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전환기 윤치호의 기독교 사회윤리사상

        김권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1 기독교사회윤리 Vol.22 No.-

        19세기말 근대전환기에 태어난 윤치호는 전통적 유학교육을 통해 유교적 지식인으로 성장하였다. 근대화의 사회적 흐름 속에서 그는 일본 유학을 통해 근대문명을 체험하였다. 갑신정변의 좌절과 함께 그는 중국 상해로 망명을 떠나야 했다. 그 곳에서 그는 개인윤리 차원에서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이후 미국유학을 통해 그는 기독교 사회윤리를 수용하게 되었다. 그는 개혁운동의 방략을 기독교 사회윤리 차원에서 정립하였다. 이후 그는 제도개혁과 독립협회운동을 통해 사회적 실천을 전개하였다. 일제의 침략에 맞서 한국인의 각성과 민족공동체의 실력양성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일제 강점기 아래 국내에서 그는 기독교 사회윤리 차원에서 기독교청년운동, 여성운동, 언론운동, 교육운동 등을 통해 무너진 민족공동체를 다시 재건하고자 하였다. 윤치호는 근대전환기 유교적 세계관의 ‘단절’을 시도하였고, 새로운 대체자로 기독교 신앙을 주장하였다. 그는 삶의 인식틀 차원에서 윤리적 심각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윤리 패러다임을 체계화시켰다. 또 그의 사회윤리관은 기독교의 실용성과 실천성에서 비롯되었다. 그런 점에서 그의 기독교신앙이 내세보다 현세에 집중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는 기독교 윤리를 현실적 실천윤리로 인식하였다. 이것이 사회개선 및 변혁에 사명의식을 가지는 공익적 사회윤리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약육강식의 사회진화론을 현실적으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기독교의 하나님’을 ‘숙명적 하나님’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기독교의 청지기 윤리를 통해 이를 극복하였다. 이것은 일본제국주의 압제아래서 절망적인 정치현실에 좌절하지 않고 민족을 발전시킬 수 있는 희망을 가지는 원동력이 되었다. Yun Chi-Ho who was born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times at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 had grown as a Confucius intellectual through traditional education of Confucianism. Within the social trend of modernization, he experienced modern civilization by studying in Japan. He had to go on an exile to Shanghai, China along with the frustration of 1884 coup. At that place, he had converted to Christianity on the level of personal ethic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afterwards, he started accepting the social ethics of Christianity. He established the strategy of reformation movement on the level of Christian social ethics. Afterwards, he had spread out social practices through reformation of system and independence association movement. He had also spread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o awaken Korean people and raise the skills of national community.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e tried to reconstruct the collapsed national community through Christian youth movement, women`s movement, press movement and education movement, etc on the level of Christian social ethics. Yun Chi-Ho attempted to break with Confucianism related view of the world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age and insisted on Christian faith as a new substitute. He emphasized on the ethical severity on the level of paradigm of life. He systematized the ethical paradigm on this basis. Also, his social ethics originated from the practicality and practice of Christianity. In this aspect, his Christian faith had brought the result of concentrating on this life than afterlife. He recognized Christian ethics as realistic practical ethics. He considered this as providing the social ethics of common good having awareness of mission in the social improvement and reformation. And he realistically accept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dealing with the law of the jungle. But he did not accept the ‘God of Christianity’ as ‘God of destiny’. He had overcome this through the stewardship in Christianity. This had become a driving force of having the hope to develop our race without getting frustrated within a hopeless political reality under the oppression of Japan`s imperialism.

