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국악교육 현황 및 전망

        정길선(Jung Gil-Sun) 한국국악교육학회 2009 국악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현장 음악교사들을 통하여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양성제도 및 현재 학교 음악교육에서 국악교육의 현 실태와 문제점에 관해 음악교사들의 설문을 통한 인식을 조사? 분석 하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503개교에 재직 중인 음악교사 9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482부의 설문 응답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음악교사의 전문성에서 음악교사로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연주능력(기악, 성악, 국악)으로 음악교사는 실질적인 실기능력 배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② 중등 음악교사 양성제도에 대하여는 각 대학에서 음악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이 연주자와 교육자를 엄격히 구별하는 제도가 정착되기를 원했으며, 국악보다는 서양음악에 치중한 교과목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국악교육과 신설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③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사선발 및 임용고사는 지식위주의 학습형태가 만연하여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학원화의 경향으로 우수한 교원양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임용고사 시 필요한 실기시험은 대학에서의 실기 교육과정과 실제 선발을 위한 시험내용의 연계성이 부족함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으나 꼭 필요한 실기 시험 과목은 피아노와 시창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설문에 응답한 교사의 대부분이 서양음악을 전공한 교사의 영향이 아닌가 싶었다. ④ 연수제도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음악 교사들이 자율적인 연수로 연수기회를 대폭 확대해 주기를 바라고 있으며, 가장 받고 싶은 연수로는 국악기 연수를 희망하고 있어 국악연수가 학교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아주 높게 인식하고 있음은 물론 국악연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⑤ 음악 수업 시 국악교육의 실태는 음악교사들이 국악내용 지도를 할 때의 자신감은 보통이나 직접적인 국악연수를 통한 국악교육의 전문성 및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으면 하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이론 보다는 실기위주의 능력이 배양될 수 있는 양성정책을 추진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국악교육의 장애요인으로는 교사의 지도 능력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의 실기능력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음을 드러냈다. 국악강사풀제 강사 활용은 일부 학교에서는 적극 활용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아직도 활용을 하지 않은 학교가 더 많아 적극적인 홍보의 필요성과 좋은 강사들의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중등 국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음악교사 양성 교육기관에서는 중등학교 음악교사를 위한 현장교육과 대학과의 연계성이 필요하며, 음악교육 및 국악교육 전담 교수의 확보, 학교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국악교육과 관련된 교수법적 전문성이 필요하다. 둘째, 음악교사 임용고사는 교직 전문성의 조건이 갖춘 우수교사를 선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 보완되어야 하며, 국악실기의 비중을 확대하여 국악을 전공한 음악교사 비율이 점차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연수제도에 대하여는 현직 음악교사들에게 지속적인 국악 연수 재교육의 기회를 제공 해 주거나 정기적으로 교육과정에 맞게 국악실기 및 지도능력을 키워 나갈 수 있는 국악연수가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넷째, 서양음악 전공 음악교사가 95% 정도인 학교 현장의 국악교육 정상화는 극히 어려우리라 보고 현재 상태에서는 문광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강사풀제를 적극 활용하거나 음악 교사 자신의 개인연수를 통한 국악교육의 내실화 및 국악교육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새로운 문화예술현장이 창출되는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음악교사들이 보다 전문적으로 국악교육을 하므로해서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세계음악의 이해를 위한 다문화 음악교육의 접근도 가능하리라 본다. 따라서 현장 음악교사 들에게 다양화되는 음악문화에 적응하면서 국악교육 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마련하여 행?제정적인 지원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 proposal that is helpful to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bout the specialty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fter research. Question papers were given to 955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working at 503 schools in Gyunggi province and 482 papers were recalled and the result is given like this ① In the specialty of a music teacher, it wa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music teachers was performing ability (instrumental music, vocal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music teachers had to try to improve their actual skills. ② In the training system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they wanted to be got fixed the system that was distinguished the differences between performers and instructors through the curriculum operated by each college. The subject given weight to Western classical music was recognized more importantly than Korean one. On the other hand,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necessity of the organiz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course were shown to them. ③ It was understood that the selecting system and the examination for teacher’s appointment operated at this moment prevented good teachers from training. That’s why knowledge-centered learning form was spread widely. This kind of learning form was shown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examination for teacher’s appointment because of the tendency of academicism (Hakwonhwa).Inpracticalskilltestforteacher’s appointmen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was lacking of connection musical skill curriculum in college with the content of the test for selecting teachers actually. However, playing the piano and singing as reading the music were chosen as a necessary subject for practical skill by most music teachers. Most teachers who responded the question majored in Western music. This result was affected by those teachers. ④ In the training system, most music teachers wanted to increase the opportunity of self-regulating training. Playing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was chosen as the supremely-desired training course. Therefore, it was shown that music teachers not on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rain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but also recognized the fact that they had an effect on the class by being trained Korean classical music. ⑤ In this survey, music teachers had an ordinary confidence when they taught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to the students. Many teachers wanted to get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 specialty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their confidence through the direct train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The response above was shown that practical skill-centered training policy rather than the theory must be plann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lan of koren classical music education activity is given below. Firstly, in teachers’ training institu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 on the spot for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 college is demanded. In addition, guarantee the professor who is wholly responsible for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the specialty of teaching method related to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class are needed. Secondly, the musical examination for teacher’s appointment must be improved and be supplemented toward the choosing good teachers who are well qualified as a specialist in teaching. Besides, Korean classical music-majored music teachers gradually have to be increased by placing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practical skills of Korean classical music. Thirdly, in the training system, the opportunity of continued re-education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has to be offered to the music teachers on the spot. Or well-organized and continued investment for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that is suited to improve practical skills and teaching abilities is regularly needed. Fourthly, under western music-majo

