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태도' -'태도'가 국어교육내용으로서 중요성을 띠는 관점 확충하기-

        박인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0 No.-

        The content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was revised in 2009is set into three areas of knowledge, functions, and attitudes. The attitud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categorized as 1) attitude education separated from knowledge and functions 2) attitude education fused with knowledge and functions 3) attitude education in meta-cognitive dimension on knowledge and func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primarily teach attitudes toward the Korean language phenomenon and try to cultivate attitudes to learn Korean language phenomenon based on this. And the education to raise the awareness about Korean language should be eventually done. The attitude could be the inner mechanism to lead the learning direction of the knowledge and functions of Korean language. The attitude factors always intervene and act in the aspects of cognitive development, definition development and sociality development when we recognize and learn a language. Especially, the attitude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case the language recognition is combined with some consciousness-raising proces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develop the contents of the attitude education to the more in-depth level by confusion with neighboring disciplines. For example, it can explain the various phenomena that “defense mechanism” of motivational psychology is shown in the linguistic aspects. And it also can create a program which “language development” and “positive attitude” are highly connected in. It is difficult to get help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f we try to understand “attitude” by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too much. “Theoretical orient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cholars have is a kind of “attitude”, which is “attitude to pursue the worth of value.” This attitude is particularly necessary for the current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cholars. 2009년에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 교육의 내용 영역을 지식, 기능, 태도의 세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국어교육에서 태도 교육은 1) 지식 ․ 기능과 분리되는태도교육 2) 지식 ․ 기능에 융합되는 태도교육 3) 지식 ․ 기능에 대한 메타인지 차원의 태도교육 등으로 범주화 할 수 있다. 국어과 교육에서는 일차적으로 국어현상에 대한 태도를 가지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현상을 학습하려는 태도를 기르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궁극에는 국어에 대한인식을 높이도록 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태도는 국어 지식이나 국어 기능을배우는 방향을 이끌어가는 내적 기제가 되기도 한다. 언어를 인식하고 습득할 때 인지 발달의 측면, 정의 발달의 측면, 사회성 발달의 측면에 태도 요인은 늘 개입하고작용한다. 특히 언어 인식이 어떤 의식화 과정과 결부될 때 태도 요인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국어과 교육은 인접 학문들과 융합하여 태도 교육의 내용을 더 심도 있게 개발할수 있다. 예컨대 동기 심리학의 ‘방어기제’가 언어적 양태로 발화되는 다양한 현상을설명할 수 있다. 또 ‘언어발달’과 ‘긍정의 태도’가 상관성 높게 연결되는 프로그램을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태도’를 지나치게 발달 심리학의 내용으로만 이해하려 하면,국어교육학의 발전에 도움을 얻기 어렵다. 국어교육학자들이 지니는 ‘이론적 지향’은 ‘태도’의 일종이다. 이는 ‘가치의 가치를추구하는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지금의 국어교육학자들에게 특히 필요하다.

      • KCI등재

        소비자행동 예측에 기반이 되는 광고효과 지표로서 태도-확신 지수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요한(Kim Yo-Han) 한국언론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행동을 예측하는 광고효과 지표로서 태도-확신 지수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번의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태도 수준과 태도 확신수준에 따른 구매의도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는데, 브랜드 태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태도 확신이 높을 때가 낮을 때보다 구매의도가 높았다. 즉 태도 확신은 태도와 행동 사이에서 행동에 대한 태도의 영향을 조절하는 변인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광고 태도 → 브랜드 태도 → 구매의도’의 영향 경로에서 광고 태도나 브랜드 태도의 개별 영향보다는 태도 확신을 결합한 ‘광고 태도-확신 지수’, ‘브랜드 태도-확신 지수’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학문적?실무적 함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attitude - certainty index as the indicator of ad effectiveness predic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attitude certainty moderates the effect of attitude on behavior. Specially, under high in brand attitude conditions, participants holding high certainty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 than those holding low certainty. The second, ‘Aad - certainty index’ has a greater influence on Ab than Aad, and ‘Ab - certainty index’ has a greater influence on PI than Ab. Based on these results, som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made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정당 태도갈등이 투표행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

