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훈련기관의 인증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역량, 혁신행동의 매개효과

        정남인(Jung, Nam-In),황복주(Hwang, Bok-Ju)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가 훈련기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직업훈련기관 경영성과를 종속변수로 하여 흡수역량과 혁신행동의 매개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직업훈련기관에 실질적인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전략적 대안과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직업훈련기관 운영자 및 실무자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설검정 및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는 흡수역량과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는 훈련기관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흡수역량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혁신행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었다. 셋째, 혁신행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흡수역량은 혁신행동을 통해 경영성과에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와 경영성과와의 관련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직업훈련기관의 인증제도 시행이 훈련기관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 성과를 내지 못함을 규명하였다. 직업훈련기관의 인증제도 시행과 관련된 매개역할로 흡수역량과 혁신행동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직업훈련기관의 인증제도가 실질적으로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대안 및 방안을 제시한 점이 본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이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raining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By analyzing the mediation role of absorptive competence and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desirable strategic alternatives to improve practical performance in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Methodology] This study used 170 samples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test and causal relationship. [Finding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ompetence and innovation behavior. However,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did not directly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raining institution. Second, the absorption capacity did not directly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bu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Third, innov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absorptive competence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innovative actions. [Implications] There is no relevant study on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e absorptive competence and innovation behavior were identified as the mediator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alternatives and measures that could produce practical result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성과에 관한 연구

        박소연(Park, so-yeun),윤천성(Youn, Chun-Sung)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20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격제도 개정이후 자격제도 변화에 따라 새로이 도입되어 운영되어 오고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운영성과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와 검정형 자격제도를 비교하고, HRD-Net 과정평가형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기관의 운영성과 자료와 한국 산업인력공단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선행연구자의 학위논문과 문헌자료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성과에 대한 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의 문제와는 달리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참여 훈련생의 만족도와 자격증 취득률뿐만 아니라, 취업률과 취업후 고용유지기간도 검정형 자격참여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결과에 따라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중요성과 운영체계 안정화및 산업사회 변화에 따른 실무위주의 자격요건의 형평성에 맞는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 운영의 전문화가 필요하여, 운영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운영기관 선정과 운영의 중요성 그리고, 개선방안 제시로 직업능력개발훈련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icient operation plan of the course evaluatio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 system, which has been newly introduced and operated since the revisi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 in Korea.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typ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as compared with the HRD-Net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Operating Institution s operational performance data and Korea Occupational Manpower Corporation s stat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nlike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for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and training, not only the satisfaction rate and certification rate of trainees participating in the course evaluation system, but also the employment rate and post-employment period were higher than the 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pecialization in the operation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typ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as needed to meet the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 evaluation system and the fairness of working-level qual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nd operating a courseevaluat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management institution,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will help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raining course-evaluate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 KCI등재

        독일의 이원화 직업교육훈련제도의 실태와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장석인 한국유럽학회 2006 유럽연구 Vol.23 No.-

        Vocational education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first stage of a lifelong education process, which will always take place to a major extent in the enterpri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ual System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n order to suggest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vocation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dual system is provided by the private sector and the State, employers and employees, the Federal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ies. The vocational training of Germany intends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specific job skills of currently employed workers, and therefore the job training for the unemployed is carried out together in that training. In Germany most of training programs are operated step by step from the basic training to the specialized training. It is needed to have stepping training schedules especially emphasizing on the broad basic training in Korea. In Germany there are close relationships to cooperate between industrial personnel and educators as for operating training programs. It is needs to have good relationships between industrial personnel and educators to cooperate voluntarily in Korea.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structure of a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which combines the advantages of training in a company and theoretical education in a vacational school. 본 연구는 직업학교와 현장 훈련 간에 존재하는 독일의 이원화 직업교육제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기술 및 업무 조직만의 변화에 따라 자발적이고 독립적인 팀 작업자들이 요청된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인간에 대한 작업환경의 개념과 당연히 이에 준하는 직업 훈련생들에 대한 개념 변화에 기인된다. 점차로 기업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직업교육 및 훈련은 평생교육과정의 기초 단계가 되고 있다. 이원화 제도 하에서 다양한 교육훈련방식과 함께 산업계 대표, 노동조합 및 정부가 공동책임을 짐으로써, 사회와 경제가 상호 연관을 맺고 있다. 독일의 이원화 직업교육제도가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보다도 기업/산업체의 역할과 사회적 파트너십이다. 독일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한 나라의 인적자원개발의 성패는 기업의 역할에 달려 있다. 본 연구는 기업에서의 직업훈련과 직업학교에서의 이론교육의 장점을 연결하는 독일의 이원화 직업교육제도의 구조 및 우리나라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 KCI등재