      • KCI등재

        중·고등학교의 국악교육 실태 분석

        곽인선,조성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2 음악교육공학 Vol.- No.52

        본 연구는 음악 수업에서 국악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중·고등학교 현장의 실태와 음악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음악교사 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 내용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 교사들은 음악 수업에서 국악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악 수업의 비중은 적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로는 학생들이 국악 교육을 원하지 않고 있으며, 국악에 관심과 흥미를 느끼지 않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감상 영역의 국악 수업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창작과 생활화 영역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장구 반주로 가창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기악 수업에서도 장구를 가장 많이 다루었고 감상 수업에서는 판소리가 주요 제재로 다루어졌다. 수업에서 활용할 국악기나 국악 교육자료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지적하고 있었으며, 대개는 유튜브나 국악 방송의 자료를 수업에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의 참여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국악 연수의 기회가 매우 적고 이에 대한 정보도 부족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중등과정 국악교육 실태

        정고운,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5 시각장애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중등과정의 국악교육 활성화와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담당 음악당교사를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악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내용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에 대한 음악교사의 인식이 높았고, 음악수업에서 국악과 서양음악의 비율을 같아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고 보유악기는 장구가, 국악교육의 제반 여건이 불충분한 이유는 교사의 지도능력과 교수? 학습 자료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급히 요구되는 사항은 국악 전문인력 초빙과 교수?학습 자료 확 충이었다. 둘째, 국악교육의 목적은 우리 전통문화의식 고찰과 중점 지도 영역은 가창이며, 지도방법은 장구 등 국악기 반주지도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자신 있는 지도 분야는 장구와 단소이며, 국악을 지도하기 위한 준비로는 연수 또는 실기 레슨을 받으며, 학생은 국악수업을 대부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악교육이 학생에게 가장 이바지 하는 부분은 국악 인식 개선이며, 진로탐색에도 영향을 보통 이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악교육의 저해요인으로는 현대사회의 대중문화 팽배현상이며, 발전 개선 방안은 전문성 갖춘 교사 지원과 특기적성 및 방과 후 활동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후속 연구에 필요한 사항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전공 수업 실태 연구