        정한울(Han-wool Jeong) 한국정당학회 2013 한국정당학회보 Vol.12 No.1

        본 연구는 18대, 19대 총선패널조사 데이터(KEPS 2008, 2012)를 활용하여 투표결정시기의 지연, 선거 기간 내 투표선호의 교체, 선거 간 투표선호의 교체, 분할투표 등 투표행태 변동에 정당에 대한 태도갈등이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다차원-상충성 태도이론에 근거하여 한국의 거대 양당에 대한 정당태도를“상극적 정당태도층”,“일극적 정당태도층”,“상충적 태도갈등층”,“전통적 태도갈등층”으로 분류하여 상관관계 및 선형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전 계층에서 상극적 정당태도는 감소하고 정당태도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배경변인과 정당 지지, 이념 등의 정치적 변인을 통제한 조건에서도 투표결정시기의 지연, 선거기간 내에서의 스윙투표, 선거 간 스윙투표를 설명하는 변수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태도갈등이 분할투표에 미치는 영향력은 검증되지 않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san attitude conflict” towards volatility in Korean voting behaviors in the 18th and 19th general elections. Using the “cross-dimensional ambivalence” model for measuring partisan attitude conflict, the empirical tests for verifying the influence of attitude conflict provided some robust findings. Firstly, the partisan attitude conflict among Korean voters has been rising. Secondly, it played significant role in late-deciding voting and inconsistent voting behaviors within and between the elections, but not in split voting.

      • KCI등재

        성역할태도-영유아돌봄태도의 군집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혜정(Lee, Hye Jung),송다영(Song, Da Young) 한국여성연구소 2020 페미니즘 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대표적 젠더의식인 성역할태도와 돌봄에 대한 태도가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나지 않고 다기하게 분화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역할태도와 영유아돌봄태도의 성별, 세대별 양상 및 군집유형을 살펴보고 그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성역할태도와 유아돌봄태도에서는 성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영아돌봄태도에서는 성별 유의한 태도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세대별로는 성역할 태도, 영아돌봄태도, 유아돌봄태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군집분석에서는 ‘전통-가족책임’(군집1), ‘전통-사회책임’(군집2), ‘평등-가족책임’(군집3), ‘평등-사회책임’(군집4) 유형이 도출되었다. 영아군집에서는 ‘전통-가족책임’ 군집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유아군집의 경우 가족-사회책임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군집에 속할 확률을 보여주는 설명요인으로는 성, 연령(세대), 교육수준이 일반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성평등한 사회변화를 위해 성, 연령, 교육수준의 차이에 주목할 필요가 확인되었다. 그 외에 시간사용 양상, 사회적 관계도 부분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어 돌봄사회화를 비롯한 일-가족양립정책에 시사점을 주었다. 종합해보면, 한국사회의 성역할태도와 영유아돌봄태도는 젠더의식과 연관되어 근원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다기한 양상으로 분화, 변형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돌봄사회화, 일-가족양립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luster patterns of gender roles and attitudes of child care and check the factors of their Influence. first, lt is drawn to the fact that gender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identified in attitude of gender roles and attitudes of toddler care, but have not been identified in attitudes of infant car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family were higher in the infant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nfirmed in gender role attitudes, infant care attitudes, and toddler care attitudes by generation. As a result, the group was derived ‘traditional-family responsibility (group1)’, ‘traditional-social responsibility (group2)’, ‘equality-family responsibility (group3)’, and ‘equality-social responsibility (group4)’. The explanatory factors that shape the differences in each cluster have generally shown significant sex, age (generation), and education levels, which have identified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s for gender-equal social change. In addition, the pattern of time use and social relations were also identified as factors that had a partial impact. To sum up,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der roles and child caring attitudes of Korean society have been differentiated and transformed into various aspects despite similar source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on socializing care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were discussed.

