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코칭과 창업팀의 성과: S대학교의 창업지원프로그램 사례연구

        윤숙희(Sukhee Youn),장승권(Seungkwon Jang),정선영(Sunyoung Jung),조수미(Sumi Cho) 한국경영학회 2021 Korea Business Review Vol.25 No.1

        창업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대학 내 창업지원프로그램의 개발 및 성과에 대한 연구도 다수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는 창업의지, 기업가정신과 같은 개인 특성과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실제 구성되는 창업팀의 성격과 다양한 활동들을 조명하는 연구는 부재하다. 또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의 성과를 창업기업의 개수, 매출액 등의 정량적 성과로 측정하는 실증연구가 다수이며 창업팀의 활동이 어떻게 성과로 이어지는지, 창업 활동으로 얻게 되는 성과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팀창업과 팀코칭을 특징으로 하는 S대학교 창업지원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창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창업팀이 팀코칭을 통해 어떻게 성과를 내는지 연구한다. 팀코칭이 창업팀 성과에 미치는 요인과 역학은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팀 효과성 측정을 위한 IMO모델을 활용하여 창업팀의 성격과 팀 활동, 팀코칭이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성과로 이어지는지 분석한다. 분석 결과, 기존 연구가 간과해왔던 창업팀의 변화와 성장을 포착하고, 팀코칭이 창업팀의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밝힌다. With the high interest in startup team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startup support program in an university. Most of them focus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ies such as startup intention and entrepreneurship and not much of them focus on the properties and actions of startup teams in real. Besides, there are too much weight on quantitative studies that estimate the performance of startup support programs only by quantitative measurements like the number and the sales of startups and they tend to overlook the process of how startup teams are acting and how their actions are leading to the outcomes. This case study of S University Startups Support Program characterizing team coaching researched how startup teams have been performing and how their performances were led to the outcome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nd dynamics of team coaching and team performance, the IMO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startup teams, team actions, and the interventions of team coaching.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shown, the study captured the changes and growth of the startup teams that had been overlooked by the extant researchers and found specific mechanisms for how team coaching affects the startup teams activities.

      • KCI등재

        창업팀 팀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과업의존성이 속성신뢰의 매개를 통해 팀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팀 가상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류란(Lan Liu),정범구(BeomKu Chu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3 No.3

