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후반 ‘조국근대화’ 이데올로기 주조와 담당 지식인의 인식

        허은(Heo Eun)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6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후반 박정희 정권의 ‘조국근대화’ 이데올로기 수립에 ‘전통과 근대’, ‘근대 주체’ 등을 놓고 견해를 달리했던 두 지식인 ‘집단’이 적극 참여했으며, 새로운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제시된 ‘국민 교육헌장’이 그 주요한 결과물이었음을 밝히는데 있다. 1960년대 후반 박정희 정권의 지식인 호명에 화답하며, ‘조국근대화’ 이데올로기 주조를 담당한 지식인들은 크게 ‘전통 계승’ 지식인과 ‘탈 전통’ 지식인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두 지식인 집단은 전통/근대 및 근대주체에 대한 분명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고 나아가 상호 비판적이었다. ‘전통 계승’ 지식인들은 전통 사상과 가치를 계승하지 못한 결과 이전까지의 근대화는 서구 모방에 불과하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그 결과는 국가의 약화와 개인주의의 만연이라고 보았다. 한편, 이들은 ‘민족 주체성’의 핵심이 민족국가간의 협동과 평화공존 지향에 있다고 언급했으나 실제 국익을 중시하며 세계주의적 관점의 유효성을 부정하는 배타적 입장을 취했다. 반면, ‘탈 전통’ 지식인들은 ‘전통’과의 분명한 단절을 강조하며 ‘주체적 근대화’를 주창한 ‘전통 계승’ 지식인들의 논지를 매우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 이들은 전통과 주체성에 대한 강조는 ‘민족적 감정’의 발로이며 근대화 성취에 걸림돌이 될 뿐이라 여겼으며, 근대화 달성을 위해 서구가 발전시킨 근대적 ‘규준’의 수용에 적극적이었다. 또한 자신들의 사상적 지향을 실현하기 위해 대외 세력의 도움을 받는데 주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배타적 성향을 보인 ‘전통 계승’ 지식인들과 달랐다. 그러나 ‘전통 계승’, ‘탈 전통’이란 대립적 내용을 근대성의 핵심으로 이해했던 이들 양 지식인 집단은 ‘조국근대화’ 이데올로기의 주조를 위해 박정희 정권과 결합했다. 이는 두 지식인 집단이 냉전분단체제의 유지에 일치했고, 수동적이며 ‘탈정치화’된 근대 주체를 양성하고자 했다는 점에 서 궁극 일치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정희 정권과 애초부터 친화성을 보였던 ‘전통 계승’ 지식인은 말할 것도 없고, 독재 권력의 등장을 우려 했던 ‘탈 전통’ 지식인들도 유신체제를 구축하는 박정희 정권의 대항세력이 될 수 없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new national integration ideology characterized by the Charter for National Education created during the late 1960s, and more specifically with the role of the two groups of intellectuals which featured differing concepts of notions such as 'tradition', 'democracy', and the 'main actor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who came together to establish the Park Chung-hee regime's ideology for national modernization. The intellectuals that answered the Park Chung-hee regime's call to duty during the late 1960s and who came to be the main architects of the ideology known as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can be separated into tradition-oriented intellectuals and post-traditional intellectuals. These two intellectual groups, which were critical of one another, exhibited a gap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of modernity and of the main actors in bringing about modernity. Thus, tradition-oriented intellectuals perceived the modernization that has taken place in the past as nothing more than a process which exhibited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Western world Moreover, they perceived the weakening of the state and spread of individualism as constituting the main results of modernization. Meanwhile, while they believed that the basic national identity was form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nation states, they also focused heavily on national interests. To this end, they tended to neglect the effectiveness of cosmopolitanism. Meanwhile, the post-traditional intellectual group emphasized the need to break with tradition, and criticized the traditionalist perception of those who advocated independent modernization. They regarded that this emphasis on tradition and independence was based on deeply-rooted national sentiment which greatly hindered the achievement of modernization. In addition, this group desired to achieve modernization by introducing the modern 'standards' developed by the Western states. Unlike the tradition-oriented intellectual group that exhibited exclusionary tendencies, the post-traditional intellectual group did not hesitate to call on international entities to help them implement their desired ideological orientation. However, these two intellectual groups who advocated contradictory approaches to establishing modernity eventually came together at the behest of the Park Chung-hee regime to create the ideology known as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This denouement has its origins in the fact that these two intellectual groups agreed with the regime's perception of the need to maintain the divided system during the Cold War era, and that they shared a common belief in the need to educate the main actors of modernity, who they regarded as having become passive and depoliticized.

