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

        박은경 ( Park Eun-k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3

        불전 장엄의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채색이나 그림으로 불전의 안팎을 장식하는 것이다. 이에 수많은 벽화와 단청이 전국 사찰 곳곳에 존재하지만, 대부분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이다. 그 이유는 특히 고려시대 몽고의 침략과 조선시대 임진왜란 등과 같은 전란으로 인해 사찰 건축이 피해를 많이 입었으며, 이에 따른 벽화도 불타고 소실되어 버렸다. 뿐만 아니라 사찰의 목조건물을 해체하고 중수·보수되는 과정에서 벽체가 교체되면서 벽화가 유실되거나 혹은 벽화가 덧칠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려후기에 제작된 영주 부석사 조사당의 범·제석천 및 사천왕 벽화는 현존하는 사찰벽화 가운데 최고의 사례이자, 고려시대 유일한 불교도상 벽화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우 귀중한 벽화자산이다.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부석사는 화엄십찰(華嚴十刹)로도 알려진 유서깊은 명찰로, 영주시를 지나 봉황산 중턱에 둥지를 틀고 있다. 부석사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로, 지난 해 2018년 6월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찰이다. 사찰의 경내 주불전인 무량수전을 지나 위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조사당 건물이 자리한다. 지금까지 부석사 조사당 벽화에 대해서는 부석사 및 조사당 수리보고서 등에서 언급되어 왔고, 제작기법이나 사천왕의 명칭 및 도상과 양식 등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조사당 벽화의 도상을 재검토하고, 그 배치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에 관해 기존에 명명되고 있는 존상명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불교미술의 방위관에 착안하여 배치 문제를 살펴보았다. 고려 및 조선시대 사천왕상 배치형식이 작품에 따라 달라지는 원인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이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기준이 되는 향방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적어도 통일신라 석굴암이나 고려시대 불화는 동향법(東向法)이 적용된 사례라는 점이다. 그런데 부석사 조사당은 본존이 남쪽을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의 남향법(南向法)에 입각한 배치이다. 이 남향법은 조선시대에 보편적으로 많이 보이는 향법이나, 적어도 고려시대 부석사 조사당을 통해 남향법이 등장하였다는 사실이 주목 시 된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사당 사천왕벽화의 서방의 용 모티브의 등장이나 남향법 배치 등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원리에 의해 향법이 작용한다는 사실은 조사당 벽화 도상의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ost representative way of decorating Buddhist halls is to adorn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s with colorings or paintings. Although numerous mural paintings and dancheong- a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re found in Buddhist buildings throughout the country, most of them were paint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temples were damaged and mural paintings were also burnt and destroyed by the invasion of Mongo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addition, many mural paintings were either lost or repainted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ir walls dur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pairing the temples' wooden buildings. In this sense, the Pusok temple's mural paintings of Brahma, Indra Sakra and the Four Deva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re invaluable heritages in that they are not only the best examples of existing mural paintings but also the only examples of Buddhist mural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Pusok temple, founded in the 16th years of King Munmu(676) by the Buddhist monk Uisang, is a historically distinguished Buddhist temple and also known as one of ten Avatamska temples. It is a branch temple of Goun temple, the 16th parish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is temple has nestled in the middle of Bonghwang mountain after passing through Yongju city. Moreover, Pusok temple is currently a UNESCO World Heritage Sites under the name of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since June 2018. Passing through the main building of Pusok temple-Muryangsujeon, the Chosa-Hall is located a little above. Heretofore, previous researches on Chosa hall's mural paintings of Pusok temple have been mentioned in the repairing reports on Pusok temple and Chosa hall. In addition, these researches have been mainly dealt with production techniques, styles, icons and names. However, unlike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article focuses mainly on reviewing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This article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on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names and traditional method of arranging direction and location on Buddhist art history. It seems that the layout of painting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of the standard direction, though there were various explanations on changing arrangements of the Four Devas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each art work. At least, Seokguram in the Unified Silla and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are the cases which apply the eastward method. However,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have been arranged based on the southward method in that the main Buddha status is facing south. It is important that this southward method is founded in the case of Chosa hall, Pusok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since it was a common method of arranging temples' hall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a new fact was founded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Western dragon motif and the southward arrangement of the Four Devas. Therefore, a certain rule influences on the Buddhist halls' direction and location, and this rule will be an important clue tha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Chosa-Hall's mural paintings.