      • KCI등재

        기독교 생명윤리에 관한 윤리적 판단의 원리

        권혁남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의학과 과학기술의 급진적인 발전에 따라 인간의 생명에 대한 기술적인 취급의 가능성이 크게 확대된 현대사회는 인간 생명의 전 과정, 즉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기존에는 경험해 보지 못했던 다양한 윤리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생명문제에 관한 윤리적 판단에서는 필연적으로 생명 그 자체에 관한 이해를 전제로 하며 생명윤리의 진리 문제는 결국 생명에 대한 신학의 진리문제로 귀결된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기독교 신학과 윤리는 ‘생명과 인간의 삶’을 어떻게 파악하고 이해하고 있는가?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대하며 회피할 수 없는 생명과학 기술의 진보와 그로인해 파생되는 윤리적 판단의 문제에 대해 기독교윤리는 어떻게 관여해 갈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물음에 기초하여 기독교적 생명이해와 그를 토대로 생명윤리의 기본문제에 접근하는 기독교 윤리적 접근 방법과 그 원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기독교적 생명윤리에 있어서 윤리적 판단의 독자적인 원리는 ‘생명의 주’ 라는 개념(사도행전 3장 15절) 속에 제시되어있다. 하나님은 ‘생명의 주’ 이시며 또한 창조자, 구원자, 완성자이시다. 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상의 죽음 사건을 통해 죽음을 삼위일체의 자신 속으로 받아들이고,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하여 그리스도로 하여금 생명의 창조적인 힘으로 죽음을 극복하였다. 이렇듯 하나님은 생명을 구원하고 또한 완성하신다. 즉 하나님은 ‘생명의 주’ 이자 생명의 창조자, 구원자, 완성자로서 ‘삶을 사랑하는 본성’(bio-philas)을 지니신 분이시다. 그러므로 기독교 생명윤리는 이에 근거하여 ‘생명을 사랑’(biophilia)하는 윤리여야 한다. 달리 말하면 생명에 관하여 윤리적 판단에 관한 물음이 발생할 때 판단과 그에 따른 행위의 원리는 ‘생명사랑’에 근거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의 확장으로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로서 ‘생명을 사랑하는 힘’(bio-philas)이 작동되는 장(場)이 되어야 하며, 또한 사회가 ‘생명사랑’(biophilia)으로 충만한 사회가 되도록 우리는 봉사해야 한다. With rapid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and scientific technology, the modern society has an enlarged possibility of dealing with human life in only technological perspectives. Thus, the modern society faces various unprecedented ethical problems in all the processes of human life from birth to death.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facts that ethical judgement on the issue of life needs understanding of life itself as precondition of it, and that the problem of truth of life ethics leads to the problem of truth of theology. Then, how do Christian theology and ethics grasp and understand life and human life? And, how can Christian ethics intervene in the problems of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which is very important and inevitable in modern society and of ethical judgement derived from it? This study, based on such questions, examined Christian ethical approaches and principles dealing with basic problems of life ethics. The original principle of ethical judgement about Christian bioethics is suggested in the concept of ‘author of life’ in the Bible (Acts 3:15). God is the ‘author of life’, savor, and completer of life. Through the death of Jesus Christ, son of God, on the cross, God received death in Himself as Trinity, and God led Jesus through the Resurrection to overcome death. As such, God saves life and completes it. That is, God is the God of bio-philas as ‘author of life’, creator, savor, and completer of life. Therefore, Christian bioethics should be the ethics of biophilia. In other words, whenever questions on ethical judgement on life emerge, the principle of action should be biophilia. And, as extension of such a discussion, the church should be the place where power to love life, namely bio-philas work as a community where people live with Jesus Christ. And, we should serve the society to make it full of biophilia.

