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회화식 고지도를 통해 본 평양성의 인문경관 특성

        김미정,소현수 한국전통조경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pictorial map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conceptual diagrams with the place names perceived by the people at the time of their production. In this regard, targeting on five pictorial maps, the humanistic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Pyongyang, which had cultural identities such as a historically old, commercial, and Pungnyu(appreciation for the arts) city,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historic legitimacy of Pyongyang Castle was represented by ritual and religious facilities. They include ‘Dangunjeon' and ‘Gijagung' related to the nation founder, ‘Munmujeong': the remains of Goguryeo, ‘Sajikdan' & ‘Pyongyanggangdan': the place of the national rites, Hyanggyo and Seowon: education & rite functions, Buddhism and Taoist facilities, ‘Yongsindang', ‘Sanshindang', and ‘Jesindan': folk religion facilities. Gija-related facilities, which became symbols of Pyongyang due to the importance of Small-Sinocentrism and Gija dignity tendency, were distributed throughout Pyongyang Castle though, the facilities related to King Dongmyeong of Goguryeo and the spaces of religion praying for blessings are spread in Bukseong and on the riverside of Daedonggang each. Second, as a Pyongando Province's economic center, Pyongyang's commercial landscape was represented by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 Daedonggang River, which was in charge of transportation functions, had many decks such as ‘Yangmyeongpo’, ‘Cheongryongpo’ and ‘Waeseongjin’ and bridges, such as ‘Yeongjegyo’ and ‘Gangdonggyo’, which connected major transportation routes. The road network was created in Oeseong area to facilitate logistics transportation and management, and many warehouses named after the jurisdiction of Pyongyangbu were distributed near the roads and Provincial Offices of the main gates.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by the urban area systematically divided with hierarchical roads, ‘Bukjangnim' of willow trees planted on the main entrance roads of Pyongyang Castle, a linear landscape created by ‘Simnijangnim' consisting of mixed forests with elm trees. Third, Pungnyu City is realized by the distribution of amusement facilities. The riverside of Daedonggang adjacent to Naeseong exhibits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landscape such as a canal leading to the inside of the castle, a docking facility with embankments, and a port with cargo ships anchored. However, Bukseong of the natural surroundings had numerous pavilions and platforms such as ‘Bubyeongnu', ‘Eulmildae', ‘Choeseungdae', ‘Jebyeokjeong' and engraved letters such as ‘Cheongnyubyeok', ‘Jangbangho'. ‘Osunjeong', ‘Byeogwolji', ‘Banwolji' near ‘Sachang', and ‘Aeryeondang', built on the island of a square pond, created waterscape in Naeseong invisible from the Daedonggang, and for practical purposes, ponds and repeated willow vegetation landscape related to Gija were placed in the western rampart of Jungseong. In addition, ‘Seonyeondong', a cemetery of Gisaeng, located near by Chilseongmun, was used as poem titles and themes by literary people,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the Pungnyu image of Pyongyang. 본 연구는 조선후기 회화식 고지도가 제작 당시 선조들이 인지했던 장소명이 표기된 개념도라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에 평양성(平壤城) 의 회화식 고지도 다섯 점을 대상으로 하여 역사적 고도(古都), 상업 도시, 풍류 도시라는 문화적 정체성을 지닌 평양성의 인문경관특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평양성의 역사적 정통성은 제례․종교시설이 대표하였는데, 국가의 시조와 관련된 ‘단군전(檀君殿)’과 ‘기자궁(箕子宮)’, 고구려 유적인 ‘문무정(文武井)’, 그리고 ‘사직단(社㮨壇)’, ‘평양강단(平壤江壇)’ 등 국가 제사를 지내던 곳, 교육과 제례 기능을담당한 향교와 서원, 불교 사찰과 도교 시설들, ‘용신당(龍神堂)’, ‘산신당(山神堂)’, ‘제신단(諸神壇)’과 같은 민간신앙 공간이 포함되었다. 소중화(小中華) 의식과 기자 존숭 풍조로 평양성의 상징이 된 기자 관련 시설이 평양성 전체 영역에 분포된 반면, 북성에는 고구려동명왕 관련 시설, 대동강 변에는 기복신앙 공간이 분포한다. 둘째, 평안도 경제 중심도시 평양의 상업 경관은 물류․교통시설로 드러났는데, 운수 기능을 담당한 대동강에 ‘양명포(揚命浦)’, ‘청룡포(靑龍浦)’, ‘왜성진(倭城津)’ 등 포구와 주요 교통로를 연결하는 ‘영제교(永濟橋)’, ‘강동교(江東橋)’ 등 많은 다리가 있었다. 외성 영역에 물류 운반과 관리에 편리하도록 ‘정전도로’가 펼쳐지고, 주요 성문의 도로변과 감영 근처에 평양부 관할 읍의 이름이붙여진 많은 창고들이 분포하였다. 또한 위계를 가진 도로로 질서정연하게 구획된 시가지와 평양성 주요 진입 도로변에 조성된 버드나무의‘북장림(北長林)’과 느릅나무가 포함된 혼합림으로 구성된 ‘십리장림(十里長林)’이 만든 선형 경관이 특징적이었다. 셋째, 풍류 도시는 위락시설의 분포로 가시화되었다. 내성에 인접한 대동강변은 성 안쪽으로 연결되는 운하와 축대를 쌓은 접안시설, 화물선이 정박한 포구 등 인공경관 특성을 보이지만, 자연스러운 하안을 가진 북성 주변은 ‘부벽루(浮碧樓)’, ‘을밀대(乙密臺)’, ‘최승대(最 勝臺)’, ‘함벽정(涵碧亭)’ 등 다수의 누․정․대와 ‘청류벽(淸流壁)’, ‘장방호(長房壺)’라는 바위글씨가 있었다. 대동강이 보이지 않는내성에는 ‘오순정(五詢亭)’과 ‘벽월지(壁月池)’, ‘사창(司倉)’ 인근 반월지, 방지 내 섬에 조성된 ‘애련당(愛蓮堂)’이 수경관을 연출하고, 중성 서쪽 성곽에는 실용적 목적으로 지당들이 배치되었으며, 기자와 관련된 버드나무 식생 경관이 반복되었다. 또한 칠성문(七星門) 부근에 입지한 기생들의 장지 ‘선연동(嬋娟洞)’은 문인들의 시제로 사용되며 평양성의 풍류 이미지를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 KCI등재

