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교회 개혁을 위한 기독교인의 윤리의식 -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3대 논문을 중심으로

        박삼경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8 神學과 宣敎 Vol.54 No.-

        This paper aims to formulate a Korean Christian ethical understanding in the Church to analyze three works of Martin Luther which was written in 1520 those were “To the Christian Nobility of the German Nation”, 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and The Freedom of a Christian” and to examine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logy of the Reformation. These three treatises of 1520 was the heart of Luther’s protest against the church. Luther focused on freedom in them. In the first treatise, he explained a freedom from the power of the papacy that firmly convinced of the priesthood of believers. In second, he posited a freedom from the wrong doctrines and teachings those are not in the Bible. He acknowledged two sacraments among seven sacraments. He rejected five sacraments that are not in the Bible. He was a man seeking God in the Bible. In three, he wanted to say the freedom of Christians, which is truly in the Gospel. In this paper, we need to focus on some ethical features of Luther’s works. This is the equality of all believers before God. It leads us to an humble mind toward others. we also need to respect the Bible. We live in the spirit of the Bible and have to do in the way of the Bible. Lastly, we live in the Gospel that frees us from the sin and that willing to free for others. In this article, the writer suggests an ethics of virtue to transform Korean church and to let church be church.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쇠퇴가 한국교회의 윤리적 실패 때문이라는 전제로부터 시작한다. 한국교회의 진정한 부흥을 위하여 종교개혁의 기수인 마르틴 루터의 3대 논문(독일 크리스천 귀족에게 보내는글, 교회의 바벨론 포로,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자유)을 통해 21세기의한국 기독교인들이 재고해야 할 기독교 윤리의식을 성찰해 본다. 루터의 3대 논문은 기독교인의 자유와 책임을 다룬다고 볼 수 있다. “독일 크리스천 귀족들에게 보내는 글”에서는 교황의 권력에서부터의자유를 다루었고, “교회의 바벨론 포로”에서는 왜곡된 교리로부터의자유를 말하고 있으며, “그리스도인의 자유”에서는 복음의 참된 자유가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다. 필자는 루터의 세 편의 글에서 한국 기독교인들이 가져야 할윤리의식으로 만인평등의식과 하나님 말씀 경외의식 그리고 복음의삶으로써 이루어지는 자유와 그에 따른 책임의식을 발췌하여 다루고자 한다. 특별히 필자는 한국 대형교회의 세습 문제, 한국 기독교인들의믿음과 행함의 불일치, 그리고 자기 교회의 성공만을 생각하는 자기교회 중심적인 신앙을 비판한다. 복음의 삶이란 한마디로 그리스도인의자유와 책임의식을 갖고 사는 것이다. 기독교인들의 자유와 책임을함양하기 위해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교회와 사회의 개혁을 위해필자는 ‘덕의 윤리’를 제안한다. 오늘의 한국교회의 위기는 신앙인들의신앙인답지 못함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의 진정한 교회됨을 위해서는 교회개혁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한국 기독교인들의 윤리의식이 보다 더 하나님 앞에서 솔직하게 서로를 인정하고 서로를 평등하게 생각하며, 성서가 말하는복음의 정신에 입각한 삶을 사는 데까지 이르러야 한다. 그러한 노력을통해 복음의 합당한 삶이 이 땅에서 구현될 때 비로소 루터가 경험했던교회개혁이 이 땅에서도 경험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기독교인들의윤리의식이 보다 더 성숙해져서 초기 기독교인들이 한국사회를 이끌어갔던 그 원동력의 힘이 회복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국교회의 문제는 칭의론 때문일까?