      • KCI등재

        생태신학 유형 연구-하나님 이해,하나님과 세계의 관계성 그리고 세계의 존재들 사이의 관계성을 주된 논점으로

        이창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세계의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세계를 대하는 인간의 접근이나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세계의 존재들 사이의 관계성, 특히 인간과 다른 피조물들의 관계성에 대한 이해는 생태적 접근과 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하나님, 하나님과 세계의 관계성, 세계의 존재들 사이의 관계성 등을 주된 논점으로 삼아 현대 생태신학 담론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 탐구를 근거로 하여 생태신학을 유형화할 것인데, 범재신론적 유형, 탈범재신론적 유형 그리고 신중심적-청지기적 유형으로 나누어 각각을 진술하고 비교·평가할 것이다. 범재신론적 유형을 대표하는 신학자로는 맥페이그(Sallie McFague)와 몰트만(Jürgen Moltmann)을, 탈범재신론적 유형을 위해서는 맥다니엘(Jay B. McDaniel)과 류터(Rosemary R. Ruether)를, 그리고 신중심적-청지기적 유형의 경우는 스타센(Glen H. Stassen)과 거쉬(David P. Gushee)를 주로 다룰 것이다. 생태적 실천 성숙을 위한 규범적 방향성을 내포하는 윤리적 제안을 함으로써 논문을 맺고자 한다. Human approach and attitude toward the world can change depending on how w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world. Moreov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created beings of the world,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other creatures, is an essential factor in determining ecological approaches and attitudes. This research intends to explore the discourse of modern ecological theology,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God,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worl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created beings in the worl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is paper will typify modern ecological theology into a panentheistic type, a post-panentheistic type, and a theocentric-stewardship type, comparing and evaluating them. The theologians representing the panentheistic type are Sallie McFague and Jürgen Moltmann, those for the post-panentheistic type Jay B. McDaniel and Rosemary R. Ruether, and those for the theocentric-stewardship type Glen H. Stassen and David P. Gushee. I would like to conclude this paper by making ethical proposals that imply normative directions for the maturation of ecological practice.

      • KCI등재

        생태위기 극복의 동반자로서의 불교와 그리스도교

        최현민 한국종교교육학회 2008 宗敎敎育學硏究 Vol.28 No.-

        연기사상에 기초한 불교의 인간이해와 불성사상을 통한 불교의 자연이해는 이원론과 인간중심적 사유를 극복할 방안을 제시해주고 있다. 연기사상은 지혜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비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구체적으로 불교전통 안에서 동체대비사상(同體大悲思想)을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삼라만상의 존재가 하나의 관계망 속에 연결되어 있다는 연기적 존재론에 입각한 동체대비사상은 생태위기의 해결을 위한 지혜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이 불교의 연기사상과 동체대비사상은 그리스도교를 비롯한 서구사상계가 지닌 이원론적 사고와 인간중심적 사유를 뛰어넘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불교사상은 환경윤리로서 자리매김하기에 몇 가지 취약점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사회적 실천, 초도덕성, 평등주의, 책임성과 관련된 윤리적 주체문제가 그것이다. 불교가 지닌 이러한 한계점 중 윤리의 주체문제의 대안으로 그리스도교의 ‘청지기 윤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요청되는 세계윤리는 하나의 종교나 이데올로기와 같은 전체주의적 통일성의 이념이 아니라, 상이한 세계종교들의 존재와 문화-전통적 다양성 위에 기반을 둔 세계적 구속성을 가진 가치와 이상이다. 불교와 그리스도교, 두 종교 모두 세계도덕으로서의 혜안과 함께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는 측면에서 상호보완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불교와 그리스도교는 현대의 생태위기 문제를 풀어가야 할 책임있는 동반자로서 상호대화를 통해 세계도덕적 혜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웨슬리의 사회성화와 디아코니아

