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교육과 학교기획: 그 실험정신의 구현

        손종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conceptualize alternative education and school planning, and devise the principles of school system operation, which realizes their experimental mind. First, it discussed about the basic premise and educational principles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the experimental mind of alternative education. Here, the alternative school and its faculty argued that the ‘guarantee of educational validity’ in educational ideology and methodology must be questioned over and over. Next, it attempted to newly conceptualize the idea of alternative education, characteristic, school planning, faculty, and educational power of alternative school. With the intention to discuss about the operation of alternative school system based on the conceptual awareness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school planning, it established the basic principles of school operation, as well as the practice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ower structure of alternative school.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lternative schools can reflect its nature and plan schooling creatively. Through this, it can devise a framework that converts abnormality in the existence of previous school education to normal. School planning in alternative school focuses on autonomous oper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alternative education, within the range that doesn’t violate student selection – curriculum operation – graduation condition, and the Education Act. Autonomy in curriculum is its core value. Alternative schools are evaluated for their faithfulness, ‘process of education’ and relevance of result as schooling system by a public evaluation organization, as long as they are public schools. In this case, the evaluation is on whether they demonstrate the autonomy of educational planning and yield educational power. ‘School’s educational power structure’ consists of faculty’s educational enterprising ability, school’s administrative support ability, and internal evaluation mechanism that leads public and open institutionaliz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대안교육과 학교기획에 대해 새롭게 개념화 하고, 그것의 실험정신을 구현하는 학교체제 운영의원리를 구안하려는 것이다. 먼저, 대안교육의 기본 전제와 교육원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그리고 대안교육의 실험정신에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여기서 대안학교와 그 교사는 교육이념과 방법론이 ‘교육적 타당성을 보증하고 있는가’를거듭 질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에 대안교육의 이념, 대안학교의 성격, 학교기획, 교원, 교육력에 대해 새롭게개념화하고자 했다. 대안교육과 학교기획에 대한 개념적 인식에 바탕하여 대안학교 체제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대해 논의하는 바, 그 학교 운영의 기본 원리를 설정하였고, 대안학교 교육력 구조의 작동과 연관된 실행 준칙을설정하였다. 논의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안학교는 자신의 성격을 반영하여 독창적으로 학교기획에나설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학교교육의 존재방식의 비정상을 정상으로 전환하는 틀을 구안할 수 있다. 대안학교의학교기획은 학생 선발 – 교육과정 운영 – 졸업의 요건을, 교육법을 어기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안교육의 철학하기에기초하여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집중한다. 자신의 설립이념과 그에 따른 교육과정 자율이 핵심 가치임은 물론이다. 대안학교도 공적 학교인 한 공적 평가기구에 의해 학교교육체제로서의 충실성, ‘교육의 과정’과 결과의 적절성에대해 평가를 받는다. 이 경우 평가는 교육기획의 자율성을 발휘하여 교육력을 산출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학교의교육력 구조’는 교사의 교육기획력, 학교의 지원행정력, 공개와 개방의 제도화를 이끄는 내부 평가기제로 구성된다.

      • KCI등재

        한국 기독교대안학교의 신학적 경향성에 관한 소고

        임태규(Taekyou Rhi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9 기독교교육정보 Vol.22 No.-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hich had the uniqu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theological background in educational circles unlike mission schools appeared 10 years ago. These schools were not established in standing for definite theological aspects but had theological tendencies which dominated their school education. It is not only an opportunity that we can diagnose where Korean Christian education is, but also a star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addition, it helps know what is the goals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hope to accomplish. By looking into theological tendencies based on the origin of Korean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and making the theological tendencies which control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clear, the aim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can be certain. For this, first of all we have to understand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correctly, set up its notion to limit the range of the arguments, and examine the rel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and theology. The typical theological education of Korea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are Evangelism Christian education which dominated the early history of Christian schools, Liberalism Christian education which appeared in alternative social movement so as to suggest alternative values about public education, and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headed for theological tradition. We cannot deny that there are these three educations in an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hich emphasize on alternatives in secular alternative schools are related to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liberalism theology, and Christian schools pursuing the educational purposes are related to orthodox theological Christian education. However now severe problems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are faced with are not theological identity's but secular value's. Common secular values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show competitive education from an entrance examination, successful myths made from non-biblical comprehension about Christian leaders, distortion of essential and methodical values in education, and international Christian alternative schooling on purpose of English characterized education for globalization. Definitely all of these are why we lack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Christian education. It is necessary that we consider merits and demerits of theological tendencies which dominated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organize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keep it strong.