        조직문화, 흡수역량, 혁신행동을 통한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남인(Jung, Nam-In),황복주(Hwang, Bok-ju) 한국산업경제학회 2021 산업경제연구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직업훈련의 운영 자격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되고 있는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가 훈련기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직문화, 흡수역량,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가 훈련기관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는 조직문화, 흡수역량,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문화, 혁신행동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흡수역량은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는 조직문화, 흡수역량, 혁신행동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매개효과를 통하여 인증제도는 훈련기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in force to verify the operational qualifications of vocational training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raining institutions.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behavior were used to do this. This study gives an opportunity to verify the effect of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raining institu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is like following.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ulture,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behavior. Seco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but absorptive capac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anagement performa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culture,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behavior.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the certification system can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raining institution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 KCI등재

        독일의 이원화 직업교육훈련제도의 실태와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장석인(Sug In Chang) 한국유럽학회 2006 유럽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직업학교와 현장 훈련 간에 존재하는 독일의 이원화 직업교육제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기술 및 업무 조직만의 변화에 따라 자발적이고 독립적인 팀 작업자들이 요청된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인간에 대한 작업환경의 개념과 당연히 이에 준하는 직업 훈련생들에 대한 개념 변화에 기인된다. 점차로 기업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직업교육 및 훈련은 평생교육과정의 기초 단계가 되고 있다. 이원화 제도 하에서 다양한 교육훈련방식과 함께 산업계 대표, 노동조합 및 정부가 공동책임을 짐으로써, 사회와 경제가 상호 연관을 맺고 있다. 독일의 이원화 직업교육제도가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보다도 기업/산업체의 역할과 사회적 파트너십이다. 독일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한 나라의 인적자원개발의 성패는 기업의 역할에 달려 있다. 본 연구는 기업에서의 직업훈련과 직업학교에서의 이론교육의 장점을 연결하는 독일의 이원화 직업교육제도의 구조 및 우리나라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Vocational education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first stage of a lifelong education process, which will always take place to a major extent in the enterpri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ual System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n order to suggest som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vocation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dual system is provided by the private sector and the State, employers and employees, the Federal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ies. The vocational training of Germany intends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specific job skills of currently employed workers, and therefore the job training for the unemployed is carried out together in that training. In Germany most of training programs are operated step by step from the basic training to the specialized training. It is needed to have stepping training schedules especially emphasizing on the broad basic training in Korea. In Germany there are close relationships to cooperate between industrial personnel and educators as for operating training programs. It is needs to have good relationships between industrial personnel and educators to cooperate voluntarily in Korea.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structure of a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which combines the advantages of training in a company and theoretical education in a vacational school.

      • KCI등재

        자동차 서비스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국가 간 차이에 관한 연구 : 독일과 한국 기업 만족도 차이를 중심으로