        이동호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대학과 선교 Vol.44 No.-

        In our present age, everyone lives in pursuit of wealth by making money. So, the influence of money is great in modern times. Money affects the areas of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religion and even causes many problems. Money, by itself, distorts a person’s mind and thoughts, and eventually corrupts him/her and destroys a community where he/she belongs. In modern times, we evaluate a person with his wealth and riches, not with his character and being by itself. So we confuse our living not by existence, but by possession. We want to own more, and as a result, we become obsessed with possession. Our obsessions with possession result in alienation not only of ourselves, but also of our neighbor and community. What is Wesley’s teaching to us, who live in the influence of materialism by putting material satisfaction as our top priority and degrading human dignity? This paper examines Wesley’s heritage of faith for us to practice sharing by Diakonia and make a healthy community, at this time when there are many suffering from economic crisis and materialism in our society.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meaning of Diakonia in Wesley’s theology of Social Sanctification. Second, This paper looks at the meaning of Diakonia in Wesley’s economic ethics, especially works ethics and vocation ethics.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view of Diakonia in the possession and use of wealth with Wesley’s teaching on wealth and giving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는 모두가 부유함을 추구하며 살아가기를 원하기에그 만큼 돈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문제되는 것은 정치, 경제, 문화, 더 나아가 종교계에 이르기까지 돈은 그 화폐의 가치 자체로 인간의마음과 생각을 움직이게 만들어 많은 사람들을 부패하게 만들고 더 나아가개인뿐만 아니라 공동체를 무너뜨렸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한 사람을평가하는데 있어 그의 성품과 존재 그 자체를 기준으로 삼지 않고 그가 소유하고 있는 부와 재물에 따라 사람을 평가한다. 존재함이 아니라 소유함을 통해 살아간다는 착각에 빠지게 된 것이다. 소유에 대한 집착은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에 빠져 본인뿐만 아니라 우리의 이웃과 공동체를 소외시켜 버렸다. 존재 자체를 위협하며 물질적 만족을 최고의 가치로 삼아가는 물질주의에빠져 살아가는 우리에게 웨슬리는 어떤 가르침을 주고 있는가? 경제의 위기와 물질로 고통당하는 이들이 여전히 우리 사회 안에서 신음하고 있는 이때에더 많은 것을 소유하기를 꿈꾸기보다 디아코니아를 통한 나눔을 실천하고축복된 공동체를 꿈꾸기 위해 웨슬리가 남겨둔 신앙의 유산은 무엇이 있는지를 본 논문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 연구자는 첫째 웨슬리의사회성화 신학에 담겨진 디아코니아 사상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두번째 그의 경제윤리 특히 웨슬리의 직업 노동윤리에 나타난 디아코니아 사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웨슬리의 부의 윤리와 나눔의 윤리에 대해 살펴보면서 부의 소유와 사용에 대한 디아코니아 관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

        기독교 경제 윤리에 기초한 한국 교회 목회자 사례비 운영의 제안 : M교단을 중심으로

        박미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0

        Our society is struggling with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cross the world. So do many Korean protestant churches. Most of them do not have specific denominational guidelines for pastor’s honorarium standard.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e principles of managing the proper amount of pastors’ honorarium as a guide for building a common good society of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community of faith, the Body of Christ. The Bible emphasizes the priority of life than the ownership and the protection for the poor and the least in the society. The Biblical principle of economic law is based upon the community of faith. As an organic community of faith, people take care for each other. For this, Christians needs the stewardship on money and property which are come from God. The church can give the direction for the broader society which is the prototype of the Kingdom of God. For the life of more equitable society based on the mutual responsibility, this research proposes a way of managing pastor’s honorarium based on the Biblical economic law such as the tithe and the Jubilee law. First, the principle of operating pastor’s honorarium is based on the necessity. Next is based on the resulting equity. The third is based upon the community, the Body of Christ. Last is based on the spirit of Jubilee law. It is expected that the Christian economic principles can give an insight for the extremely disparity society today.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부의 불평등한 분배의 심각함을 숙지하고, 한국 교회 역시 동일한 현실에 처해 있음을 직시하면서, 부의 공평한 분배를 통한 기독교 경제관에 입각하여 목회자의 사례를 책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성경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제 원리는 주님의 한 몸을 이룬 공동체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생명권과 생존권을 중시하며, 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경제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물질에 대해 청지기적 태도를 견지해야 함을 강조한다. 기독교의 경제원리가 우리 사회를 향해서도 의미 있는 영향력을 끼칠 수 있기를 바라며, 먼저 교회 내에서 목회자 간 빈부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목회자의 사례비 수준이 우리 사회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먼저 일반 기업의 노동자들의 임금과 목회자의 사례수준을 비교한 후, 기독교 경제 원리에 기초하여 십일조와 희년의 정신에 따라 목회자 사례비 운영의 원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필요에 기초한 사례비 운영의 원리이고, 둘째는 결과적 평등에 기초한 사례비 운영의 원리이다. 셋째, 공동체성에 기초한 사례비 운영과 마지막으로 넷째는 희년정신에 기초한 소득 재분배의 원리이다.