      • KCI등재

        부석사 조사당 신장 벽화를 통해 본 조사당 건립의 배경과 의미

        심영신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6 No.1

        이 글은 설산 천희(雪山 千熙, 1307~1382)가 영주 부석사에 조사당을 건립하게 된 배경과 의미를 조사당 벽화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조사당의 남벽(출입구 위치)에는 북벽에 위치한 의상 대사상을 마주 보며 6구의 신장(사천왕과 그 양 옆으로 제석천과 범천)이 그려져 있다. 이 신장 그림은 우리나라 사찰 벽화 중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매우 독특한 특 징을 보인다. 사찰 전각의 내벽에는 경전에서 묘사하는 장면들을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조사당에는 이런 종류의 벽화는 없으 며 신장들만 그려져 있다. 이는 유일한 예이며, 승려상과 마주보는 위치에 신장들이 그려진 예도 찾아볼 수 없다. 주인공 인 승려(의상대사)를 외호하기 위한 신장의 배치와 부조상(浮彫像)을 그림으로 번안한 듯한 표현상의 특징은 특히 주목 을 요한다. 그 구성과 표현이 팔각의 탑신 표면에 신장상을 새긴 나말여초 선종의 석조승탑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도상 또한 나말여초기 신장과 유사성을 지닌 고식이다. 이중 동방과 서방천왕의 존명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었는데 이 글에서 는 나말여초 승탑의 사천왕 배치 순서에 근거하여 이들의 명호를 제시하였다. 한편, 해동 화엄의 초조 의상 대사를 기념하여 조사당을 건립하고 이를 외호하는 신장들을 배치했다는 것은 개산조 에 대한 숭배 개념을 드러낸다. 따라서 조사당 건립의 목적 또한 선종 승탑 건립 이념의 연장선에서 찾았다. 문제는 설산 천희가 화엄종 승려이고 부석사는 대표적인 화엄 사찰이라는 점에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조사당 건립의 배경을 이해 하기 위해 14세기 고려 불교계의 상황과 창건주 설산 천희의 행적을 살펴보았다. 14세기에는 간화선이 우위에 있었기 때문에 천희는 58세의 노령에도 원나라에 유학하여 간화선사의 인가를 받아온 뒤 국사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결국 부석사로 밀려나 부석사 중창에 힘쓰게 된다. 천희는 아마도 사찰 중창을 통해 부 석사의 위상을 높이고 선종에 위축되어 가던 화엄종의 발전을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14세기 선종의 부상 아래 힘을 잃어가던 화엄종이 그 발전을 모색하는 시도 속에서 조사당을 건립하였고 이러한 염원이 벽화의 특징으로 잘 드러난다 는 점에서 조사당 벽화의 불교사적인 가치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Josadang Hall in Buseoksa Temple, Yeongju, by Seolsan Cheonhee(1307~1382) in the late 14th centur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ll’s mural. Six guardian deities(the Four Heavenly Kings in the center, Indra and Brahma on each side of the kings) are depicted on the southern wall(location of the entrance) of the Josadang, facing the statue of the great monk Uisang(625~702 AD) on the north wall. This mural is the oldest among Korean temple murals and exhibits very unique characteristics. In general, scenes from the scriptures are depicted on the back wall of the central statue. In contrast, the Josadang mural depicts only the guardian deities facing the main statue with no scene description. The appearance of the deities, who seem to protect the main statue of the monk Uisang, and their expressions, as if drawn from relief statues, are not seen in other murals. Nevertheless, it is similar to the stupas of the Seon(Ch. Chan 禪) sect monks established from the late Silla(57 BC~935 AD) through early Goryeo(918~1392 AD), with guardian deities on their surface. The iconography of the deities is a classic form of the late Silla to early Goryeo. The fact that the Josadang was built to commemorate Uisang, who founded the Korean Hwaeom sect(Ch. Huayan sect, 華嚴宗), and that guardians were placed to protect Uisang’s statue reveals the concept of worship for the monk who founded the sect. As a result, the reason Cheonhee built the hall can also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ideology behind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s of the Seon sect monk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Cheonhee is a monk of the Hwaeom sect, and Buseoksa is a representative temple of the Hwaeom sect, not the Seon sect. Therefore, to better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hall’s construc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tuation of Goryeo Buddhism in the 14th century as well as the activities of Seolsan Cheonhee. Since Ganhwa Seon(Ch. Kanhua Chan, 看話禪) was dominant in the 14th century, Cheonhee went to study in the Yuan Dynasty(1271~1368 AD) at the age of 58 and was approved by Chinese Ganhwaseon monks before taking the position of Guksa(國師 national monk). However, he was eventually pushed to Buseoksa Temple, where he worked hard to rebuild it. Cheonhee most likely sought to expand the Hwaeom sect, which had been shrinking compared to the Seon sect, by enhancing power with the reconstruction of Buseoksa. The desire that the Hwaeom sect, which was losing its power due to the rise of the Seon sect in the 14th century, attempted to develop it by building Josadang hall, is well revealed by the Josadang murals.