      • KCI등재후보

        유교 지식인을 ‘문제화’하기 근대 유교 지식인 연구의 지형과 확장가능성의 모색

        박지현 (재)한국연구원 2023 한국연구 Vol.- No.14

        이 글의 목적은 근현대사에서 ‘전통적인 것’이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재사유하기 위해 근대 유교 지식인 연구의 동향과 그 성과를 검토하고, 이 분야의 확장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관련 선행 연구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했다. 첫 번째는 유교 지식인이 주변화되면서 어떻게 근대를 전유하며 ‘전통적인 것’을 재구성하는지와 관련된 영역이다. 여기에서는 ‘전통적인 것’과 근대 지식과의 상호관계를 다룬연구와 유교 지식인의 사회관계 방식의 변화를 다룬 논문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유교 지식인의 지적 활동을 연구하는 데 텍스트의 내용뿐만 아니라 형식의 변화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또 근대 이후 유교 지식인의 변화된 사회관계를 확인하기위해 사회관계망 연구와 다양한 성격의 사회단체, 시회, 모임들을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보았다. 두 번째는 유교 지식인의 일상 속에서 발견되는 ‘전통적인 것’과 근대의 혼종성과 관련된 영역이다. 여기에서는 유교 지식인의 일상을 가문/가족, 여성, 직업으로 구분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했다. 이를 통해 혼종화가 기능하는 방식과 작동과정은언제나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의 위계, 권력과 권위, 인종, 경제의 불평등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때문에 혼종성 연구를 위해서는 ‘전통적인 것’과 근대의 혼종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유교 지식인의 다양한 전략들을 추적하고 미시적인 권력관계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으로 유교 지식인 연구가 더 확장되어, 근현대사에서 ‘전통적인 것’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실천들의 권력관계, 즉 ‘전통적인 것’의 정치학을 논의할수 있는 개념과 논리가 더 정밀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Th 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trends and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modern Confucian intellectuals in order to reconsider the status and role of the ‘the Traditional’ in modern history,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is fi eld. To this end, I analyze the relevant studies by dividing them into two main categories. Th e fi rst is the area related to how Confucian intellectuals appropriated modernity and reconstructed the ‘the Traditional’ as they became marginalized. Here, we examined studies that dealt wit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knowledge, as well as papers that dealt with changes in the way Confucian intellectuals relate to society. It was argued that in studying the intellectual activities of Confucian intellectual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content of texts but also to changes in form, an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social networks and various types of social organizations, meetings, and gatherings to identify the changed social relations of Confucian intellectuals. Th e second area is related to the hybridity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ity found in the daily lives of Confucian intellectuals. In this section, I categorized the daily lives of Confucian intellectuals into households/families, women, and professions,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in this area. Th rough this, I emphasized that the way hybridization functions and the process of operation is always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hierarchy, power and authority, race, and economic inequality between diff erent cultures. Th erefore, for the study of hybridity, it is necessary to trace the various strategies of Confucian intellectuals in the process of hybridization between the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nd to pay attention to the micro-level power relations. It is hoped that the study of Confucian intellectuals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and the concepts and logic will be refi ned to discuss the power relations of socio-cultural practices surrounding ‘the Traditional’ in modern history, that is, the politics of ‘the Traditional’.

