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형 집단지성에 근거한 새로운 이러닝 시스템

        윤완철,이문용 에스케이텔레콤 (주) 2010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20 No.6

        집단지성 혹은 집단지능이라고 번역되는 collective intelligence는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유용한 일에 사용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집단지성은 흔히 IT 기술의 바탕 위에서 구현되는데 참여자들의 직접적인 협업에 근거한 위키피디아나 한국의 지식 iN 같은 협업형(collaborative) 집단지성으로부터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협업이 아니라 독립되고 분산된 정보를 고도로 발달된 기술과 알고리즘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는구글의 페이지랭크(PageRank)와 같은 통합형(integrative) 집단지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교육과 관련해서 지금까지집단지성이 여러가지 공헌을 해왔지만 대부분은 다수 참여자들의 협업에 의하여 콘텐츠를 형성하는 단순한 협업형 집단지성의 형태에 국한되어져 왔고 고도의 기술력이 결집한 통합형 집단지성의 교육 시스템은 아직 개발이 미흡한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는 집단지성을 단순히 학습콘텐츠를 취합하는데 활용하는 기존 이러닝 시스템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의학습활동, 학습경로 학습과정, 선행지식, 관심사 등의 정보를 실시간 통합하고 분석하여 사회역학을 생성함으로써 학습자 상호간의 경쟁과 협업을 유도하는 통합형 집단지성에 기반한 새로운 이러닝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러한 이러닝 시스템은 학습자들에게 자신의 동류집단(Peer Group), 준거집단(Reference Group), 팀(Team)에 속한 다른 학습자들과의 암묵적이거나의도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러닝 시스템의 근본적인 취약점으로 인식되어왔던 학습동기 저하의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함과 동시에 집단지성을 이러닝 시스템에 접목시키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집단지성 시대의 민주주의 연구 : 집단지성의 요건들이 인지민주주의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權贊晧 한국의정연구회 2020 의정논총 Vol.15 No.2

        이 글은 인터넷의 발달로 지식의 양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집단화 하면서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집단지성 시대를 맞아 이에 적합한 인지민주주의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인지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는데 필요한 요건들을 추출한 다음, 유형별로 재 정렬하여 모형화한 후 세부요건들이 집단지성의 인지 민주주의를 실천 하는 데에 어떠한 함의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세부요건들을 추출한 결과 국민들의 계몽 수준과 다양성, 심의와 협력, 독립성과 분권성, 그리고 참여동기와 집단화였는데, 집단화 과정별로 적용요건이 상이하고, 집단화 방법 간 적용범위가 달라 단계별, 범주별 구분이 필요하였다. 이 구분에따라 세부요건들을 민주주의에 적용한 결과, 집단화 이전 단계에서 는 구성원들의 계몽과 다양성을 강화하고, 집단화 과정에는 인지적 다양성 확보와 체계편 향 예방이 필요하며, 집단화 단계에서는 동기부여와 참여를 확대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함 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집단지성 요건들을 추출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집단 지성의 인지민주주의 제도화를 위해 이들 요건들을 어떻게 활용하여야 하는지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appropriate direction of epistemic democracy in the era of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contributes to solving problems by the rapid increase in knowledge and grouping through the network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we extracted the requirements necessary for epistemic democracy to function properly, reorganized them by type to model, and analyzed how the details of each model hav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democracy. The requirements were the level of enlightenment and diversity, deliberation and cooperation, independence and decentralization, and motivation and grouping of the people, and we looked at them step by step due to the different application requirements for each grouping process, and the difference in the scope of application between the statistical model and the cognitive model. As a result of applying various requirements to democracy, it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nlightenment and diversity of members in the pre-group stage, secure cognitive diversity and prevent systematic bias in the grouping process, and seek ways to expand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grouping s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y extracting the requiremen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nalyzing its influence, it revealed how these requirements should be utilized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t democracy.