      • KCI등재후보

        기독교 대안학교 설립과 운영 방안

        조인진 ( Injin Cho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2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심화된 교육 병폐와 기독교 교육의 한계에 봉착한 교회교육, 기독교 사립학교를 극복할 다음 세대 교육을 위한 대안을 기독교 대안학교에서 찾고자 하였다. 저자는 기독교 대안학교를 설립하고 운영하는데 고려해 보아야 할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어떤 유형의 기독교 대안학교를 설립할 것인지, 그 법적 근거와 학교의 특성에 따른 분류를 살펴보았다. 현재도 꾸준히 기독교 대안학교가 설립되고 있지만, 매년 운영의 어려움으로 폐교되는 학교들이 나타난다. 기독교 대안학교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실행, 학교 구성원과 재정운영에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향후 여러 유형의 기독교 대안학교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교육기관으로서의 공공성과 기독교 학교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율성의 양면성을 함께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국가교육책임시대에 기독교 대안학교에도 국가의 재정지원이 이루어지도록 법적 제도적 보완을 추진해야 한다. 공공성과 자율성을 모두 갖춘 기독교 대안학교들이 많이 설립되어 기독교인 교육수요자들이 양질의 기독교 대안학교를 가까운 곳에서 선택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discussions of finding the next generation education that will overcome the intensified educational malaise, limitation of church Christian education, and private Christian schools in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n alternative solution in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 author reviewed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whilst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what type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o establish, the legal grounds for it, and the classification in accordance with its character.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continue to be found but are closing down every year due to operational difficulties. In order to successfully operate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it is essential to have the expertise in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members of school faculty and staff, and financial management. The remaining task for the broader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community is to pursue the bilateral autonomy to secure the identity as a Christian school and as the public educational institute. In the meantim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that allows state financial support to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must be promoted as the state’s responsibility to education. It is hoped that many autonomous and public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ill be established in order for the Christian education demanders to choose from a pool of high-qualit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 서구 대안학교의 동향과 특성 비교

        이병환(Lee Byung Hwa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8 韓國敎育論壇 Vol.7 No.1

        이 연구는 서구 대안학교의 동향과 특성을 비교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교육 실제와 정책 과정에서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대안학교에 대한 뜨거운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학술적인 성과는 여전히 미미한 실정에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대안학교의 이론화 작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 연구에서는 영국과 독일 및 미국 등 서구 3개국을 대상으로 대안학교의 동향과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안학교의 사상적 원류에 해당되는 영국, 왕성한 실험정신으로 다양한 대안학교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독일 및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받을 권리의 신장을 위해 실험적 시도들을 제공하고 있는 미국의 사례는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경영 전반에 걸쳐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줄 것이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성과는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경영 전반은 물론 정책적 차원에서도 유용한 자료로 기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istinction of Western alternative education. Comparing and inquiring foreign alternative education. 1) The alternative schools of England emphasize the ecological ethical-view that all lives and the nature are symbiotic. 2)The alternative schools of Germany search many suggestions in alternative education and reflect them into public education. 3) The alternative schools of America have been developed through extensive social movements such as black democratic movements and the appearance of education of humanism. Most alternative schools aim to realize an alternative vision of schooling and have considerabl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The school administration should found small schools for students to effective individual schooling. Educator concerned with meeting the individual needs of different students should create "flexible alternative program" which provided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and structures for students who did not "fit in" to the traditional schools' programs. In conclusion, through diversity of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Western can be understood as a alternative fitting for the students were than antithesis against public education system. The distinction of Korean and foreign alternative school has a significance because it show the possibility that educational organization can outgrow today's form of school in term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기독교학교에서의 대학입시에 대한 인식 —대안학교와 미션스쿨의 비교 연구—