      • KCI등재

        한경직의 ‘퓨리턴적 신앙’과 정치의식 연구

        양현혜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4 신학사상 Vol.0 No.204

        본 논문은 한경직의 ‘퓨리턴적 신앙’과 정치의식 및 그 대응 양식을 분석한 것이다. 한경직은 미국 식민 초기 뉴잉글랜드의 퓨리턴 공동체에 영감을 받아 ‘모든 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라는 강렬한 ‘하나님 중심주의’와 그에 근거해 인간은 하나님이 맡기신 것을 관리하는‘청지기’라는 인간관 그리고 성서가 개인의 신앙과 생활의 중심일 뿐 아니라 사회·정치적 원리가 되어야 한다는 신정 정치적 이상을 가졌다. 그의 이러한 ‘퓨리턴적 신앙’은 개인의 회심과 중생을 담지하는 교회가 중심이 되어 모든 가치와 제도가 파생되며 역으로 그 중심으로 모든 것이 수렴· 환원되는 동심원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기독교적 국가 건설’이라는 그의 정치의식과 행위는 그의 ‘퓨리턴적 신앙’에서 발원하는 정치적 실천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가 ‘기독교적 국가 건설’을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생각한 것은 ‘전국민의 기독교화’를 위한 전도와 반공을 축으로 하는 사상전이었다. 이 과정에서 그가 생각한 국가와 기독교의 관계의 모델은 ‘정교분리’가 아니라 기독교가 완전한 종교적 자유를 가지고 국가의 정신적 기초가 되는 ‘미국적 시민 종교’였다. 기독교에 근거한 시민 종교를 가진 퓨리턴적 신정 정치의 국가를 지향한 그의 정치의식과 행동은 군사 정권에 대한 기독교회의 반독재 민주화 운동 등이 전개되는 한국 사회의 정치적 변화 속에서 현실성을 잃는다. 한경직의 사상의 저변에는 개인 하나 하나를 좋은 기독교인으로 만들어 사회에 내어 보내면, 그 사회가 자연스럽게 ‘정의로운 사회’가 될 것이라고 하는 개인주의적 경건주의 기독교 윤리가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윤리를 신학자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는 그의 명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에서 ‘소박한 낙관주의 윤리’라고 비판했다. 이제 한국 개신교는 한경직이 남긴 개인주의적 경건주의라는 ‘소박한 낙관주의’ 를 탈각하고, 무정부적 자유방임주의나 획일적인 독재주의라는 정치적 양극단을 피하면서 개인의 자유와 공동체의 공공선을 가급적 최고 수치의 근사치로 실현해 가기 위한 기독교 사회 윤리와 행동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twining of Rev. Kyung-Chik Han’s “Puritan faith” and his political consciousness. Inspired by the early Puritan communities in New England, Han embraced an intense “God-centerism,” asserting that “all things are for the glory of God.” Based on this belief, he viewed human beings as “stewards” entrusted with managing God’s creation. He advocated for a theocratic ideal, contending that the Holy Bible should not only be the focal point of individuals’ religious and daily lives but also serve as the solid foundation for social and political order. At the core of his “Puritan faith” was the church, functioning as the center for individual conversion and rebirth, as well as the source of all values and institutions. The sociopolitical realm, in turn, was meant to be oriented towards the church, creating a concentric structur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argue that hi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actions aimed at “building a Christian nation” were derived from his “Puritan faith.” In implementing the specific methods for “building a Christian nation,” Han considered evangelism for the “Christianization of the whole nation” and engaged in anti-communist ideological warfare. His vis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Christianity did not align with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stead, he advocated for an “American civil religion,” where Christianity would serve as the spiritual foundation of the nation alongside full-fledged religious freedom. However, Han’s Puritan theocratical statism encountered opposition from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opposed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South Korea. Underlying Kyung-Chik Han’s thought is an individualistic, pietistic Christian ethic that assumes that if each individual becomes a good Christian and participates in society, it will naturally become a “just” society. This ethic was criticized by theologian Reinhold Niebuhr in his classic,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as naive optimism. Now, Korean Protestantism needs to move away from the naive optimism of individualistic pietism for which Han advocated and avoid the political polarization of anarchic laissez-faire or monolithic authoritarianism. The Korean church should seek a Christian social ethic and action that best realizes individual freedom and the common good of the community.