      • KCI등재

        기업성과 향상을 위한 웹기반 집단지성의 품질요인에 관한 연구

        ( Normatov,R. Ismatilla ),주재훈 ( Jae Hun Joo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1 情報시스템硏究 Vol.20 No.3

        비즈니스 조직에서 집단지성을 경쟁우위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물론이고 위키와 같은 편집도구 등은 집단지성을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정보기술이다. 그러나 집단지성은 전문가 지식에서와는 다른 품질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지성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집단지성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동기(love, money, glory, professional development), 집단특성(expertise, diversity, size), 집단지성의 도구(navigating, usefulness, agility, user preference) 차원에서 총 11개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조직 경쟁우위의 핵심으로 집단지성을 활용하는 대표적인 성공사례인 Threadless, InnoCentive, iStockphoto, Panda Security, Wikipedia를 분석하여 3개 차원에서 11개의 명제를 제안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 개인의 동기, 집단특성, 집단지성을 위한 도구는 집단지성의 품질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개인적 동기가 뚜렷하고 다양한 특성을 지닌 다수가 참여할수록 소집단에서보다 더 잘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집단지성의 품질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혜택을 얻기 위해서 조직에서는 다양성을 지닌 대규모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참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집단지성의 도구를 선택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 KCI등재

        집단지성의 유형에 따른 참여자 특성분석

        황주성(Joo Seong Hwang),최서영(Su Young Choi)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7 No.4

        한국에서는 집단지성과 관련해 지식iN 등 개별적 집단지성은 활성화되었지만 위키피디아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등의 협업적 집단지성 모델은 발달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인터넷 문화가 협업적 집단지성에 취약한 사회문화적 원인을 찾아보았다. 구체적으로 한국과 미국의 집단지성 참여자 600명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집단지성의 이용ㆍ기여동기, 집단적 지식생산모델, 그리고 집단적 지식문화 인식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한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과 미국의 집단지성 참여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토론, 협업, 동료평가 등으로 구성된 협업적 지식형성을 위한 제도와 문화가 잘 갖춰져 있느냐’에 관한 지식제도인식으로 나타났다. 한국인들은 협업적 집단지성을 위한 토론, 협업 등 주요 요소들에 대해 미국인들과 마찬가지로 그 당위적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서는 인정하는 반면, 그를 위한 자국의 제도나 문화적 환경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한국의 집단지성 기여자 중 위키백과 기여자와 지식iN 기여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지식생산모델 선호도로 나타났다. 지식iN 기여자는 상대적으로 개별적 지식생산모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국내 지식iN 기여자가 위키백과 기여자에 비해 지식제도인식이 더 높다는 결과는 사후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즉, 한국 내에서 위키백과 기여자가 지식iN 기여자에 비해 지식제도 인식이 더 낮은 것은 위키에 참여하고 기여하는 과정에서 국내의 열악한 협업 문화와 제도를 경험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위키백과 기여자 집단이 전체 참여자보다 상대적으로 협업적 지식문화를 위한 자국의 제도가 더 잘 갖추어졌다고 평가한 결과가 이를 반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토론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 체계 전반의 변화와 정보의 개방과 지식 공유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제언한다. The collabor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model such as Wikipedia (i.e. Wiki) or open source software is not widely used, while the individual collective intelligence model such as “Jisik-(which means knowledge in Korean)-iN” is actively utilize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ocial and cultural reasons why collabor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in Korea. In this regard, we’ve conducted a survey of 600 collective intelligence participants in Korea and the U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motivations for usage and contribution about collective intelligence, preference in collective knowledge production model, and the perception of collective knowledge culture. First, the most outstanding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participants and the American participants is the perception of collaborative knowledge production culture which was measured by the questions such as ‘Do you think if there are firm and enough institution and culture to activate the collaborative knowledge culture which is composed of discussion, cooperation, peer review etc.?’ Though Koreans think the elements for collabor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important as much as Americans, they don’t regard there are enough social and cultural surroundings to boost those values. Second, the most different thing between the contributors of Wikipedia and those of Jisik-iN is the preference for collective knowledge production model and the perception of collaborative knowledge production culture. However, the fact that the domestic Jisik-iN has more optimistic perception about the collaborative knowledge production culture than Wiki contributors in Korea is a natural ex post result. In other words, the result reflects the experience of poor collaborative culture and systems Wiki contributors in Korea have underwent while using the Wiki. The interpretation is backed up by the fact that Wiki users in the US think the collaborative knowledge production culture is well in place. The study recommends to reform the education system for the effective discussion culture. Moreover, the study urges the Korean government to play an active role in opening information and sharing knowledge, to develop collective intelligence in Korea.