        『三國史記』의 高句麗 王城 記事 檢證

        李道學(Lee, Dohack)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9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의 첫 왕성은 沸流水上에 소재한 것으로 적혀 있다. 이는 「광개토왕릉비문」에서 ‘山上’에 소재한 것으로 적힌 기록과는 직접 관련이 없었다. 비록 후대이지만, 고구려 최초의 왕성이 屹立한 ‘山上’의 五女山城이라는 인식은 생겨났던 것이다. 흔히들 평지성과 산성의 조합을 운위하면서 오녀산성과 하고성자를 엮어서 이해하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양자간의 연결은 어려웠다. 비류수인 지금의 부이강과의 합류 지점에 소재한 나합성이 관련 있어 보였다. 산성자산성인 환도성을 3년에 축조된 위나암성으로 비정하여 왔다. 그러나 환도성은 198년에 축조된 성이므로 연대가 맞지 않다. 그러한 위나암성은 지형 조건을 비롯한 여러 요소를 놓고 볼 때 환인의 오녀산성으로 지목되었다. 고구려는 魏軍의 침공으로 환도성이 폐허가 된 관계로 247년에 廟社를 새로 축조한 평양성으로 옮겼다. 이는 실질적인 遷都를 뜻한다. 문제는 평양성의 소재지였다. 313년까지 낙랑군이 평양에 소재했다는 관념 때문에 이 기록 자체를 신뢰하지 않거나 그 위치를 다른 곳으로 비정해 왔다. 그러나 『삼국사기』에 보이는 평양성은 지금의 평양이 분명하였다. 그리고 낙랑군은 기실 1세기 후반경 한반도에서 축출되었다. 따라서 247년의 평양성 천도는 가능한 현실이었다. 고구려는 342년에 丸都城으로 移居하였다. 그러나 前燕의 침공으로 환도성이 초토화됨에 따라 그 이듬 해인 343년에는 평양 동쪽의 黃城으로 移居했다. 371년에 평양성에서 고국원왕이 백제군과의 交戰 중 전사하였다. 광개토왕이 399년에 평양성에서 신라 사신을 맞이한 것도 평양성이 실질적인 王城으로 기능했음을 뜻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427년 평양성 移都는 일대 사건이라기보다는 평양성을 王城으로 확정 짓는 공식적인 선언으로 간주하는 게 타당할 것 같다. 따라서 평양성 移都를 전후한 귀족들간의 갈등설은 재고해야 될 듯싶다. 427년에 移都한 평양의 거점성은 청암동토성이었다. 그렇다고 할 때 대성산성은 427년의 移都 이후 어느 때 축조된 성으로 간주된다. 이와 더불어 평양의 범위도 확대되어 이제는 대성산성 중심으로 시가지가 재편되었을 수 있다. 그 후 35년간의 공사 기간을 기울인 장안성이 완공되어 586년(평원왕 28)에 移都하였다. 그런데 안학궁은 고구려 말기의 別宮 정도로 간주하는 시각이 설득력 있어 보였다. 그럼에 따라 산성(대성산성)과 평지성(안학궁)의 조합이라는 고구려 都城 체제를 가리키는 공식은 성립이 어렵게 되었다. 무려 35년간이 소요되어 완공된 장안성의 축조는 고구려 도성체제의 劃期였다. 고구려 도성 체제는 巨大 羅城과 바깥 성벽만 7km가 넘는 大形 山城(대성산성)의 결합을 통해 6세기 후반에 완결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高句麗 平壤城의 都市形態와 設計

