difference creation’ as a venue for creating differences and recognizing diversity and ‘readas a assemblage’ that will have a variety of features and functions. The reader self has a dynamic andidentity that goes beyond its ideology to form a new reader's self. The reader self is a creation thatis distinctly distinct from the imitation or reproduction of ideologies. I hope this paper, whichattempts to explore the reader's self through text reading based on Deleuze's Simulacre, will be thefirst step toward opening a new horizon in reading education. 본 논고는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 철학의 시뮬라크르(simulacre) 개념을 바탕으로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독자 자아에 대해 탐구하는 시도이다. 본 논고의 목표는 텍스트 읽기를 통해 변화하는 독자 자아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더불어 읽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는 데 있다. Ⅱ장에서 시뮬라크르에 대한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시뮬라크르로서 ‘독자’, ‘텍스트’, 그리고 ‘읽기’를 탐구한다. 지속성과 동일성이 없으면서 인간의 삶에 변화와 의미를 줄 수 있는 사건을 의미하는 시뮬라크르는 독자가 텍스트 읽기를 통해 자아 이해를 하는 중요한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 Ⅲ장에서 독자 자아를복수성, 수동성, 잠재성의 세 측면으로 탐구한다. 독자 자아는 처음부터 하나로 고정된 것이 아니며 파편으로 해체된다는 점에서 복수성을 띠고, 시간의 형식 아래에서만 규정된다는 점에서 수동성을 띠며,고정된 동일성의 형상에 갇힐 수 없다는 점에서 잠재성을 띤다. 독자 자아의 이러한 세 가지 특성을바탕으로 Ⅳ장에서 시뮬라크르에 기반한 읽기 교육적 함의를 들여다본다. 시뮬라크르에 기반한 독자자아의 특성을 발현하기 위한 읽기 교육은 창조적 복제, 차이 생성, 그리고 배치로서 읽기를 지향한다. 독자 자아는 하나의 동일성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탈주를 기반으로 하는 ‘창조적 복제로서 읽기’를,끝없는 변화 속에서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차이 생성으로서 읽기’를, 독자가 어떤 배치 속에 놓이느냐에 따라 무수히 많은 모습과 기능을 가지게 되는 ‘배치로서 읽기’를 지향한다. 독자 자아는 ‘나의본질’, ‘나의 근원’을 탐색하여 발견된 무엇이 아니라, 그 이데아를 뛰어넘어 새로운 독자 자신을 형성해가는 역동성과 정체성을 지닌다. 독자 자아는 이데아에 대한 흉내나 복제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또하나의 독창적인 창조인 것이다. 텍스트 읽기를 통한 독자 자아에 대한 탐구를 들뢰즈의 시뮬라크르를토대로 시도하는 본 논고가 읽기 교육의 새 지평을 위한 첫걸음이 되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텍스트 이해와 추상기계의 유목성 -텍스트 이해에 대한 거시적 접근 관점 고찰-