        이오갑(O?kab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0 No.-

        한국교회 문제는 무엇일까? 이 글은 현재 한국교회의 목회적, 도덕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의 하나로서 뜨겁게 일어나고 있는 개신교권의 칭의론 논쟁을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특히 종교개혁적인 관점에서 칭의론이 무엇이고 그것이 한국교회의 문제들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규명하며, 문제의 원인이 칭의론이 아니라 오히려 개신교의 칭의론과 더 넓게는 구원론 자체가 올바르게 받아들여지지 못한 데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논쟁은 한국교회들이 겪고 있는 신학적이고 도덕적인 위기들의 원인이 ‘예수를 믿기만 하면 죄사함을 받고 구원을 얻는다’는 칭의론에 있다는 김세윤의 주장에서 비롯되었다. 거기에 대해 이진섭, 최덕성, 김경열, 이윤석 등이 다양한 관점에서 그의 주장들을 반박하고 비판했다. 그런 반론들은 김세윤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보게 할 뿐만 아니라 더 넓게는 그 자체로서 개신교 신학의 칭의론과 한국교회 문제들을 다시 생각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김세윤은 그리고 그에 대한 반론들도 대체로 칭의론에 대한 오해나 무지들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칭의론은 종교개혁의 유산이라는 점에서 종교개혁의 신학의 원의를 이해하는 게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논쟁가들은 종교개혁의 칭의론을 잘 알지 못한 채, 통속적이고 심지어는 틀린 논지를 폄으로써, 결과적으로 종교개혁 이전의 율법주의나 공로주의로 빠져 들어갈 길을 열어주었다. 그렇게 칭의론에 대한 그릇된 이해에 근거한 한국교회의 평가가 과연 얼마나 옳을 수 있을까? 즉 칭의론이 한국교회의 도덕적인 부패의 원인이라는 판단 자체가 성립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오히려 현재 한국교회의 위기를 칭의론 때문이 아니라, 올바른 칭의를 통해 그리스도인이 ‘되는’ 일에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칭의론 때문이 아니라 진정한 칭의론에 근거하지 못해서 문제이다. 칭의론에 입각해서 한국교회 신자들은 과연 그리스도인이 되었고, 한국교회들은 정말 교회가 되었을까? 한국교회가 현재의 심각한 위기들을 극복하고 새롭게 거듭날 수 있는 길은 어디에 있을까? 많은 방안이 가능하지만 결국은 신자들이 진정으로 그리스도인이 되고 교회가 되는 일이 핵심이다. 그를 위해 각 사람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고 그의 은혜를 받아들이는 진정한 믿음을 세우는 일이 필요하다. 그 믿음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며, 성령의 은혜 가운데서 세상을 향한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참여와 헌신, 사랑의 삶을 이루도록 돕는 일이다. 한국교회의 미래는 그런 믿음과 삶, 칭의와 성화의 통전적이고 균형있는 교회를 세우기 위해 기도하고 연구하고 복음을 설교하는 일을 얼마나 잘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본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heated argument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which is currently presented in the Korean Church, and to examine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logy of the Reformation. The argument began by Kim Se–Yun who claims tha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caused the moral crisis in the Korean churches. According to him, the Korean churches have taught people that they are ‘to be forgiven their sin and saved for eternity at a time when they get to believe Jesus Christ.’ But such scholars and pastors as Lee Jin–Sub, Choi Duk–Sung, Kim Kyung–Yul, and Lee Yun–Suk disput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Moreover, they, per se,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of Reformation and its relation to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es. Both Kim and his rebutters, in fact, show misunderstanding or lack of knowledge abou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in general. It is indispensable to understand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theology of Reformation because the doctrine is attributed to it. But many scholars, without understanding of it, make banal, or even incorrect, assertions and end up opening a path to the nomism and the meritism which preceded Reformation. How could the Korean churches be assessed rightly when it is based on the misunderstanding about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This means that it cannot be valid to judge whether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is the cause of moral corruption. Rather, the corruption of Korean churches can be said to consist in failure to become true christians by correct faith. It is not because of the doctrine itself, but because it is not grounded on the authentic doctrine.