        황병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llege entrance exam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mission schools. This research examines high school principals’ understanding of highly competitive college entrance exam in Korea. Moreover, it display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mission schools with regards 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1) the understanding of college entrance exam, 2) the educational purpose, 3) the value standard of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4) self-learning and supplementary lessons at schools, and 5) the importance of faithfu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exist differences in all the above mentioned categories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mission schools. Compared to mission schools, alternative schools have higher Christian perspectives on college entrance exam: the perspective of God’s calling, the perspective of God’s talents, the perspective on building God’s Kingdom, and the perspective on excellency in the order. This research found that while mission schools focused on happiness in life, raising virtuous humans, and cultivating men of talents for the nation; alternative schools concentrated on bringing up students as truly faithful Christians and professional Christians. Alternative schools showed that higher the mean of educational purpose is, higher the mean of value standard of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becomes. Alternative schools rarely or selectively enforced extra self-learning time and supplementary lessons at school. Compared to mission schools, alternative schools practiced higher levels of character education, religious (Biblical knowledge) education, chapel (worship) service, Bible study, and Q.T.(quiet time). Specifically, for Q.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ternative schools encouraged students to exercise Q.T more than mission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faithful life was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e value standard of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The importance of the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high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f college entrance exam between alternative and mission schools and to suggest what factors influence to Christian understandings of college entrance exam for the futur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안학교에서의 대학입시에 대한 인식이 미션스쿨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현상인 대학입시 과열경쟁에 대해 기독교학교 교장들의 대학입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것을 대안학교와 미션스쿨로 분류하여 대학입시 이해의 차이, 교육목적의 차이, 학생진로교육 가치기준의 차이,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 실시여부, 신앙생활의 중요성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션스쿨 학교운영자들과 비교해서 대안학교 학교운영자들은 더 높은 수준의 기독교적 입시관을 보였는데, 하나님의 부르심(소명)의 관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은사(재능)의 관점,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관점, 그리고 전문성(탁월성)의 관점 순으로 나타났다. 미션스쿨의 교육목적이 행복한 생활, 덕 있는 사람 양성, 나라발전의 인재양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기독교 대안학교는 진정한 신앙인을 키우는 것과 기독교 전문인을 양성하는데 그 교육의 목적을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학교의 교과과정을 따르고 있는 미션스쿨은 학생들의 진로교육 가치기준이 기독교 대안학교와는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학생진로교육 가치관이 대안학교의 교육목적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또한 조사되었다. 미션스쿨과 비교해서 대안학교에서는 교육의 목적이 높아지면 학생진로교육의 가치기준도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션스쿨은 대안학교에 비교해서 더 높은 수준의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을 실시하였다. 대안학교의 경우,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은 거의 실시하지 않거나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션스쿨과 비교해서 대안학교는 더 높은 수준의 인성교육, 종교(성경지식)수업, 채플(예배), 성경공부, 개인(아침)경건의 시간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아침)경건의 시간의 실시여부는 대안학교가 미션스쿨보다 더 심도 깊게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신앙생활의 중요성은 교육의 목적과 학생진로교육의 가치기준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중요성은 대안학교와 미션스쿨 학교운영자의 입시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대안학교와 미션스쿨의 기독교적 입시관의 방향을 제시한다는데 그 중요성이 있다.