      •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개인적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김경희(Kim Kyung Hee)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14 인권복지연구 Vol.- No.15

        연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부모양육태도와 개인적 특성간의 관계는 부모양육태도 유형을 애정적태도, 적대적대토, 자율적태도, 통제적태도의 네 가지 양육태도로 분류하고, 이들 유형일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태도, 자율적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적대적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개인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결론에 도달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부모양육태도, 즉 자녀에 친밀감과 믿음, 따뜻한 마음의 공유, 자율성과 존엄성 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였고, 적대적이고, 통제적인 부모양육태도, 즉 자녀에게 무분별한 분노표현과 무시하는 태도, 적대적 감정 및 불신감과 권위적 태도 및 거부적인 태도는 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 같은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다.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개인적특성 및 삶의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혀 아동발달과 아동의 환경에 새로운 방향을 시사하였다고 본다.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raising attitude and children' personal character. The way their parents raised them is divided 4 ways-devotion, hostility, autonomy and regulations. Children' personal characters are composed of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In order to do this study first, I Set up a hypothesis. Second, I surveyed the result from the questionnaire to verify it on the basis of the data on the 442 elementary student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who live in the Ansan-City. Third, I used the SPSS program.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hypothesis is proved as follows: The result from strong devotion and autonomy show high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but those from strong hostility and regulation show low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한국사회 복지태도 유형의 변화와 영향 요인 - 복지확대와 복지증세에 대한 이중적 복지태도를 중심으로 -

        이상록 ( Lee Sang-rok ),김형관 ( Kim Hyeong-kwa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주요 복지이슈인 복지확대와 복지증세에 대한 대중 복지태도 유형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중적 복지태도가 한국 복지정치에서 논란이 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이중적 복지태도의 변화 양상 및 이와 관련된 영향 요인을 분석,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자료로 2013-2019년도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를 결합한 종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복지태도 유형의 이행 양상 및 태도 변화에의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복지태도 유형들의 태도 변화율은 50-7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복지태도 유형 변화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소득계층 및 정치이념 보다는 성, 연령, 학력, 거주지역 등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이중적 복지태도는 전체 태도 유형의 40%에 이르러 한국사회의 주요 복지태도 유형으로 파악되었지만, 두 시점(T-T+3)에서 이들 태도의 유지 비율은 30% 이하에 불과하여 이중적 복지태도의 불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중적 복지태도 변화의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이해관계에 따른 태도 변화의 발생이 두드러지고, 이중적 복지태도 집단의 구성이 이질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복지확대와 복지증세의 복지이슈를 둘러싼 대중의 복지태도 유형이 이해 관계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임을 확인하는 바로, 한국사회 복지태도 특성 파악에 이와 같은 복지태도의 가변성에 대한 고려가 요청됨을 시사한다. 아울러, 한국 복지정책 및 복지정치의 향후 전개양상은 대중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에 의해 좌우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정치적 및 정책적 관심이 제고될 필요가 있음을 환기하여 준다. In this article, we study changes of the welfare attitude types over the welfare expansion and tax-increase so as to investigate changing patterns and peculiarity of the attitude about welfare issues in Korea. Especially, we examine changes of the ambivalent attitudes because they have been the controversial and important issue in welfare politics in Korea.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2013th~2019th, we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s of attitudes types and determinants of their chang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timates of the changing ratio in four attitude types are about 50~70%. This results suggest that dynamic changing of the attitudes is a peculiarity of Koreans’ welfare attitudes. Second, results of the logistic models shows that the socio-demographic factors(ie. gender, age, education, living area) are more important to change of the attitude types than political ideology, income class. This result suggests that changes of welfare attitude types are more strongly related with individual or group interests in Korea. Third, from the result that ratio of maintaining ambivalent attitudes from T to T+3 are about 40%, we found that ambivalent welfare attitudes is very unstable in Korea. Thi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dynamic changes of the welfare attitudes toward the welfare issues is a peculiarity of the korean’s welfare attitudes. And they imply that considerations of the volatility and multi-dimensionality of welfare attitude are necessary to advance in-depth understandings of the korean’s welfare attitude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용명선(Yong, Myung-Sun),이연승(Lee, Yeon-Se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교ㆍ보육기관을 이용하는 4, 5세 유아 313명과 그들의 어머니 313명이며, 연구도구는 유아 탄력성 측정을 위한 질문지(DECA)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측정을 위한 질문지(MBRI)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탄력성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입력방식의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태도와 유아 탄력성 중 애착 변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가 유아의 탄력성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가 애정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유아의 자기통제와 전체 보호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자율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유아의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 및 전체 보호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염려되는 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어머니가 통제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유아의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 및 전체 보호요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염려되는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유아의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많이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자율적인 태도이며, 어머니가 통제적 태도를 가질수록 유아의 탄력성 발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others rearing-attitude on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3 you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ur and five,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B city, and their mothers. The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was used for testing the rearing-attitude of the mothers. For the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data analysis,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affective attitude of the mothers and the attachment of the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were relatively highly related. Second, the self-control and overall protective factors of young children were positively influenced when their mothers took an affective attitude. When the mothers took autonomic attitudes, young children were positively influenced in terms of attachment, initiative, self-control and overall protective factors, and negatively in terms of concerned behavior. In contrast, young children were negatively influenced in terms of attachment, initiative, self-control and overall protective factors, and positively in terms of concerned behavior when their mothers took controlling attitudes.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that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silience in the young children were affective and autonomic attitudes, and the resilience development in the young children was more undermined when the mothers took rejecting and controlling attitudes.