      • KCI등재후보

        한국교회 개혁을 위한 기독교인의 윤리의식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3대 논문을 중심으로

        박삼경 ( Park Sam-keung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8 神學과 宣敎 Vol.54 No.-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쇠퇴가 한국교회의 윤리적 실패 때문이라는 전제로부터 시작한다. 한국교회의 진정한 부흥을 위하여 종교개혁의 기수인 마르틴 루터의 3대 논문(독일 크리스천 귀족에게 보내는 글, 교회의 바벨론 포로,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자유)을 통해 21세기의 한국 기독교인들이 재고해야 할 기독교 윤리의식을 성찰해 본다. 루터의 3대 논문은 기독교인의 자유와 책임을 다룬다고 볼 수 있다. “독일 크리스천 귀족들에게 보내는 글”에서는 교황의 권력에서부터의 자유를 다루었고, “교회의 바벨론 포로”에서는 왜곡된 교리로부터의 자유를 말하고 있으며, “그리스도인의 자유”에서는 복음의 참된 자유가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다. 필자는 루터의 세 편의 글에서 한국 기독교인들이 가져야 할 윤리의식으로 만인평등의식과 하나님 말씀 경외의식 그리고 복음의 삶으로써 이루어지는 자유와 그에 따른 책임의식을 발췌하여 다루고자 한다. 특별히 필자는 한국 대형교회의 세습 문제, 한국 기독교인들의 믿음과 행함의 불일치, 그리고 자기 교회의 성공만을 생각하는 자기교회 중심적인 신앙을 비판한다. 복음의 삶이란 한마디로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책임의식을 갖고 사는 것이다. 기독교인들의 자유와 책임을 함양하기 위해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교회와 사회의 개혁을 위해 필자는 ‘덕의 윤리’를 제안한다. 오늘의 한국교회의 위기는 신앙인들의 신앙인답지 못함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의 진정한 교회됨을 위해서는 교회개혁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한국 기독교인들의 윤리의식이 보다 더 하나님 앞에서 솔직하게 서로를 인정하고 서로를 평등하게 생각하며, 성서가 말하는 복음의 정신에 입각한 삶을 사는 데까지 이르러야 한다. 그러한 노력을 통해 복음의 합당한 삶이 이 땅에서 구현될 때 비로소 루터가 경험했던 교회개혁이 이 땅에서도 경험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기독교인들의 윤리의식이 보다 더 성숙해져서 초기 기독교인들이 한국사회를 이끌어갔던 그 원동력의 힘이 회복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formulate a Korean Christian ethical understanding in the Church to analyze three works of Martin Luther which was written in 1520 those were “To the Christian Nobility of the German Nation”, 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and The Freedom of a Christian” and to examine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logy of the Reformation. These three treatises of 1520 was the heart of Luther’s protest against the church. Luther focused on freedom in them. In the first treatise, he explained a freedom from the power of the papacy that firmly convinced of the priesthood of believers. In second, he posited a freedom from the wrong doctrines and teachings those are not in the Bible. He acknowledged two sacraments among seven sacraments. He rejected five sacraments that are not in the Bible. He was a man seeking God in the Bible. In three, he wanted to say the freedom of Christians, which is truly in the Gospel. In this paper, we need to focus on some ethical features of Luther’s works. This is the equality of all believers before God. It leads us to an humble mind toward others. we also need to respect the Bible. We live in the spirit of the Bible and have to do in the way of the Bible. Lastly, we live in the Gospel that frees us from the sin and that willing to free for others. In this article, the writer suggests an ethics of virtue to transform Korean church and to let church be church.