      • KCI등재

        대안학교 관련 법제 정비방안 연구

        황준성 ( Jun Seong Hwang ),이혜영 ( Hye Young Lee ) 대한교육법학회 2010 敎育 法學 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대안학교 관련 법제의 정비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안학교의 개념을 살펴본 후 현행 교육법 체제 내에 수용되어 있는 대안학교들을 유형화하였으며, 이들의 실질적인 법적 지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관련 법제의 정비 필요성 및 정비의 기본 방향을 도출한 후, 관련 법제의 개선방안을 대안학교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대안학교의 개념에 있어서 특정 가치를 배제한 중립적 관점을 채택했으며, 그 유형으로 법제의 태도에 따라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각종학교로서 대안 학교, 비인가 대안학교로 구분하였다. 법제 정비 필요성으로는 대안학교에 대한 새로운 요구의 수용, 국가·사회의 지원의 필요성, 불안한 법적 지위를 지적하였으며, 정비의 기본 방향으로 교육기본권에의 기속성이라는 전제 아래에 자율성과 공공성의 조화, 지원과 조성의 법제로의 정착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는 특성화 학교를 새로운 학교 종류로 법률화함에 의한 대안교육 특성화학교의 법적 지위 강화, 비인가 대안학교의 각종학교로서 적극적 수용을 위한 법제 정비, 비인가 대안학교의 불법적인 지위를 해소할 수 있는 법령 마련 등의 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aw and legislation on Alternative Schools considering its high necessity in Korea.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n the issue, Three points of view on implication are suggested. One is to discuss the concept of alternative schools. In the light of the suggested concept, secondly, this paper categorizes alternative schools that are in the Korean legislative system and analyzes their practical status in terms of legisl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s a legislative improvement on alternative schooling with concrete ideas in types of the schools. First of all, while avoiding the meaning of `alternative` captured in certain ideology, the research widens the concept of alternative education to `a school providing various programs, activities, and facilities through specialized methods for certain educational ideas which pursues new learning experiences distinguished from typical public education.` It also categorizes the schools into specialized, alternative as Miscellaneous School,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by current Korea legislative attitude. Furthermore, the necessity of legislative improvement is related to three aspects, which are a response on high desire for alternative schools currently, requirements for practical supports in governmental and social levels, and the unstable legislative status of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Ideas for the actions on law and legislation is supported by autonomy and public harmony in the name of educational fundamental rights. This study suggests concrete ideas to intensify the legislative status of specialized alternative schools by legislating them in types, to consider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by law and legislation on alternative education as Miscellaneous School, and to solve the unstability of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by legislation.

      • KCI등재

        한국 기독교대안학교의 유형 분류에 대한 연구

        박상진 ( Sang Jin Park ),조인진 ( In Jin Cho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3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lassification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There are more than 100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These schools are so diverse in their characteristics that the term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is too broa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ctually,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This study tries to classif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to five sub-categories: Christian international schools, Christian excellence schools, Christian charity schools, Alternative Christian schools, and Christian non-accredited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a survey was used. Participants were principal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of 26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it relevant to classif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to five categories?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in each category? 3. How does the school view its own identity? The outcome of the study shows that the classification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to five categories is relevant. The schools that belong to each category tend to emphasize its own characteristics among internationality, excellence, charity, alternativeness, Christian approach. Also the study reveals that the schools in each category have not only the main emphasized characteristics but also other characteristics. For example, Christian international schools tend to emphasize not only internationality but also excellence, while Christian charity schools tend to emphasize not only mercy but also alternativeness. Mos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have a tendency to recognize themselves as an ``alternative Christian school``, or ``Christian non-accredited school``. This classification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ill help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clarify their own identity, and the study will propose certain standards for choosing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for parents who want to send their children to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한국에 약 100개교의 기독교대안학교들이 있는데, ``기독교대안학교``라는 명칭은 너무나 포괄적이어서 그 학교의 성격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독교대안학교들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기독교대안학교의 하위 분류체계를 마련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다섯 가지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자 하였다. 즉, 기독교국제학교, 기독교수월성학교, 기독교긍휼학교, 대안기독교학교, 기독교미인가학교로 유형화하고 이러한 분류가 타당한지, 각 유형의 성격은 무엇인지, 그리고 각 기독교대안학교들은 자신의 학교를 어떤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국제성, 수월성 긍휼성, 대안성, 기독교성을 강조하는 정도에 따라 다섯 가지 유형의 기독교대안학교들로 분류되는 것은 의미있는 분류임이 드러났고, 기독교미인가학교는 기독교성을 강조하면서도 대안성 또는 수월성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다시 두 종류로 세분화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각 유형의 가독교대안학교들은 한 가지 특성만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다른 특상들도 공유하고 있으며, 반대 성향의 성격이 약하게 나타남으로서 주된 특성이 더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각 유형별 가독교대안학교들이 자신을 그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대부분의 경우 자산을 대안기독교학교 또는 기독교미인가학교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 분류는 향후 기독교대안학교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할 뿐만 아니라 유형별로 보다 교류를 심화시킬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또 학부모들에게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기독교대안학교 연구의 준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안학교의 제도화 과정과 법제화 방향에 관한 논의

