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孟喜의 四正卦說에 관한 연구

        정길영 한국도교문화학회 2023 道敎文化硏究 Vol.58 No.-

        This paper examines the Si-Zheng-Gua(四正卦) theory developed by Meng Xi(孟喜) during the Han Dynasty, which combines the study of Yi(易) and the study of Li(曆). The study of Yi(易) evolved as a discipline aimed at discovering the immutable laws governing changes in the natural world. The Zhou Yi(周易) uses Gua(卦) as a symbolic system to represent all things in the world, where the Eight Trigrams(八卦) represent time and space. On the other hand, the calendar(曆法) has developed to understand changes in seasons through the observation of celestial phenomena. The concept of the seasonal calendar(節氣曆), closely related to agriculture, was already fully established during the mid-Warring States periods. During the Western Han Dynasty, Meng Xi combined the independent developments of Yi and Li, marking the beginning of the Han Yi(漢易)'s Gua-Qi Theory(卦氣說). Meng Xi's Gua-Qi Theory further developed under Jiao Yan Shou(焦延壽) and Jing Fang(京房), establishing Gua Qi Yixue as a prominent philosophical and cosmological system during the Han Dynasty. This Gua-Qi Theory of the Western Han Dynasty, characterized by its unique system of Gua and Yao(爻) symbols from the Zhou Yi, not only represented the changes of the Four Seasons and solar terms, but also depicted the fluctuations of Yin and Yang(陰陽) energies, becoming the core of Han Dynasty's image-numberology(象數易學). Meng Xi's Gua-Qi Theory originated from the Si-Zheng-Gua theory. Meng Xi's Gua-Qi Theory expands the Eight Trigrams(八卦) from the "Shuogua Zhuan(說卦傳)", which symbolizes space and time, into Sixty-Four Hexagrams(六十四卦). Through this expansion process, Si-Zheng-Gua represents the Four Seasons(四時) and allocates 24 Jieqi(節氣) to 24 Yao(爻), allowing for a more detailed representation of seasonal changes. The Si-Zheng-Gua in the "Shuogua Zhuan" focuses on the Gua's image(象),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Four Seasons. On the other hand, Meng Xi's Si-Zheng-Gua theory focuses on the changes in the flow of Yin and Yang energies, depicting the process of seasonal changes in the Four Seasons, effectively expressing the year's seasonal transitions. Furthermore, Meng Xi introduced the time units of the 72 Hou(候), which divide the 24 Jieqi into thirds, providing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of seasonal changes throughout the year. Additionally, Meng Xi introduced a new time unit called "Liu-Ri-Qi-Fen(六日七分)", which divides the year into 60 equal parts, allocating the number of days in a year to the remaining 60 Gua that represent the Four Seasons and 24 Jieqi, allowing for a more precise categorization of seasonal changes.