      • KCI등재

        중국 전통지식인과 정치사회권력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민귀식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2 중소연구 Vol.36 No.2

        Traditional Chinese intellectuals were responsible for preserving humanism, were rehabilitated people with moral Humanities, and played the role of defending Confucian ideology. They were actively involved in politics, based on the belief that morality can be achieved through political participation. So, Since Confucius, the proposition that outstanding scholars take on bureaucracy, was ideal and the duty of intellectuals. They sought the balance of power, through Moralitet control Real power. However, except for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intellectuals did not escape a slave to powers. The establishment of unified dynasty and a national schools, Intellectuals were guaranteed social status and were to enjoyed economic stability. However, their's social status were going down governing engineer for the emperors, and gradually disappearing intellectual pride and spirit, and went the domestication by political powers. In particular, toward the Ming-Qing dynasties era, Intellectuals’s status rapidly falling, and the national examination system, entangled in what types of Stereotyped writing, the evolution of freethinking was systematically blocked. These political environment of fetters and the rigidity of intellectual's thinking, has caused not go China’s modernization. 중국 전통지식인은 인문주의를 보존하고, 백성을 인문도덕으로 교화하며, 유교 이데올로기를 수호하는 사회문화적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은 정치를 통해 ‘도’를 구현한다는 신념에 따라 정치에 적극 참여했다. 그래서 ‘학문이 뛰어난 자가 관리가 된다’는 명제는 공자 이래 전통지식인의 이상이자 의무이기도 했다. 전통지식인들은 ‘도통(道統)’을 통해 현실권력인 ‘정통(政統)’을 제한하면서 권력 균형을 추구했으나, 춘추전국시대를 제외하면 지식인은 정치권력의 시녀 역할을 벗어나지 못했다. 통일왕조의 수립과 관학(官學)의 성립으로 지식인의 사회적 지위가 보장되고 경제적 안정을 누릴 수는 있었지만, 황제를 위한 통치기술자로 전락하면서, 지식인의 자존심과 기백도 점차 사라지고 권력에 의해 순치되어 갔다. 특히 명청(明淸)대로 갈수록 지식인의 위상은 급격히 추락했고, 과거제가 팔고문의 형식에 얽매여 지식인의 자유사상 발전이 제도적으로 막혀 있었다. 이런 질곡의 정치환경과 지식인의 경직된 사고방식은 중국이 근대화로 나아가지 못한 원인이 되었다.

      • KCI등재

        ‘지식인-시인’의 시적 과제와 이상(理想)