      • KCI등재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수리·보존 이력 및 손상변화에 관한 문헌적 고찰

        문혜영,김설희,이태종,장성윤,정혜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30 No.-

        Currently, mural paintings in the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have severe white pollution all over them and damage to the painting layer, and th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is treating them for conservation. In this process, for setting directions for more systematic conservation treatment, this study would figure out the history of the conservation state of the mural. The mural has been through several times of conservation treatment and movements of the place of storage for about 100 years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Josadang Shrine, and a more detailed investigation would be needed in that most of the damages were caused by conservation treatment in the past. Thus, this study collected material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related to the mural painting in the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which have not been revealed and investigated how the conservation states were changed. So that they would be utilized in setting directions for conservation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cords of preservation for about 100 years since around 1916 when the mural was separated from the Josadang Shrine were drawn up as a chronological table, and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main conditions of damages by periods. The mural had two times of conservation treatment in 1925 and 1985 and four times of movement of the place of storage after the separation from the Josadang Shrine. When separated from the building, there were cracks and losses of the wall, and it was reinforced with gypsum (CaSO4) in the first conservation treatment. The gypsum used at this time rose from the humid environment to the surface, and the overall mural was covered. The painting layer had already had losses around the middle height before the separation and generally been weak. Thus, reinforcement and adhesion were done, using resins in two times of conservation treatment. However, accordingly, additional damages currently have occurred seriously like the excessive hardening and flaking of the painting layer, the discoloration of the remaining adhesive agents and polishes. As for the data on the Josadang Shrine mural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 have been gaps in terms of periods, and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records related to conservation treatment have informally been written. However, it wa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history and changes of conservation state of the mural paintings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through this study, which would be going to be utilized as the baseline data in establishing plans for conservation treatment in the future. 현재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전면에 걸친 백색 오염과 채색층 손상 등이 심각하여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보존처리 중에 있다. 이 과정에서 보다 체계적인 보존처리 방향 수립을 위하여 벽화의 보존 상태 이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벽화는 조사당에서 분리된 후 약 100여 년 동안 여러 차례의 보존처리와 환경 변화가 있었는데, 손상의 대부분이 과거 보존처리에서 기인한다는 점에서 더욱 자세한 조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확인되지 않은 부석사 조사당 벽화 관련 일제강점기 이후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기별로 보존 상태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보존처리 방향 수립에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1916년경 조사당에서 벽화가 분리된 시점부터 현재까지 약 100여 년간 벽화의 보존 이력을 연표로 작성하고 주요한 손상 상태를 시기별로 비교할 수 있었다. 벽화는 조사당에서 분리된 후 1925년경과 1985년, 총 두 차례의 보존처리와 네 차례의 보관 장소 이전이 있었다. 건물에서 분리될 때 벽체 균열 및 손실이 발생하여 첫 번째 보존처리에서 이를 석고(Gypsum, CaSO4)로 메움처리하고 목재보관함에 넣은 것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때 사용된 석고가 다습한 환경에서 표면으로 용출되어 벽화 전면을 피복하게 되었다. 채색층은 분리 이전부터 중간 높이 부근의 손실이 있었고 전반적으로 약화된 상태였다. 이에 두 차례의 보존처리에서 수지를 이용한 경화·고착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로 인해 현재는 채색층의 과도한 경화와 박리·박락, 잔류한 고착제의 변색 및 광택과 같은 추가적인 손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일제강점기 이후의 조사당 벽화 자료는 시기상 공백이 존재하고 보존처리와 관련한 기록이 약식으로 기재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이력과 보존 상태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보존처리 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예정이다.

