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허명숙(Huh, Myungsook),조성기(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9 한국문학과 예술 Vol.3 No.-
이 글은 숭실의 소설가 가운데, 한국 문단에서 중견의 위치를 차지하는 김신, 김유택, 문순태, 표성흠, 조성기 등의 문학적 개성과 소설적 성과를 검토한 것이다. 김신과 김유택의 소설은 탈자아를 강요하는 세계 질서에 항거하는 자취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닮아 있다. 그들은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대학 시절을 함께 보낸 친구였고 ‘80년 광주’를 통과한 뒤 작가가 되었다. 그들에게 ‘80년 광주’는 그의 문학 저변에 존재하는 암초와도 같다. 김신은 발랄한 청년 감수성과 유희적 상상의 세계를 통해 현실의 무게를 벗어나고자 하였다. 김유택이 지속적으로 주목한 현실은 소통 불가능, 소통 부재의 상황이다. 병적이고 불구적인 주인공들을 통해 김유택은 소통 불능 상황의 심각성을 표현하였다. 문순태의 소설적 정체성은 매우 뚜렷하다. 문순태는 역사적 비극과 근대화의 물결에 떠밀려 고향을 상실한 자들의 비극을 줄기차게 그려 왔다. 특히 그는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전라도를 줄곧 소설의 주 무대로 삼아, 이웃의 삶에 소설적 관심을 집중하였고, 그 결과 그들의 삶을 누구보다 깊이 있고 구체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강점을 발휘하였다. 표성흠은 분단 모순과 하층민의 삶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의 소설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동물, 아이, 여성 등은 유머와 사랑으로 가득 찬 소설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소설적 갈등을 화해하고, 현실적 무게를 극복하는 정서적 효과를 거둔다. 조성기의 소설은 진지하고 조심스런 몽상이 진정성을 지닌 명상이 될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의미론은 주로 대상을 텍스트화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의 소설적 상상력이 ‘구성적’이라기보다는 ‘해석적’ 성격을 띠기 때문이다. 일상 현실을 대상을 할 때도 그런 경향이 두드러지지만, 무엇보다 문화 텍스트에서 그의 해석적 상상력은 빛을 발한다. 그의 글쓰기 작업이 소설 창작에 머물지 않고 문화 텍스트를 새롭게 읽어내는 저술 활동으로 벋어 나가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김신과 김유택은 숭실의 학부 선배로서, 문순태와 표성흠은 숭실의 대학원 선배로서, 조성기는 숭실의 교수로서 이들의 문학은 숭실의 젊은 작가들과 후학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숭실 문학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in the midst of novelists of soongsil Kim Sin, Kim Yutaek, Mun Suntae, Pyo Seongheum, Cho Seonggi taking a writer of medium standing from Korea republic of letters of romantic individuality and romantic achievement. Kim Sin and Kim Yutaek’s novel is alike in that it is expressed by a trace resisting world order. They spend together undergraduate days at same time and same space. Passing ‘1980’s Gwangju’, they became novelist. ‘1980’s Gwangju’ is like a reef existing in the base of their literature on them. Kim Sin attemped to free himself from real weight through his youthful sensibility and playful imagination. The actual that Kim Yutaek pays attention to is situations of communication impossibility and communication absence. Through morbid and disable main characters, Kim Yutaek reveals seriousness of a situation of communication impossibility. The romantic identity of Mun Suntae is quiet plain. Mun Suntae describes incessantly a tragedy of men who lost their hometown by pushing the social conditions of historical tragedies and modernization. He especially concentrated on his neighbor’s lives, all the time focusing on describing his hometown, where he was born and grew, and which made him to symbolize their life more deeper and preciser than any other writer. Pyo Seongheum paid attention to division’s contradiction and the life of lower layers. The characters, for example such as animals, children, women who fulfilled the atmosphere with humor and love produce the emotional effects that can be leaded to reconcile conflict and overcome real weights. Cho seonggi’s novel shows that a serious and cautious fancy can be a meditation with authenticity. The imagination of his novel is not ‘constructive’ rather than ‘analytic’. His analytic imagination takes the largest radiation of all, it takes the same propensity when deal with common real states, of course. The condition that his writing works don’t stay with the making of novel, rather spread to the activity that interpreting the culture text newly isn’t with office. Kim Sin and Kim Yuteak as seniors of soongsil’s educational institution, Mun Suntae and Pyo Seongheum as seniors of soongsil’s graduate school, and Cho Seonggi as a soongsil’s professor, their literature will take a rule to cause big effects to young writers and junior scholars.