        나민애(Ra, Min-ae)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시인 신석초의 시사적 의의를 재조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석초는 유명에 비해 그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시인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황은 석초의 작품 수준이 미달했기 때문이 아니라 작품 외적인 기타 사항에 기인하고 있다. 신석초는 지극히 전통적인 가문에 태어나 그 유풍을 태생적으로 익히고 중세적 교양교육을 정통으로 받은 문인이다. 그리고 이 전통적인 인문 교양의 입장이 근대 문물과 충돌하고 조화되는 과정을 시적으로 훌륭히 소화해낸 시인이기도 하다. 신석초의 문학 세계 안에서는 이미 소멸한 세계와 현재 도래한 세계라는 상반된 요소가 충돌하고 있는데 이 충돌의 의의를 규명할 때 과거의 전통이 현재 문학의 장에서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석초를 통해 이 검증을 진행할 수 있다면, 신석초의 문학은 시인 개별의 문제가 아니라 중세와 근대를 걸쳐 이루어진, 중세적 지식인의 근대적 문학인으로의 변모라는 흐름을 확인하는 지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석초의 작품 전반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과정에서는 최대한 원전을 참고하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신석초의 작품세계를 ‘바라춤’-‘프로메테우스’-‘처용’의 세 유형으로 분류했다. 이 분류는 그의 ‘지성시’의 발로와 흐름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작품 세계 안에 보이는 제 유형의 작품군은 ‘지식인-시인’으로서의 시적 모색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석초가 고수한 ‘지식인-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이야말로 전통적 문인으로서의 자의식이 근대적이고 문학적인 형태로 변모한 바라고 파악한다. 즉, 석초의 지성적인 자의식은 세대/계승/변화의 키워드와 맞물려 있으며 이 자의식의 문학적인 발로인 ‘지성시’의 면면에서는 문명과 지성에 대한 시인의 정신적 주유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덧붙여 본고에서는 신석초의 정신세계를 형성한 주변망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인보와의 만남, 이육사와의 공통 분모 등을 통해 신석초의 내면 세계를 추적하고자 했다. 물론 신석초 일인으로는 ‘지식인-시인’이라는 거대한 흐름의 일부만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를 발화점으로 삼아 전통의 문학적 계승을 규명하는 후속 작업이 시작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alue a poetic significance of Shin Sok-cho. Even though he has been one of famous poets, study results about him and his literature have been not much. This situation is not cased by level of the work but external situation. He was born in a traditional family and received a traditional liberal arts education. But when he was grown, he was middle of a period of cultural upheaval. At this point, his poecical importance was apparent. He brilliantly obtained poetic results in the process of conflict of the base of traditional liberal arts and modern civilization. So through his poetic achievement we can identify how medieval consciousness came into conflict with modern consciousness. And we can identify how medieval consciousness achieve harmony with modern consciousness, too. In this study we regard him as one of symbolic and significant indexes about a literary transfiguration of the medieval intellectual class.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his texts by three type, i.e., Bara dance style, Prometheus style, Cheoyong style. This typical analysis is expected to clarify a groping of ‘intellectual-poet’. Based on such aim this study examine the literature and spiritual network just like contact with Lee Yook-sa and Chŏng In-bo to check a track of his inner world. If it is proved that ‘intellectual-poet’ is proceptive appearance of medieval intellectual class in modern times, it might embody the internal pursuit of the modern Joseon literature more specifically.

      • KCI등재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에서 "문화" 담론의 지형

        송인재 ( In Jae Song ) 현대중국학회 2010 現代中國硏究 Vol.11 No.2

        `문화`는 포스트사회주의 시대 중국에서 새로운 지식담론의 핵심적 매개 개념으로 등장했다. 80년대에 새로운 지식자원의 모색과 이에 관한 논쟁은 `문화열`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다. 여기서는 `문화`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이 논쟁의 근원이었다. 전통문화를 중시하는 이들은 전통을 재발견하여 전통이 중국의 현대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간양(甘陽)은 이러한 문화관을 비판한다. 여기서 간양은 전통을 비롯한 `문화`의 성급한 사회참여를 경계하고 `문화`를 사회로부터 독자성을 지닌 영역이자 그 영역의 중심 구성물로 새로이 정의한다. 간양식 `문화` 개념은 정치로부터 분리된 학술연구와 이에 근거한 현실비판이라는 90년대 왕후이(汪暉)의 실천에서 구현된다. 이 경우에서 `문화` 개념은 지식인의 사회참여 수단이나 고유의 영역으로 정의되면서 지식인 친화성을 강하게 띠었다. 90년대 중반에 비판적 문화연구가 등장하면서 `문화`는 현실의 다른 이름으로 정의되며 지식인이 비판적으로 분석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된다. 이때 문화연구자는 비판적 문화연구가 중국의 복잡한 현실을 해명할 유력한 이론적 방법론임을 내세운다. 이상의 세 가지 `문화` 개념은 현재 중국사상계에서 여전히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다. 전통연구자들의 `문화` 개념은 전통을 중국의 대내외적 이미지 강화에 활용하는 범국가적 시도에서 작동하고 있다. `간양`의 `문화`개념은 실용성과는 분리된 통합인문교육 실험의 근간이 된다. `문화`를 지식인으로부터 대상화한 문화연구는 현재 문화현상에 대한 연구와 해석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처럼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문화` 담론은 현실부응, 현실로부터의 독립성 유지, 현실비판의 지형을 형성했다. 여기에는 `문화` 개념에 대한 상이한 이해가 지식인의 다양한 현실대응에서 이론적 근거로 작동하고 있다. The concept of `Culture` became an important factor of new discourses in China`s 1980s. various conception and opinion on culture appeared in the process of "Culture boom" which is Intellectual movement for seeking new knowledge resources. In this time old generation scholars whose major is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insisted that Chinese traditional culture must be the core factor of China`s modernization. They revealed that their purpose was the revival of Chinese nation. In the other side young generation scholar Gan Yang whose major is Hermeneutik criticized this opinion. He considered `culture` as intellectual`s unique space independent of society, and space for producing critical logic. And he said culture must not participate in social act quickly. In this dispute, one regard culture as intellectual`s utility to help the national development, the other regarded as the core factor of intellectual`s identity. Third view proposed by theorists of Chinese cultural studies. In this, culture is considered as the object of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Theorists of Chinese cultural studies insisted that cultural studies can reveal the essence of China`s social regime, and criticized that theories of 1980s and 1990s have no ability to interpret reality of post-socialist China. Now, the emphasis on tradition became the basic of constructing unified system of cultural China, and Ganyang`s view developed to be the logical basic of his general education experiment. Like this the conflicting view of culture influence to the formation different intellectual discourses, including cultural studies. In summary, multiple discourses of `Culture` is a theoric basic of the multiple response to social phenomena of intellectuals in post-socialist China.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전통 지식인의 고뇌 - 金文鈺의 傳 연구 -