        중국의 창업 시장규모는 꾸준히 확대되고 있고 정부 역시 대중창업(万众创业)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과학기술 관련기관에서 연합발표한 문건에서는 중국 창업투자시장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미래의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그러나 개인을 단위로 하는 창업은 리스크가 크고 불확실성이 높으며 창업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통의 이익을 기반으로 조직된 창업 팀이 오늘날 창업의 주요한 형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창업팀은 유연한 조직구조, 높은 지식의존성, 비정형화된 집단구조 등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유연하나 단순한 조직구조, 상대적으로 짧은 조직 존속 기간 등 특징은 일반적인 경영방식을 적용하기에 괴리감이 있고 조직운영비용이 증가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부각되고 있다. 창업팀은 일반적인 조직에서처럼 많은 교류와 정보교환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신뢰를 형성할 시간이 상당히 부족하지만 창업팀 역시 신뢰를 필요로 하는 집단이다. 창업팀 팀원들은 한정된 짧은 시간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신뢰관계를 형성하여야만 신뢰관계의 형성에서 오는 팀 유효성을 기대할 수 있다. 기존의 일반조직에서의 신뢰관계에 비해 상당히 짧은 시간 내에 신속하게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현상을 속성신뢰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하이테크 벤처 인큐베이터기업의 지원을 받고 있는 창업팀 팀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과업의존성, 속성신뢰 및 팀 만족과 팀 몰입 사이의 인과관계가 존재함을 증명하고 팀 가상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연구는 개인데이터를 일정한 검증과정을 거쳐 팀 단위로 합산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창업팀에서 팀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과업의존성이 높을수록 속성신뢰가 신속하게 형성이 되며 속성신뢰 정도가 높을수록 팀 만족과 팀 몰입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창업팀의 속성신뢰는 팀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과업의존성과 팀 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정(+)의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창업팀의 팀 가상성이 높을수록 팀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과업 의존성과 팀 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속성신뢰의 간접효과가 약화되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As customer demand diversifies and market competition becomes fierce, rapid adaptation ability, flexible coping ability, and continuous innovation ability are required for survival and growth of enterprises. Under the reform and openness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market economy policies, many people started to participate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However, entrepreneurship, which is based on individuals, has high risks, high uncertainties, and difficulty in achieving entrepreneurial goals. To overcome this, start-up teams formed based on common interests have become the main forms of entrepreneurship today. The start-up team has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knowledge dependence, informal group structure and flexible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simpl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hort duration are difficult to apply general management method and organization control, complicate organization operation, and increase operating cost. It is clear that the start-up team is a group based on trust, even though there is not enough time to build up trust gradually through a lot of exchanges and information exchange as in a regular organization. The team members of the start-up team can expect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to come from the formation of the trust relationship only if they form a trust relationship quickly and effectively within a limited time. We define the concept of property trust to form a trust relationship quickly with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to the trust relationship in the existing general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members communication, task interdependence, attribute trust, and team effectivene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eam virtuality of the start-up team on the causal relationship.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and the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nd task interdependence among the team members, the faster the formation of the swift trust and the higher the swift trust, the higher the team satisfaction and team commitment. Also, the swift trust of start-up team prove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role in communication between team members, task interdependence and team effectiveness. Finally, the higher the team virtuality of the start-up team is, the more the empirical confirmation that the indirect effect of the attribute trust is weakened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between team members, task interdependence and team effectiveness.

      • KCI등재

        팀 학습을 통한 대학생의 창업교육에 있어서 팀원의 창업의지, 다양성 및 조력자의 지원활동이 팀 학습 유효성 및 창업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중석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team learning positively influences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and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curriculum. To do this,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 data of 149 students who took the entrepreneurship course that was conducted by the team learning method focused on problem solving task among the entrepreneurship courses opened in the venture autonomous major. First, we examined the effect of team learning effectivenes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satisfac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learning by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diversity of team members, and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and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mediates between these independent variable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will influence team learning effectiveness. However, the hypothesis that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or team diversity influences team learning effectiveness was rejecte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was found to be influential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was mediating between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nd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specially,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decreased remarkably. This suggests that the mediating path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very meaningful through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learning although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re partially medi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are important in the team lear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is also important. Especially, supporting activities of assistants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the effectiveness of team learning.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essential to designing a practical education course that meets individual's intention for startup i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networking with the particip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or entrepreneurs. In addition,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think more thoughtfulness about the composition of team members in the team learning, and to provide more meticulous support to the effectiveness of the team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팀 학습을 통한 창업교육이 팀 학습의 유효성 및 창업교육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017년 1학기 국내 K대학의 벤처창업 자율전공에 개설된 창업교과목 중에서 문제해결 과제중심의 팀 학습 방식으로 진행된 창업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149명의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먼저 팀 학습의 유효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의 창업의지, 팀 구성원의 다양성, 조력자의 지원활동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팀 학습 유효성 및 창업교육 만족도 간의 영향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독립변수 각각이 팀 학습의 유효성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고 아울러 팀 학습의 유효성이 이러한 독립변수와 교육 만족도 사이에서 매개작용을 하는지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조력자의 지원활동이 팀 학습 유효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하지만 개인의 창업의지 또는 팀 다양성이 팀 학습 유효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반면 회귀분석 결과를 통하여 창업의지가 창업교육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서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창업의지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팀 학습의 유효성이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어 팀 학습 유효성이 조력자의 지원활동과 창업교육 만족도 사이에서 매개작용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특히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로 조력자 지원활동의 유의도가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력자의 지원활동이 부분매개작용을 하고는 있지만 팀 학습 유효성을 경유하여 창업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매개경로가 매우 유의미함을 설명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팀 학습 창업교육에 있어서 조력자의 지원활동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개인의 창업의지 역시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력자의 지원활동은 팀 학습 유효성을 매개로 창업교육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창업교육에 있어서 개인의 창업의지에 부합하는 실무형 교육과정의 운영과 함께 내·외부 전문가 또는 기업가의 교육 참여와 네트워킹을 형성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팀 학습에 있어서 팀원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숙고하여 편성하고, 조력자는 팀 학습의 유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활동 및 구성원의 다양성을 고려한 세심한 지도가 동시에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사회적 자본 및 실험실 창업팀 다양성이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I-Corps program을 중심으로

