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영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분석:

        장용희(Chang Yo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This study attempts to incorporate integrative analysis, which clarifies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its related variables: focusing on development assets, social suppor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esilience variabl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Variables related to empowerment 244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residing in Chungbuk-do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empowerment,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development assets, social suppor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esilience Thus, the following are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what 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powerment,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development assets, social suppor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esil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affect empowerment directly but development assets were not found affect empowerment directly. Second,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empowerment mediated by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empowerment mediated by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 resilience.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영향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발달자산, 사회적지지, 다문화 수용성, 적응유연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중ㆍ고등학교 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발달자산은 적응유연성을 매개로 임파워먼트에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다문화수용성과 적응유연성을 매개로 임파워먼트에 직⋅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발달자산과 사회 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과 적응유연성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래하는 다문화 시대에 직면하는 다문화가정 청소 년의 역량 개발에 필요한 교육적 개입과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 자녀를 위한 개혁주의 목회상담 방안

        전형준(Jun, Hyung Joon)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7 No.-

        본 논문은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 자녀를 위한 개혁주의 목회상담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성경적 이해를 알아보았고,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 자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에 관한 기독교상담 방안을 제시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본 후,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을 위한 개혁주의 목회 상담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상담자는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들을 사랑하며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그들의 마음의 문을 열고 내담자의 세계로 들어가야 한다. 둘째, 목회상담자는 내담자가 하나님을 만나도록 도와야 하며 예수 그리스도에게 소망을 가지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 셋째 목회상담자는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의 고통을 깊이 이해하며, 위로의 하나님의 성품을 보여주어야 한다. 넷째, 목회상담자는 내담자를 깊이 알기 위하여 주의 깊게 경청해야 한다. 다섯째, 목회상담자는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에게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하며, 직면해야 한다. 여섯째, 목회상담자는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이 하나님의 복안을 매일 일상생활에 적용하며 행하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목회상담을 통하여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건강한 하나님의 사람으로 세워지길 소망한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provide a set of measures for Reformed pastoral counseling for adolescent childre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To this end, this paper studied the general and biblical understandings concerning the multi-cultural family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children in such families. Then, previous studies that suggested Christian counseling measures regar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were reviewed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a measure of Reformed pastoral counseling for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pastoral counselor should love the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first of all create a relationship of trust to open their hearts and to promote the counselor he a understanding of the inner world of the clients. Second, a pastoral counselor should help the clients to meet God and lead them to have hope in Jesus Christ. Third, a pastoral counselor should understand the pain of the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to a deep level and show comfort with their situ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od. Fourth, a pastoral counselor should listen to the clients carefully tounders tand the mmorefully. Fifth, a pastoral counselors hould speak truth in love to the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encounter them with honesty. Sixth, a pastoral counselor should lead the adolesc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to live with the Gospel of God and apply the Gospel to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 semeasures of pastoral counseling, the author hopes that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ill stand as healthy children of God.

      • KCI등재

        중도입국 청소년과 일반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오승환,좌현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5 학교사회복지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on depression of immigrant adolescents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depression. Especi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s affecting factors between general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group and immigrant adolescents group in Korea. Data were drawn from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and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21.0. T-test and chi square 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group and immigrant adolescents group. Second,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on dep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ge,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sibling, interest about parent's nation, experiences of school bullying, experiences of social discrimin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for general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but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mother, having a high opinion of their parent, level of language ability of their parent's mother tongue have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However, for immigrant adolescents group, having a high opinion of their parent, experiences of social discrimin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sibling, Korean language ability, level of language ability of their parent's mother tongue have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Implications are disscussed. 본 연구는 2012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특히 다문화 가족 청소년을 일반 다문화 가족 청소년과 중도입국 청소년으로 나누어 성장배경 및 환경이 다른 각 집단이 어떤 특성을 보이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냄으로써 다문화 가족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촉진시킬 수 있는 차별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일반 다문화 가족 청소년과 중도 입국 청소년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고, 각각 집단의 우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 다문화 가족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가운데 연령, 형제관계 만족도, 부모님 나라에 대한 관심, 학교폭력 경험 유형 수, 사회적 차별경험 인식정도는 청소년의 우울수준에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어머니와의 관계 만족도, 부모님 나라에 대한 자긍심, 외국계 부모님 출신국 언어능력은 우울수준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중도 입국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운데 부모님에 대한 자긍심, 사회적 차별 경험에 대한 인식정도는 청소년의 우울수준을 높이는 변수이며, 아버지와의 관계 만족도, 형제관계 만족도, 한국어 사용능력, 외국계 부모님 출신국 언어능력은 우울수준을 낮추는 보호적 기능을 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족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촉진 방안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가구 빈곤이 미치는 영향