        김경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급격하게 변화한 교육환경에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국악 전공 실태를 분석하고, 원격 국악 전공 수업 방법에 대한 방향성 등에 대한 논제 선정과 앞으 로 이뤄질 다양한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개의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에서 원격과 대면 전공 수업의 경험이 있는 교사 및 강사 37명 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전공 수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은 ZOOM이었는데 전체 응답자의 45%가 사용한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음악 전용 플랫폼이 아닌 회의나 대화를 위해 구현된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원격 전공 수업은 시간과 장소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며 개인 맞춤형 수업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원격 전공 수업은 통신장애와 통화 품질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이 많아 수업 집중력 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자들은 변화된 환경에 발맞춰 다양한 원격 전공 수 업 교수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안전한 대면 수업을 위해 수업 공간 환기, 마스크 착용, 안전거리 유지, 가림막 설치와 같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기 전공 수업은 장소와 시간의 효율적 사용, 개인 맞춤형 수업을 장점으로 응답한 반면 이론․작곡은 다양한 화면공유, 판서공유, 효과적인 자료 전송이 장점 이라 응답하였다. 또한, 다른 전공에 비해 타악전공 같은 경우 원격수업시 수업 공간을 찾아 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면수업에서 안전을 위한 방안으로 관악, 성악 전공은 가림막 활용을, 현악, 타악 전공은 마스크 착용, 안전거리 유지, 손소독과 같은 방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전공 수업 실태를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원격 국악 전공 수업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distance learning for major classes at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has rapidly changed due to COVID-19, selects topics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major classes in distance learning, and provides basic data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37 teachers and instructors who had experience in remote and face-to-face major classes at four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used platform for distance major classes was ZOOM, and 45% of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using it. This finding confirmed that they were using a platform implemented for a meeting or conversation, rather than one dedicated to music.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distance major classes allowed efficient use of time and place and were effective for personalized classes. Third, distance major classes had many problems caused by communication failure and call quality,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students’ attention in class were low.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were using various teaching strategies for distance major classes in line with the changed environment. Fifth, for safe face-to-face classes,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ctively taking measures such as ventilation of the classroom space, wearing a mask, maintaining a safe distance, and installing a screen. Lastly, they responded that the advantages for instrumental teaching were efficient use of place and time and personalized classes while those for theory and composition teaching were sharing various screens, sharing a whiteboard, and effective data transmission. Also, compared to other majors, it was confirmed that percussion majors had difficulty finding a class space during remote classes. As a measure for safety in face-to-face classes, wind and brass and vocal majors answered that they needed use of a screen while string and percussion majors answered that they needed wearing a mask, maintaining a safe distance, and use of hand sanitiz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remote major classes in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on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major classes in distance learning will be conducted.

      • KCI등재

        미래 전승을 위한 아리랑 중등교육 점검 및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이동희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22 동양음악 Vol.51 No.-