조성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2 음악교육공학 Vol.- No.14
문화의 세기로 대변되는 21세기 우리는 창의성 교육의 강조와 더불어 문화예술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 음악전공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예술고등학교의 설립목적과 취지, 그리고 본 연구의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추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예술고등학교 교육 주체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실태와 요구 및 의견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해결로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로서 음악전공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음악예술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국가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둘째, 국가는 학교에게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확대해 주어야 하고 셋째, 학교는 입시위주의 교육으로부터 벗어나 다양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음악교육의 주체들을 위한 음악교육 학교 공유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가는 우선적으로 학교에게 물적(시설), 인적(강사) 지원을 해 주어야 하며, 음악전공 학생들을 위한 입시의 개선이나 전형제도의 개발 등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so-called the century of culture, we have reached a turning point in our efforts to revitalize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emphasized creative educa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an activation plan for music education in Arts High Schools. Its previous researches derived the establishment purpose and intention of the Schools and implications for this research direction, on which a development of survey questions targeted to arts high schools and investigation on its situation, requirement and opinion were based. We analyzed the result of survey questions, diagnoses its problems and inquired activation plans as its solution. As a result, those for activation of music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social interests and national policy efforts for music and art are required. Second, school autonomy for curriculum composition and operation should be extended at the national level. Third, schools should run various specialized programs, instead of college entrance exam centered education. Fourth, schools should be constructed their sharing system for subjects in music education. Fifth, schools should be preferentially provided with supports of materials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lecturers)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systematic supports such as improvement of college entrance exam systems for future music students and development of admission systems.
조성기,신재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0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6 No.5
Among of various characteristics of apartments, if we could find significant factors in apartment prices and estimate amounts of the effects, these informations will be usefully used in appraisal valuation. In this paper, we take 8 individual factors; size, situation, number of rooms, number of bathrooms, floors, waterfront view, unpleasant facilities and openness to view. As complexes of apartments to be researched, LG Metro City in Yongho-dong, Nam-gu, BMC(Busan Metropolitan City), in where about 7,374 units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and those 8 individual factors can be compared, is selected. The prices of apartments were sampled from sales information at web sites. The relation of the price and characteristics of sample apartments is studied by using 'Hedonic Price Fun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estimate and the results of estimation are presented with the different price rate of each individual factor. 아파트의 다양한 내재적 특성들 중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주는 개별요인들을 추출하고 그 개별요인들의 가격영향력을 측정할 수 있다면 감정평가 또는 실제거래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개별특성 요인들로 층, 향, 방의 개수, 욕실의 개수, 혐오시설(오수처리시설)과의 거리, 바다조망, 소음, 개방정도 등 8개를 채택하고 분석대상으로는 최근 7,374세대 규모로 건축된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LG메트로시티를 선정하였다. 아파트 가격자료는 인터넷 매물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으로 선정하여, 표본아파트의 가격과 개별 아파트특성을 헤도닉 가격함수(Hedonic Price Function) 형태로 파악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특성들의 효과를 추정하고, 특성에 따른 아파트 가격 격차율을 산정하였다.
조성기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1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0 No.-
한국민가의 문화지역 구분 작업은 1920년대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주문화권에 대한 여러 제안이 나오는 이유는, 첫째 한반도에 자생하고 있는 민가형이 아직도 그 전모가 밝혀지지 못하였다는 점이고, 둘째로 주문화권 분류의 기준이 불명확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본 논문은 그 동안 민가형의 분포에 관한 조사연구가 지역별로 어느 정도 축적되었다는 판단아래 그 분류 기준의 제시와 함께 주문화권의 재분류를 시도해 본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민가의 문화지역은 6개 지역으로 대분류 되었으며, 일부 지역 민가형이 소분류 되었다. Several scholars had attempted to classify the cultural regions of the Korean folk houses suffice 1920. The reasons of these attempts were considered as follows: firstly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types of the Korean folk houses were not enough and secondly the standards to classify the cultural regions of the Korean folk houses were not distinct. This study tries to re-classify the types of the Korean folk houses on the assumption that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m have been sufficiently accumulated. Conclusively, the types of the Korean folks houses are re-classified in the six large cultural regions. Again some of them are classified in small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