        김혜나,엄재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Today, the problem of youth unemployment is an internationally serious issue. This becomes much worse due to the COVID-19 as the COVID-19 has affected economies negatively. Therefore, university graduates are hard to find jobs and many youths are suffered from unemployment. But Germany has a relatively low youth unemployment rate as youths in Germany star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dual system from early teens. Dual training emphasizes the practical field of work and acquire the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at work.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Germany and Korea was conducted for the field of car service, based on the dual system. Nin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corporate satisfaction, and t test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ataset provided by the German Federal Institute for Vocation Education and Training (BIBB).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porate satisfaction level of car service companies in Korea and Germany. The corporate satisfaction of Korea was higher than that of Germany. Satisfaction with trainees who completed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with basic knowledge and ability, theoretical knowledge of trainees who completed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al ability of trainees who completed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completion of the trainees who completed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erms of the willingness of trainees to learn, satisfaction with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rainees who completed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orking attitude of trainees who completed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satisfaction with the ability of teachers who taught, the satisfaction of Korean compan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ermany. However, the satisfaction with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owned by the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 satisfaction with cooperation with the trainees were found higher in German than in Korea.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youths in both countries should be equipped with the skills required by the future car service industry to enhance corporate satisfaction whil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청년 실업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며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경제가 위축되고 경제활동이 지연되면서 대졸 청년들의 취업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나 독일은 상대적으로 낮은 청년실업률을 보이는데 10대에 들어서면서 직업교육을 시작하여 일터의 실무현장을 체험하고 일터에서 요구하는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이원화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원화제도를 바탕으로 특별히 자동차 서비스 분야에서 독일과 한국과의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만족도를 중심으로 9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독일 연방직업훈련연구소 (BIBB)이 제공하는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독일의 자동차 서비스 기업의 기업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한국 기업만족도가 독일의 기업만족도보다 높았다. 직업교육훈련을 이수한 훈련생들에 대한 만족도: 기본적인 지식과 능력에 대한 만족도, 직업교육훈련을 이수한 훈련생들의 이론적 지식, 직업교육훈련을 이수한 훈련생들의 실무 능력에 대한 만족도, 직업교육훈련을 이수한 훈련생들의 이수한 훈련생들이 배우려는 의지, 직업교육훈련을 이수한 훈련생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만족도, 직업교육훈련을 이수한 훈련생들의 일하는 태도, 가르친 교사들의 능력에 대한 만족도 등에서는 한국 기업들의 만족도가 독일보다 높았다. 그러나 훈련기관이 보유한 장비 및 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훈련기 과들과의 협력에 관한 만족도는 독일의 경우가 더 높았다. 훈련기관의 장비와 시설, 그리고 훈련기관들과의 협력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독일 기업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연구결과의 주요 시사점은 양국의 청년들이 미래 자동차 서비스 산업이 요구하는 기술을 갖추어 기업만족도를 고양하는 한편 고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독일의 청년실업과 고용대책