      • KCI등재

        『주역(周易)』 구덕괘(九德卦)의 원의(原義) 분석

        권호용 ( Kwon Ho-yong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4

        본 논문은 『주역』이 우환의식의 산물이라는 인식을 만들어준 「계사하전」 제7장 九德卦의 대목이 사실은 공자가 숨겨놓은 易의 운용방법에 대한 메시지였다는 분석을 보고한다. 특히 作易 당시의 문자인 金文을 통한 분석과 함께, 복희와 문왕의 두 팔괘를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공자가 전하려 한 본래의 메시지를 찾아내고 있다. 易文은 經으로써 오랫동안 한 글자도 고치지 못하는 글로 알려져 왔다. 그만큼 글 됨이 이치에 합당하고 또한 名文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문자의 모양이 괘상의 위치와 연결되고, 文理의 이면에 숨겨진 重意的 내용이 모두 팔괘의 조합을 안내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놀라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공자가 전하려 한 메시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문왕팔괘의 중심에 복희팔괘를 넣어 안쪽의 복희팔괘를 회전시키면 易을 일으킬(興) 수 있다. 괘상을 읽을 때는 팔괘 의 바깥쪽에서 안쪽을 바라보며 읽는다. 특정한 괘 하나(본괘)를 분석하려면, 글자 德 (□)을 破字하여 나온 눈의 모양(□. □ )을 복희팔괘의 離와 연결시키고, 심장의 모양 (□)을 복희팔괘의 坎과 연결시켜서, 이 둘이 위치한 곳에서 지어진 두 괘를 본괘 가 가진 `德의 작용`으로 삼는다. 나머지 발걸음(□, □ )은 `德이 향하는 방향`으로 삼아 서 앞뒤의 의미를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天澤履는 火雷□□과 水地比가 `德의 작용` 이 되고, 天澤履의 맞은편 괘인 地天泰는 `德이 향하는 방향`이 된다. 그러므로 본괘는 출발점이고 `德의 작용`은 그 과정이며, `德이 향하는 방향`은 종착점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괘를 분석하면, 64괘 각각의 괘상이 가진 본래의 의미에 대해 보다 더 근원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구덕괘의 대목뿐만 아니라 「계사전」의 모든 글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내용과는 전혀 다른 메시지를 품고 있다. 64괘는 이치의 매듭일 뿐, 그것이 운용되는 원리와 순서를 알지 못하면 그저 읽기 좋은 글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 문왕과 주공이 쓴 卦辭와 爻辭는 天道의 관점으로 쓰였기 때문에 人道의 관점에서는 쉽게 접근할 수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易理의 근원은 모두 「계사전」의 정리로부터 얻은 것이기 때문에, 공자가 글자마다 매달아(繫) 놓은 메시지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This thesis emphasizes that the script on the Nine Gua contained in Wing 7 of the of the second Xici Zhuan (transliterated as “The Great Commentary”), which caused The I Ching(Book of Changes) to be considered a product promoting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is an implicative message of Confucius on the methodology for operating the changes (易, pinyin: yi). In particular, along with analysis made through Chinese bronze inscriptions that served as writing at the time The I Ching was created, an attempt to interrelate the Fuxi Eight Diagrams (bagua) with the King Wen Eight Diagrams is made to find out the inherent message Confucius intended to convey. The script of Book of Changes has been known for a long time as something not needing a change of even one character, which implies that the work is so well written under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rationality. The surprising finding is that the logograms of the characters correspond with the positions of the trigrams and that the new meaning that the logograms have created, instruct the way in which the baguas should be operated. The message Confucius intended to deliv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en rotating the Fuxi Eight Trigrams by inserting them into the center of the King Wen Eight Diagrams, change (易) can occur. Reading trigrams is done by viewing inwards from the outward of the eight trigrams. When analyzing a specific gua (main gua), the character De (德, □ ) is divided into 3 compound ideographs. Interconnect the first ideograph (□ ) pictographically referring to the eye with li (離) to the gua in the Fuxi Eight Diagrams and interconnect the second ideograph (心, □ ) pictographically referring to the heart with kan (坎) to the gua in the Fuxi Eight Diagrams. The gua in the Fuxi Eight Diagram now identified as li (離) and kan (坎) have now connecting King Wen Diagrams. These two guas, both Fuxi Eight Digram and connecting King Wen Diagrams, become the interconnection known as the interaction of De (德) contained in the main gua. The remaining ideograph (□, □ ) shall be deemed the orientation to which De (德) is directed, so as to interrelate the meanings between the front (main gua) and rear (ending point). For instance, the gua 天澤履 will create 火雷□□ and 水地比 as the interaction of De (德) while the gua 地天泰 opposite to 天澤履 will be the orientation toward which De (德) is directed. So the main gua is a starting point and the interaction of De is its process, while the direction toward De (德) is directed is the ending point. If analyzing gua is done this way, a more rational approach to the inherent meaning of each specific gua (main gua) is possible. In addition to the context involving Nine Gua (九德卦), all the text of Xici Zhuan (The Great Commentary) renders a message absolutely different from what has been known by far. The 64 hexagrams just function as knots that lead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reality, which means mere interpretation of divination if the operating principle and sequence are not known. As annotations on guasi (卦 辭) and yaosi (爻辭) were written by King Wen and Duke of Zhou from the viewpoint of the Way of Heaven (天道), to approach them from the viewpoint of the Way of Humans (人道) is difficult. Given that the principle of the Change (易理) known is rooted from the theorems of Xici Zhuan, analyzing the underlying message interposed to the respective characters used by Confucius can surely be considered a starting point with great importance.