        여수현,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9

        Purpose: This paper explores the macro perspective of readers’ perception of text understanding.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nomadism in the abstract machine(machine abstratie). Results: This abstract machine has the state apparatus(appaveil d’Etat), the war machine (machine de guerre), and the original state(Urstaat) as constituent elements. The state apparatus is a unified stream of consciousness, and the war machine is a creative stream of consciousness. The original state is the changing stream of consciousness through their negotiation. Nomadism is an attribute of the changing consciousness of the original state.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reflects thes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tate apparatus, the reader has to find a fixed meaning for each part of the text, like a changgi(korean chess). In terms of the war machine, the reader has to create new meanings in each part, like Go(paduk). Readers who follow the state apparatus in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text borrow meanings with borrowed power. Readers who follow the war machine, on the other hand, use their abilities to create meaning. To understand the text, reader need a connection between these two attributes, just like the the original state. Conclusion: An improvement in the reader's ability to understand texts occurs when based on nomadism. 목적: 이 논문은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대한 인식의 거시적 관점을 탐구한다. 방법: 이 논의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추상기계’의 유목성 개념에 기초를 둔다. 결과: 이 추상기계는 국가장치, 전쟁기계, 원국가를 구성소로 갖는다. 국가장치는 대상을 하나의 중심으로 수렴하는 전체적이고 통일적으로 인식하는 의식의 흐름이다. 전쟁기계는 중심에서 탈주하는 창조적이고 유연하게 인식하는 의식의 흐름이다. 원국가는 국가장치와 전쟁기계의 교섭으로 변이하는 의식의 흐름이다. 유목성은 원국가의 변이하는 의식의 속성이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의 활동은 추상기계의 속성을 내포한다. 국가장치의 면에서 보면, 정해진 코드값을 갖는 말로 게임을 하는 장기와 같이 독자는 텍스트 각 부분의 정해진 의미를 찾아야 한다. 전쟁기계의 면에서는 정해진 코드값이 없는 돌로 게임을 하는 바둑과 같이 독자는 새로운 의미를 생성해야 한다. 텍스트 이해 역량에서, 국가장치의 측면에서 독자는 권력을 차용하여 의미를 수용한다. 전쟁기계의 측면에서 독자는 주체적인 능력으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한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를 위해서는 원국가와 같이 이들 두 속성의 접속이 필요하다. 결론: 독자의 중심성이 있는 텍스트 이해는 탈주하는 외부성과의 접속으로 변이한다. 이 변이하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유목성이 내재한다.

      • KCI등재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에 기반한 ‘독자 되기’ 고찰

        여수현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3

        들뢰즈와 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독자 되기’ 현상을 다루는 본 논고는 독자 그 자체가 아니라 생성 에 주목한다. ‘기관 없는 신체에서 독자 되기’에 대한 고찰을 위해 ‘기관 없는 신체’와 ‘되기’ 각각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들뢰즈와 가타리 철학에서 바라본 ‘독자’란 어떤 독자인지 탐구한다. 들뢰즈와 가타리에 의하면 ‘기관 없는 신체’란 기관’을 단순히 없앤 신체가 아니라 ‘유기체적인 신체’ 로 한정되지 않는 보다 폭넓은 변용역량을 가진 신체로서, 어떤 기관도 고착되지 않은 순수한 잠재성 의 상태를 뜻한다. 그리고 이 기관 없는 신체를 느끼며 끝없는 반복 속에서 자기 자신을 변형시켜 나 가는 것을 ‘되기’라고 보았다. 본 논고에서 ‘기관 없는 신체’와 ‘되기’의 개념을 바탕으로 바라본 독자 는 들뢰즈가 말한 유목민이자 다양체로서, 미리 정해진 길을 따라 걷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나아가면 서 길을 만드는 자이다. 독자는 ‘되기’로서의 독서 과정을 통해 필자와의 만남, 텍스트와의 만남, 더 나 아가 다른 세계와의 만남을 하게 된다. 이 때 독서는 독자 밖의 절대적 기준에 의해 평가될 수 없으며, 되기 그 자체가 지닌 강도적 역량에 의해 매 순간 평가될 수 있을 뿐이다. 이상의 ‘기관 없는 신체’, ‘독자’, ‘되기’의 의미를 기저로 본 논고는 ‘기관 없는 신체에서 독자 되기’ 현상을 고찰한다. 이 현상의 시간적 계열을 언어 맥락, 독자 맥락, 상황 맥락, 사회 맥락 순으로 탐구하고 이에 대한 접근 방식을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한 ‘임’과 ‘됨’의 차이를 바탕으로 논한다. 독자 되기 과정은 독자 ‘임’의 본질적 측면보다는 독자 ‘됨’의 생성적 측면에 주목함으로써 이 과정 자체가 하나의 사건으로 파악되어야 한 다. 이는 ‘되기’라는 개념적 도구를 활용하여 ‘기관 없는 신체’가 ‘독자’로 변환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 써 독자를 이해함을 뜻한다. 이 논고를 시작으로 한국초등교육에서 진정한 ‘독자 되기’ 과정을 탐구하 는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This paper with the phenomenon of ‘becoming a reader’ based on the philosophies of Deleuze and Guattari pays attention to creation, not to a reader himself. We look at each meaning of a ‘corps sans organs’ and a ‘becoming’, based on this, we will look at a 'reader' based on the philosophies of Deleuze and Guattari. According to Deleuze and Guattari, a ‘corps sans organs’ is not a body that simply eliminates the organ. It is a body with a wider range of metamorphic abilities that are not limited to a "organic body, as a condition of pure potential with no organ stuck. And they define to transform oneself in endless repetition while feeling the a ‘corps sans organs’ as a ‘becoming’. In this thesis, a reader based on a concept of a ‘corps sans organs’ and a ‘becoming’ is nomadic people and multiplicity that Deleuze said, don’t walk along a predetermined path, but make a path by going on one's own. A reader will meet with the writer, with the text, and even with the world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 as a ‘becoming’. Reading cannot be assessed by absolute standards outside a reader at this time, but it can only be evaluated by the intensity of its own power. After exploring the time lines of this phenomenon in order of language context, reader context, situation context, and social context, we will consider the approach to this phenomenon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re’ and ‘devenir’ that Deleuze and Guattari said. The process of becoming a reader should be identified as an event in itself by paying attention to the generative aspects of a reader 'devenir' rather than to the essential aspects of a reader 'tre'. This means understanding a reader by using a conceptual tool called 'becoming' to look at the process of a 'corps sans organs' being transformed into a 'reader'. Starting with this thesis, I hope that research will continue to explore the true process of a ‘becoming a reader’ in Korea Elementary Education.