        이호근(Lee, Ho-Geu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3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9.3%내외의 공식 청년실업 통계 외, ‘취업애로’를 겪고 있는 청년층이 거의 2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이러한 청년실업은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선진국 가운데 독일과, 스위스, 오스트리아, 덴마크, 네덜란드 등 이른바 게르만권의 청년고용률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독일의 청년실업은 7~8%내외로 대부분의 선진 국가들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독일의 청년고용대책 성공을 청년고용 ‘정책’적 차원, 직업교육훈련 등 ‘제도’적 차원, 그리고 기타 ‘환경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한다. 먼저, 청년고용 ‘정책’과 관련 독일은 고학력 청년실업이 주요 쟁점인 우리와 달리 주로 학교중퇴자, 저 숙련자, 장애인, 장기실업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청년고용 대책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독일의 주요 청년고용대책으로는 ‘Job-AQTIV’법, ‘JUMP’/ ‘JUMP Plus’, ‘Hartz-K ommission’ 관련 법 그리고 최근 EU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Youth G uarantee’ 등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역사적으로 변화하는 이러한 독일의 주요 청년고용 ‘정책’의 개요를 살펴보고 관련 시사점을 비교 분석한다. 둘째, 본 논문은 독일의 청년고용 대책의 핵심인 이른바 ‘이원체제(dual system)’로 알려져 있는 직업교육훈련의 ‘제도’적 특성을 상세히 분석한다. 독일 이원체제는 중등교육 1 단계를 마친 실업학교(Realschule), 기간학교(Hauptschule), 종합학교(Gesamtschule) 및 김나지움(Gymnasium) 등의 하급반 졸업자대상 중등교육 2단계에서 기업-직업학교(Berufsschule)간의 ‘이원화 양성훈련’이 이루어진다. 정부는 이것을 뒷받침하는 교육 커리큘럼을 확립하고, 정부, 사용자 그리고 노사는 국가와 지역 기업차원에서 ‘양성훈련협약(Ausbildungspakt)’을 체결하고 있다. 그 다음 3단계 고등교육단계에 해당하는 독일의 ‘직업아카데미(Berufsakademie)’에서도 사업주와 계약을 체결, 견습생 신분으로 직업 ‘교육’과 ‘훈련’을 병행하는 ‘이원시스템’을 통해 청년들이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후 4단계 고등교육단계에서는 일반 종합대학과 그 수준, 자격 및 사회적 인지도가 거의 유사하면서도 ‘실무중심 교육훈련’을 강조하는 ‘직업전문대학(Fachhochschule)’ 또는 ‘응용학문대학(Universität für angewandte Wissenschaften)’의 육성이 주목된다. 이러한 교육훈련시스템의 구축과 그 역할이 자연스럽게 높은 취업률로 이어지고 있다. 셋째, 본고에서는 이러한 청년고용정책과 직업교육훈련 ‘제도’ 외에 사용자의 양질의 생산인력확보에 대한 높은 이해와 이를 육성하려는 적극적 이니시어티브, 고용대책으로서 청년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노동조합의 전략 및 교섭력, 그리고 정부와 국가의 인적자원개발과 사회통합적 노사관계 거버넌스 구축에의 관심 등 환경적 요인도 청년고용 대책의 성공에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한다. 본고에서는 특히 그 가운데 독일의 직업교육훈련체제가 실제 어떻게 구성・운영되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청년고용의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핵심적 요인이 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 우리에게 주는 함의를 도출한다. The youth employment in Germany should be specially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job training and education in the dual system. The ‘policy’ of youth unemployment in Germany is mainly focused on the socially precarious groups such as the early school leaver, low skill worker, disabled person and the long term unemployed, while the korean youth unemployment shows the high rate among the highly educated people. Therefore, the cause and counter-measure of the youth unemploym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mportant policies of the german youth unemployment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90ties have been continuously tried in the Job-AQTIV-Gesetz, JUMU(Jugend mit Perspektiv) and JUMP Plus, Hartz-Gesetz(I-IV), and the Youth Guarantee which is now being campaigned in the level of whole European Union(EU) since 2013 etc. However, the real ‘institutional background’ of the low youth unemployment rate in german speaking zones like Germany, Austria, Swiss, Denmark and Netherlands etc. is in the ‘dual system’ for the youth between 15 and 19 years old, in which the training at the shop floor and the education at the school are being parallel offered. In this dual system, the finishers of the first middle course in the Realschule, Hauptschule, Gesamtschule and the finishers of low class in the Gymnasium become to take the courses of job training (Ausbildung) and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 (local) government is supervising and supporting the courses, preparing for the related curriculums, and giving the certificates, with which the youth can enter the labour market. The employer is thereby cooperating closely with the government and the trade union (Ausbildungspakt). This article analyzes the each important course of the german dual system such as the Berufschule (berufsbildende Schule) at the second middle course, the Berufsakademie at the next course, and the following course of wide second education (Weiterbildung) or the continuous training (Fortbildung) as well as the Fachhochschule or University of the Applied Sciences at the fourth and highest course. This kind of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specially in the second middle course for the 15-19 years youth is the key success of the high youth employment. This article analyzes this dual system and is trying to get the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youth unemployment.