      • KCI등재

        백서(帛書)『주역(周易)』 『역전(易傳)』의 괘기설(卦氣說)에 관한 연구

        천승민 ( Cheon Seung Min ),유흔우 ( Yoo Heun Woo ) 한국공자학회 2017 공자학 Vol.32 No.-

        이 논문은 帛書『易傳』에서 卦氣로써 『易經』을 해석한 사례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밝힌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卦氣說에서의 “卦”는 『주역』의 64卦를 가리키고 “氣”는 節氣와 陰陽二氣를 가리키는 이중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괘기설은 漢易의 기본학설로써 孟喜에게서 시작되어 焦?·京房에서 크게 드러나고 『易緯』에서 심화되었으며, 東漢의 馬融·荀爽·鄭玄등에서 흥기되어 虞飜에서 극치를 이루었고, 明末淸初의 遺老黃宗羲에서 완성된것으로 말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반적인 견해는 괘기설에 趨時變易을 중심으로 하는 四象卦氣, 즉 四時卦氣와 陰陽災異등을 점치는데 치중하는 易卦節氣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지만 구분되는 두 가지 괘기설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백서 『역전』의 卦氣說은 卦時說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四時卦氣說의 실질적인 起源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괘기설이 孟喜·京房으로부터 비로소 시작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백서 『역전』의 괘기설을 분석하는 작업은 괘기설이 董仲舒의 讖緯神學을 공고히 하는데 이용되고 점치는데 사용되었다는 일반적 견해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마련해 준다. 백서 『역전』의 괘기설은 일종의 우주관에 관한 중국 고대의 학설로써 “時”의 관념을 핵심으로 한다. 백서 『역전』의 괘기설은 天道를 추측하여 人事를 밝히고자 하는 易學古法과 일치하는 것으로써 天道의 人文化를 대표하는 것이라고 말해도 무방하다. 괘기설의 기원 문제나 정의의 문제는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논란을 정리하는 데서도 일정 정도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s Gua-qi theory(a theory elucid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easonal points and lines of the hexagrams) of Pre-Chin`s Yi learning(先秦易學) by analyzing Yi Ching as Gua-qi(卦氣) in Yi Zhuan(易傳) in Silk Manuscripts(帛書). `Gua(卦)` in Gua-qi theory refers to 64gua(卦) of Yi Ching and `qi (氣)` has a dual meaning to refer to the twenty-four seasonal divisions(節氣) and Yin and Yan(陰陽). Gua-qi theory is a basic theory expounded by experts at Yi of the Han Dynasty from the approach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Championed by MENG Xi (孟喜), brightened by JIAO Gan(焦?) and JING Fang(京房), deepened by Yi Wei(易緯), expanded by MA Rong(馬融), XUN Shuang(荀爽), and ZHENG Xuan(鄭玄), and culminated by YU Fan(虞飜), this theory manifested related Yi learning experts` cosmic as well as ultimate humanistic concern. What discussed in this article shows that the Gua-qi theory was used as the main Yi-Ching interpretation method in Yi Zhuan in Silk Manuscripts, not by MENG Xi and JING Fang. And Gua-qi theory in Yi Zhuan in Silk Manuscripts were the core of the notion of `time(時)` as an ancient Chinese doctrine of a kind of cosmic unlike the Han Dynasty, which was a kind of prophetic-mixed divinity that fused the mixing of Yin and Yan disasters theory. In the six types of Yi Zhuan in Silk Manuscripts, the word `Gua-qi` is not used. However, the Gua-qi theory has already been revealed in the Yi Ching interpretation, and it was an important interpretation `method` of Pre-Chin`s Xiang Shu Yi Learning(先秦象 數易學) to make man`s work clear by reasoning of the heavenly way. It can be said that this `method` was for the humanism of the heavenly way, and it was the preparation of the Gua-qi theory which was the mainstream of Xiang Shu in Han Yi Learning.