      • KCI등재

        한국교회의 병리현상과 신흥종교운동

        탁지일(Tark Ji-Il)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이 글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병리현상이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의 발흥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종교개혁 500주년과 민주화운동 30주년을 맞는 한국교회의 개혁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사회적 논란이 되었던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로 제한하며, 시기적인 범위는 1987년 6월 항쟁으로부터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는 2017년까지에 초점을 맞춘다. 단 논의의 전개를 위해, 한국전쟁 이후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의 발흥과 전개과정을 서론 부분에서 개괄적으로 다루려고 한다. 주제에 대한 선행연구는 미미하지만 꾸준한 형편이다.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 신흥종교운동들에 대한 주목할 만한 연구로는 이강오의 『韓國新興宗敎摠監』(대흥기획, 1992)이 있는데, 불교계와 동학계와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의 발흥에 대한 현장중심의 연구를 진행한 탁명환의 『한국의 신흥종교 : 기독교편』 I-IV(국제종교문제연구소, 1972, 1973, 1974, 1987)가 자세한 관련정보를 전달해주고 있다. 한국전쟁과 군사정권의 등장은 사회적 불안정성과 반공사상을 이용한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 발흥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1987년 민주화 이후에는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한 신흥종교운동들의 친사회적 활동 변화가 주목된다. 한국교회의 교리적 인정보다 주변 사회의 공신력을 얻고자 하는 방향으로 신흥종교운동들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신흥종교운동들의 영향력이 확대될 수 있었던 것은 한국교회의 병리현상, 즉 신행불일치의 삶과 신앙으로 인한 한국교회의 사회적 고립과도 무관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한국교회는 개혁주체가 아니라 개혁대상으로까지 비판을 받게 된다. 그리고 이는 한국교회의 기독교계 신흥종교운동들에 대한 대책마련에 있어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국교회가 병리현상을 극복하고 신흥종교운동들의 도전에 효과적으로 응전하면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해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athological phenomenon of Korean church to the rise and growth of 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This examination emphasizes on the period from 1986 to 2017 and, in the beginning of this paper, the formation of 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after the Korean War is explored to show their socio-historical background. Notably, there have been few but continuing preceding researches, such as, Gang-Oh Lee’s Comprehensive Studies of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and Myong-Hwan Tark’s New Religious Movements in Korea, I-IV. The Korean War and the military dictatorship were a fertile soil for the rise and growth of the movements and they have tried to make some important changes in their beliefs and practices since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86. The formation of Christian new religious movements is deeply related to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Korean church, namely, the imbalance between belief and practice, which causes its isolation.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there is a serious concern for Korean church nowadays and Korean church is expected to not only respond to the challenge of new religious movements but also reform and restore its identity.

      • KCI등재

        한국교회의 역사 경험에 대한 종교개혁적 성찰

        천병석 한국조직신학회 2017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8 No.-

        In commemoration of 500 years since the Reformation, this treatise seeks to re-illuminate faith and theology of Korea's Protestant churches from the light of Luther's theology. Presently, Korea's Protestant churches need to undergo changes from within and without. They don't have, however, any idea from where to start the changes. In this respect, Luther's Reformational discovery can be regarded as the starting point for changes of Korean churches. It's because his theological discovery changed not only the Medieval churches also the whole European society. That said, the point of this treatise is not targeted to the objects of change. It's neither about individuals, churches, nor about societies but important is what is the sources bringing about changes. As Luther considered the old church as Babylonian captivity, we need to have self-examination of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and society. It is revealed that principle of justification by faith is not working in our country, since Korean churches have been too dependent on the United States and its churches, beyond being friendly to them. It is surely one of our country's historical experiences just like the victim mentality caus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or the Korean War. These experiences hinder meaningful changes based on faith-experiences. Historical experiences, which are merely relative and partial, may prevail in human matters but can't obtain ultimate legitimacy in front of God. Only faith-experiences based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s 'being righteous by God's righteousness' are able to bring about true changes to churches and society. Such faith-experiences have been handed down to us in the form of confession of faith of Korean churches, surviving internal life of church history, which we can identify particularly in the Great Revival of 1907 in Korea. The heritage of the Reformation can be and should be applied to the reforms of Korean churches and society. Although ‘Indigenous theology’ and ‘Minjung theology’ were presented as the possibility of Korean theology in Korean theological history, they could not bring as much fruit as expected for the mission and ministry of the church for society because they could not theoretically subject the Korean church's unique faith experience. A meaningful change in Korean church and society is in rediscovering and practicing the principles of the reformational theology that Luther discovered and practiced 500 years ago, like the slogan of “Ad Fontes” (return to the source). 이 논문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한국개신교의 신앙과 신학을 루터신학의 빛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한국개신교는 안팎으로 변화를 요청받고 있다. 하지만 어디서 시작해야할 지 당혹해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루터의 종교개혁적 발견은 한국교회를 위한 변화의 출발점으로 여겨진다. 그의 신학적 발견은 중세교회뿐만 아니라 유럽사회를 바꾸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글의 논점은 변화되는 그 대상에 있지 않다. 개인이거나교회거나 혹은 사회가 문제가 아니라, 변화를 가져오는 원천이 무엇인가가 중요하다. 다만 루터가 당시의 교회를 바벨론 포로로 보았듯이, 복음이 적용되어야 할 대상으로서, 한국 교회와 사회의 현실에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그것은 한국교회가 미국과 미국 교회에 우호적인 것 이상으로 종속되어 칭의론적 신앙의 원리가 작동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미국경험은 일제와 6.25로 인해 겪은 피해의식과 마찬가지로 우리민족이 겪은 여러 역사 경험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경험들이 민족적 무의식 속에 고착되면 신앙 경험에 의거한 의미 있는 변화를 방해하기도 한다. 역사 경험은 상대적이고 부분적이어서 인간사에서 통용될 뿐 하나님 앞에서 궁극적인 정당성을갖지 못한다. ‘하나님의 의로 의롭게 된다’는 칭의론적 신앙 경험만이 교회와 사회에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신앙경험은 한국교회의 신앙고백과 교회사의 내적 생명을 이어오는 것으로서, 특히 1907년 대부흥운동에서 역사 경험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종교개혁의 칭의론적 유산은 한국 교회와 사회의 개혁을 위해 적용될 수 있고 적용되어야 한다. 토착화신학과 민중신학이 한국 신학의가능성으로 제시된 바 있지만, 한국교회의 고유한 신앙 경험을 신학적으로 주제화하지 못했기에 사회를 위한 교회의 선교와 목회를 위해 기대만큼의 결실을 거둘 수 없었다. 한국교회와 사회의 의미 있는변화는 ‘Ad Fontes’(근원으로 돌아가자)라는 종교개혁기의 구호처럼, 500년 전 루터가 발견하고 실천했던 칭의론적 신학의 원리를 재발견하고 실천하는 데에 있다.