        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19 No.-

        본 연구는 법제화를 앞둔 한국 대안학교의 제도적 정착과정 반성과 법제화 방향 모색에 목적을 두었다. 비인가 형태로 운영되던 한국의 대안교육은 1998년 특성화학교 법과 자율학교 법의 시행으로 다소의 자율성을 보장받으면서 정규 교육으로 편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두 법안의 통과로 인해 대두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어려움, 교사발령으로 인한 교사분리, 대안초등학교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2005년 대안학교 법이 통과되고, 2006년 3월 시행을 목표로 시행령을 준비하게 되었다. 그러나 법제화 팀이 마련한 ‘대안학교 설립․운영 규정(안)’의 시행 시기는 여전히 미지수로 보인다. 법제화 필요성과 학력인정 여부, 시설시준․교사자격․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등의 인가기준, 재정지원 범위 등과 같은 핵심 문제 해결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해관계에 따라 ‘규정(안)’의 일부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지만, 법안 마련의 본질적 취지가 대안교육 지원에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대안학교 설립인가 규정의 엄격한 적용, 교사자격 관련 조항의 탄력적 운영, 교육과정 조항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 등이 법안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discussed on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egal direc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The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are increased because of the unsatisfactory results of public education and the provisions for alternative schools in 'elementary, secondary educational law', such as specialized school and regulation-free school. And the Presidental Decree for alternative schools is preparing presently. But there is in a controversy with the proposals by scholars, centering around the criteria for permitting to found alternative schools, the extent of the financial support for alternative schools and the necessity of legaliza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s. The suggestions to legalize alternative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visions related with founding alternative schools are to be applied strictly to prevent founding a pseudo-alternative school for person profits. Second, the provisions related with qualifying for teaching are to be applied flexibly to recruit competent teachers suitable for the object of an alternative school. Third, the provisions related with the curriculum of an alternative school are to be complemented institutionally to qualify management of curriculum in an alternative school.

      • KCI등재

        다문화대안학교 특성화 교과과정 분석 연구: 인천한누리학교와 새날학교를 중심으로

        오영훈 ( Young Hun Oh ),방현희 ( Hyun Hee Bang ),정경희 ( Kyun Ghee Ju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3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주도하는 결혼이주자 가족의 증가는 중도입국자녀를 포함하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증가를 동반하며, 이들로 인해 사회적 문제 발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 부적응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일반학교 부적응 또는 진입 전 단계에 있는 학생들의 수용을 위하여 ‘인천한누리학교’와 같은 ‘기숙형 다문화 공립대안학교’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다문화대안학교의 수는 많지 않고, 더욱이 공립다문화대안학교의 수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며, 다문화대안학교의 교과과정은 상당 부분이 학교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특히, 다문화 교과과정의 편성은 다문화대안학교의 교과과정에서 중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학교 특성에 따른 다문화 교과과정의 분석은 다문화대안학교의 특성 파악과 대안학교의 대안교과과정 편성에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대안학교의 교과과정을 확인하고, 다문화대안학교들이 공통으로 채택할 수 있는 다문화 교과과정의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천한누리학교와 새날학교의 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인천한누리학교와 새날학교의 교과과정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대안교과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안학교는 학생들의 상급학교 진입을 대비하여 학력 신장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와 한국 사회적응을 위한 한국어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중언어교육을 시행하여야 하겠다. 넷째, 진로교육과 함께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생활적응을 위한 심리상담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iculum of public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Incheon Hannuri School and private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Saenal School in order to examine the alternative curricula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The Incheon Hannuri School puts its efforts in complementing the basic curriculum including Korean education, and is also considerate of multicultural students`` adaptation in school an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Saenal School only categorizes Korean and Taekwondo within the alternative curriculum. As a public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the foundation purpose of the Incheon Hannuri School is the adapt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within Korean schools, while the Saenal School is a private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which focuses on students`` adaptation to the Korean society as a whole. However, in spit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ol``s founding purpose, the Hannuri School considers students`` adaptation to our society through native language education, counseling, and other means compared to the Saenal School, which only includes Korean and Taekwondo inside the alternative curriculum;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proportion of class less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Incheon Hannuri School and Saenal School, we propose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alternative (specified) curricula. First,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need to complement and educate basic subjects in order to prepare students for educational transition. Second, Korean education has to be reinforced. Especially, immigrated students are in need of systematic Korean education for the sake of adaptation to the Korean school and society. Third, bilingual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through native language education. Native language education enables multicultural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mother``s country and establish identity, and moreover, their bilingual capacity will be greatly necessary in a multicultural society. Fourth, career education and psychology consultation needs to be carried out to prevent multicultural students`` maladjustment at school and help them plan their future,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as a means of alternative educat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ublic schools within th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foster global leaders. Through alternative education, equal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guaranteed to multicultural students in order for them to coexist with other Korean students and enable all students to grow as competent leaders of our society.