      • KCI등재

        조선전기 과시의 신설과정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3 교육사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조선후기 과시제도를 구성하는 개별 과시가 조선 전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신설되고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5세기의 과시는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춘추과시, 사학생과 각 도 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도회가 있었다. 태종대에 권학사목 에 의하여 과시법이 모색되고, 세종대에 춘추과시와 도회 규정이 정비되면서 각각 과시로서 성립되었다. 세조대에는 경학교육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제술 중심의 과시는 약화되었지만, 예종대에 다시 재개되어 성종대에는 『경국대전』 <장권>의 규정으로 수록되었다. 둘째 16세기에는 다양한 과시가 마련되었다. 16세기의 과시들은 이전의 춘추과시·도회와 같이 『경국대전』의 과시를 계승한 유형, 윤강·윤차 및 승보와 같이 학교시가 과시로 변화된 유형 그리고 정시·전강과 같이 신설된 유형으로 구분된다. 승보는 일찍부터 과시로 운영된 듯하지만, 나머지 과시들은 주로 중종과 명종대에 과시로 법제화되었다. 이러한 과시의 신설 경향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셋째 조선전기에 다양한 과시가 신설된 요인은 표층적·심층적 두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다. 표층적인 요인으로는 제술·고강 병행정책을 들 수 있다. 제술과 고강을 병행하려는 정책 때문에 제술로 평가하는 과시와 고강으로 평가하는 과시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킨 것이다. 또한 심층적인 요인으로는 교육진흥에 관한 당시의 인식을 들 수 있다. 조선전기의 교육당국은 유생들이 자발적으로 학교에 오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기본 인식이 있었고, 이 때문에 강한 인센티브를 주는 과시를 활용하였던 것이다. 이점에서 과시는 강제력을 동원하지 않으면서 교육을 진흥시키려는 고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ollow the estabishment of Gua-Si in 15C-16C of Jo-Seon Dynasty. Gua-Si means the test which evaluates the students, selects some ones and gives the incentive to enter themselves for the second or the last stage of national examination for recruiting bureaucra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15C, only two Gua-Sis were established. Those were Chun-Chu-Gua-Si and Do-Hue. The former was for the students of Seong-Gyun-Gwan(National University) and the second was for the students of Sa-Hak(National Secondary Schools) and Hyang-Gyo(Public Distruct Schools). Second, in 16C, many new Gua-Sis appeared. For example, Jeon-Si? Jeon-Gang(for Seong-Gyun-Gwan), Yun-Gang?Yung-Cha (for Seong-Gyun-Gwan and Sa-Hak) and Seung-Bo(for Sa-Hak) were instituted. And the former Gua-Sis, eg. Chun-Chu-Gua-Si and Do-Hue were strengthened. Third, the factor of the increasing Gua-Sis was the educational policy which balanced the educuation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But the cogni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which guaranteed the autonomy of the students more deeply influenced the process. In short, Gua-Si was the product of the educational ado in the 15C-16C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역사와 철학 : 한국고대신목신앙에 대한 역철학적 고찰

        이선행 ( Sun Haeng Yi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1 No.-

        한국 고대 신목신앙으로 볼 수 있는 것들은 단군신화의 신단수와 고구려 동맹제의의 목수신 그리고 마한의 소도신앙의 솟대와 신라의 수림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공통적인 요소는 하늘의 뜻이 이 신목을 통해 인간세상에 내려온다는 것과 인간의 바른 정사를 위해 기도와 제사를 하는 대상이었다는 점이다. 신목을 통해 내려오는 하늘의 뜻은 홍익인간으로 대표되고, 인간세상에 대한 바른 정사는 재세이화와 광명이세 등으로 드러난다. 『주역』에서는 손괘(巽卦) 를 나무와 바람 등으로 상징하고 있는데, 『주역』의 나무로 상징된 손괘 가 들어 있는 괘들은 성인이 밝힌 천도·신도를 군자의 도덕성으로 주체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바람으로 상징된 괘들은 천도·신도를 자각하고 진덕수업하는 군자가 천하(天下)를 다스리는 원리를 중심으로 밝히고 있다. 한국 고대 신목신앙의 내용도 또한 『주역』의 손괘 가 의미하는 내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홍익인간의 의미는 「풍뢰익괘 」로 대표할 수 있고, 웅녀의 신단수아래에서의 기원은 「풍산점괘 」의 원리로 설명되어질 수 있으며, 혁거세의 탄생지인 나정은 「수풍정괘 」의 원리로 풀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천도·신도를 자각하는 과정은 제의에서 행해지는 제사원리로 상징되고 있는데, 제사원리를 담고 있는 「화풍정괘 」·「풍지관괘 」·「풍수환괘 」등을 통해 풀이할 수 있다. 천도·신도를 행하는 것을 표상하는 괘들이 바로 손괘 를 바람으로 상징한 괘들이며, 나아가 풍류도로 표상되는 고유사상의 내용도 바람으로 상징된 손괘 를 포함한 괘들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바로 풍류도는 천도를 자각하여 덕으로써 세상을 교화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도덕성의 실천원리인 것이다. What we could consider as ancient Korean beliefs in sacred trees are found from Shindansoo(the sacred tree) of Dangun mythology, Moksooshin(the wooden statue of Lady Yuwha) at the Ritual of Dongmaeng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Goguryo and Sottae(the pole of prayer) of the belief in Sodo(the sacred district)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Mahan, Soorim(the sacred forest)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Shilla. The common point among them is that the divine will of the Heaven is handed down to the human world through the sacred trees and they were the targets of prayers and rituals for righteous human political affairs. The divine will from the Heaven is represented as Hong-ick-in-gan(Benefit all mankind) and the righteous political affairs in the human world are realized as Jae-seh-yi-hwa(Rule the world and enlighten mankind) and Kwang-myoung-yi-seh(Rule the world with the light of truth). Xun gua in the Book of Changes symbolizes a tree or wind. The trigrams including Xun gua symbolizing trees mainly focus on identifying the way of Heaven or the way of God revealed by a saint with a Goonja(the wise man)`s morality. The trigrams including Xun gua symbolizing wind clarify the principles for Goonja realizing the way of Heaven or the way of God and cultivating his virtue to rule over the world. The ancient Korean beliefs in sacred trees are also interpreted as what Xun gua in the Book of Changes means. Hong-ick-in-gan(Benefit all mankind) can be represented as Feng-lei-yi gua, the prayer of Ungnyo(the woman of Bear) under the Shindansoo can be explained as Feng-shan-jian gua and Najeong(The Well of Shilla) where Hyukguseh was born can be interpreted as Shui-feng-jing gua. Furthermore,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way of Heaven or the way of God can be explained by Huo-feng-ding gua, Feng-de-guan gua and Feng-shui-huan gua containing the principles of rites practiced in the rituals.The trigrams symbolizing to practice the way of Heaven or the way of God represent the Xun quas meaning wind, in addition, the indigenous Korean thought represented by Pungryudo(The way of wind and flow) can be inferred through this. The Pungryudo is the principle of practicing the morality to recognize the way of Heaven and edify the world.