      • 한국교회 담임목사직 세습 문제와 신뢰 위기

        오성종(Sung Jong Oh) 혜암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교회 Vol.16 No.-

        유독 은퇴하는 담임목사의 목회 세습이 한국교회에 만연되어 있다. 존경받던 목회자들도 그러한 욕망을 흔히 가진다. 다른 나라 경우보다 훨씬 심하다. 왜 그럴까? 어떻게 하면 이 풍조를 개혁할 수 있을까? 개혁이 이뤄지지 않으면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는 더 떨어질 것이다. 교단적으로 목회 세습 방지법을 제정하고 세습 반대 운동을 펼 때, 어느 정도의 성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묘한 방법으로 법을 피하여 목회 세습은 계속되고 있다. 법을 제정하고 “세습하지 말라”고 윽박질러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까? 권력과 돈과 명예가 따를 때 기득권을 포기하기 어려운 것이 인간이다. 특히 한국인에게는 가족주의와 기복신앙과 번영 신앙이 뼛속 깊이 박혀 있기 때문인데, 바로 수천 년 간 이어 내려온 무속주의적 가치관의 영향이다. 한국교회의 목회자들은 설교에서 흔히 교인의 욕구를 만족시키려 기복신앙적 메시지를 전한다. 그래서 대형교회를 이루려 한다. 물량적 교회성장 개념은 비성경적이다. 성경은 그리스도의 몸이 그리스도 중심적이며 유기적 성숙을 통해 성장한다고 가르친다. 무속주의적 가치관과 세계관의 해독이 없으면, 목회 세습의 문제와 한국교회의 개혁은 이뤄지기 어렵다. 그에 대한 해결책은 그리스도 중심적이고 종말론적인 가치관과 세계관, 교회관, 목회관에로 돌아가는 일이다. 오직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성령의 인도를 받는 삶을 통하여 이뤄지는 성화에 대한 교훈을 설교의 메시지로 전하는 데 진력해야 한다. 그럴 때 진정한 목회자들과 교인들의 가치관과 세계관의 변화가 이뤄질 것이고 목회 세습의 문제도 해결될 것이다. The pastoral inheritance of a senior pastor who is retiring is rampant in Korean churches. Even respected pastors often have that desire. It is much worse than in other countries. Why? How can we reform this trend? Without reform, the social trust of the Korean church will decline further. When the denomination enacts the Pastoral Hereditary Prevention Act and conducts an anti-hereditary campaign, there will be some results. However, the pastoral inheritance continues to evade the law in a subtle way. Can the problem be solved by enacting the Pastoral Hereditary Prevention Act and the Anti-hereditary Movement, and urging them to “do not inherit”? It is difficult for humans to give up their vested interests when power, money, and fame follow. This is because, in particular, Koreans are deeply rooted in familialism and belief in earthly blessings and prosperity through prayers and religious acts, which are the influence of shamanism handed down for thousands of years. Pastors of Korean churches often deliver messages of earthly blessings and prosperity in their sermons to satisfy the needs of their members. So, they are trying to build a large church. The concept of quantitative church growth is unbiblical. The Bible teaches that the ‘body of Christ’ grows through Christ-centered and organic maturity. Without detoxication of the shamanistic values and world-view,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abolition of pastoral inheritance and reform of the Korean church. The solution is to return to Christ-centered and eschatological values and world-views, church concept, and pastoral spirit. In the sermon messages pastors must strive to deliver the teaching of sanctification through communion with Christ and a life led by the Holy Spirit. So the values and world-view of true pastors and church members will change, then the problem of pastoral inheritance and the crisis of social trust of the Korean church will be resolved.