      • KCI등재

        인터넷 집단지성의 동학과 정치적 함의 -아레나형과 아고라형을 중심으로

        송경재 ( Kyong Jae So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담론 201 Vol.15 No.3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집단지성의 장점에 천착해 인터넷 집단지성의 정치·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집단지성은 최근 사회과학계에 소개된 개념이다. 하지만 집단지성을 둘러싼 이론적인 오해도 있는 것이 사실이 다. 집단지성의 장단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본 연구는 위키피디아와 다음 아고라 사례를 중심으로 집단지성의 특성과 형성에 관한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집단지성의 특성은 지식권력과 연계되어 있었다. 둘째, 위키피디아와 다음 아고라의 집단지성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지식집단이라는 점이다. 셋째, 두사례의 인터넷 집단지성은 단순히 정보와 지식을 생산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회문제와 사건 및 이슈에 대한 일반시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자유로운 의견개진으로 기존 전문가 중심의 권위주의 지식집단과 경합한다. 이는 시민 스스로를 민주적으로 교육 단련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바로 인터넷 집단지성의 민주주의적인 가치가 발견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ocial change. Collective intelligence is a shared or group intelligence that emerges from the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of many individuals. Since studi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s connected to the internet have been evolving recently, some scholars are actively investigating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cyberspace. To examine the dynamism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collective intelligence, I did a case study on the wikipedia.org. and the agora.media.daum.net. From that, some sorts of meaningful things are foun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internet are determined by the power relations among intellectual groups. Second, there are two typ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One is agora and the other arena. Third, both of them are able to produce more reliable information and alternative sets of meanings in regard to social problems, issues and events, and thus contributing to the democratization of knowledge.

      • KCI등재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이화영,조남억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youths’ social media activities 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ir relationship.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on 305 valid questionnaires. There were several key findings that resulted. First, the amount of youths’ social media use and the reason for use, sense of communit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the amount of youths’ social media use and the reason for use positively influenced collective intelligence. Additionally, a sense of commun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social media us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son for using social media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ir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collective intelligence was the reason for using social media, and in particular, the subfactor of seeking in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social media has become a daily activity for youths to briefly and frequently access and obtain the information they need; they experience a strong emotional connection when interacting with a large number of members through the use of social media; and clear goals and a high level of a sense of community likely lead to a manifest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particular, youths who use social media when seeking information are likely to generat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be better able to utilize it. The study has particular merit in that it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a sense of community in explaining collective intelligence. In addition, collective intelligenc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lu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ahea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the sense of community is expected to emerge a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ocial capital in the future. This will have major implications for ongoing development and research on various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youths’ sense of community.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 간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청소년 3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 공동체의식, 집단지성은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는 집단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이용 강도와 집단지성, SNS 이용 동기와 집단지성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지성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이용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 동기의 하위요인 중에서도 정보추구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에게 SNS는 짧은 시간, 수시로 접속하여 자신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일상적 행위가 되었으며, 그러한 이용행태로 다수의 구성원과 상호작용할 때 강한 감정적 연계를 느끼며 분명한 목적을 인식하고 높은 공동체의식을 갖춤으로써 집단지성 발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정보를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청소년이 집단지성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집단지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공동체의식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집단지성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시점에서 사회적 자본 형성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을 통한 집단지성의 향상은 앞으로 사회적 자본의 양과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時中의 사회적 집단지성화를 위한 방법 고찰 - 善의 실천방법을 중심으로