      • KCI등재

        사유의 형식과 독자의 텍스트 이해 특성 고찰 - 들뢰즈와 가타리의 사유의 형식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

        여수현,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3 No.-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is based on the form of thought. Property of text comprehension vary depending on which form of thought the reader chooses. In this paper,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forms of thought of Deleuze and Guattari, we explore three forms of thought related to the reader's text reading. The first form of thought is ‘forced thought’, which captures and binds the people’s thoughts in a magical way. The second form of thought is ‘submissive thought’, which seeks to become a master through obedience. The third form of thought is ‘nomadic thought’ formed through connection with the environment. These thought forms act on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 first is text understanding that seeks totality resulting from forced thought. The second is text understanding that seeks subjectivity resulting from submissive thinking. The third is text understanding that seeks to create a difference resulting from nomadic thinking. The reader must recognize the form of thought that his or her understanding of the text came from. Reading education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reader's text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form of thought.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사유의 형식에 기초한다. 독자가 어떠한 사유의 형식으로 이해를 전개하는가에 따라 텍스트 이해의 속성은 달라진다. 본 논의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천 개의 고원』의 12장에서 논의한 사유의 형식을 토대로, 독자의 읽기에 작용하는 세 가지 사유의 형식을 거시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첫째는 강요된 사유이다. 사람들의 사유를 마법적인 방식으로 포획하며 속박하는 사유이다. 둘째는 복종적 사유이다. 개별적인 사유를 지향하지만 그 실체는 복종을 통해 주인이 되려 하는 사유이다. 셋째는 유목적 사유이다. 매끄러운 공간에서 부딪히는 환경과의 접속으로 형성되는 사유이다. 각각의 사유의 형식은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작용한다. 첫째는 전체성 지향의 텍스트 이해로 제국적 사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통일된 보편성을 추구하는 이해이다. 둘째는 주체성 지향의 텍스트 이해로 계약적 관계에서 비롯된 전문가의 해석에 동의하면서 동시에 자유로운 정신적 사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는 이해이다. 셋째는 유목성 지향의 텍스트 이해로 국가-형식의 사유를 벗어난 유목적 사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차이 그 자체인 의미를 생성하는 이해이다. 독자는 자기의 텍스트 이해가 어떠한 사유의 형식을 바탕으로 하는지 인식해야 한다. 읽기 교육에서도 사유의 형식에 따른 읽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KCI등재