      • KCI등재

        종교개혁기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 - 1907년 평양대부흥회 100주년에: 종교개혁기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미

        김성은(Kim Sung-E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8 신학사상 Vol.0 No.140

          본 논문은 종교개혁 당시 교육적 특성과 종교개혁의 교육사적 의의를 고찰하여 오늘날 교회의 교육적 과제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지나간 역사를 생각해 보는 것은 과거의 사건에 대한 해석들이 오늘의 사건들에 대한 질문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종교개혁운동을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교회가 안고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검토하여 여기서 얻은 지혜로, 한국 교회의 잘못을 회개할 수 있을 것이다.   2007년에 일어난 몇 가지 사건들은 한국 교회의 위기를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아프가니스탄 인질 사태와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이랜드 노조점거 투쟁, 사립학교법 개정 투쟁, 이후 인터넷상 떠오른 반기독교적인 정서를 지켜보면서, 기독교가 한국 사회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늘날의 기독교인들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며 의미를 부여하고, 실재(reality)를 해석하는 삶의 준거 틀(frame of reference)은 무엇이며, 전쟁과 타종교에 대한 적개심, 북핵문제, 여성, 빈곤과 기아, 지구온난화, 선거운동 등 이 시대적 위협에 대한, 성숙한 기독교인들의 책임은 무엇이며, 기독교 진보나 보수로 갈려, 상이한 행위와 반응을 보이는 교회지도자들에게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라는 문제들과 마주하고 있다. 교회가 사회문제 때문에 기도하고 걱정하는 것이 정상인데 오히려 사회가 교회문제를 이번처럼 관심을 가진 일은 없었을 것이다. 지금까지는 기독교가 생명존중, 노동운동, 민주화운동, 도덕적 실천, 선진화 등 보편적 가치에서 한국 사회를 리드한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교회가 독선적 방식으로 일하는 것에 대해 사회가 공개적으로 질타하는 분위기가 고조된 것에 놀라지 않을 수없다. 한국 교회는 타문화지역 선교와 한국 사회 내 기독교에 대한 인식 전반에 대한 성찰과 방향모색이 절실해졌다.   본 논문은 종교개혁 당시 교육적 특성과 종교개혁의 교육사적 의의를 고찰하여 오늘날 교회의 교육적 과제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지나간 역사를 생각해보는 것은 과거의 사건에 대한 해석들이 오늘의 사건들에 대한 질문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한국 교회의 위기를 종교개혁기 교육적 의미를 통해 돌아봄으로써 개혁을 위한 기초로 삼고자 한다.   2007 Korean Christian Churches were celebrated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Pyungyang Revival 1907. Korean Churches orgarnized big symposiums and various repentance event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lucidate some important backgrou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thought during the reformation era on the year of the big event of the repentant.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flicts between Korean churches,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on the issues, such as, the presidential election, peace movement in Korean Peninsula, Private school Law, in the light of the educational thought during the reformation era.   Theologians including Martin Luther concerns of the education for the public, boys and girls mem and women in mother languages to read the Bibles. And the nation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instead of Churches.   But, they also, emphasized the education mainly as a dogmatic tool for the Protestant church movement not for the open individual development. Therefore the conflict between the groups became so violent afterward. The influence to the latter century became the German national education, national churches, Nazzy’s anti Sionism and Korean aggressive Missionaries to The Isalm World.   The vision of the education for the Rensasance and Humanism and the spirit of the Pyunyang Revival 1907, Korean church has to repentant with the Jesus’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God which restoring the human rights and the dignity of all human being.