        손흥철,박용석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8 No.-

        The In this paper, I studied and reviewed the meaning of the main concept of studying abroad, argued the necessity of collective intelligence(集團知性) to practice the market socially, and further sought ways to form collective intelligence to practice good and to enhance its social practicality. To this end, Chapter 2 reviewed the causes and aspects of conflict and contradiction in our society. As a result, we have confirmed through various data that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in our society are very serious. It also demonstrated the need for new ‘collective intelligence’ as a way to overcome this situation. In Chapter 3, as one of these collective intelligences, the concept of market time was analyzed in detail.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the timely practicing the golden Mean(時中)” being established as one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our society was argued. In Chapter 4, argued that in order to form a good collective intelligence by cultivating the spirit of co-prosperity, ‘laboring for acting the genuine(務實)’, and enhancing the public nature of religious activities. Through the abov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the timely practicing the Golden Mean’ can be a universal value and a specific practice method for realizing social good. It was also found that the practice of ritual practice could be a good way. Furthermor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forming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moderation and realizing social good can be a model of a new practical ethics that overcomes social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이 논문에서 필자는 유학(儒學)의 주요 개념인 시중(時中)의 의미를 연구 검토하고, 시중의 사회적 실천을 위한 집단지성(集團知性)의 필요성을 논증하고, 나아가 선을 실천하기 위한 집단지성의 형성과 그 사회적 실천성을 제고(提高)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갈등과 모순의 원인과 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우리 사회의 모순과 갈등이 매우 심각함을 여러 자료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집단지성이 필요함을 논증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러한 집단지성의 하나로 시중(時中)의 개념을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나아가 시중이 우리 사회의 집단지성의 하나로 정립될 가능성을 논증하였다. 제4장에서는 善을 실천하기 위해 집단지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중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함을 논증하였다. 이를 통해 시중의 정신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상생(相生)의 정신함양, 무실(務實), 종교활동의 공공성 제고를 통하여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시중에 근거한 집단지성이 사회적 선을 실현하는 보편적 가치와 구체적 실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중을 실천하는 무실(務實)이 하나의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음도 알아보았다. 나아가 중용을 통한 집단지성을 형성하고 사회적 선을 실현하는 방법이 사회적 모순과 갈등을 극복하는 새로운 실천윤리의 모델이 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레비의 집단지성 :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최항섭(Hang Sub Choi)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6 No.3

        정보사회의 다양한 현상들을 설명해주는 개념으로 ‘집단지성’이 부각되고 있다. 집단지성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의 경험, 정보, 지식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내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최근 한국에서는 촛불집회 등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시민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집단지성 개념을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레비가 제시하고 발전시킨 집단지성에 있어서 그것이 ‘어떤 집단’이냐인가에 대해서는 이론적으로 보다 주의깊은 성찰이 요구된다. 먼저 레비는 초기 저작물을 통해서는 대중지성으로의 집단지성의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대중의 지혜에 기반한 대중지성은 네트워크의 구조수평화, 탈근대에서의 권위해체화를 배경으로 새로운 지식생산의 주체로 부상할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레비는 2000년대 이후의 논문들을 통해 오히려 전문가 지성 중심의 집단지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전문가들의 파편화, 귄위주의로 인해 전문가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였음을 비판하면서,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정보기술을 활용한 전문가 지성의 협업을 제기하였다. 전문가 지성의 협업은 전문가에게는 생존의 문제이며, 인류에게는 새로운 지식생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This article looks into an aspect of meaning of collective intelligence, concept developed by Pierre Levy. Recently, this concept is often used to explain social phenomenons related to the civic movement via internet. Though, there has not been any attempt of theoretical approach on this concept. In his earlier articles, Levy seemed to have focused on the role of ‘ordinary people’ in collective intelligence. Collective intelligence is, in this context, nothing more than the intelligence of mass. Based on the network effect and post-modernity, collective intelligence as the intelligence of mass is being spot-lighted as the alternative subject to produce knowledge. However, in his late articles(after 2000’s), Levy emphasizes on the need of collaboration of so called ‘intellectuals’ and ‘experts’ in collective intelligence. So fragmented, intellectuals now should try to collaborate together sharing their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via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indispensable to produce and create knowledge.