        구자민(Ja-Min Goo),윤희선(Hee-Sun Yoon),이상록(Sang-R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빈곤은 청소년의 발달 및 적응을 규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널리 평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발달 및 적응에 미치는 빈곤의 영향에 대한 파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가구 빈곤의 영향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중적 어려움을 지닌 빈곤가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7차 자료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 분석에는 OLS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다문화 가구의 빈곤은 다문화 특성 변수들과 함께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가구 빈곤은 하위 변인인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들에서도 가구 빈곤이 학교적응의 주요 영향 요인임을 보여주는 바로, 이들의 학교적응 제고를 위해서는 다문화 특성 뿐 아니라 빈곤과 같은 가구의 경제적 상태에도 정책적 관심과 주목이 적극 요청됨을 시사하여 준다. 특히, 다문화 및 빈곤의 이중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빈곤가구 다문화 청소년에게는 보다 적극적인 지원 및 개입, 관리의 필요성을 환기하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poverty on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7th data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as used and the OLS multiple regression models ware applied. to the analyses. From the result of the OLS model analyses, we found out that family poverty affect significantly on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Especially, family poverty has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friend relationship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amily poverty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y confirm that family poverty during period of the adolescent has an important meaning and influence on the aspect of school adjustment as to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Implications of this study may be that policy attentions are necessary to not only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but also family background such as poverty in oder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addit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e special support and interventions are requested to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from poverty families who are suffering dual difficulties such as multi-cultural problems and poverty problem.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외국인 어머니의 지지가 성취목표지향성과 대인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관다영,전혜성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3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other support perceived by multi-cultural Family’s adolescents on achievement objectives orient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also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focused on multi-cultural family’s adolescents. Methdos: Statistics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sults: First, mother support perceived by multi-cultural Family’s adolescents significantly had a positive effect on achievement objectives orientation. Second, mother support perceived by multi-cultural Family’s adolescents significantl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upport and achievement objectives orientation was found. Fourth, self-esteem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Conclusion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ubjects are multi-cultural family's adolescent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증가되고 있지만 주로 이들의 부적응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들의 삶의 적응과 적응을 돕는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기제를 탐색하고자 하는 관심에서,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외국인 어머니의 지지가 자녀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인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둘의 인과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어머니가 외국인인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1일부터 3월 2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하고 그 중 성실하게 답변된 총 351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이 지각한 외국인 어머니의 지지가 성취목표지향성과 대인관계지향성에 각각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외국인 어머니의 지지와 성취목표지향성, 외국인 어머니의 지지와 대인관계지향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인관계지향성에 대한 외국인 어머니의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청소년의 적응적인 성취목표 및 대인관계 지향을 위한 유의미한 개인 및 가족자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상담 및 심리상담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민족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 사역 방향연구

        홍명유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Today, Korea is changing toward a multi cultural society rather than a mono racial society generally. The family that was formed by international marriage is named as multi culture family. The families have many problems such as poverty, health, and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In particular, their children have problems with identity because they have two identity from their parent.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help them in government, society and religious organizations. Now, it seems necessary to meet their need through a new approach, ethnic identity in addition to our previous efforts. This article focused this point, studied the importance of ethnic identity development and suggested some ministry implications for church ministry. Ethnic identity theory started from identity theory that Erikson and Marica developed. As identity develops through four status, Phinney found that ethnic identity had three status; ethnic identity undecided, ethnic identity moratorium, and ethnic identity achieved. Many studied supported this theory and found that ethnic ident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ethnic minority adolescence. Especially, ethnic identity was found to relate with spiritual development of ethnic minorities. In this point, church ministry for multi culture family seems necessary to notice and use the importance of ethnic identity. Also, the Image of God as Christian identity is not contradicted with ethnic identity because it contains ego-identity ethnic identity as its elements.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ed three ministry approaches for multi cultural family. First, senior pastors, education pastors, and leadership staffs share and teach an universal Christian identity in Bible through sermons, seminars, group meetings in church. Second, church leaders is needed to have approaches toward multi culture family with a shared living rather than assimilation into Korea society.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ethnic identity formation process goes through among multi culture family children. Based on data and results, church leaders would able to plan more suitable approaches toward multi culture family ministry. 오늘날 한국은 통념적으로 여겨졌던 단일민족 사회에서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특히 서남 아시아에서 온 외국인들이 많이 있다. 특히 국제 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을 다문화 가정이라고 부른다. 이 가정들은 경제적 빈곤, 건강, 이웃과의 의사 소통같은 많은 문제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특히 그들의 자녀들은 양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상이한 문화를 가지고 있기에 정체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정체성 혼동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이들을 돕기위해 정부와 사회 또 종교기관들의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그러나 이제 이전의 노력들에 덧붙여 이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위해 민족 정체성에 근거한 접근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이 논고는 여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민족정체성 발달의 중요성을 탐구하였고 교회 사역을 위한 몇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민족 정체성 이론은 에릭슨과 마아샤가 발전시킨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정체성이 네가지 지위로 발전하는 것에 착안, 피니는 민족 정체성도 세가지 지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민족정체성 미결정, 민족 정체성 유예, 민족 정체성 성취. 많은 연구들이 이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고 민족 정체성이 소수 민족 청소년들의 심리적 복지와 긍정적으로 관련되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민족 정체성은 민족 소수자들의 영적 발달과 관련이 있음도 판명되었다. 이런 면에서 볼때, 다문화 가정을 위한 교회 사역은 민족 정체성의 중요성을 착안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크리스챤 정체성으로서의 하나님의 형상은 민족 정체성과 서로 상충도지 않는데 크리스챤 정체성의 개념속에 자아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논고는 다문화 가정 사역을 위한 몇가지 사역적 제안을 하고 있다. 첫째 담임목사, 교육목사, 지도자들은 성경에 있는 크리스챤 정체성에 대해 설교나 특강 소그룹 모임을 통해 교인들과 공유하고 가르쳐야 한다. 둘째, 교회 지도자들은 다문화 가정 사역을 다룰때 한국 사회에로의 동화란 측면보다는 공존이란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있어서 어떻게 민족 정체성 형성이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여기서 얻어진 자료와 결과를 토대로 교회 지도자들은 다문화 가정 사역을 위한 더 적합한 계획들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방임, 문화변용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수정,윤혜미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3 학교사회복지 Vol.- No.24