      • KCI등재

        한국고대신목신앙에 대한 역철학적 고찰

        이선행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1 동방학 Vol.21 No.-

        What we could consider as ancient Korean beliefs in sacred trees are found from Shindansoo(the sacred tree) of Dangun mythology, Moksooshin(the wooden statue of Lady Yuwha) at the Ritual of Dongmaeng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Goguryo and Sottae(the pole of prayer) of the belief in Sodo(the sacred district)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Mahan, Soorim(the sacred forest)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Shilla. The common point among them is that the divine will of the Heaven is handed down to the human world through the sacred trees and they were the targets of prayers and rituals for righteous human political affairs. The divine will from the Heaven is represented as Hong-ick-in-gan(Benefit all mankind) and the righteous political affairs in the human world are realized as Jae-seh-yi-hwa(Rule the world and enlighten mankind) and Kwang-myoung-yi-seh(Rule the world with the light of truth). Xùn gua in the Book of Changes symbolizes a tree or wind. The trigrams including Xùn gua symbolizing trees mainly focus on identifying the way of Heaven or the way of God revealed by a saint with a Goonja(the wise man)'s morality. The trigrams including Xùn gua symbolizing wind clarify the principles for Goonja realizing the way of Heaven or the way of God and cultivating his virtue to rule over the world . The ancient Korean beliefs in sacred trees are also interpreted as what Xùn gua in the Book of Changes means. Hong-ick-in-gan(Benefit all mankind) can be represented as Fēng-léi-yì gua, the prayer of Ungnyo(the woman of Bear) under the Shindansoo can be explained as Fēng-shān-jiàn gua and Najeong(The Well of Shilla) where Hyukguseh was born can be interpreted as Shuǐ-fēng-jǐng gua. Furthermore,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way of Heaven or the way of God can be explained by Huǒ-fēng-dǐng gua, Fēng-de-guān gua and Fēng-shuǐ-huàn gua containing the principles of rites practiced in the rituals.The trigrams symbolizing to practice the way of Heaven or the way of God represent the Xùn quas meaning wind, in addition, the indigenous Korean thought represented by Pungryudo(The way of wind and flow) can be inferred through this. The Pungryudo is the principle of practicing the morality to recognize the way of Heaven and edify the world. 한국 고대 신목신앙으로 볼 수 있는 것들은 단군신화의 신단수와 고구려 동맹제의의 목수신 그리고 마한의 소도신앙의 솟대와 신라의 수림을 찾아 볼 수 있는데, 그 공통적인 요소는 하늘의 뜻이 이 신목을 통해 인간세상에 내려온다는 것과 인간의 바른 정사를 위해 기도와 제사를 하는 대상이었다는 점이다. 신목을 통해 내려오는 하늘의 뜻은 홍익인간으로 대표되고, 인간세상에 대한 바른 정사는 재세이화와 광명이세 등으로 드러난다. 『주역』에서는 손괘(巽卦)를 나무와 바람 등으로 상징하고 있는데, 『주역』의 나무로 상징된 손괘가 들어 있는 괘들은 성인이 밝힌 천도⋅신도를 군자의 도덕성으로 주체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바람으로 상징된 괘들은 천도⋅신도를 자각하고 진덕수업하는 군자가 천하(天下)를 다스리는 원리를 중심으로 밝히고 있다. 한국 고대 신목신앙의 내용도 또한 『주역』의 손괘가 의미하는 내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홍익인간의 의미는 「풍뢰익괘」로 대표할 수 있고, 웅녀의 신단수아래에서의 기원은 「풍산점괘」의 원리로 설명되어질 수 있으며, 혁거세의 탄생지인 나정은 「수풍정괘」의 원리로 풀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천도⋅신도를 자각하는 과정은 제의에서 행해지는 제사원리로 상징되고 있는데, 제사원리를 담고 있는 「화풍정괘」⋅「풍지관괘」⋅「풍수환괘」 등을 통해 풀이할 수 있다. 천도⋅신도를 행하는 것을 표상하는 괘들이 바로 손괘를 바람으로 상징한 괘들이며, 나아가 풍류도로 표상되는 고유사상의 내용도 바람으로 상징된 손괘를 포함한 괘들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바로 풍류도는 천도를 자각하여 덕으로써 세상을 교화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도덕성의 실천원리인 것이다.