      • KCI등재

        집단지성과 장자 의 지식관

        김태용 동양철학연구회 2023 東洋哲學硏究 Vol.116 No.-

        이 글은 디지털시대의 연구주제인 ‘집단지성’의 관점으로 장자 의 지식관을 재고한다. ‘집단지성’의 지성은 ‘문제해결 능력’이다. 그러므로 ‘집단지성’은 ‘집합적 문제해결 능력’ 또는 ‘집합적으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뜻한다. ‘집단지성’의 힘이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집단지성’을 형성하는 개별 행위자의 능력과 다양성이다. 지성의 주체로서 소수 엘리트를 강조하는 유가와 달리, 도가에서는 신분과 직업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도’를 깨달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도가에서는 소수의 엘리트가 아닌 다수의 대중이 지성의 주체이다. 장자 에서 지식을 일상적 지식과 ‘진지’로 나누고, ‘진인’이어야만 ‘진지’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런데 정신노동자뿐만 아니라 육체노동자도 ‘진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진지’를 얻는 것은 단순히 지식을 얻는 것이 아니라, 지성 즉 문제해결능력을 얻는 것이다. 보통 사람도 일련의 수양을 통해 ‘도’를 깨달아 ‘진인’이 될 수 있지만, 그 깨달은 ‘도’를 다른 사람에게 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진지’를 얻는 것은 개별적 주체의 몫이고, 독립적이다. 또한 사람들이 ‘진지’를 얻는 방식은 유사하지만 그 구체적 방법은 타고난 성품과 생활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성과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깨달은 ‘도’는 다르지 않다.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동일한 ‘도’를 깨닫지만, ‘도’를 자신의 일에 임기응변적으로 적용하여 자신의 분야에서 궁극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 특히 ‘진인’은 각자 독자적 전문영역에서 습득한 자신만의 일상적 지식을 ‘진지’ 속에 수렴하기 때문에 ‘진인’의 지성이 동일하지 않다. 장자 에서는 제자백가를 ‘일곡지사’라고 칭한다. 그런데 ‘진인’도 처음에는 ‘일곡지사’였다. ‘방술’을 탐구하는 제자백가와 ‘도술’에 정통한 ‘진인’의 차이는 자신의 지식에 대한 생각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진인’이 된 ‘일곡지사’는 자기 지식의 부족을 깨닫고 정진하였다. 반면 제자백가는 자기 지식의 완전성을 굳게 믿고, 다른 사람의 지식을 포용하지 않고 변별한다. 이처럼 장자 에서는 ‘집단지성’에서 강조하는 보통 사람의 지적 능력과 다양성을 긍정한다. 보통 사람이 자기 자신의 협애성을 인정하고 자기 자신이 가치와 이념의 굴레 속에 갇혀 있는 것을 자각하여 거기서 벗어나 ‘도’를 추구한다면, 그가 정신노동자이든 육체노동자이든 상관없이 ‘진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장자 에서는 개별 행위자의 지적 협력을 말하지 않고 ‘진인’의 개별능력만을 강조한다. 만약 ‘진인’의 ‘도술’을 장자 에서 ‘집단지성’과 같은 인류 사회적 역할을 하는 능력으로 간주한다면, 개별 행위자의 능력이 결합한 ‘집단지성’이 아니라 ‘진인’의 개별능력인 ‘도술’을 창조, 혁신, 발명 과정에 보편적으로 적용해야만 인류의 위대한 업적을 이룰 수 있다. This article reconsiders Zhuangzi ’s view of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 research topic in the digital era. The intellige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is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collective intelligence’ means ‘collective problem-solving ability’ or ‘the ability to collectively solve difficult problems.’ In order for the power of ‘collective intelligence’ to be properly demonstrated, what is important is the ability and diversity of individual actors forming ‘collective intelligence’. Unlike Confucianism, which emphasizes a small elite as the subject of intelligence, Taoism claims that everyone can realize ‘Tao’ regardless of status or occupation. In other words, in Taoism, the majority of people, not a few elites, are the subjects of intelligence. In Zhuangzi , knowledge is divided into ordinary knowledge and ‘the true knowledge’, and it is emphasized that only ‘the true man’ can attain ‘the true knowledge’. However, not only mental workers but also manual workers can become ‘the true man’. And gaining ‘the true knowledge’ is not simply gaining knowledge, but gaining intelligence, that i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n ordinary man can realize ‘Tao’ through a series of disciplines and become ‘the true man’, but he cannot convey the realized ‘Tao’ to others. Therefore, gaining ‘the true knowledge’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ividual subject and is