        閔德植(MIN Duk-sik) 고구려발해학회 2003 고구려발해연구 Vol.15 No.-

        Early pyungyangsung(平壤城) had distinguishing marks. Early pyungyangsung didn't have external fortress. So its building site was without limit. It had built under immense city planning. Under city planning, Nambukdaero(南北大路) and Dongsyudaero(東西大路) that cross each other beside Anhakgung(安鶴宮) had built. Seokyung(左京) and Ukyung(右京) were symmetric. Pyungyangsung(平壤城) had used fortress and rivers on inside and outside to defend. These were defensive facilities. Pyungyangsung's partition was Chinese partition like a paduk board. By known data, this partition was first time in Korea. And its partition would have influence on neighbor nation. Early Pyungyangsung had existing tradition that Gungsung(宮城) and Jungsimsansung(中心三城) were separated. So defensive defect would have been caused by this separating. On the other hand, later Pyungyangsung(平壤城) had another distinguishing marks. Its site was selected by considering about topographical conditions ; location of field and mountain, river, etc… Later Pyungyangsung(平壤城) had external fortress. City territory, internal fortress and external fortress, etc… , was separated well and utilized. Under closely city planning, city formation was orderly and good. Later Pyungyangsung(平壤城) was combined Naesung(內城) that was the capital of a kingdom and Oisung(外城) that was a residential area of the common people. This was an epoch-making event in the capital city history of Korea. capital city's formation of later Pyungyangsung(平壤城) had extraordinarily influence on capital city's formation of korea including Corea(高麗). Using a canal inside capital city was unique in Korea.