      • KCI등재

        서사의 상상력에서 본 주역의 괘효사와 그 해석의 지평 - 주대의 역사이야기를 중심으로 -

        김연재 ( Kim Yon-j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본고에서는 점술서로서의 『역경』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논점은 점괘를 풀이한 괘효사의 서사에 있다. 서사는 역사적 사건이나 내용을 시간적 순서와 인과의 관계에 따라 서술하는 것이다. 서술의 기법에서 의도나 계도의 취지에 맞게 상상력이 가미된다. 64괘의 괘효사는 각각 그 명칭에 입각하여 인간사회의 사건이나 상황을 상징적으로 사례화한 서사이다. 그것에는 서사의 상상력에 따른 독특한 해석의 지평이 있다. 점괘의 결과를 활용하는 데에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의 내재적 관계를 밝히는 의리의 방법이 수반된다. 이러한 괘효사의 서사는 ‘역학적 서사’라고 불릴 수 있다. 역학적 서사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문왕의 역사적 사건이 있다. 주나라 문왕은 상나라 제을을 상대로 하여 국제적 외교전을 펼친다. 특히 그는 정략적 혼인, 군주의 덕성, 민심의 안정, 국가의 안위 등과 관련하여 국제정세를 예측하고 판단하는 책략의 지혜를 발휘한다. 이 내용은 태괘, 귀매괘, 송괘 등의 괘효사에 그대로 투영되었다. 괘효사의 서사를 해석하는 작업은 역사의 무대에 공연할 한편의 시나리오를 만드는 것과 같다. 이 작업에는 의리의 해석을 통해 주대의 역사보다 더 역사같은 괘효사의 서사를 풀어갈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의 영역은 상수역학과 대비되는 의리역학에 속하며 『주역』을 역사책으로 보는 사사 (史事)역학의 분야에 속한다, 현대의 관점에서 그것은 역사의 이야기 속에 역사정신을 활용하는 역사콘텐츠의 흐름과 맞닿아있다. This essay is to explicate the issue of how can Yijing be approached as the book of divine art. The main point is Gua-yao-ci translating a ceratin divinatory sign. Here is a horizon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a narrative imagination. The narrative of Gua-yao-ci in Yijing can be called changeological narrative, in that it is concerned with divinatory signs. Gua-yao-ci is to the words of describing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King Wen between Shang and Zhou dynast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Gua-ming (卦名) and contents of divinatory signs. Particularly, it is to make typical exemplifications individual events and situations in sequence over tim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Gua-ming. Here are a judgment of facts, a judgment of value, and their relationship. Explicating their internal relationship is equivalent to understanding some implications of Yili through a narrative of historical exemplifications. This method of understanding can be classified into the changeology of Yili which is in contrast with the changeology of Xiangshu (象數). And it is traditionally regarded as the book of history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the sense of explaining the result of divinatory signs concerning historical events. Recently, anecdotes of Gua-yao-ci, in describing narratives of history, are making considerable progress towards the directions of culture contents or history contents in the sense of guiding even moral contents as well as having instructions of human life.