      •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 주제설교 연구: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함의(含意)

        성종현 ( Seong Chong Hy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8 No.-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주창자이신 장종현 박사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선지학교를 1976년 설립하였다. 하나님의 은혜와 그의 끊임없는 무릎 기도와 탁월한 리더십에 힘입어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는 신학교와 신학교수들이 많아질수록 교회의 현장은 메말라 가고 있음을 간파하고 그 원인이 신학교육의 문제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2003년 10월 25일에`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를 외쳤고, 2008년 12월 1일에는 제1회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을 열었다. 본 논문은 종교개혁의 설교학적 의의에 기초하여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장종현 박사의 주제설교 연구를 통해 종교개혁 500 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함의(含意)를 찾고자 한다. 왜냐하면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에서 장종현 박사는 한국교회의 개혁을 염두에 두고서 일 년 동안 준비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제2의 종교개혁 의 역사에 쓰임을 받기를 소망하고 있다. 본 논문의 제1장은 개혁주의생명신학 생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아홉 차례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와 더불어 주요 대지를 소개하고 있다. 제2장은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 주제설교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함의 (含意)를 살피고 있다. 첫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태동이다. 제1회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 주제설교가 한국교회에 끼친 공헌은 종교 개혁 500주년을 앞두고서`개혁주의생명신학`이라는 새로운 용어 가 공적으로 발표된 계기를 마련한 데 있다. 장종현 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창하면서 죽어 있는 개혁신학을 살리고자 하는 뜨거운 열정으로`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창하였다. 둘째, 개혁주의 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성교는 신학의 본질을 반성하면서 신학의 본 질의 회복을 촉구하기 위해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전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설교는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강조하는 7대 실천운동을 구슬같이 꿰뚫고 있다. 셋째, 그의 주제설교는 포럼이 진행된 공간에서만 머물지 않고 기독교 TV와 라디오 그리고 신문 등을 통 해 한국교회와 성도들에게 강하게 파고들었다. 그 결과, 한국교회 의 연합운동을 더욱 촉진하게 하는 도구로 쓰임을 받게 되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장종현 박사는 다가오는 2017년 10월 31일 제 10회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에서`종교개혁 500주년과 개혁주의 생명신학`이라는 제하의 메시지를 준비하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설교는 다가오는 종교개혁 1,000년을 향해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될 것이다. Dr. Jong Hyun Chang, an advocate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established a small seminary to raise up ministers. He succeeded in growing a great repeat of development through the grace of God and his kneeling prayer and leadership. In many countries, as theology has developed more and more into a mere scholarly discipline, the spiritual state of local churches has consequently declined even more. On the process of being too speculative, theology has lost the spiritual life found in Jesus Christ, its very substance and spiritual power. As we live up to the Gospel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we seek to promote spiritual revival in Korean churches by restoring the vitality of the Gospel, the essential substance of theology. To this end, Dr. Chang advocates `Reformed Life Theology`. Reformed Life Theology attempts to inherit and develop the reformed theology by emphasizing its five mottos: sola Scriptura, solus Christus, sola fide, sola gratia, and soli Deo gloria, and by setting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such as a movement of faith, theological restoration, repentance-forgiveness, spiritual life, the Kingdom of God, sharing, and prayer-the Holy Spirit.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introduces the subject and main outlines of Dr. Chang`s sermons of nine forum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e second chapter studies the implications to the Korean churches welcoming the Reformation`s 500th anniversary.