      • KCI등재

        그리스도인의 삼중적 관계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이에 따른 기독교 윤리적 실천방안

        김석호 ( Suk Ho Kim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some alternative suggestions of Christian Ethics in the understandings of triune relationships between God, human being, and nature. All Christians have the fundamental and unavoidable relationships between God, human being, and nature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creation. Therefore, christian faith means to involve this triune relationship, christian ethics should be defined in the understanding of this triune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s suggested as such communion relationship, father-son relationship, and master-servant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human being is interdependent relationship, co-worker relationship, and moral relationship, an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is companionship, stewardship, and kinship. In these relationships, all christians live and maintain their faith in church and society. Therefore, Christian ethics should consider all these relationships, and be practised by these ways. The ethical prac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s accomplished in ``worship`` which is mystical communion between God and his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human being is practised in ``sacrifice and serve`` which is lo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is actualized in ``maintaining lives`` which is coexisting. In this understanding, Christian ethics conclusively should be practised in worship, sacrifice, and maintaining lives and these three categories should characterized in more details.

      • KCI등재

        지구온난화를 바라보는 다른 시각, 다른 대처

        김대중 ( Kim Dae Ju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1 성경과신학 Vol.99 No.-

        본 논문은 근래 가장 큰 이슈들 가운데 하나인 지구온난화를 주제로 한다. 많은 기독교인은 지구온난화가 이산화탄소(CO<sub>2</sub>), 특히 인간이 만들어 낸 이산화탄소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믿는 경향이 있다. 만일 지구온난화가 계속된다면 지구는 조만간 끔찍한 대재앙을 만날 것이고, 그래서 이러한 파멸을 면하기 위해 인류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모든 노력을 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신념과 대조적으로 소위 복음주의 우파로 불리는 미국의 한 복음주의 그룹은 주장하기를, 인간이 만든 이산화탄소가 지구온난화에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는 명제는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고 한다. 따라서 그들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키기 위해 엄청난 자금을 쏟아붓는 것은 지구온난화에 대한 비효율적이고, 비합리적, 비과학적인 대처이고, 무엇보다도 성경적 세계관과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고 말한다. 대신 그들은 제삼 세계와 지구촌 곳곳의 가난한 사람들이 겪고 있는 당면한 여러 문제, 예를 들면 위생 문제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 돈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복음주의 우파는 이러한 대처가 성경이 가르치는 환경적 청지기직(environmental stewardship)에 부응하는 길이라고 믿는다. 이 논문은 지구온난화에 관해 복음주의 우파가 가진 시각과 대처, 그리고 그 배경이 되는 그들의 기독교 세계관을 소개했다. 그리고 그들의 주장이 가진 장단점들을 분석한 결과, 지구온난화에 관한 그들의 입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인류가 좀 더 합리적이고 균형 잡힌 신학에 근거하여 지구온난화 문제에 지혜롭게 대처하는 데 이 논문이 이바지하길 바란다. This article focuses on global warming, which has been one of the hottest ethical issues of this era. The majority number of Christians tends to believe that Carbon Dioxide(CO<sub>2</sub>), especially manmade CO<sub>2</sub> has been the main cause of this phenomenon. Thus, unless putting every effort in reducing CO<sub>2</sub> in the atmosphere, humankind will inevitably have to face horrific catastrophes in the near future. However, one evangelical group in America, known as “Evangelical Right,” unlike this general understanding mentioned above, claims that this CO<sub>2</sub> produced by humankind has not been scientifically proven to be the decisive factor in causing global warming. They further assert that spending huge amounts of money in abating CO<sub>2</sub> in the atmosphere would rather be an inefficient, irrational, and unscientific countermeasure on the issue of global warming, and worst of all, not fit for biblical worldview. Instead, they contend that the money should be spent in solving the current issues that the third world nations and the poor around the world are facing such as water shortages and the improvement on living conditions. Moreover, these countermeasures, they believe, are biblically in compliance with environmental stewardship. This article has introduced the evangelical right’s perspective, along with their Christian worldview, and the countermeasures to global warming, analyzed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ir assertions, found, as a result, their claims on the global warming issue positive. In conclusion, this article has shown and asserted that humankind need to more wisely respond to global warming issues with sound and balanced biblical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