        Today, Arirang is mainly internalized through classes in the school field, especially to understand the value of Arirang as a cultural mediation that expresses Korean emotions and promote transition to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secondary education is highlighted, and the foundation i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how Arirang is implemented in 14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dentified the actual status of Arirang's field education through a survey, and sought to develop Arirang education contents that can be used in secondary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First, if we look at the music textbooks in middle school, in addition to the activities in the area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textbook, classes related to daily life such a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related to Arirang, implementation of project classes,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Arirang in the world, and Arirang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t was found that many of these are included and that more expanded forms of learning are included in the activities of the expression area. Based on this, 11 questions were organized and 44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on Arirang's educational status. And about 70% of respondents could not explain Arirang's origin, meaning, and cultural identity, 20.3% said Arirang could not be expressed in singing or instrumental music, and 6.9% did not learn Arirang in clas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reconsideration of Arirang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and made the justification for the production of Arirang education content. Arirang-related contents were already produced and used by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with Arirang songs, and various suggestions were discussed through prior research, but no curriculum-based content was developed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school field. Accordingly, the researcher suggested producing video materials introducing Arirang's origin, meaning, and cultural identity, organizing performance-type contents connecting Arirang in various regions, exploring Arirang-related local attractions and participating in events, and developing video education contents on the theme of Arirang consisting of several lessons. Arirang's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content is also highly related to the five key direction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review and the aspects of the emphasis on subject education. Therefore Arirang-related education to be more effectively implemented in new curriculum- based textbooks to be developed next yea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preceded, which needs to be linked to active project promotion by local governments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오늘날 아리랑은 주로 학교현장에서 수업을 통해 내면화되는데, 특히 한국인의 정서를 발현하는 문화매개로서의 아리랑의 가치를 파악하여 미래로의 전승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중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그 기초는 중학교 과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에 아리랑이 어떤 방식으로 수록되어 있는지를 가늠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아리랑의 현장교육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중등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아리랑 교육콘텐츠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살펴보면, 표현 및 감상 영역 활동 외에도 아리랑과 관련된 역사・문화적 배경, 프로젝트 수업 구현, 지역사회와의 연계, 세계 속의 아리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아리랑 등 생활화와 연관된 수업이 많이 수록되어 있으며, 표현 영역의 활동에서도 보다 확장된 형태의 학습을 수록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11개 문항을 구성하여 449명의 중・고등학생들에게 아리랑의 교육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리랑의 기원, 의미, 문화정체성을 설명할 수 없는 응답자가 약 70%, 아리랑을 가창이나 기악으로 표현할 수 없다는 응답자가 20.3%, 아리랑을 수업시간에 배워보지 못한 응답자가 6.9%로 집계되었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의 아리랑 교육에 대한 재고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아리랑 교육콘텐츠의 제작에 대한 당위성을 만들어주었다. 아리랑 관련 콘텐츠는 아리랑 노래를 보유한 지자체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이미 제작하여 활용중이었고 선행 연구를 통해서도 여러 제언들이 논의되어 있었지만,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육과정 기반의 콘텐츠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자는 아리랑의 기원, 의미, 문화정체성 소개 영상자료 제작, 다양한 지역의 아리랑을 연결한 공연형태 콘텐츠 구성, 아리랑 관련 지역 명소탐방 및 행사 참여 영상 구현, 여러 차시로 구성된 아리랑 주제의 영상교육 콘텐츠 개발을 제언하였다. 교육콘텐츠를 통한 아리랑의 학습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5가지 중점 방향 및 교과 교육 강조점의 측면과도 연관성이 높다. 따라서 내년부터 개발될 새로운 교육과정 기반 교과서에 아리랑 관련 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콘텐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지자체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사업 추진과 연결될 필요가 있다.오늘날 아리랑은 주로 학교현장에서 수업을 통해 내면화되는데, 특히 한국인의 정서를 발현하는 문화매개로서의 아리랑의 가치를 파악하여 미래로의 전승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중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그 기초는 중학교 과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에 아리랑이 어떤 방식으로 수록되어 있는지를 가늠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아리랑의 현장교육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중등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아리랑 교육콘텐츠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살펴보면, 표현 및 감상 영역 활동 외에도 아리랑과 관련된 역사・문화적 배경, 프로젝트 수업 구현, 지역사회와의 연계, 세계 속의 아리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아리랑 등 생활화와 ...