      • KCI등재

        干宝易学的两大理论支柱:卦气说与八宫说

        임림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1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16

        This paper is mainly to discuss a famous Eastern Jin Dynasty scholar Gan Bao who used the Gua-qi theory and Eight-palace theory to establish a translation system of Zhou Yi. The view of this paper is that, after the period of Han Dynasty emperor Xuan, Gua-qi theory was became the main doctrine of image-number Yi-ology. Gua qi theory also became the first important pillar of Gan Bao’s Yi-ology. Gan Bao succeeded and developed Gua qi theory. His most important contribution was to highlight the intension of the twelve Yao of Qian and Kun. Gan Bao unscrambled the connotation of the twelve Yao of Qian and Kun, through the twelve Xiao-Xi-Gua of Fu, Ling, Tai, Da Zhuang, Guai, Qian, Gou, Dun, Pi, Guan, Bo and Kun. Another basis of his doctrine was Eight-palace theory. This theory in the Eastern Jin dynasty became the important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Gan Bao’s thoughts. On this field, Gan Bao’s innovation was to create the Shi-yue theory. Shi-yue theory is according to the Shi-Yao’s properties of Yin or Yang, and then to establish 64 hexagrams which among Eight-palace to match a month. This is a further development of Eight-palace theory. Through two support parts of GAN Bao’thoughts on Yi-ology, GAN Bao made a further extended and deepened to the learning of Gua-qi and Eight-palace theories as well as creatively to noted his exegesis about Zhou Yi. Therefore, GAN Bao let his theory of Yi-ology to be unique in his style. 本文着力探讨了东晋象数易学之巨擘的干宝以卦气说和八宫说为基础确立起的易学解读体系。本文认为,汉宣帝之后,汉代易学的主流学说乃是以卦气说为核心的象数学说,卦气说的语境成为其后象数易学的大语境,这一学说也成为了干宝易学的第一大理论支柱。干宝创造性地继承并发展了孟喜卦气说,他的发展在于凸显乾坤十二爻的内涵,透过乾坤十二爻,干宝以复、临、泰、大壮、夬、乾、姤、遁、否、观、剥、坤这十二消息卦来创造性地解读了乾坤十二爻的内涵,使卦气消息的底蕴得以更加丰富。干宝易学第二大理论支柱是京房八宫说。八宫说是笼罩于卦气说氛围下,以六十四卦分属于八宫中的揭示卦与卦之间本原与派生关系的系统卦变学说和包罗万象的筮占之学。这一学说亦是干宝易学的重要理论资源。干宝在八宫说领域的新建树凸显于其明确推出的世月说。干氏世月说是依据世爻的阴阳属性确立了分属于八宫当中的六十四卦所值的各月,这也是干宝在对两大支柱理论的融会贯通下对京房八宫说的进一步发展。干宝通过以上两大理论支柱的架构,对卦气、八宫理论做出进一步的延伸与深化,且创造性地与《周易》诸象数易学体例进行整合熔铸,挺显了独具一格的“干氏易学”。