        Successful school life of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is one essential experience in their social integration into the mainstream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eglect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and verified role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with academic performance,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and regulations. Two hundreds nine 5th to 9th grader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enrolled in schools of Chungbuk province filled out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18.0 and AMOS version 7.0.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Rural residential setting, cohabitation with two parents, and mother’s fluence of Korean language. Second, neglect and acculturative stress infulenced on school adjustment. Third, the impact of neglect and acculturative stress on school adjustment seemed to be affected by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은 한국 사회로의 통합을 위한 필수적 경험이다.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이 경험하는 방임, 문화변용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두고, 그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확인했다. 학교적응은 학교공부, 친구관계 및 교사 관계, 학교생활 등으로 측정하였으며, 충북 지역의 다문화가족 배경을 가진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3학년 209명의 자료를 SPSS 18.0과 AMOS 7.0을 이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거주지역, 가족형태,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등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방임과 문화변용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은 간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학교적응에 직접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학교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과 지역사회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

        아영아 ( Ah Young-ah ),전명숙 ( Jeon Myeong-sook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8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하는 학교배제로 인한 우울에서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지원방안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배제, 가정 내 사회자본, 지역사회지원이 우울에 미치는 주효과 검증과 다문화청소년의 학교배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과 지역사회지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부산시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한 달 동안 자료 164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33부를 제외하고 총 131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SPSS와 INTERACTION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배제는 우울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가족 내 사회 자본 및 지역사회지원은 우울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내 사회 자본은 학교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사회지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배제로 인한 우울에서 학교 및 지역사회의 개입 방안을 다양한 차원에서 제언하였으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개입,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심리ㆍ정서적 지원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empirical data for support methods for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regarding school exclusion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Specific research problems were made to verify the main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 school exclusion,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and community support on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and community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 school exclusion and depression. Data collection was mad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164 surveys during the month of July, 2016 conducted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atten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Busan and a total of 131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33 surveys that had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 exclu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second,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and community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Third, it was shown that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exclusion on depression, but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ty support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chool and community intervention plans regarding the school exclu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proposed from various dimensions and intervention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proposed.

      • KCI등재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정책적 지원 수요에 관한 분석: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김지영(KIM, JiYoung),이윤석(LEE, Yun-Suk)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정책의 수요를 수혜 당사자 입장에서 분석하고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을 위해 실시되어 온 다문화가족 정책을 개관하고,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분석하여 다문화가족 청소년이 다양한 사업에 참여한 경험 여부 및 사업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청소년은 한국어 및 한국 문화와 관련된 교육보다 이중 언어나 결혼이주 여성의 모국 문화와 관련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지원 사업에 참여해 본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지원의 필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진로상담이나 진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며, 학업성적이 안 좋은 학생일수록 일자리 소개와 직업기술 훈련과 같은 실제적인 진로 지원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가 갖는 정책적 함의는 다음의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다문화가족 청소년이 학교 및 그 외의 기관에서 이중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진로와 진학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perceived demands for policies fo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outlining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fo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 analyzed the 2018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examine 1) whether these teenagers have participated in various projects and 2) how much they feel the necessity of the projec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cognize the need for educations about their mother’s home country languages and cultures more than educations abou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econd, children who have participated in projects a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support. Third, the higher the school levels, the greater the need for career counseling or career education, and students with poor academic performance tended to need practical career support such as job introduction and vocational skills train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opportunities for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learn bilingual in schools and other institutions should be expanded and that programs that can provide practical help for the career and further education of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서보준 ( Bo-jun Se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교생활적응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 K 지역에 소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20일부터 7월 6일까지 400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이중 불성실한 응답이 많거나 무응답 등의 부적합한 24명의 자료를 제외한 최종 376명의 질문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의 하위요인인 부부갈등 빈도, 강도는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부(-)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 해결은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하위요인인 갈등 빈도, 갈등 해결은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변수임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oblem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helping in improving school adjustment. For this study, a survey with 400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D area and K area was conducted from May 20th to July 6th 2016. Finally, 376 questionnaires except 24 ones with insincere or omitted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marital conflict, which are sub-factors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and conflict resolu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frequency of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that are sub-factors of marital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social support for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discussed as an important variable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