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학교 학교도서관 이용자 인식 및 요구 특성 분석

        황혜정,김기영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 정보관리학회지 Vol.32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perceptions on and needs to school libraries, and suggest an effective library management direc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mpare the perceptions on and needs for library elements, such as facilities, collections, programs, etc.,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we suggest to establish an orientation of school library management. We also suggest a need of further study in which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needs among grades in a level of the secondary school for more detailed customization of library services. 본 연구는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이용주체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규명하고, 이용주체의 특성에 따른 학교 급에 따른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개선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를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에 대한 시설 및 환경, 장서 및 자료, 프로그램, 기타사항, 학교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 등에 대한 인식과 요구수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방향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차이에 기반을 둔 학교도서관의 지향점 설정 및 학교도서관 운영 전반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로 중등학교 학교도서관에 대한 동일 학교급내 학년별 차이에 대한 규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도서관 이용에 대한 플로우 경험과 만족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이병기,송기호,김성준,Lee, Byeong-Ki,Song, Gi-Ho,Kim, Sung-J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3

        국내외의 학교도서관 기준은 학생이 학교도서관을 통해 유익하고 즐거운 경험을 하도록 역할을 수행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는 칙센트미하이의 플로우 이론을 학교도서관 이용상황에 적용하여 학생의 플로우 경험이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플로우를 매개변수로, 그리고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도서관 이용기술, 학교도서관 이용에 대한 도전의욕, 학교도서관 이용형태, 학생의 학습유형을 선정하여 이들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2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수의 전반적인 인과관계는 학교도서관 이용기술이 이용유형에 영향을 미치고, 이용유형은 학생의 학습유형에, 그리고 학생의 학습유형은 플로우를 거쳐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의 플로우 경험을 확대하고, 도서관 이용기술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그 방안을 사서교사의 구체적 역할과 관련지어 제시하였다. The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of school libraries suggest that school library should be run to give useful and pleasant experiences to students. This study applies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their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ies use. The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are students' satisfaction, flow experience, library skill, challenge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The research model is designed by using these 6 variables in this study.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93 students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ntire casual relationships show that library skills influence in types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ffect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influence in satisfaction through flow.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y use, this study proposes effective ways related to teacher librarians' role performances to expand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increase their library skills.

      • KCI등재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사에 관한 연구

        변현주,조미아,Byeon, Hyeon Ju,Cho, Miah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formance factors of the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in its beginning, growth, development, and expansion to identify the assignment of the movement at the present stage. In this study, we performed interviews with those concerned with the school community and library movement and collected various relevant literature. The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movement can be divided into five stages including beginning, growth, development, expansion, and turning point. Therefore performance and significance of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shown in the history of the movemen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were established mainly in areas isolated from cultural benefits, contributing to resolving problems such as a lack of public libraries and concentration of small libraries in certain areas. Second, the movement promoted the operation of school libraries by providing books for small-sized elementary schools in farming & fishing villages and mountain villages, libraries that were insufficient in books. Third, the movement utilized the minimal personnel, books, and spaces of school libraries to provide library services to community residents, securing permanence of library services, if nothing else. Fourth,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played the role of local community-based libraries, intensifying the community spirit of residents and vitalizing communities. 본 연구는 학교마을도서관의 태동, 성장, 발전, 확산을 통한 성과요인을 분석하고 현 단계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과제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마을도서관 운동과 관련된 관계자와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문헌자료를 수집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추진과정을 태동기, 성장기, 발전기, 확산기, 전환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의 역사에 나타난 학교마을도서관의 운영 성과와 의미를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마을도서관은 문화소외지역 중심으로 개설되어 공공도서관의 부족과 작은도서관의 편중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농 산 어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 부족한 장서를 제공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운영이 활성화되었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운영인력과 장서, 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 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었다. 넷째, 학교마을도서관이 지역 커뮤니티 거점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고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다.

      • KCI등재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분석

        강봉숙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of school library operation whose participation rate is getting lower. We conducte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ng evaluation of school libraries through literature search. In doing so, questionnaire method was conducted to inquire the recognition of the 205 staff members of school libraries. The outcome of the survey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operating evaluation of school libraries decreased from 22.2% in 2009 to 7.2% in 2017. The validity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was significantly low at 2.84 and the validity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 was 2.97. The average score of the validity index for 'Establishing the annual operation plan' was the highest at 3.90, and that of 'Community service' was the lowest at 2.27. The biggest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was due to the staff's high workload. There is a need to seek ways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ex and ways to participate since the result shows very low awareness of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will become the foundation for effective revitalization of school library 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참여율이 날로 저조해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평가의 변화 추이와 평가 참여 인력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지표 변화 추이 등을 문헌조사로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전국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을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은 09년에 22.2%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17년 7.2%까지 낮아졌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양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 인식은 2.84점, 질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는 2.97점으로 조사되었다. ‘연간 운영 계획 수립’에 대한 평가지표 타당도 인식 평균은 3.90점으로 가장 높게, ‘지역사회 봉사’는 2.27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평가 미참여 이유에 '학사 업무 처리가 바빠서'의 평균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해 낮은 인식이 조사된 바, 평가지표 및 참여 방법 등에 대한 개선책을 모색하고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정책 마련이 병행되어야 하겠다. 더불어 평가 운영주체는 평가의 결과를 다시 학교도서관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시골학교에 도서관을' 캠페인 신청 초등학교 도서관에 관한 연구