      • KCI등재후보

        제2차 고당전쟁기(661~662) 사수 전투의 전개 양상

        이상훈(Sang-hun Yi) 북악사학회 2023 북악사론 Vol.17 No.-

        660년 7월 신라군과 함께 백제를 멸망시킨 당군은 이듬해 다시 고구려 공격에 나섰다. 661년부터 662년까지 고구려와 당 사이에 벌어진 전투들을 제2 차 고당전쟁이라 한다. 제2차 고당전쟁은 662년 사수 전투를 끝으로 막을 내린다. 제2차 고당전쟁의 핵심 전장인 사수 전투에 관해서는 적지 않은 연구가진행되었지만, 아직 미진한 부분도 남아 있다. 특히 사수 전투 당시 당군이 어떤 곳에 주둔하며 평양성을 포위하였는지 명확하지 않다. 본고에서는 당군의주둔지 위치를 구체적으로 비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수 전투를 재구성해보고자 하였다. 사수는 평양성 동쪽의 합장강이 아니라 서쪽의 보통강으로 추정된다. 일본서기 등 관련 사료를 통해 당군은 평양성을 포위하기 위해 4곳에진영을 편성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기 김부식의 평양성 포위상황을 참조해보면, 서남쪽의 적두산성, 서쪽의 사수 일대, 북쪽의 병현 일대, 동북쪽의 청암리토성에 주둔했을 가능성이 높다. 방효태의 부대가 사수를 따라 방어벽을설치하며 평양성 서쪽에 주둔한 것은 분명하다. 관련 사료들을 통해 유추해보면, 방효태 부대 왼쪽에 유백영 부대, 오른쪽에 임아상과 조계숙 부대가 주둔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소정방은 평양성 포위작전의 시작점이자 철수점인 마읍산 일대에 주둔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당군의 평양성 포위에 대해 고구려군은 먼저 상대적으로 방어시설이 약한 임아상 부대를 공격하였다. 임아상 부대가 지리멸렬해지자 이어 방효태 부대의 퇴로를 차단하고 고립시킨 후전멸시켰다. 이에 당군의 평양성 포위망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었다. 게다가당시 큰 눈이 내리면서 추위와 식량난이 더욱 가중되었다. 결국 신라가 지원한 군량을 보급받은 당군은 평양성 포위를 풀고 물러나고 말았다. In July 660, Silla-Tang allied forces destroyed Baekje. In 661, the Tang launched an attack on Goguryeo. The battle between Goguryeo and Tang from 661 to 662 was called the Second Go-Tang War. The Second Go-Tang War ended with the Battle of the Sasu in 662. In this study, the military base of the Tang army was specifically determined, and based on this, the defense battle was reconstructed. It is believed that the Sasu is located in the west, not east of Pyongyang Castle. The Tang army formed four camps to surround Pyongyang Castle. Bang Hyo-tae's troops were stationed in the west of Pyongyang Castle, installing a barrier along the shooter. Yoo Baek-young's unit was stationed on the left side of Bang Hyo-tae's unit, and Im Ah-sang and Jo Gye-sook's unit were stationed on the right side. And So Jeong-Bang is believed to have been stationed in the area of Maeup-san. Goguryeo troops first attacked Im Ah-sang's troops with weak defense facilities. When Im Ah-sang's unit was defeated, Bang Hyo-tae's unit was isolated and annihilated. As a result, the Tang army's siege of Pyongyang could no longer be maintained. In addition, the cold and food shortages were further aggravated by heavy snow at the time. In the end, the party forces, which received the military supplies supported by Silla, were relieved of the siege of Pyongyang and stepped down.