        이재호,손영우,한정화,이상명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6

        혁신 기술 개발이 거듭되며 인공지능, 생명공학, 로봇, 항공우주, 전기차, 태양광 등의 신산업이 창출되며 거시적 경영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변화와 복잡성 증가로 인해 창업 전략 차원에서 기술이나 자산의 소유 그 자체보다는 자본이 관계의 중요성 증대로 활용되면서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자본은 1916년 Hanifan이 최초로 제안한 개념으로 개인 또는 사회적 구성원들 간의 상호 지속적이며 유기적 관계 또는 축적된 인간관계 네트워크에 잠재되거나 활용이 가능한 능력이나 자원의 전체적 총합을 일컫는다. 또한, 특출한 창업자 1인 보다는 다양한 배경과 특성 및 역량을 갖춘 창업팀 다양성이 각광을 받고 있다. 창업팀 다양성은 창업팀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이나 신념, 가치 등의 심층적 요소에 대한 다양성을 뜻한다. 거시적 환경 변화로 산업 혁신을 주도하고 국가의 핵심성장동력 창출 역할을 하는 기술창업 및 실험실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아이코어(I-Corps)’ 프로그램에 주목하였다. 혁신군단을 의미하는 아이코어는 2011년 미연구재단(NSF)이 기업가 정신 및 연구 결과 사업화 장려를 위해 출범된 실험실 창업프로그램으로 교수와 연구원이 참여하는 창업팀 구성과 시장발견활동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특성을 감안하여 네트워크 관점의 사회적 자본과 창업팀 다양성이 아이코어 창업성과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팀의 학력 다양성이 창업팀의 재무적 성과에 부(-)의 영향을, 성별 다양성과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차원이 창업팀의 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아이코어 실험실 창업팀 다양성, 사회적 자본과 그 성과 해석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보다 유용하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 및 지각된 성과의 관계

        박정우 ( Jungwoo Park ),김진모 ( Jinmo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 및 지각된 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정적 영향에서 팀 학습 행동이 갖는 매개효과와 팀 학습 행동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정적 영향에서 팀 경계 확장 행동이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78개 초기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팀 학습 행동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09, p<.05). 둘째, 초기 스타트업에서 팀 학습 행동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팀 경계 확장 행동에 의해 조절되었다(β=.259, p<.05). 팀 경계 확장 행동은 팀 학습 행동이 지각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적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세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초기 스타트업에서 팀 학습 행동은 성과를 창출하는데 기여하는 중요한 활동으로, 팀 학습 행동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초기 스타트업의 학습 문화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으로, 창업 생태계에서는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을 진단, 개발할 수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한다. 셋째, 팀 학습 행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외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보의 탐색과 습득이 중요하다. 후속 연구를 위한 두 가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팀 학습 행동을 시점 차이를 두고 측정하여 인과관계를 실증해야 한다. 둘째, 초기 스타트업들이 성장한 이후 재무성과와 이 연구에서 측정한 창업가의 기업가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팀 경계 확장 행동과의 관계를 구명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founders’ entrepreneurial leadership, team learning behavior, team boundary spanning,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early-stage start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corded: (i) the indirect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n perceived performance via team learning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β=.309, p<.05). (ii) relationships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r and perceived performance were strengthened by team boundary spanning behavior (β=.259, p<.05). In this study, three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as follows: (i) startups need to seek team learning readiness and external learning stimulus to facilitate generative and transformative team learning; (ii) accelerators need to develop an entrepreneurial leadership program for founders; and (iii) startups need to explore external information by interacting with investors, R&D institutions, and other startups to strengthen the impact of team learning behavior on performance. Furthermore, two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as follows: (i) future researchers need to tes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team learning behavior based on a newly designed time-series measurement plan; (ii) the actual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boundary spanning on financial performance need to be tested two or three years later whe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early-stage startups usually becomes evident.