        정길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인문학연구 Vol.0 No.40

        Hyodang曉堂 Kim Moon-ok金文鈺(1901~1960) is known as the last Confucian scholar in Honam湖南. I researched all of his biographical literature(jeon傳) in Hyodang-jib曉堂集, his collection of works. His biographical literature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1) Hyeonsan-Yigong-gajeon玄山李公家傳(a biography of Yi Hyeon-Kyu李玄圭), Changgye-Kimgong-gajeon滄溪金公家傳(a biography of Kim Soo金銖): Portraits of an outdated intellectual who encountered the gloomy modern times.. 2) Kimsagwa-jeon金司果傳(a biography of Kim Ji-ho金志浩), Ahnuijang-jeon安義將傳(a biography of Ahn Kyu-hong安圭洪): Portraits of an righteous perso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3) Hoesan-Hwangyuin-jeon檜山黃孺人傳, Yissiyangse-samyuin-gajeon李氏兩世三孺人家傳, Hanmo-Simyuin-jeon韓母沈孺人傳: Portraits of women who were loyal to traditional values. All of Kim Moon-ok's jeon contain worries of the outdated intellectuals who were confused in their valu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曉堂 金文鈺(1901~1960)은 ‘호남의 마지막 유학자’로 알려져 있다. 김문옥의 문집인 『曉堂集』에는 학자로서의 면모 이상으로 ‘文人’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이 상당수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그 중 傳 작품 전체, 곧 「玄山李公家傳」, 「滄溪金公家傳」, 「金司果傳」, 「安義將傳」, 「檜山黃孺人傳」, 「李氏兩世三孺人家傳」, 「韓母沈孺人傳」을 살펴보았다. 일곱 편의 傳은 크게 셋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玄山李公家傳」과 「滄溪金公家傳」은 전통 漢學 교육을 받은 지식인으로서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近代와 맞닥뜨려야 했던 ‘舊時代 지식인’의 초상을 그린 작품이다. 「金司果傳」과 「安義將傳」은 日帝의 폭압에 저항했던 義人의 면모를 그려낸 작품이다. 「檜山黃孺人傳」, 「李氏兩世三孺人家傳」, 「韓母沈孺人傳」은 ‘가문의식’을 비롯한 전통 시대의 가치관에 충실했던 여성들의 고단한 삶과 작은 성취를 그려낸 작품이다. 김문옥의 傳은 立傳 대상의 행적을 그리는 ‘本事’에서 객관적이고 간결한 서술로 일관하고, ‘論贊’에 서술자의 판단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傳의 일반적인 특징을 공유하되, ‘本事’의 기술이 통상적인 수준 이상으로 사실 전달 자체에 치중되어 있다. 문장 수식이 극도로 배제되어 서사적 흥미가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이 점 ‘因文求道’라는 생각에 입각한, 의도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세 부류의 작품들에서 김문옥은 선비로서의 자존심을 지켜 내고자 했던 선배 지식인에 대해서는 존경의 시선을 보내며 그들의 불운을 안타까워했고, 목숨을 걸고 불의에 항거했던 義人에 대해서는 그 기개와 충정을 선양하고자 했으며, 위기에 처한 가문을 보전한 여성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정성과 성취를 높이 평가했다. 전통 지식인의 고뇌와 의인의 저항에 초점을 맞춘 앞의 두 부류 못지않게 여성을 입전한 세 작품 역시 시대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적으로는 고난을 참고 살아남아 가문을 보전한 여성들의 공로를 기리는 내용이지만, 그 이면에 자신이 배워 온 가치가 흔들리고 나라를 상실한 자리에 선 전통 지식인의 고민이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일제강점기 전통 지식인의 고뇌 -김문옥(金文鈺)의 전(傳) 연구-