      • KCI등재

        ‘平壤箕城圖’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

        백종오(Baek Jong oh) 백산학회 2016 白山學報 Vol.- No.104

        남북이 분단된 현실 속에서 북한의 수도인 평양에 대한 연구는 남한 학자에게는 접근하기 어려운 과제이다. 최근 연구는 고구려의 수도로써 일제강점기 일인 학자 및 1950~1970년대 북한의 고고학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평양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근간의 연구와 더불어 고고학 자료의 정리 및 효율적인 검토, 평양 성곽의 변화 및 각종 시설물의 비정과 복원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사서인 『삼국사기』,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등을 비롯한 각종 문집, 후대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평양의 성곽과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규명이 중요할 것이다. 이 연구는 평양성에 대한 소략한 기록과 고고학 자료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상황에서 조선 후기 평양성부터 검증하여 되짚어 나가는 방법으로 평양성의 현황과 구조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조선시대에 작성된 고지도와 더불어 조선 후기 평양의 모습을 상세히 그린 ‘平壤箕城圖’를 통해 살펴보았다. ‘平壤箕城圖’는 조선 제22대 정조(재위 1776~1800)가 수원 화성을 축조하기 위한 모색으로 지도를 제작하면서 그 틀이 갖추게 되었다. ‘平壤箕城圖’는 평양의 역사 유적 및 관아의 위치를 상세히 그린 지도의 기능을 하면서도 수려한 자연풍경을 회화의 산수화법으로 표현한 地圖山水體 그림이다. 19세기 이후에는 기성도 병풍에 대한 수요층이 확대되면서, 평양이라는 주변 경관과 기록 혹은 기념을 목적으로 한 회화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 본고에서는 ‘平壤箕城圖’에 투영된 조선시대 후기 평양의 실제 모습을 통해 부성(내성), 중성, 외성, 그리고 북성으로 구분하여 현황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와 북한의 고고학 자료를 비교한 결과, 외성 성벽의 구조에 대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북한 측에서는 평양성은 모두 석축으로 되었다고 하나, 문헌과 지도에서는 토성으로 축조된 것으로 기록된 사실과 대비된다. 또한 북성의 우마성은 고려 대몽항쟁기의 甬道가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성의 방어기능을 높이기 위한 옹성 포대의 성곽으로 변화되었을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 평양성의 현황과 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서경성, 668년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항전하였던 평양성의 모습을 되짚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In the reality of our nation divided by South and North, study of Pyongyang, the capital city of North Korea is a hard task to access for scholars of South Korea. Recent studies were done based on studies conducted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rcheological materials of North Korea in the 1950~1970s. However, in order to research Pyongyang systematically, it is required to summarize archeological materials, conduct effective review on them, identify the changes in Pyongyang fortress and various facilities based on assumption and comparison with similar ones, and conduct recovery works from the changes. For the purpose, we need to collect and summarize various literatures as well as existing history books including Story of Three Nation History (Samguk Sagi), History of Goryeo Kingdom(Goryosa), Chronological History of Goryeo Kingdom(Goryosa Jeolyo), and the Annals of Joseon Dynasty(Joseon Wangjo Silrok), in order to analyz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regarding fortresses of Pyongyang and chan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structure of Pyongyang Fortress in the way to retrace facts back from the Pyongyang Fortress at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there were lack of records on the Pyongyang Fortres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For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the Screen Painting of Pyongyang Giseong(Pyongyang Giseongdo) which described the scenes of Pyongyang at the late of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ancient maps made in the Joseon Dynasty. The Screen Painting of Pyongyang Giseong formed its frame when King Jeongjo made a map for building Hwaseong Fortress in Suwon. It functioned as a map that described the locations of historical relics and government offices in detail while expressing beautiful scenery of the nature through landscape painting method of a painting. Since the 19thcentury, demands for folding screens of Giseong map had been expanded and painting elements for the purpose of record or souvenir were added to the screen painting along with the scenery around Pyongya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 process of Pyongyang Fortress through the actual scenes reflected in the Screen Painting of Pyongyang Giseong of the late times of Joseon Dynasty by classifying it into Annex Fort(Inside Fort) Central Fort, Outer Fort, and North Fort. As a result of comparative review with archeological materials of the North Korea,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e of the walls of outer fort. In particular, records in North Korea described that Pyongyang Fortress was built with stones, which is contrary to the literatures and maps that recorded it as an earthen fortress.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corridors of Wooma Fortress of the North Forth was changed from the protective enceinte with artillery in order to increase the defense function of a fortress passing through the Manchu War in Goryeo Kingdom. In addition to studying the status and structure of Pyongyang Fortress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assume the scenes of Pyongyang Fortress in which people protested against the allied force of Shilla Kingdom and Tang Dynasty in 668 in the era of Goryeo Kingdom.