      • 해커톤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팀 문화의 매개효과 검증

        고일권(IlKwon Ko),남정민(Jungmin Na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17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1 No.1

        2016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논의된 제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의 시대에 요구되는 인재로 복잡한 문제를 푸는 능력, 비판적 사고, 창의력, 사람관리, 협업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의 영향은 산업 전 분야에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미래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팀을 구성하는 팀빌딩에 적합한 교육 모델인 해커톤이 다양하게 개최되고 있다. 해커톤은 대학,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IT, 자동차 기업에서도 사내의 아이디어를 활성화하는 팀 단위 교육프로그램으로 개최하고 있다. 해커톤은 팀워크, 협업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교육적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팀 단위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 2014년, 2015년, 2017년 3년간 ‘단국대집현전해커톤’ 참여자에 대한 설문과 참여자 및 멘토들과 인터뷰를 통해 해커톤 프로그램의 창업팀 몰입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정량적 연구결과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 리더십과 팀 몰입의 관계에서 팀 문화는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커톤 프로그램 참여자 및 멘토들과 온·오프라인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팀장의 리더십 및 팀 문화는 창업에 대한 인식과 향후 팀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커톤의 교육 효과성은 팀장의 리더십과 팀 문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On World Economic Forum 2016, it was agreed that certain capabilities, such a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ooperation, are vital in the era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evolution has made various impacts on most of industries. To keep pace with the tide, a number of training methods has been introduced to develop the attributes required. The most popular method is Hackathon, which is believed to be the most suitable model to promote cooperation among teammates. Hackathon is a training method for solving problems by working as a team and collaborating with teammates and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group training programs not only at univers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at firms in IT and automobile industries. This study confirmed enhancing effect of team-based training on concentration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conducted in 2014, 2015, 2017) with participants who has joined DanKuk University Jiphyeonjeon Hackathon program. The quantitative results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attitude of leader is beneficial to concentration, and that team culture has meditation effect when combined altogether. In addition,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lso proved the positive effect of the leader’s attitude and the culture on team members’ view on establishing a new business and team’s cohesiveness.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leadership and team culture determines how effective the training program is can be. The study suggests direction to future training programs for business start-ups.

      • KCI등재

        초기 기술창업기업의 창업가 역량과 창업팀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혜영(Lee, Hye-Young),김진수(Kim, Jin-Soo)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기술창업기업의 창업가 및 창업팀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사업화 단계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업력 3년 이내의 초기 기술창업기업 창업가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결과를 수집하였으며, 가설 검증에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 역량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기술적 성과에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팀 역량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기술적 성과에 모두 유의한 긍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팀 역량이 기술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사업화가 진행 및 준비 중인 기업보다 사업화가 완료된 집단에서 더 강한 것으로 분석되어, 창업팀 역량과 기술성과 간의 관계에서 사업화 단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 competency, entrepreneurial teams’ competency, and the performance of new technology-based startups. Also, this study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ercialization stages through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ial teams’ competen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financial performance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positivel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ercialization stages is on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teams’ competency and technical performance. Base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acquiring both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ial teams’ competency regardless of commercialization stages for new technology-based startups. However, after the commercialization is complete, the startups need to maintain high level of team eligibility and team commitment to improve technical performance since the competitive advantages come from the innovativeness of technologies and products.