        정길수 ( Kil Soo Chu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인문학연구 Vol.0 No.40

        曉堂 金文鈺(1901~1960)은 ``호남의 마지막 유학자``로 알려져 있다. 김문옥의 문집인 『曉堂集』에는 학자로서의 면모 이상으로 ``文人``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이 상당수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그 중 傳작품 전체, 곧 「玄山李公家傳」, 「滄溪金公家傳」, 「金司果傳」, 「安義將傳」, 「檜山黃孺人傳」, 「李氏兩世三孺人家傳」, 「韓母沈孺人傳」을 살펴보았다. 일곱 편의 傳은 크게 셋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玄山李公家傳」과 「滄溪金公家傳」은 전통 漢學교육을 받은 지식인으로서 ``일제강점기``라는 암울한 近代와 맞닥뜨려야 했던 ``舊時代지식인``의 초상을 그린 작품이다. 「金司果傳」과 「安義將傳」은 日帝의 폭압에 저항했던 義人의 면모를 그려낸 작품이다. 「檜山黃孺人傳」, 「李氏兩世三孺人家傳」, 「韓母沈孺人傳」은 ``가문의식``을 비롯한 전통 시대의 가치관에 충실했던 여성들의 고단한 삶과 작은 성취를 그려낸 작품이다. 김문옥의 傳은 立傳대상의 행적을 그리는 ``本事``에서 객관적이고 간결한 서술로 일관하고, ``論贊``에 서술자의 판단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傳의 일반적인 특징을 공유하되, ``本事``의 기술이 통상적인 수준 이상으로 사실 전달 자체에 치중되어 있다. 문장 수식이 극도로 배제되어 서사적 흥미가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이 점 ``因文求道``라는 생각에 입각한, 의도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세 부류의 작품들에서 김문옥은 선비로서의 자존심을 지켜 내고자 했던 선배 지식인에 대해서는 존경의 시선을 보내며 그들의 불운을 안타까워했고, 목숨을 걸고 불의에 항거했던 義人에 대해서는 그 기개와 충정을 선양하고자 했으며, 위기에 처한 가문을 보전한 여성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정성과 성취를 높이 평가했다. 전통 지식인의 고뇌와 의인의 저항에 초점을 맞춘 앞의 두 부류 못지않게 여성을 입전한 세 작품 역시 시대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적으로는 고난을 참고 살아남아 가문을 보전한 여성들의 공로를 기리는 내용이지만, 그 이면에 자신이 배워 온 가치가 흔들리고 나라를 상실한 자리에 선 전통 지식인의 고민이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Hyodang曉堂 Kim Moon-ok金文鈺(1901~1960) is known as the last Confucian scholar in Honam湖南. I researched all of his biographical literature(jeon傳) in Hyodang-jib曉堂集, his collection of works. His biographical literature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1) Hyeonsan-Yigong-gajeon玄山李公家傳(a biography of Yi Hyeon-Kyu 李玄圭), Changgye-Kimgong-gajeon滄溪金公家傳(a biography of Kim Soo金銖): Portraits of an outdated intellectual who encountered the gloomy modern times. 2) Kimsagwa-jeon金司果傳(a biography of Kim Ji-ho金志浩), Ahnuijang -jeon安義將傳(a biography of Ahn Kyu-hong安圭洪): Portraits of an righteous perso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3) Hoesan-Hwangyuin-jeon檜山黃孺人傳, Yissiyangse-samyuin-gajeon 李氏兩世三孺人家傳, Hanmo-Simyuin-jeon韓母沈孺人傳: Portraits of women who were loyal to traditional values. All of Kim Moon-ok`s jeon contain worries of the outdated intellectuals who were confused in their valu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KCI등재후보