      • KCI등재

        고구려 전기 都城 관련 기사의 재검토 - 기사의 原典 계통을 중심으로-

        임기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5 No.-

        This study analyzes records of Samguksagi(三國史記) on Capitals and Replacement of capital in the early Koguryo Dynasty.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Koguryo-Bongi(高句麗本紀) and Koguryo item of Geography-Gi(地理志) in Records on Capital of the early Koguryo Dynast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used comprising sources were differ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used comprising sources, analyzes the each records of Jolbon(卒本), Heulseunggol-Castle(紇升骨城), Winaam-Castle(尉那巖城), Gugnae-Castle(國內城), Hwando-Castle(丸都城), Pyeongyang-Castle(平壤城). There is a difference in material systems between records including place names 卒本 and records not including place names Jolbon. Compiler of Koguryo item of Geography-Gi sees Gugnae-Castle and Winaam-Castle as the same Castle. Compiler of Koguryo-Bongi distinguishes between Gugnae-Castle and Winaam-Castle. Compiler of Koguryo item of Geography-Gi sees Hwando-Castle and Ansi-Castle(安市城) as the same Castle. However, did not know that it was the Capital. Compiler of Koguryo-Bongi recognized that Gugnae-Castle and Hwando-Castle in the same area.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that Compiler of Koguryo-Bongi and Compiler of Koguryo item of Geography-Gi used comprising sources. Pyongyang-Castle records in Koguryo-Bongi, a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Pyungyang-Castle construction record of the 21st year of King Dongchon(東川王) and the Pyungyang-Castle reconstruction record of 4th year of King Kogukwon(故國原王), Pyungyang-Castle is same place. Pyungyang-Castle in records from the year of 41st of King Kogukwon to capital replacement of 15th year of King Jangsu(長壽王) is same place. Whether the former and latter are in the same area is not known from the records. In the records of King Kogukwon Jolbon, Heulseunggol-Castle(, Gugnae-Castle, Hwando-Castle, Pyeongyang-Castle are all appearing except Winaam-Castle. Because the recordss of the king Kogukwon consist of various sources 『삼국사기』 高句麗本紀 및 地理志의 고구려 도성 관련 기사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는 고구려본기 찬자와 지리지 찬자가 참고하거나 전거로 삼은 자료가 갖는 차이에서 비롯한다. 지리지 찬자는 고구려의 천도 과정을 卒本(紇升骨城) - 國內城 - 平壤으로 이해하고 있다. 현 고구려본기와는 다른 고기류에 기초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구려본기에는 산상왕대의 丸都 이거, 동천왕대 平壤城 이거, 고국원왕대의 平壤東黃城 이거 기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지리지 찬자도 다른 고기류에 의거하여 고국원왕대 평양동황성 이거 기사는 알고 있었다. 양 자료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고구려본기의 도성 관련 기사를 卒本과 紇升骨城, 國內(城)과 尉那巖城, 丸都(城), 平壤(城)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卒本이라는 지명의 포함 여부가 전거자료의 계통성을 보여주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다음 國內(城)과 尉那巖城의 관계인데, 지리지 찬자는 양자를 동일한 지명의 異稱 관계로 파악하고 있다. 고구려본기 고국원왕 12년조의 “又築國內城” 기사는 국내 전승자료로서는 國內城을 표기한 첫 기사이며, 유리왕 22년에 축성된 尉那巖城과 구분된다. 丸都(城)이란 지명은 고구려본기에서 태조왕때 처음 등장하여, 산상왕때 축성과 移都 기사, 동천왕과 고국원왕 때에는 환도성 함락 기사가 이어지고 평양천도 이후인 양원왕대까지 가장 폭넓게 나타나는 도성 지명이다. 또한 『삼국지』 등 중국측 기사에서도 고구려 도성을 대표하는 지명으로 등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리지 찬자는 환도성을 안시성의 이칭관계로 파악하고 도성으로서 인식하고 있지 못하며, 국내성과 환도성의 관계도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 반면에 고구려본기 편찬자들은 환도성과 국내성이 동일지역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양자 사이에 환도성 관련 전거 자료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고구려본기의 평양(城) 기사는 자료계통상 2그룹으로 나누어지는데 동천왕 21년조 “築平壤城” 기사와 고국원왕 4년조 “增築平壤城” 기사는 동일한 평양성을 가르키며, 고국원왕 41년조 평양성 기사 이후 장수왕의 평양 천도 기사까지 이어지는 평양성과는 자료 계통상 구분된다. 고구려본기 고국원왕대 기사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고구려 도성명 중에서 尉那巖城을 제외하고는 卒本, 平壤城, 丸都城, 國內城, 平壤東黃城이 모두 등장하고 있으며, 각 도성명은 모두 별개의 지명으로 이해된다. 이는 고국원왕대의 기사들이 여러 계통의 기사들이 통합되어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성명의 자료 계통성에서 볼 때 고국원왕대가 史書 편찬의 분기점이 되는 시기임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668년 고구려 멸망시 蛇川原戰의 재구성 및 의의