        윤정옥,Yoon, Cheong-O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3

        이 연구에서는 2009년 조선일보가 주관한 "시골학교에 도서관을" 캠페인에 신청한 119개 시골 초등학교 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학교들의 신청서를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하고, 시설, 장서, 환경의 측면에서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 학교도서관들은 전체 장서 규모, 1인당 장서 증가 규모 등 수치상으로는 무난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거의 공통적으로 낡고 열악한 시설, 장서의 부족, 불균형과 낮은 질, 재정지원의 부족, 문화적 고립 등 문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전형적 시골학교 도서관이 아니라고 해도 통계 수치만으로 알 수 없는 학교도서관 현실의 일면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등의 인식 변화와 재정 지원이 가장 시급한 해결책임을 인식하고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 관련 정책이 유권자들의 관심거리임을 주지시켜야 한다. 둘째, 기존의 각종 도서관 평가와 시상제도의 가시성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각종 도서관 평가에서 질적 측면을 강화해야 한다. In this research the current situations of libraries of 119 rural elementary schools are examined. These schools are the applicants for the 'Campaign for Libraries for Rural Schools' sponsored by Chosun Ilbo in 2009.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ir applications, the factors of facilities, collection, and environment are described. One the surface, most of these applicants look fine with the current size of collection and annual additions. They, however, commonly document the extremely poor conditions of facilities, unbalanced and low quality of books, lack of financial support, and cultural isolation. Even though they are not the typical rural school libraries, it seems urgent to improve their inferior conditions that any library statistics never shows in numbers. In this research, it is considered significant to make local governments and offices of education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rural school libraries and increase their financial support to them.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let them know that school library policies concern the voters in communities; Second, use the visibility of various authoritative library assessments and awards; Third, strengthen the qualitative aspect of library evaluations.

      • KCI등재

        초등학교도서관의 봉사 개선을 위한 교사의 기대

        김병주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2 No.4

        학교도서관 봉사의 목적이 학교 교육을 위한 것이므로 학교 교육의 목적과 학교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동일한 것이다. 학교도서관은 항상 새롭고 보다 훌륭한 시설과 풍부한 정보자료를 개발하여야 하며 유능한 전문직 사서교사는 교육과정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봉사하여야 한다. 학교내외에서 야기되고 있는 저해 요인들로 실질적으로 유명 무실한 학교도서관을 보다 능률적이고 새롭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학생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교사들이 학교도서관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 교사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활성화시키는 초석이 될 것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의 봉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를 파악하여 향후 초등학교 도서관이 진정한 교수학습의 장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제 방향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사서의 역할을 개관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에 대한 수준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중요도, 사서교사의 배치 필요성, 다양한 봉사에 대한 기대,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수강에 대한 윤곽 등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school education and that of school library services are the same and the school librarian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program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y need to be reformed in spite of various obstacles. If the prim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expectation on school librarians'roles are appropriate this will greatly motivate and mare active utilization of school library by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survey the role of school librarian and to friend out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primary school teachers on the school library services and finally to use its results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school library in teaching programs. It is conclude, base on the results, that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chool library and need to assign school librarians and also expect various services including school library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중학생의 인지도분석

        권은경,Kwon, Eun-Ky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1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실태와 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고, 도서관 운영수준-사서교사 학교 사서교사는 없으나 이용 활성화 학교 비활성화 학교-에 따라 효과 인지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용실태로는 학교생활 속에서 학교도서관이 차지하는 비중, 이용빈도 도서관의 유익성, 이용 목적, 도서관활용수업의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학생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7개 영역 38문항으로 조사하였다. 7개 영역 전체의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24이며 실태조사와 인지도 조사에서 학생들은 학교도서관이 독서활동에서 가장 크게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수준별로 효과 인지도의 평균을 비교하면 사서교사 학교 3.37, 활성화 학교 3.20, 그리고 비활성화 학교 3.16이다. 학교도서관의 운영수준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의 지표가 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school libraries' educational impact, two different surveys were conducted. One examined students' school library use in general, including the frequency, purpose, and effect of their library us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library in their campus life. The other examined and analyzed their perception of the benefit of the school library to determine if any differences exist among the following three levels: 1) libraries staffed with a dedicated teacher librarian, 2) libraries without a dedicated teacher librarian but active, and 3) libraries without a dedicated teacher librarian and inactive. The questionnaire to survey student's perception had 38 statements, The surveys on student's library use and their perceptions indicated that school libraries benefit the students' reading activities the most. The overall mean of the perception was 3.24(in 5 scales),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levels of school library conditions: the mean for libraries with a teacher librarian scored highest at 3.37, libraries without a teacher librarian but active scored second highest at 3.20, and libraries without a teacher librarian and inactive scored lowest at 3.16. The levels of school library condition suggested direct links to the educational effect on students' achievement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비교 분석