      • KCI등재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 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박상진(Park, Sang Ji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1

        우리나라에서 대안학교 설립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90년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1997년 경남 산청에서 미인가 전일제로 문을 연 간디청소년학교를 우리나라의 본격적인 대안학교 운동의 시발점으로 보고 있다. 그 이후 빠른 속도로 대안학교가 증가하여 현재는 600여개로 추산되는데, 대부분은 인가를 받지 않은 미인가 대안학교로 설립,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국가의 재정지원은 물론이고 학력도 인정받지 못하며, 법적으로는 학교라는 명칭도 사용할 수 없고, 학교에 주어지는 세금혜택도 받을 수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지금까지 특성화학교법, 각종학교로서 인가 대안학교법 등 몇 차례의 대안학교 법제화 노력이 있었지만 그 기준과 성격이 대안학교의 현장과 괴리되어 있어서 일부 학교만 인가를 받게 되었고 대부분의 대안학교는 미인가 상태로 남아있게 된 것이다. 그런데 지난 2020년 12월 9일, 제382회 국회 본회의에서 박찬대 의원이 대표발의한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이 의결되었다. 이 법률이 갖는 의미는 미인가 대안학교들이 비로소 법적인 지위를 갖게 되고, 대안학교에 대한 범위가 설정되며, 회계 공개 등 대안학교의 공공성이 강화되고, 교육청의 지도, 감독을 받게 되며, 공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법률 제정 이후의 과제가 산적해 있다. 대안교육기관의 등록 기준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설정되어야 하며, 자율성을 보장받으면서도 국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 방안이 필요하고, 지방자치단체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과의 관계가 규명되어야 하고, 지방자치단체별 대안교육 활동이 강화되어야 하고, 법률 시행 이후, 여전히 등록하지 않은 미인가 대안학교에 대한 정부의 대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법의 시행령을 만드는 과정에서부터 교육부는 대안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미인가 대안학교의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법률로 자리매김 되기를 기대한다. Alternative schools have been founded since the 1990s in Korea. Gandhi Youth School, founded in 1997 at Sanchung, Gyeongsangnam-do, can be considered the first full-time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 After the establishment of Gandhi Youth School, the number of alternative schools has increased rapidly, and nowadays there are over 600 schools, most of which are not authorized by the government. Because of their unauthorized status, these alternative schools cannot get financial support or tax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nor do they have the right to use the name of “school” or to issue academic certificates. So far, there has been some efforts at legislation on alternative schools, including laws on alternative specialized schools and laws on authorizing alternative school as “miscellaneous schools.” However, the criteria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laws were not relevant to the field of alternative schools, so only a few alternative schools were able to be authorized through these laws while most others remained unauthorized. It is in this context that we should consider the new law on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ions, proposed by the legislator Chandae Park, which was resolved at the 382nd Assembly plenary session on December 9, 2020. This legislation bears significant implications, including the following: unauthorized alternative schools can now hold a legal position; the scope of what constitutes an alternative school has been set; the public interest of alternative schools has been reinforced, including accounting disclosure; supervis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now in place; and all in all, this law can influence public education positively.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tasks to be resolved after this legislation. These tasks include building more solid criteria through which unauthorized schools can be assessed and authorized; finding ways of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cluding use of the voucher system;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in this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ions and out-of-school youth as defined by local autonomous entities; strengthening the activity of alternative education locally; and organizing government policies regarding schools that end up remaining unregistered even after this legisl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listen carefully to the voices of the field of alternative education from the earliest steps of making enforcement ordinances for this law, so that students of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ions may truly gain specific benefits from this legis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