        서구 ‘소가정’ 모델과 1920년대 중국의 대가족 담론

        김미란(Kim Mi ra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7 문화연구 Vol.5 No.1

        1920년대 초 오사 시기 신지식인들은 근대와 전근대의 가정형태는 다르다는 이분법적 전제하에 근대 문명의 성과가 소가정이라고 보고 전통적인 중국의 대가정을 해체하여 부모-자녀 2세대로 이루어진 소가정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소가정을 이루기 위해 ‘야만적’인 낙태를 해서는 안 되며 과학적이고 문명적인 ‘피임’을 해야 한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소가정 담론생산과정에는 ‘대가정’에 대한 신시식인들의 개념상의 ‘오독’이 발견된다. 신지식인들이 비판한 전통대가정의 실제 지칭대상은 ‘혈연을 중심으로 윗세대는 물론이고 같은 항렬의 형제가 동거하는 형태’의 중국의 복합가정이었던 반면, 이들이 수용한 서구의 ‘대가정’은 산업화 시기를 거친 후 프롤레타리아가정에서 ‘다산’을 통해 만들어진 다자녀 가정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행성면에서 볼 때, 오독을 통해 신지식인들은 전통을 ‘선진 근대 문명’이라는 관점에서 철저히 공격할 수 있었다고 보이며 이러한 ‘창의적’ 오독의 근저에는 ‘중국=인구과잉=대가정=야만’이라는 문명론적 인식틀이 놓여 있었다. 즉, 서구의 산아제한론자들이 ‘무절제하게 연달아 낳은 프롤레타리아 대가정’을 문명 이전의 야만이라고 비판한 것과 동일한 ‘문명론’적 프레임에 입각하여 신지식인들은 ‘전통대가정’을 소가정 이전의 야만적 형태라고 비판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At the time of the May Fourth Movement in the early 1920s, the Chinese new intellectuals regarded a nuclear family as the achievement of modern civilization and claimed that a traditional big family should be dissolved to construct a nuclear family on the premise of dichotomy that the form of modern family is different from that of premodern. They thought that ‘uncivilized’ abortion should not be done while civilized ‘contraception’ should be practiced to make a nuclear family. In this process of producing nuclear family discourse, the conceptional ‘misinterpretation’ of ‘big family’ by the new intellectuals has been found. The traditional big family criticized by the new intellectuals was actually Chinese compound family in which parents and siblings live together under the blood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western ‘big family’ accepted by them was a multi-child household that resulted from fecundity in proletarian homes through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But, in terms of performativity, it seems that the new intellectuals could thoroughly attack the tradition through the mis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dvanced modern civilization.’ The civilizatory frame of ‘China=overpopulation=big family=barbarism’ formed the basis of this ‘creative’ mis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e new intellectuals had a critical manner that ‘traditional big family’ is the uncivilized form prior to nuclear family based upon the same ‘civilizatory frame’ that the western advocates of birth control criticized ‘proletarian big family’ as barbarism before civilization.