      • KCI등재

        논문(論文) : 독일의 교육체계와 직업교육 지원법제에 관한 연구

        김도협 ( Do Hyub Kim ) 대한교육법학회 2015 敎育 法學 硏究 Vol.27 No.2

        오늘날 독일이 진로지도와 직업교육 등에서 매우 선진적이고도 성공적인 국가로 알려진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오랫동안 쌓아온 경험과 교육에 있어서의 기회균등의 실현의지 및 합리적인 일반·직업교육체계와 그 지원법제 등의 유기적 결합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 바, 이는 향후 우리의 새로운 진로교육과 직업교육의 구축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같은 사실을 전제하면서 본 연구는 독일의 교육체계와 직업교육 및 그 지원법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해 첫째로는 독일의 조기교육과 초·중등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는 바, 이를 통해 독일의 경우 조기교육의 강화와 함께 일반교육과정 역시 전반적으로 진로지도교육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둘째로는 독일의 직업 및 진로교육의 특징으로 들 수 있는 대표적인 것으로서의 이원시스템에 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독일의 직업교육 역시 초등교육과정에서부터 시작되고 연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셋째로는 독일의 직업교육(훈련) 법제검토로서, 이를 위해 연방교육지원법 및 직업훈련법 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으며, 그 결과 독일의 경우 직업교육과 훈련을 위해 교육훈련계약에서 부터 직업교육훈련기관(기업체 등)의 적절성, 직업교육훈련의 수요공급계획과 조사, 시설의 관리감독 및 관련행정청의 업무와 교육생에 대한 경제적 지원 등 매우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직업교육 지원에 관한 법제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넷째로는 (e)ProfilPASS와 BiZ로서, 독일의 경우 직업교육과 취업 등에 대한 보완적·일반적 지원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 (e)ProfilPASS와 BiZ 등을 구축함으로서 의무교육의 범위 내에서 직업교육을 받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졸업 후 내지 일반인들에게도 지속적인 직업교육(훈련)과 (재)취업등에 대한 기회와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 is the product of success collaboration of long experience, will realization of equal opportunity in education and ration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at Germany has been acknowledged as a positive model of career counseling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in education system and voactional education in Germany focusing on early education, general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Dual-System and (e)ProfilPASS and BIZ as a general support system. As a result, this study has drawn signigicant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of new career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이러닝 훈련의 현황과 과제: 원격훈련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권혁일,이지은,이현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As internet use is prevalent, demands for e-learning increase as well. E-learning is considered as a substitute or supplement of face-to-face training in the field of vocational training and many organizations and companies use e-training for their employee training. Korean government has been running the e-training support system which supports employees' training tuition when they complete certified e-training programs. Korean e-training support system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n e-training facilitator. However, concerns and demands for quality improvement of e-training have been growing as the trends of e-learning have changed recently.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current issues regarding Korean e-training focusing on the e-training support system. e-training support system is legally based on employment insurance law, employee job skill development law, and employer job skill development training support law. It is necessary for any accredited e-training organization who wants to get training subsidy from government to run e-learning training courses which are certified in advance. Therefore, the quality of e-training course is controlled by the e-training course certifi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assessment criteria of e-training program accreditation, however, it is hard to expect quality e-training because it mostly requires minimum standards which do not fully reflect such recent trends of e-learning as micro-learning, gamification, just-in-time training and trainees' needs of e-training. Based on these analyses,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e-training accreditation system by reflecting training needs of industry and enriching multi-dimensionality, flexibility, and objectivity of the assessment. 인터넷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이러닝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닝은 직업훈련 분야에서도 면대면 훈련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 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체에서는 근로자 훈련에 이러닝을 도입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러닝 훈련(e-training) 활성화를 위하여 인정요건을 갖춘 이러닝 훈련과정을 수료한 훈련생의 훈련비를 지원해주는 원격훈련 지원제도를 운영해왔다. 정부의 원격훈련 지원제도는 이러닝 훈련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이러닝 트렌드의 변화로 인하여 이러닝 훈련의 질적 제고에 대한 우려와 요구도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이러닝 훈련의 현황을 원격훈련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원격훈련 지원제도는 고용보험법, 근로자 직업능력개발법, 그리고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규정 등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훈련생이 훈련비 지원을 받기 위해 훈련기관은 사전 심사를 거쳐 적합한 이러닝 훈련과정으로 판정을 받은 과정을 운영해야한다. 훈련과정 심사 제도는 이러닝 훈련과정이 적정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한 제도이지만 주로 최소기준을 제시하는데 그쳐 고품질의 이러닝 훈련과정 운영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마이크로러닝이나 게이미피케이션, 적시(just-in-time)훈련과 같은 이러닝 훈련의 최신 트렌드와 훈련생의 원격훈련에 대한 요구가 심사의 내용과 기준에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는 않다고 분석되었다. 이러닝 훈련 심사의 개선을 위해서는 심사의 내용과 기준에 기업현장의 훈련요구를 보다 충실히 수용하고, 심사의 다면성, 유연성, 객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 이탈리아의 훈련근로계약제도

        신수정(申水晶)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14 사회보장법연구 Vol.3 No.2

        본고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 우리나라에 알려진 바는 없지만, 우리와 유사한 사회적, 문화적 기질을 가지고 있는 이탈리아의 사회보장제도 중 훈련근로계약제도(il contratto di formazione e lavoro)의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 훈련근로계약제도는 이탈리아에서 청년 고용촉진을 위해 중장기적인 정책으로 시행된 제도이다. 본고에서는 이탈리아 훈련근로계약제도의 도입배경 및 목적, 그 내용과 성과에 대해서 소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Italian labor market policy and social security system. Specially it presents the subsidized employment system in Italy which has ever been discussed in Korea yet. The subsidized employment system is a system to be implemented with medium and long term policy in order to promote youth employment. This paper looks at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e italian subsidized employment system first and then introduce this system about their contents and achie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