independent. Also, the ways in which people acquire ‘the true knowledge’ are similar, but the specific methods vary depending on one's innate personality and living environment. However, despite this independence and diversity, ‘Tao’ that people have realized is not different. People working in various fields realize the same ‘Tao’, but they can reach the ultimate level in their field by applying ‘Tao’ to their work flexibly. In particular, since each ‘the true man’ converges his own ordinary knowledge, acquired in his own specialized field into ‘the true knowledge’, the intelligence of ‘the true man’ is not all the same. In Zhuangzi , the disciple Hundred schools of thought is called ‘the scholar of a corner(一曲之士)’. However, ‘the true man’ was also ‘The scholar of a corner’ at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Hundred schools of thought disciple who explores ‘the methods(方術)’ and ‘the true man’ who is well versed in ‘the method of Tao(道術)’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thinking about one’s own knowledge. ‘The scholar of a corner’, who became ‘the true man’, realized his lack of knowledge and devoted himself to it. On the other hand, disciples firmly believe in the perfection of their own knowledge and do not embrace other people's knowledge but discriminate against it. In this way, Zhuangzi affirms the intellectual ability and diversity of ordinary people emphasized in ‘collective intelligence’. If an ordinary man acknowledges his own limitedness, realizes that he is trapped in the shackles of values and ideologies, and breaks free from it and pursues 'Tao', he can attain ‘the true knowledge’ regardless of whether he is a mental worker or a manual worker. However, in Zhuangzi , it does not mention individual actors's intellectual cooperation, but only emphasizes the individual abilities of ‘the true man’. If 'the method of Tao' of ‘the true man’ is considered to play a social role like ‘collective intelligence’ in Zhuangzi , great achievements of mankind can be achieved only by universally applying this ‘the method of Tao’, which are the individual abilities of ‘the true man’, to the process of creation, innovation, and invention, rather than ‘collective intelligence’ combining the abilities of individual actors.

      • KCI등재

        집단지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송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집단지성에 대한 연구와 적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와 발맞춰 교육상황에서의 집단지성 측정도 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크게 1차 집단지성 측정도구 개발과 2차 개발된 측 정도구를 기반으로 집단지성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1차 연구는 예비척도의 문항을 기반으로 구조를 탐색 하고 확인하고자 두 개의 표본으로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A대학교 397명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H대학교 351명의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지성 측 정도구는 총 15문항으로 인지적 탐색 4문항, 인지적 협력 5문항, 집단적 통합 6문항으로 도출되었다. 2차 연구에서는 1차 연 구에서 확정된 집단지성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을 위해 집단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A대학교, G대학교 및 H대학 교의 대학생 277명 자료를 기반으로 팀신뢰, 팀효능감 및 집단지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팀신뢰와 팀효능감은 집단지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교육상황을 기반으로 집단지성 측정도구를 개발 하고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수업에서의 집단지성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학습자중심교 육을 촉진시킴으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