      • KCI등재

        국권상실 이후 주변부 전통지식인 曺兢燮의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

        전송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5 No.-

        This paper examines the letters exchanged between Cho, Geung-sup and Kim, Taek-young. And in the process,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o examine Cho's perception of reality and its response. Kim, Taek-young compiled a book about the history, sentences, and figures of Joseon. And sent it to Cho, Geung-sup. Cho, Geung-sup corrected the book and wrote a foreword. They shared the importance of recording history, sentences, and characters.That's why they worked hard on writing. This is also the reason for reviewing the discussion on Cho, Geung-sup. He must be reevaluated as a man who attempted to build Joseon in the situation of losing his country. 본고는 심재 조긍섭이 창강 김택영과 주고받은 서찰을 살펴봄으로써 두 사람의 교유양상의 구체적인 면모를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심재 조긍섭의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재는 영남의 전통지식인으로 줄곧 영남에서 학문과 강학활동을 이어가던 중 창강과 교유를 맺게 된다. 교유를 시작한 이후 두 사람은 여러 차례 편지를 주고받았는데, 대부분은 창강이 당시 출간한 서적과 관련된 것이었다. 창강은 자신이 편찬한 서적을 심재에게 보내왔고 심재는 그 서적들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창강에게 전했다. 두 사람은 文史哲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토론을 이어갔으며, 그 결과는 창강의 저술에 적지 않게 반영되었다. 그러나 당시 창강이 저술한 역사서가 조선의 유림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어나며 심재의 주변 인물들은 심재가 창강과 가깝게 지내는 것을 우려했다. 그럼에도 심재는 창강이 편찬한 서적에 서문을 쓰고 교열을 하며 창강의 출판활동에 참여했다. 그것은 나라를 잃은 지식인으로써 역사와 문장 그리고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흔적을 정리하는 작업의 필요성을 깊이 공감했기 때문이다. 창강의 서술이 자신의 이념적 근간을 흔드는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변호했던 까닭이기도 하다. 그러한 지점은 심재에 대한 논의가 중세의 전통을 지킨 ‘守舊’적 태도의 지식인이라는 틀을 벗어나 국권을 상실한 상황에서 조선의 것을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시대를 모색하고자 했던 지식인으로서 심재의 자취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그 과정은 심재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근대 전환기 지식인과 당대 현실에 대한 다채로운 모습을 세밀히 재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杜詩를 향한 근대 지식인들의 시선― 1900년~1940년대를 중심으로

        최석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terpretation and perception of modern writers about dushi (杜詩).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full survey of relevant materials published fromm 1900 to 1949. As a result, the relevant data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1) biographical data and books 2) literary selection 3) chronology and annotation 4) 雜記 etc. In this study, I have collected and reviewed the relevant data, and I will publish the results in a paper later.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I have been identifi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pretations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times about dushi (杜詩). Through this,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literary concepts of modern intellectuals, identify the charactistics of the times that are in the modern era. 본 연구는 20세기 초반에 해당하는 1900년부터 1949년까지 杜甫 시에 대한 근대 문인들의 해석과 인식을 고찰하였다. 20세기 초 중국 사회는 그간 유지되었던 봉건 왕조의 폐해를 극복하고, 서양의 과학기술을 수용함과 동시에 새로운 중국 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던 시기라고 하겠다. 문학의 영역에서도 예외는 아닌데, 본 연구는 근대 이후 문인들의 전통 문학에 대한 해석과 인식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杜詩는 전통 시기 문인들에게 시학의 전범으로 인식되었다. 이는 비단 杜詩가 지니고 있는 예술적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憂國愛民’이라는 유교적 가치관의 투영이 함께 어우러진 결과라고 하겠다. 그렇다면, 근대 이후 지식인들에게 杜甫의 시는 어떻게 받아들여졌을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음에서 출발하고자 하였다. 이는 곧 21세기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杜甫의 시, 더 나아가서는 중국 고전 시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대답을 내려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20세기 초 杜甫 시에 대한 전문적인 저작에 대한 문헌 정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00년부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까지 시기에 해당하는 자료(논문, 저서를 중심으로)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이를 통해 전통 시기 문인들과는 다른 근대 지식인들의 杜詩에 대한 해석과 관점에 대해 규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근대 문인들의 杜詩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해 근대라는 시기적 속성과 지식인들의 문학 의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