      • KCI등재

        창업팀 인수시장 조성의 유용성에 관한 인식 연구

        이예지,설원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2

        This study deals with the young people's recognition on the usefulness for establishment of the so-called “Start-up Team Acquisition Market”. The Start-up Team Acquisition Market will help reduce young people's burden of failure and boost youth startups by providing an exit for young start-ups whose growth has been stagnant since youth startups and making it easier for companies to acquire technical assets they do not have.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ntion to sell, the degree of confidence at the time of the start-up, the experience of the past failure, and the firm 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gnition for the usefulness of the acquisition market. 본 연구에서는 창업팀을 기업에 매각하는 이른바 ‘창업팀 인수시장’ 조성의 유용성에 관한 청년들의 인식을 다룬다. ‘창업팀 인수시장’은 청년창업 이후 성장이 정체된 청년창업팀에게 출구(Exit)를 제공해 줌과 동시에 창업팀을 인수하는 기업에게는 자신이 보유하지 못한 기술적 자산을 쉽게 획득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창업에 대한 청년들의 실패부담감을 낮추고 청년창업을 보다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향후 매각의사, 창업 당시 성공에 대한 확신의 정도, 과거 창업실패 경험, 기업업력이 인수시장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창립멤버 구성이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수한(Kim Soo-Han)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8 노동연구 Vol.36 No.-

        창업팀은 조직의 성장과 발전에 지속적인 영향을 준다. 창업에 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창업팀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이 연구는 210개 사회적기업에 관한 자료를 이용하여 창업팀 구성의 특징과 팀구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회적기업의 핵심적 창업멤버는 대표자와 친밀한 사회적 관계에 의존하여 구성되었다. 또한 동일한 성별로 창업팀을 구성하는 것이 남성과 여성을 함께 포함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편이다. 창업멤버 구성은 사회적기업의 안정적 운영과 성과에 이중적인 영향을 준다. 강한 사회적 관계에 기초한 창업팀 구성은 조직의 안정에 기여하지만, 조직의 성과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약한 사회적 관계를 포함한 창업팀은 핵심 멤버의 이탈을 만들어내지만,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를 한다. 이 연구는 창업팀 구성에 관한 이론적, 실용적 함의를 제시한다. Founding teams have a lasting impact on the structure and survival of the organ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ing teams and their effects on performance of 210 social enterprises in Korea. People with the same gender constitute entrepreneurial teams, and people with close social relationships with founders attend the entrepreneurial team. A team composed of strong social relationships contributes to the stability the founding teams. While founding teams with strong ties have negative effects on performance, those with weak ties have positive effects. This study sugges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how team members should be structured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al sta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formation of a startup team.

      • KCI등재

        벤처 창업팀의 다양성이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성주 ( Sungju Cho ),이상명 ( Sang-myung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1

        지금까지 창업 성과에 관한 연구는 주로 창업자의 특성, 역량, 전략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달과 경영환경의 복잡성은 개인에 의한 창업보다 창업팀에 의한 창업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팀 특성이 창업 초기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벤처 창업팀의 다양성이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전국 17개 지역, 18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사업에 참여한 적이 있는 벤처 창업 기업 중 287명의 대표가 응답한 설문을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적 다양성에서는 성별 다양성만 비재무적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정보 다양성은 경력 다양성이 재무적 성과에, 교육수준 다양성이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전 공유경험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 다양성은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 모두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Many researchers conduct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 characteristic, capability, strategy and performance of new venture. However,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ique and the complexity of the business environment have stimulated entrepreneurial teams rather than individuals.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ial team on the new venture companies was suggested. Initial research on entrepreneurial team diversity has primarily addressed the impact of demographic diversity on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287 delegates of new venture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jects at the 18 Centers for Creative Economy & Innovation in 17 regions of the country condu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based on the questionnaire to which they answered. The result shows that only gender diversity among demographic diversity affected non-financial performance. Information diversity influenced career diversity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diversity in education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lso, the higher the previous sharing experience, the better the financial performance. Value diversity has negative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Also suggested are methodological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