        변우열,Byun, Woo-Yeoul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제정의 배경과 경과를 살펴보고 학교도서관법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고 분석한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은 정부입법이 아닌 의원입법으로 제정되었다. 그리고 정부기관이 아닌 NGO 활동이 학교도서관법 제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학교도서관법 구성요소 중 공통되는 요소는 목적, 정의, 국가의 책무, 설치, 업무, 인적자원, 협력망, 교육 등이다. 학교도서관 업무는 한국의 경우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고, 일본은 도서관자료의 수집, 정리와 여러 가지 행사 개최 등 학교도서관의 기본적인 업무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은 한국의 경우 사서교사, 실기교사, 사서 중에서 아무나 둘 수 있도록 하고 의무규정이 아니라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일본은 사서교사와 학교사서로 구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은 한국은 자세하게 규정되어 있으나 일본은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이 없다. 학교도서관의 교육은 한국의 경우 독서교육과 정보이용교육을 실시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포함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일본은 도서관 이용지도 만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독서교육에 대한 내용은 제외되어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omponents of school library laws of Korea and Japan. The laws of two nations were legislated by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NGO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legislative process. The common parts of the two laws are objectives, definitions, responsibilities of nations, establishments, tasks, human resources, collaborative networks, and education, etc. For the task of school libraries, Korean law emphasizes the function of education, while the Japan law focuses on the basic duties of school librari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school libraries in Korea can have a teacher librarian, a practice teacher, or a librarian, but in Japan, they can have either a teacher librarian or a school librarian. The Korea law specifies the aspects of facilities and materials, but the Japan law does not. Finally, for the educational role, the Korean libraries have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training that are parts of school curriculum, while the Japan libraries have only a library use guidance program and does not include reading education.

      • KCI등재

        학교도서관 헌장에 관한 연구

        변우열,송기호,이미화,Byun, Woo-Yeoul,Song, Gi-Ho,Lee, Mi-Hwa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2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방침이나 규범을 열거한 규칙이나 법칙이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해 본 결과 IFLA/UNESCO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임무,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 목적, 직원, 운영 및 관리, 선언의 구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를 강조하고 있다. IASL 학교도서관 선언은 학교도서관의 기능, 자료, 시설, 인적자원, 정보활용능력, 정부 및 공공단체의 지원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정보활용능력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이념, 기능, 직원, 자료, 시설, 운영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학교도서관의 이념을 강조하고 있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선진국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여 교육 영역을 별도의 항목으로 하고 학교도서관의 임무, 시설, 인적자원, 교육, 예산, 운영 및 관리, 헌장 구현을 위한 정부의 책임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A school library manifesto means the policies and rules on school libraries and includes the direction which they should follow and the criteria which school libraries should keep. Compared the school library manifestos of IFLA/UNESCO, IASL with that of Japan, the school library manifestos of IFLA/UNESCO are constituted with mission of the school library, funding legislation and networks, goal of the school library, staff, operation and management, implementing manifesto etc. and underline funding legislation and networks. The IASL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ies includes functions, materials, facilities, personnel, lifelong education, skills, literacy development, government and public support etc. and emphasizes lifelong education, skills, literacy development. The school library manifesto of Japan includes philosophy, functions, staff, material, facilities and management etc. and highlights philosophy.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chool library manifestos of IFLA/UNESCO, IASL and Japan with that of Korea, the school library manifesto of Korea needs to comprise mission, facilities, staff, lifelong education, skills, literacy development, funding legisl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government responsibility for implementing the manifesto, etc. by accepting the components in the manifestos of advanced countries, stressing the educational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by separating the educational area from others.

      • KCI등재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 구안 및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박주현,홍현진,Park, Ju-Hyeon,Hong, Hyun-J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1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고 학교도서관 문제진단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은 공교육 시설로서 단위학교의 교육목표로부터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달성에 이바지해야 한다. 학교도서관이 학교도서관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교교육을 개선해야 하는 책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학교도서관교육을 위한 컨설팅 장학과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7개의 구성요소로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였고, 시 도교육청 평가, 학교평가, 학교도서관평가 영역과 지표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6개의 평가영역과 72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평가기관은 자관 교육목표에 따라 제시된 평가지표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를 컨설팅 장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Individual School library should contribute from school educational objectives to national level educational objectives. When school libraries have accountability, consulting supervision and evaluation for the school library education is needed.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was developed with seven components.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is proposed with seventy-two indicators in six categories. Results of the evaluation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consulting super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