        독자의 텍스트 이해 공간 생성 고찰 -들뢰즈와 과타리의 유목적 전쟁기계 논의를 중심으로-

        여수현,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3

        목적: 이 연구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를 위한 유목적 공간 생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방법: 들뢰즈와 과타리가 천 개의 고원 에서 논의한 유목적 전쟁기계를 토대로 한다. 결과: 독자는 텍스트를 읽으면서 마음속에 텍스트의 공간을 생성한다. 독자의 공간 생성은 텍스트를 이루고 있는 낱말 등 구성 요소에서 비롯된다. 텍스트는 구성 요소 뒤쪽이나 사이에 주름진 공간을 품고 있다. 독자가 마음속에 펼지는 공간에는 텍스트 이해에 필요한 모든 것이 들어 있다. 독자는 마음속에 펼친 공간에서 특정 경로로 이동하면서 여러 대상을 촉감적으로 지각한다. 그렇기에 독자가 펼치는 공간은 고착된 공간이 아니라 유목적 공간이다. 독자는 이 공간을 자기만의 지각으로 공통적이거나 동일한 영토화에서 벗어나 탈영토화를 한다. 이 탈영토화는 공간 속의 대상과 장소를 감각적으로 지각하고, 국지적으로 집중하여 독자만의 이해 속도와 강도를 갖게 한다. 결론: 이로써 독자는 이 유목적 공간에서 고유한 의미를 생성한다.

      • KCI등재

        CT 혈관 조영술을 이용한 잔류 원시 후각동맥의 진단: 증례 보고

        여수현,노병학,김일만,장혁원,손철호 대한영상의학회 2009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1 No.3

        A persistent primitive olfactory artery is a rare vascular anomaly and is incidentally found without any associated symptom for the most part. However, it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view of its high associ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erebral aneurysms occurring at the hairpin turn. We present a case of a persistent primitive olfactory artery incidentally diagnosed by a CT angiography as well as a literature review of related previous articles. 잔류 원시 후각동맥은 드문 혈관 이상이며 대부분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된다. 하지만, 뇌동맥류의 발생과 깊은 연관성 때문에 임상적 중요성을 갖는다. 저자들은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혈관조영술로 우연히 진단된 잔류 원시 후각동맥의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한다.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의 욕망론에 기초한 독자 욕망 탐구