      • KCI등재

        종교개혁과 한국교회의 통일준비

        조은식(Eunsik Cho)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5 No.-

        종교개혁 500주년이 되면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었다. 종교개혁으로 시작된 개혁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하는 교회이다. 한국교회는 선교 130년 또는 150년 된 교회로 볼 수 있다. 선교 100년이 넘은 한국교회는 개혁 교회의 정신을 잘 유지하고 있을까? 이런 관점에서 살펴볼 때 한국교회는 성경만을 강조하다 보니 실천을 소홀히 한 면이 있다. 또 은혜만을 말하다보니 윤리의식의 약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믿음을 주장하지만 구별된 삶을 보기 어렵다. 그렇다면 한국교회는 철저한 회개를 통해 신앙의 본질을 되찾아야 한다. 이런 개혁정신과 더불어 통일은 막힌 담을 헐고 화해하는 선교적 과제이다. 통일준비를 위해 먼저 주변에 있는 탈북민들에게 시선을 맞춰 이웃사랑을 실천해야 한다. 또한 통일교육을 실시하여 통일을 이해하고 준비해야 한다. 대외적으로는 이념갈등에서 벗어나 성경을 중심으로 예언자적 사명을 감당하는 일이다. 그리하여 교회의 개혁이 사회의 변혁으로 확산되고 남북통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As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various events took place. The Reformed Church, which began with the Reformation, is a church that must always be reformed. The Korean church can be seen as a church that is 130 years old or 150 years old. Does the Korean church maintain the spirit of Reformed Church? From this point of view, the Korean church emphasizes only the Bible, which neglects the practice. As we speak only of grace, we have weakened the consciousness of ethics. And it is difficult to see a distinctive life, claiming faith. If so, the Korean church must reclaim the essence of faith through thorough repentance. Together with this spirit of reform, reunification is a missionary task of reconcili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ractice the love of the neighbors in line with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ound us. Also,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understand and prepare for reunification. Outside of it, it is devoid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it is to fulfill the mission of the prophets centering on the Bible. Therefore, we must prepare for the reform of the church to spread into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 and lead to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 현대 한국교회의 세대 간 담장을 허물 예배음악 개혁에 대한 연구 : 성경적, 교회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은희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20 Torch Trinity Journal Vol.23 No.1

        한국교회는 짧은 기간 동안 큰 교회 성장을 경험한 교회로 알려져 있다. 하 지만 현재 한국교회는 혼동과 위기의 시기에 처해있다. 한국교회는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그것에 대한 올바른 해결책도 갖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현대 한국교회는 예배공동체로 공동성과 연합성의 상실을 경험하고 있다. 장년에서 어린이에 이르는 세대 간 예배 및 예배음악의 분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다. 세대 간 담장이 두터운 한국 사회 안에 있는 한 국교회 역시 어떻게 세대 간의 차이를 극복하여 예배를 드려야 할지 모두가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현대 한국교회에서 세대 간 소통과 조화를 이루는 성경적인 예배음악 개혁은 예배와 관련된 모든 이 들에게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과 같은 포스트모던 문화 상황에서 현대 한국교회 의 예배음악 개혁 이슈를 성경적 그리고 교회사적 고찰을 통해 현대 한국교 회의 세대 간 담장을 허물 수 있는 성경적이며 통합적 예배의 가능성을 찾는 데 있다. 하나님의 말씀은 절대불변의 진리이기에 변경 혹은 각색될 대상이 결코 아니지만, 성경과 교회사를 통해 보았듯이 예배형식과 예배음악은 시 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되었다는 점은 현대 한국교회 예배와 예배음악 개혁 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The Korean church is acknowledged for accomplishing one of the greatest church growths within the shortest period of time. Currently they are going through a transitional era of crisis and chaos. They have had a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tyles, being unable to find the right solution. Especially the modern Korean church is experiencing a loss of commonality and unity as a community of worship because of the differentiation of worship and worship music existing between generations from adult to child. Korean churches with deep intergenerational fences also worry about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nd worship styles. In modern Korean churches where various generations coexist, biblical worship music reformation making generational communication be possible is an important issue for everyone involved in wo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worship that can break down barriers existing between generations of modern Korean churches in today’s post-modern cultural situation with biblical foundation and historical perspectives. The Word of God is the absolute and unchanging truth, so it is never subject to change or adaptation according to situations. But as we have seen through the Bible and church history, the reformation of worship and worship music has changed according to times and circum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