      • KCI등재

        卦氣說에서 본 韓國 曆法의 이해

        정하용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The essay is focused upon understanding Korean Ganji changeology. Korean Ganji changeology stems from Chinese Ganji changeology. Chinese Ganji changeology is closely associated with Gua-qi doctrine at Han dynasty. It is based upon correlative changes between heaven and earth which are respectively representative in Qian and Kun. Its essence is a unity of yin and yang. A unity of yin and yang is characteristic of a circular process of nature. Gua-qi doctrine has the content that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are timely changing according to a change of yin and yang. I think that Ganji calendar is based upon the logic of Gua-qi doctrine. To understand Korean Ganji changeology, therefore, we apprehend what is the logic of Gua-qi doctrine and how it is applied to Ganji changeology. 간지역법은 시간변화와 64괘의 괘상을 결합한 괘기설과 관련성을 갖는다. 즉 괘기설과 간지력은 동일한 원리를 표상하는 두 개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괘상과 간지는 모두 하늘과 땅을 기본적인 소재로 하여 천지건곤이 상합하여 천지사이의 만물을 이루는 기제이다. 괘상과 간지의 변화주체는 음양이기이다. 괘상에서는 음양이 소식・승강하는 것이고, 간지에서는 음양이 교대로 순환하는 것이다. 괘기설은 주역괘상에 절기 등 역법을 배합한 것이고, 간지력은 역법을 표상하는 것이다. 괘기설이 음양의 소식승강으로 시간과 절기의 변화를 설명한다면, 간지력은 음양의 교대순환으로 시간과 절기의 변화를 담은 것이다. 괘효는 음양이 오르내리는 통로이고, 간지부호는 음양 변화를 표상하는 부호이다. 괘효상의 변화는 시간을 매개로 한 음양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간지의 전개는 시간을 매개로 한 단계적인 음양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역법을 배합한 괘기설과 역법을 표상한 간지력은 근본적으로 음양이기로서 천문과 역법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표리에 해당한다.

      • KCI등재

        『天台小止觀』 「治病」章에 대한 현대적 응용 연구 - 「天台小止觀」의 「治病」章의 건강지혜와 현대적 응용사례 연구

        지원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2 No.-

        본 논문은 치유의 관점으로 『천태소지관』 「치병」장의 구성을 살펴보고, 질병의 발생원인과 그 치료 법, 그리고 이를 지속시키는 용심법을 논구했다. 『소지관』은 또 병인에는 四大 부조화의 요인이 크 지만, 그 근본원인은 정신적 요인이라는데 주목하고 있다. 오늘날 다양한 치유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새로운 치유법들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그 연원은 결국 천 태가 설정한 치유법이나 좌선법, 혹은 좌선환경 조성에 있음을 보게 된다. ‘건강 체험형’ 템플스테이 프 로그램 시행 모범 사찰로 육지장사에서 행해지는 내용들을 통해 현대인들의 건강 회복에 최대의 관심 을 두고 『소지관』의 내용에 입각하여 여러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정신적 육체적 질환을 치유하기 위 한 많은 노력을 하고있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천태가 『소지관』에서 언급한 四大 부조화에 의한 병인(病因)에 맞추어 그 치유법들을 적극 계 발 활용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첨단 의학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육체적, 정신적 질병의 숫자가 줄어들지 않는다. 특히 기 계문명 사회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발생하는 정신적 공황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치 르는 사회적 비용 또한 매우 크다. 심리치료에 대하여 발달된 의술의 기여도 있지만, 치유의 방법이 오 히려 효과적일 수 있다. 치유의 연원을 『소지관』에 두고 이를 치유의 입장에서 재해석하고 현대인들 이 겪는 고통을 해결할 수 있도록 대안제시하며 선구자적 입장에 있는 의사, 명상가, 환경운동가들의 저술과 응용사례에 대해서도 비교 및 인용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figuration of chapter of 「Healing a disease」 in “tiān tāi xiǎo zhǐ guān” in aspect of healing. In addition, we have studied cause of the disease, treatment and mindfulness to sustain it. “xiǎo zhǐ guān” pays attention to the idea in which four factors of mismatch are the major causes, but its root cause is the mental factor. Today, a variety of therapies have been suggested. New therapies are in the limelight, but it originates from the teachings of tiān tāI, a Buddhist master. It is focused on healing, sitting seon or sitting environment. I established Yukjijangsa located in Baekseok-eup Yangju, Gyeonggi Province. Temple stay program provided in this temple focuses on recovery of health of modern people. Among many programs, we are operating the program to heal the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The healing program originates from “xiǎo zhǐ guān”. In particular, we provide members with the therapy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disease mentioned in “xiǎo zhǐ guān” by tiān tāI, a Buddhist master. Despite the development of advanced medicine, the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physical and mental diseases. In particular, modern people have to live in a networked mechanical values. The mental panic attack is bound to increase day by day. Because of this, social expense to take care of it is very high. There are therapies developed for psychological healing, but natural healing can be more effective. I would place the origin of healing on “xiǎo zhǐ guān”. I would like to reinterpret it in aspect of healing and present the alternatives to resolve the pains that the modern people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