        여수현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2

        The philosophy of Deleuze and Guattari is called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In traditionalphilosophy, differences were regarded as disparate, but Deleuze and Guattari saw differencespositively.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emphasizes admitting a difference in one's encounters withothers. But what's more important is to make a difference in oneself. The reader must go through aprocess of new creation from various encounters in the text. Through the process, the reader mustcreate new wrinkles of desire.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res of readers revealed in readingactivities based on the desire theory. To study the reader's reading phenomena through the conceptof desire described in the theory of desire, in section II, I explored the desire and the assemblagesof desire defined by Deleuze and Guattari, and based on the theory, in section III, I explored thereader's desire during reading.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layout about the assemblages of desire ofreading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echanical assemblages of the first axis of the desireassemblages are connected to the reader and the text's desire assemblages, the collective assemblageof enunciation are linked to creation of a reader's meaning through a signifying machine of the text. Next on, poin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the second axis of the desireassemblages, are related to questions to generate a reader's desire. Lastly, affect between the firstand second axis is related to expansion or limitation of acting capacity of a reader. We have put alot of effort into training identity in the course of reading. The exploring of the desires of readersrevealed in reading activities based on the desire theory of Deleuze and Guattari provides readerswith a way to raise themselves through the thought and realization of desire .I would like tocontribute this research to people who are studying or trying to study reading education. 들뢰즈와 가타리의 철학은 ‘차이의 철학’이라 불린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기존 철학에서 차이를 이질적인 것으로 사유한 것과 달리, 차이를 긍정하였다. 차이의 철학에서는 타자와의 마주침에서 서로간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에게서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 독자는 텍스트에서 만나는 다양한 마주침 속에서 새로운 생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 과정을 통해새로운 욕망의 주름을 만들어내야 한다. 본 논고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론을 바탕으로 읽기 활동에드러난 독자의 욕망을 다룬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욕망 개념을 통해 독자의욕망을 연구하기 위해, Ⅱ절에서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한 욕망과 욕망 배치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Ⅲ절에서 독자의 읽기 활동에 드러난 욕망을 탐구한다. 욕망은 결코 단독으로 나타나지않고 배치 속에서 나타나는데, 배치를 이루는 두 축 중 첫 번째 축은 기계적 배치와 집단적 배치이고,두 번째 축은 탈영토화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이며, 이 두 축 사이에서 독자는 감응하거나 감응된다. 읽기 욕망의 배치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욕망 배치의 첫 번째 축 중 기계적 배치는 독자와텍스트의 욕망 배치와 접속되고, 집단적 배치는 텍스트의 기표 기계(또는 기표적 자극제)를 통한 독자의 의미 생성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욕망 배치의 두 번째 축인 탈영토화의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은 독자의 욕망 생성을 위한 질문과 관련된다. 마지막으로 첫 번째 축과 두 번째 축 사이의 감응은 독자 행위용량의 확장 또는 제한으로 이어진다. 우리는 독서 과정에서 주체성을 길들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론을 바탕으로 한 독자의 욕망 탐구는 독자 욕망에 대한 사유와 깨달음을 불러 일으킨다. 본 연구를 읽기 교육을 진정으로 실천하고 연구하고 있는, 혹은 연구하려는 이들에게 기여하고 싶다.

      • KCI등재

        고관절 통증에서 초음파검사의 유용성

        여수현,이성문,조길호 대한초음파의학회 2013 ULTRASONOGRAPHY Vol.32 No.1

        The causes of hip pain are variable, and, due to its size and deep position, complete physical examination is often difficult. In the past, ultrasonography (US) for the hip was mainly performed in order to rule out developmental hip dysplasia in infants or for evaluation of joint effusion. Now, however, US of the hip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useful modality in patients with hip pain and is commonly used in both adults and children. Joint effusion, bursitis, tendinosis or tendon tear, and acetabular labral tear can be main targets. Dynamic study for snapping hip is another unique advantage of US. In addition, US is very useful for guided procedures - aspiration, biopsy, or injection. In this review, the authors will discuss US findings of these common lesions with a brief review of anatomy. 고관절 통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관절의 크기가 크고 깊이 위치한 관계로 이학적 검사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고관절 초음파검사는 과거에는 주로 영아의 고관절 발달이형성증을 검사하거나 관절삼출액의 유무와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고관절 통증의 진단에 초음파검사의 유용성이 입증되어 어린아이뿐만 아니라 성인의 고관절 검사에도 많이 이용되고있다. 관절삼출액, 활액낭염, 힘줄증이나 힘줄의 찢김, 비구순열상 등의 진단이 초음파검사의 주요한 적응증이며특히 발음성고관절에서 동적검사가 가능하다는 것이 초음파의 큰 장점중의 하나이다. 또한 초음파유도하 흡인, 생검, 주사 등의 시술도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저자들은고관절 통증을 일으키면서 초음파검사가 유용한 주요 구조물들의 병변을 중심으로 간단한 해부학적 고찰과 함께초음파소견을 설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 배틀 엔젤> 분석 - 욕망, 되기, 탈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