      • KCI등재

        한국 복지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복지태도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민호(Minho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21 한국사회정책 Vol.28 No.1

        개인의 사회경제적 · 인구학적 특성을 복지태도 및 대중 균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보는 서구사회의 경험적 연구와는 달리, 국내 선행연구의 결과는 전반적으로 이를 지지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2010년대 초 · 중반을 중심으로 대중의 복지태도를 분석한 몇몇 연구에서는 한국 복지태도의 질적인 변화가 확인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국내연구의 연장선에서 한국 복지태도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복지태도의 변화 여부 및 그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복지인식 부가조사> 8차(2013년)와 14차(2019년) 자료를 각각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복지태도를 크게 복지국가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정부의 소득격차 해소 책임, 복지 확대를 위한 증세, 보편적 복지에 대한 태도) 및 개별 사회정책영역(국민연금, 아이를 키우는 가족 지원, 실업대책)에 대한 태도로 구분하여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순서형 로짓으로 분석한 결과, 2013년의 경우 두 측면 모두에서 개인의 사회경제적 · 인구학적 특성 및 복지 지위 등 다양한 복지이해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증세 및 보편적 복지에 대한 태도, 그리고 개별 사회정책영역에 대한 태도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반면 2019년의 경우 복지국가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및 개별 사회정책영역에 대한 태도 모두에서 복지이해 변수의 영향력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념 성향의 영향은 상대적/절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복지태도가 정치 사회적 배경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한국 복지태도 계층성 강화를 주장한 연구들을 제한된 시기에 한정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근래에 들어 다시 비계층성이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s how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attitudes in South Korea have changed overtime by analysing the data from 〈Public Attitudes towards Welfare Policy〉 round 8(2013) and 14(2019). The effects of various self-interest variables and ideological inclination on welfare attitudes are examined with regard to individuals’ attitudes towards the welfare state(views on government responsibility to reduce difference in income levels, tax increase for welfare state expansion, and universal welfare provision) as well as attitudes towards three specific social policy areas(public pension, support for families with children, and support for the unemployed). The results show that in 2013, attitudes towards both the welfare state and specific social policy areas are found to be affected by various self-interest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 attainment, marriage status, number of dependent children, household income, age, labour market status, and welfare status. Such a tendency is particularly conspicuous in relation to individuals’ views on tax increase, universal welfare provision, and individual social policy areas. In 2019, in contrast, the effects of most of self-interest variables on both dimensions of welfare attitudes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hile the impact of ideological inclination shows significant increases. Such a results are understood as suggesting that welfare attitude formation in Korea is easily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and that the inconsistency between welfare attitudes and self-interest measured by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ill strongly remains in Korea.