      • KCI등재

        통합교육을 위한 장단학습위계의 분석적 연구 및 수업적용:2015 개정교육과정 중등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윤아영(Yoon, A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장단학습의 현황을 분석한 후 장단학습 위계 기준을 제시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장단을 활용해 음악융합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자기주도형 학습 계획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현행 중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장단학습의 위계구조 기준 유무와 방법을 전수 조사하였다. 둘째, 전수조사한 장단학습방법을 분석하여 위계에 따라 장단학습방법을 구조화하였다. 셋째, 한국의 장단을 세계 여러나라 리듬과 융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세계 통용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장단의 박자를 계열화하였다. 넷째, 학습자로 하여금 간단한 장단을 활용한 가락짓기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장단의 박자와 구조를 주도적으로 습득하게 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현재 교과서의 장단학습위계 기준이 부재하거나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장단의 층위를 박자의 층위 개념과 연계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기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단을 활용해 짧은 곡을 만들어 보는 프로젝트학습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본장단과 변형장단 및 말붙임새 등의 개념을 학습자 스스로가 탑다운 방식으로 주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음악적 요소는 차용하면서도 창작의 범위는 넓힐 수 있는 역량을 부가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음악교육에서 음악과 이론이 분리되어 교육되는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자들로 하여금 유목적적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도 세계시민의 일부이고, 한국음악도 세계음악에 속해있다는 개념이 확산되고 교육의 중점도 세계화로 옮겨가고 있는 만큼, 상호 이해 가능하고 협업할 수 있는 음악역량을 길러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riteria for the hierarchy of jangdan learning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jangdan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to present a self-directed learning plan so that learners can develop musical convergence skills using jangdan.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existence and method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jangdan learning contained in the current secondary school music textbooks were thoroughly investigated. Second, the jangdan learning method surveyed was analyzed and structured according to the hierarchy. Third, the world common standards were presented so that Korean rhythm could be used in fusion with rhythms from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he beats of the rhythm were sequenced accordingly. Fourth, by having the learner carry out a rhythm building project using a simple rhythm, the beat and structure of jangdan were taken the lea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currently no standard for jangdan learning hierarchy in textbooks or sporadically presented. To solve this problem, first, a standard rule was proposed so that the level of rhythm could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the layer of beat. Based on this,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proposed to make short songs using jangdan as a project learning method. In this process, concepts such as basic jangdan, transformation jangdan, and malbuchimsae were allowed to be acquired by learners themselves in a top-down manner.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add the ability to expand the scope of creation while borrowing Korean musical elements. Conclusions This study will solve the practical problem of separating music and theory in gugak (Korean music) education and motivate learners to enable purposeful self-directed learning. As Koreans are also part of the world s citizens, and the concept that Korean music belongs to world music is spreading and the focus of education is shifting to globalization, it will be able to develop mutually understandable and collaborative music capabilitie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소금 내용 분석 연구

        김미숙,이기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ogeum of instrumental music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the Sogeum were analyzed for 14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s a result, there was a lack of explanation about the performance posture of the Sogeum, and the level of practice songs was not considered. Only the fingering of 'Im(林)' and 'Nam(南)' in the 27 notes used in the Sogeum and 'Cheongnam(湳)' in the middle range were matched. The problem with the 24 notes referring to various fingering methods and some content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rr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ethod of playing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instruction of the Sogeum fingering method and the practice song according to the levels, and the improvement of the Sogeum fingering method were presented.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textbooks to shar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standardized Sogeum fingering method and to establish the correct knowledge system for the relevant contents.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기악영역의 소금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을 대상으로 소금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금의 연주 자세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고, 연습곡은 단계별 수준이 고려되지 않았다. 소금에서 사용되는 총27개의 음에서 저취의 林과 南, 평취 湳의 운지법만 일치하였고, 24개의 음은 다양한 운지법을 언급하고 있다는 문제점과 일부의 내용에서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항목으로 나누어 연주 방법, 소금 운지법 지도와 단계에 따른 연습곡 제시, 소금 운지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소금 운지법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공유하고 관련 내용에 대한 올바른 지식 체계 확립을 위해 교과서의 내용을 수정․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산조’ 내용 고찰

        육지용 ( Jiyong Yuk ),박혜리나 ( Haerin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산조’를 학습내용, 악보의 형태 및 내용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10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감상영역에 ‘산조’가 수록된 교과서는 8종이었으며 둘째, 학습내용으로는 산조의 유래와 발전 양상, 산조의 유파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제시한 곳은 4-5종에 불과하였다. 셋째, 악보의 형태 및 내용을 살펴본 결과 오선보로 산조 악보를 제시한 교과서는 5종으로 악기별, 장단별로 차이가 났다. 또한 주법을 오기한 악보가 여전히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개정될 음악 교과서에서는 국악 연구자와 교육자들의 더욱 세심한 노력이 요구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nalyze ‘sanjo’ include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o learning contents, form and content of sheet music, etc. The study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ere analyzed for 10 kinds of textbooks.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8 textbooks with ‘sanjo’ in the appreciation area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usic textbook. Second, as the learning content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sanjo, and the school of sanjo were shown, and only 4-5 species were specifically suggest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rm and content of the score, there were 5 textbooks that presented the sanjo score as the staff score, which differed by instrument and rhyth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heet music with incorrect performance method was still used, and more meticulous effor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searchers and educators are required for the revised music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