        여수현 ( Yeo¸ Soo H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논고는 들뢰즈·가타리의 철학을 바탕으로 예술이 생성해낼 수 있는 삶에 대한 사유를 <알리타: 배틀 엔젤>(2019, Robert Rodriguez)을 통해 탐구한다. 본 논고의 목표는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관념의 동종성을 거부하고, 일원적 중심성으로부터의 탈주하는 삶을 들여다보는 데 있다. 우선 Ⅱ절에서 기계, 배치, 욕망의 세 가지 개념을 논리적으로 풀어나가며 ‘욕망하는 기계’로서 알리타를 분석한다. 들뢰즈·가타리는 모든 행위 주체를 가리켜 ‘기계’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주체는 다른 것들과 접속함으로써 그 자신의 속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기계들이 접속하여 선을 이루고 나아가 면을 이루면, 그 장을 가리켜 ‘배치’라고 하는데, 이러한 배치를 이루는 모든 기계가 바로 ‘욕망하는 기계’이다. 알리타의 욕망을 배치의 두 축인 ‘기계적 배치와 집단적 배치’, ‘탈영토화의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 그리고 두 축 사이의 ‘감응’으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Ⅲ절에서 알리타의 욕망의 흐름을 ‘-되기’의 과정에서 풀어본다.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욕망은 ‘-되기’가 발현되기 위한 힘 자체이다. ‘-되기’를 통해 알리타의 자아는 분산되고, 해체됨으로써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을 띠게 된다. 이는 알리타가 지향해야 할 본질적 속성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알리타의 생성적 속성이 발현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Ⅳ절에서 ‘-되기’를 통해 발산되는 알리타의 존재 역량이 ‘탈주’로 드러남을 확인한다. 알리타의 욕망, 그리고 그 욕망의 흐름인 ‘-되기’는 세계에 틈새를 생성하는 ‘탈주’를 향하게 된다. 소위 ‘탈주’라 하면 문제 상황으로부터의 회피를 의미하지만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탈주’는 발산적인 행위 역량이 결부된 차이 생성의 운동으로 ‘나’라는 존재자를 확인하는 관문을 의미한다. 알리타 존재가 지닌 함의를 ‘탈주’로 탐구함으로써 그것이 내포한 진리를 밝혀본다. 이상으로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배틀 엔젤> 분석을 시도하는 본 논고는 ‘기계’라는 개념 규정에서 출발한 알리타 존재의 의미가 ‘탈주’를 통해 확인된다는 점, 그리고 이는 탈위계적 세계를 생성하는 힘이 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thoughts of life that art can create through < Alita: Battle Angel(2019, Robert Rodrigues) >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Guattari.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ject the sympathy of the idea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and to look into the fuite from the monolithic centrality. First of all, in Section II, the three concepts of machine, agencement and desire are logically solved and Alita is analyzed as ‘a machine of desire’. Deleuze·Guattari refer to acting subject as ‘machine’. The reason is that the subject changes its own attributes by connecting with others. When these machines connect, form lines, and then form faces, the space is called ‘agencement’. Every machine that makes this agencement is a 'machine of desire'. Alita's desires are analyzed by two axes of agencement,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ciation and machined assemblage’, ‘poin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lines’, ‘affect’ between the two axes. Next, in Section III, we explore the flow of Alita's desires in the process of ‘devenir’.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desire is the power itself to express ‘devenir’. Through 'devenir', Alita's ego is dispersed and disintegrated, giving it the potential to become any form. This mean that Alita's creative attribute is expressed. Finally, it is confirmed in Section IV that Alita's ability to exist through 'devenir' is revealed as 'fuite'. Alita's desire, and ‘devenir’ are directed toward the ‘fuite’ that creates a niche in the world. The so-called ‘fuite’ means avoidance from a problem situation, but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fuite’ means a gateway to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I" as a movement to create differences involving the ability to releasable act.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lita's existence as ‘fuite’ to reveal the truth it implies. This paper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lita, which started from the concept regulation of ‘machine’, was confirmed through ‘fuite’, which became a force to produce a Nonhierarchical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