      • KCI등재

        대학생 소비자의 디지털 저작권 침해행동에 관한 연구 : 태도와 행동의 관계 및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심유조,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콘텐츠(음악, 방송, 영화, 책․만화)에 대한 소비자의 저작권 침해 태도와 행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저작권 침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저작권 침해 태도와 행동에 대한 이해를 통해 궁극적으로 침해행동의 예측력을 높이고 그에 따른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 의목표이다. 이를 위해 불법복제 이슈에 가장 많이 노출된 집단이라 할 수 있는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 하고,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본 모델로, 윤리이론과 범죄이론에서 도출한 요인을 포함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 였다. 침해행동 변수(불법복제 의도, 불법복제 경험여부, 불법복제물 수)에 따라 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 석,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태도는 대체로 부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영화에 대해서는 더 부정적, 방 송에 대해서는 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실제로 행한, 과거의 저작권 침해행동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사람 이불법 다운로드를 한다는 점에서 영화가 가장 보편적으로 불법복제가 행해지는 콘텐츠였고, 불법복제물의 양에서는 음악이 가장 많았으며, 한 달 안에 가장 자주 불법다운이 일어나는 것은 방송프로그램이었다. 태도-행동의 관계는 소비자가 저작권 침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더라도 침해행동을 그만큼 덜 한다고 볼수 없었다. 모든 콘텐츠에서 저작권 침해 태도와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 지만,그 상관의 정도는 약하게 나타났다. 저작권 침해 태도와 행동 간 차이 점수에서도 불법복제 경험 자체가 적었던책․만화를 제외하고는 태도보다 행동의 수준이 높은 경우가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다른 콘텐츠에 비해 영화가 이러한 불일치 문제가 가장 큰 콘텐츠로 나타났다. 침해행동의 영향요인은 태도의 영향요인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우선 침해행동(불법복제 의도, 불법복제물 수)에 미치는 태도의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긴 하였으나 영향력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약하였고, 이에 따라 행동(불법복제 의도)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또한 약하게 나타났다. 도덕적 비용과 관계적 비용은 유의하였 으나,불법성 인식과 법적 비용, 문화콘텐츠 애호도는 침해행동을 줄이는 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반면 습관은 침해행동을 증가시키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불법복제 능력은 불법복제를 경 험해봤는가아닌가의 경계에서 진입장벽의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인지부조화와 대안애착 상황에서 소비자 의사결정 행동에 미치는 내재적 태도와 외현적 태도의 효과 연구

        이병관(Byung Kwa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광고연구 Vol.0 No.86

        본 연구는 태도의 이중 모형(Dual Attitudes Model)을 근거로 인지부조화와 대안애착 상황에서 제품 태도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심리적 처리 과정을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외현적 태도와 내재적 태도가 모두 긍정적인 두 대안이 주어지는 상황(일치상황)에서 제품 선택은 인지부조화와 대안애착 조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선택 후 두 대안의 외현적 태도를 분석한 결과 인지부조화 조건에서는 선택대안이 비선택대안보다 더 긍정적이었으나 대안애착 조건에서는 선택대안이 비선택대안과 유사하거나 더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측과 달리 인지부조화 조건과 대안애착 조건에서 비선택 대안에 대한 내재적 태도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외현적 태도와 내재적 태도가 모두 긍정적인 대안(내재적 긍정 대안)과 외현적 태도는 긍정적이지만 내재적 태도는 부정적인 대안(내재적 부정 대안)이 주어지는 상황(불일치 상황)에서 내재적 긍정 대안의 선택은 인지부조화 조건보다 대안애착 조건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적 태도는 인지부조화 조건과 대안애착 조건 모두 선택대안이 비선택대안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인지부조화 조건에서는 내재적 긍정 대안을 선택한 경우나 내재적 부정 대안을 선택한 경우 모두 선택하지 않은 대안에 대한 내재적 태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대안애착 조건에서는 선택하지 않은 대안에 대한 내재적 태도가 내재적 부정 대안을 선택한 경우가 내재적 긍정 대안을 선택한 경우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제품의 선택과 평가에 미치는 외현적 태도와 내재적 태도의 효과에 관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Based on Dual Attitudes Mode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psychological processes and factors affecting option choice and evaluation under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It was found that under onsistency condition where both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of the two options are positive,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oice probability of the two options in both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explicit attitude of the chosen option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nonchosen option in cognitive dissonance situation but this result was found partially in option attachment situation. However, under consistency con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implicit attitude(feeling toward the nonchosen option) between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Hypotheses 4, 5, 6 were tes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on option choice and evaluation under inconsistency conditions where e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of one option is positive(congruent option) but the other option is positive in explicit atutude and negative in implicit attitude(incongruent option). It was found that under inconsistency condition, choice probability of congruent o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ption ttachment than cognitive dissonance situationer ogardless of whether congruent or incongruent option was chosen or not, explicit attitude of the chosen option was always more positive than the nonchosen option in both cognitive dissonance and option attachment situations. Implicit attitude(feeling toward nonchosen op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congruent option choice and incongruent option choice in cognitive dissonance situation but feeling toward nonchosen option was higher for ncongruent option choice than congruent option choice in option attachment situati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role of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on product choice and eval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