      • KCI등재

        고려시대 浮石寺의 역사․문화적 성격

        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3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sects belonging of the Buseok- Temple, and national & social status that the Buseok-Temple was played the role in the the Koryo-Dynasty. in the process, this paper analyzed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Cultural heritage & Memory heritage that the Buseok-Temple was created in the Koryo-Dynasty. The Buseok-Temple was also a key member of Hwa-ueom-school(華嚴宗)'s temple during the Koryo-Dynasty, and was succeeded to the hwa- ueom one-vehicle(華嚴一乘)’s thought of the Euisang(義湘) that was played the role as a Buddhist major monk. in the process, Buseok-Temple expanded its Buddhist status and human links-network throughout the country. The Buseok-Temple was created the various Cultural heritage & Memory heritage that fit this identity during the Koryo-Dynasty. during the Jingak-guksa(眞覺國師) Cheonhee(千熙)'s stay in the second half of the Koryo-Dynasty, the Muryangsujeon(無量壽殿) & Josadang(祖師堂) of the Buseok-Temple newly was constructed, and was renovated the Amitabha- Buddha-Statues(佛說阿彌陀佛像) of the Muryangsujeon & the wall painting of the Buseok-Temple's Josadang. in addition, the Buseok-Temple newly created the Avatamsaka-Sutra(大方廣佛華嚴經)-woodblocks & the Sukhavati -Vyuha-Sutra(佛說阿彌陀經)-woodblocks in the mid-13th century. the Buddhist project also reflected the meaning that succeeded to the hwa-ueom one-vehicle’s thought of the Euisang. 이 글에서는 고려시대 부석사의 소속 종단과 국가․사회적 역할․위상을 진단하고 부석사에서 조성된 문화유산․기록유산의 성격도 검토하였다. 부석사는 신라말기 이래 고려시대에도 화엄종 소속의 핵심적인 사원으로 의상의 華嚴一乘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키며 불교적 위상과 인적 연계망을 국가․지역적으로 확장하였다. 공민왕 7년에는 외적 침략으로 부석사의 역할과 위상이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다가 같은 왕 21년 이후 다시 회복되었다. 고려시대 부석사는 이러한 정체성에 걸맞는 다양한 문화․기록유산을 새롭게 조성하거나 중수하는 등 역사․문화적인 역할․위상을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켜 나가기도 하였다. 고려후기 진각국사 천희가 주석하였을 때 무량수전을 새로 지었으며, 본존불인 아미타불상도 고치고 새롭게 금으로 칠하는 동시에, 조사당도 건립하거나 중수하고 조사당의 벽화나 조사영정 등도 새롭게 수리하였다. 고종 때에는 고려역서로 농학 등과 관련된 吉凶逐月橫看 고려목판을 조성․보급하는 국가․사회적인 역할을 분담하였으며, 불설아미타경판 및 3본 대방광불화엄경판도 조성하는 등 목판 출판인쇄와 함께 아미타신앙․화엄교학을 널리 보급하고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이러한 조성․중수불사는 의상의 화엄일승 사상을 계승하는 의미도 반영되어 있었다.