        김병곤(金炳坤)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6 No.-

        668년 7월 문무왕은 대성산기슭에 주둔하던 당군과 합류하기 위해 한성주에서 주력군을 북진시켰다. 이에 고구려는 蛇川之原에서 신라군을 막으며 소위 사천원전이 벌어졌다. 신라 장군 문영 등이 고구려병을 대파하고, 9월 21일 나당 양군이 사수에서 합류했다. 이에 연남건은 평양성 인근의 사수에서 항거했지만 패배하고 직후 평양성이 함락되며 고구려는 망했다. 668년 평양성 인근의 사수전은 662년 방효태부대가 전멸당한 사수전과 동일 장소에서 벌어진 전투로 사수는 평양성과 대성산성 사이에 남북으로 흐르는 합장강으로 비정된다. 그런데 학계에서는 668년의 사천원전을 평양성 인근의 사수전과 동일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신라군이 668년 7~8월중 사천원에서 고구려병을 격파한 후 평양성 인근 사수에서 9월 중순 당군과 합세하여 사수전을 치른 상황을 합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사수와 사천원은 다른 지역이며, 668년의 사천원전과 사수전은 구별되어야 한다. 사천원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사천+원의 지리적 특성을 가졌다. 당시 고구려는 방어에 유리하게 강을 전면에 두고 그 후면의 평원에 대군을 배치해 신라군을 막고자 했다. 이러한 상황과 한성주에서 평양으로의 북진로를 감안하면, 사천원은 서흥강의 중하류에서 사리원 일대까지의 강과 평야가 연속된 지역에 비정된다. 사천원전은 백제 멸망시 가장 유명한 전투인 황산벌전과 매우 유사한 정치적 군사적 상황 하에 전개되었다. 왕성이 당의 침략에 의해 위태로운 와중에 백제나 고구려 모두 당군과 합류하기 위해 진격하던 신라군을 막아섰다. 이를 위해 지리적으로 유리한 지역을 골라 군사를 배치하고 오로지 방어에 나섰다. 당시 백척간두의 궁지에 몰린 양국이 나당군의 합류를 막고자 한 의도는 분명히 목적-당과의 협상 시간 확보, 나당간의 불화 유도, 그리고 645년 안시성 회군 내지 662년 평양성 회군의 재연 기대등-한 바가 있었지만 실패하며 국가가 멸망하게 된다.

      • KCI등재

        662년 고구려의 평양성 전투와 임진강 전투 재구성

        이민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한국고대사탐구 Vol.41 No.-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situation of the Battle of Pyongyang Castle and the Battle of the Imjin River between Goguryeo and Tang Dynasty and Silla in 662. In 662, Silla formed a supply force led by Kim Yu-shin to supply the Tang army, which was struggling in the battle of Pyongyang Castle. Silla's Kim Yu-shin safely supplied supplies to the Tang army stationed in Pyongyang. Around this time, Goguryeo, which defeated the Tang army in Liaodong, joined the Goguryeo army in Pyongyang, and Goguryeo had some room for troops. With this opportunity, Yeon Gaesomun, the commander-in-chief of Goguryeo, began a massive counterattack in February. This included not only Tang troops who were attacking Pyongyang Castle as a major target of attack, but also Silla's Kim Yu-shin, who was already withdrawing troops. At that time, the Silla army had the highest- ranking officials of Silla, including Kim Yu-shin, Kim In-moon, and Wonhyo, and Liurenyuan, governor of Woongjin of the Tang Dynasty. Yeon Gaesomun dispatched tens of thousands of pursuit troops to secure a clear advantage in relations with Silla and neutralize the Governor-General Woongjin. The Battle of Pyongyang ended with Goguryeo's victory when Yeon Gaesomun defeated Tang's Renyaxiang and Pangxiaotai forces in order, and the Sudingfang forces barely withdrew. However, the Goguryeo army, which pursued Kim Yu-shin's army, was defeated by Kim Yu-shin's army on the Imjin River, the border with Silla. Goguryeo ended the Goguryeo-Tang War in 661–662 with its victory and caused the Tang to suffer from internal and external defeats, stopping the Tang's ambition to conquer Goguryeo until 666. However, due to the defeat of the Battle of the Imjin River, the meaning of the victory of the war between 661 and 662 was somewhat tarnished. On the other hand, Silla, who won the battle of the Imjin River, safely returned high-level officials and solidified the Imjin River as a stable defense line. Silla's victory in the battle of the Imjin River provided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Silla to carry out an effective war in the future wars of Goguryeo and the Silla-Tang Dynasty. The Battle of the Imjin River was a watershed in history that divided the fate of Goguryeo and Silla. 본고에서는 662년 고구려-당・신라 사이에서 전개된 평양성 전투와 임진강 전투의 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662년 신라는 평양성 전투에서 고전 중이던 당군에게 보급을 조달하고자, 김유신을 주축으로 한 보급군을 편성하였다. 신라의 김유신군은 평양성에 주둔한 당군에게 무사히 보급품을 조달하였다. 이 무렵 요동에서 당군을 격파한 고구려군이 평양성의 고구려군과 합류하면서 고구려는 병력에 여유가 다소 생겼다. 이 기회를 틈타 2월 중, 고구려의 군 통수권자인 연개소문은 전황을 대공세로 전환하였다. 공격 대상은 평양성을 공격하고 있던 당군 뿐 아니라 이미 철군하고 있던 신라의 김유신군도 이에 포함되었다. 당시 신라군에는 김유신, 김인문, 원효 등 신라의 최고위급 인사와 당의 웅진도독 유인원이 포진하고 있었다. 연개소문은 이들을 일망타진하여 신라와의 관계에서 확실한 우위를 확보하고 웅진도독부를 무력화하고자, 수만 명의 추격군을 파병한 것이다. 연개소문이 이끈 평양성 전투는 당의 임아상군과 방효태군을 순차적으로 격파하였다. 한편 당의 소정방군도 고전 끝에 철군하게 되면서 평양성 전투는 결국 고구려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그러나 김유신군을 추격한 고구려군은 신라와의 국경인 임진강에서 김유신군에게 역공을 받고 패배하였다. 고구려는 661~662년 전쟁을 자국의 승전으로 종결짓고 당에게 대내외적인 패전의 후유증을 야기하여 당의 고구려 정복 야욕을 666년까지 중단시킬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임진강 전투의 패전으로 인해 661~662년 전쟁의 승전의 의미가 다소 퇴색되었다. 반면에 임진강 전투에서 승전한 신라는 고위급 인사를 무사히 귀환시키고 임진강을 안정적인 방어선으로 확고히 하였다. 신라의 임진강 전투 승리는 훗날 전개될 고구려 멸망전쟁과 신라-당 전쟁에서 신라가 효과적인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임진강 전투는 고구려와 신라의 운명을 가른 역사의 분수령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668년 고구려 멸망시 蛇川原戰의 재구성 및 의의