      • KCI등재

        고해상도 GPR 탐사를 이용한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벽구조 진단

        오현덕,정혜영,권문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4

        국보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흙을 재료로 한 벽체 위에 그림을 그린 고려시대 벽화이다. 벽화의 보존처리 과정 중 벽 균열의 발생 원인이 골조와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파괴적 조사 방법인 GPR 탐사를 실시하였다. 2 GHz의 높은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를 벽화 의 표면에서 투과하는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Y축 방향으로 HH, VV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측선 간격을 1 cm, 데이터 취득 간격을 1 cm로 매우 조밀하게 설정하여 고해상도를 갖도록 조사하였 다. 탐사 방법은 공사 현장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철근 탐사와 유사하다. 그러나 흙벽과 나무구 조의 특성상 약한 반사신호를 띠고 있어서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처리했을 때에는 이미지에 잡음이 증폭되어 결과해석에 오류를 가져올 수 있다.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최적의 그리딩 법 을 적용하여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 벽체의 골조는 일반적인 한옥 건물에서 볼 수 있는 가시새, 설외와 눌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파악하였고 가시새의 위치에서 벽 균열이 발 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National Treasure Mural Painting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is a Goryeo Dynasty mural painted on a wall made of clay. GPR exploration, a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method, was conducted to d etermine w hether t he c ause o f wall c racks was related to the frame. A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high frequency of 2 GHz through the surface of the mural was applied, and HH and VV data were acquired in the Y-axis dire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high resolution by setting the measurement line interval to 1 cm and the data acquisition interval to 1 cm very closely. The exploration method is similar to rebar exploration commonly used at construction site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earthen walls and wooden structures, they produce weak reflection signals, so when the data is processed in the same way, noise is amplified in the image. This may lead to errors in interpreting the results. In data processing, images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optimal gridd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wall framework was composed of Gasisae, Seol-oe, and Nul-oe that can be seen in a Korean Hanok build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wall cracks occurred on the location of the Gasisae.

      • KCI등재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염에 의한 손상상태 연구 - 서방광목천왕과 남방증장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

        김설희(Kim Seol-hui),문혜영(Moon Hye-young),이태종(Lee Tae-jong),장성윤(Jang Sung-yoon)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1 고문화 Vol.98 No.-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벽화 중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사찰 토벽화이다. 이 벽화는 일제강점기에 해체 보존처리되어 현재 채색면 전반이 흐려지는 염 손상 오염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와 연관하여 채색층 박리‧박락과 같은 물리적인 손상도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상 중 서방광목천왕과 남방증장천왕에 대하여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염 손상 현황과 특성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백색 염은 채색층 전반을 덮고 있으며 현미경 확대 관찰 시 육안으로 확인되는 부분 이외에도 미세하고 깊은 부위까지 염이 침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985년 과거 보존처리에서 이탈리아 프레스코 벽화의 염 제거 방법을 본 벽화에 시도한 흔적도 관찰되었다. 현미경 조사 결과, 채색층위의 구조는 황토색 바탕층, 뇌록색 바탕층, 백색 염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염 층위 두께는 남방증장천왕보다 서방광목천왕에서 얇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과거 실시된 염 제거 연구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염의 광물조성 분석 결과, 대상 시편에서 석고(gypsum)와 셀라도나이트(celadonite)를 포함한 토양광물이 주로 동정되며, 채색층을 덮고 있는 백색 염 결정은 석고로 판단된다. 표면 원소분포 조사 결과, 벽화면 전반에서 칼슘(Ca)과 황(S)의 분포가 확인되며, 이를 백색 염 분포지도와 상호 비교하였을 때 염 분포 경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시편의 표면 미세조직에서 판상형 점토광물 위에 염 결정이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서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 확인한 층위 구조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벽화 표면에 발생한 염 결정은 일제강점기 때 사용된 보존처리 재료인 석고에서 기인하였고 채색층에 고착되어 있어 염이 성장할수록 안료박락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불어 석고 염 제거에 관련한 심화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mural painting in the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is the oldest earthen mural painting in a temple of the mural paintings in Korea,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This relic, which was deconstructed and treated for conserv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developed problems with salt damage and contamination, which blurred the entire colored surface, as well as physical damage related to this, e.g., the desquamation or exfoliation of the colored layer. Thus, this study would discuss the salt damage characteristics, conducting a scientific analysis of Virupaksha and Virudhaka among other icons. As a result of the study, white salt covered the entire colored layer, and it was found that salt permeated into small and deep regions in the microscopic observation in addition to the parts visible to the naked eye. During a previous conservation treatment in 1985, a trace of the attempt of the method for removing salt used in the mural in Florence, Italy was also observed.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that all the structures on the colored layer consisted of the following order; ocher ground layer, neorok ground layer, and white salt texture. As for the salt layer thickness, it was thinner Virupaksha than in Virudhaka, which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salt removal experiment conducted in the preceding study. An analysis of the mineral composition of salt revealed that mostly, soil minerals, such as gypsum and celadonite, were identified in the target specimen, so the white salt crystals covering the colored layer are assumed to be gypsum. The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surface elemen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calcium(Ca) and sulfur(S) was identified throughout the mural surfac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tendency of salt distribution when compared to the map of the distribution of white salt. As a result of SEM-EDS analysis, it was found that salt crystals developed on the phyllosilicate clay minerals in the superficial microstructure of the specimen,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layered structure found in the results of microscopic observation above.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judged that salt crystals on the surface of the mural resulted from gypsum, which was used as a conservation material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 with this,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damage as salt damage continues, and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f the removal of gypsum salt.

      • KCI등재

        송광사 국사전과 진영당의 진영 봉안 방식

        이경미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3 南道文化硏究 Vol.- No.49

        Though Kuksajeon and Jinyeongdang of Songkwangsa shared the same purpose of enshrining the high priest, there are apparent differences of enshrinement between the two buildings. Kuksajeon believed to remain the original building frame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year of rebuilding, 1501. Sixteen portraits of the high priest were hanged held by round rings to the long wooden bar without any ornaments and lined up against the wall. There also were simple hanging ornaments upside each portrait, which intensified the whole enshrinement with simple images. There also provided lower shelves at the bottom of the portrait. Refurnished in 1990, the originals were believed to be simple in form. Jinyeongdang, which had the alternative name, Pungamyeonggak, was a plain building built in 1918. Though the building had only three bays, there were 35 portraits. To enshrine the 35 portraits, a special way of enshrinement was designed. Two wooden fake walls were built under the cross beam, which created enough space on the enshrine wall. The simple method of enshrinement of Kuksajeon was found in Josadang of Buseoksa which was built in the 14th century. Although there was a time lag of two centuries, two buildings had the same method of enshrinement. It could be concluded attentively—albeit more related examples and evidence are needed—that the enshrining way of the late Koryeo Dynasty succeeded into that of the early year of the Choseon Dynasty. The way of enshrinement of Jinyeongdang succeeded the former two buildings with simple shelves, enshrining more than 35 portraits in a small building showed apparent differences. It was concluded that inventing fake walls under the beam and omitting the hanging ornaments were the results of the latter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