        김병곤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6 No.-

        668년 7월 문무왕은 대성산기슭에 주둔하던 당군과 합류하기 위해 한성주에서 주력군을 북진시켰다. 이에 고구려는 蛇川之原에서 신라군을 막으며 소위 사천원전이 벌어졌다. 신라 장군 문영 등이 고구려병을 대파하고, 9월 21일 나당 양군이 사수에서 합류했다. 이에 연남건은 평양성 인근의 사수에서 항거했지만 패배하고 직후 평양성이 함락되며 고구려는 망했다. 668년 평양성 인근의 사수전은 662년 방효태부대가 전멸당한 사수전과 동일 장소에서 벌어진 전투로 사수는 평양성과 대성산성 사이에 남북으로 흐르는 합장강으로 비정된다. 그런데 학계에서는 668년의 사천원전을 평양성 인근의 사수전과 동일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신라군이 668년 7~8월중 사천원에서 고구려병을 격파한 후 평양성 인근 사수에서 9월 중순 당군과 합세하여 사수전을 치른 상황을 합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사수와 사천원은 다른 지역이며, 668년의 사천원전과 사수전은 구별되어야 한다. 사천원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사천+원의 지리적 특성을 가졌다. 당시 고구려는 방어에 유리하게 강을 전면에 두고 그 후면의 평원에 대군을 배치해 신라군을 막고자 했다. 이러한 상황과 한성주에서 평양으로의 북진로를 감안하면, 사천원은 서흥강의 중하류에서 사리원 일대까지의 강과 평야가 연속된 지역에 비정된다. 사천원전은 백제 멸망시 가장 유명한 전투인 황산벌전과 매우 유사한 정치적 군사적 상황 하에 전개되었다. 왕성이 당의 침략에 의해 위태로운 와중에 백제나 고구려 모두 당군과 합류하기 위해 진격하던 신라군을 막아섰다. 이를 위해 지리적으로 유리한 지역을 골라 군사를 배치하고 오로지 방어에 나섰다. 당시 백척간두의 궁지에 몰린 양국이 나당군의 합류를 막고자 한 의도는 분명히 목적-당과의 협상 시간 확보, 나당간의 불화 유도, 그리고 645년 안시성 회군 내지 662년 평양성 회군 등의 재연 기대 등-한 바가 있었지만 실패하며 국가가 멸망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