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용화사(龍華寺) 묵담유물관(默潭遺物館) 소장(所藏) 고전적(古典籍) 고찰(考察)

        윤동원 ( Dongwon Yun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6 디지틀 도서관 Vol.84 No.-

        분석 결과 주제별 분석에서 經部에는 승려들이 처음 입문했을 때 필요한 전적으로 한자 학습서가 많이 소장되어 있으며, 史部에는 사찰의 事蹟이 많이 소장되어 있다. 子部의 석가류에는 看話禪과 관련된 전적을 비롯한 禪籍이 많이 소장되어 있었다. 또한 신앙, 의례와 관련된 전적도 많았다. 집부에는 승려와 유가의 문집이 많이 소장되어 있었다. 소장된 전적의 간행시기는 대부분이 17세기에서 20세기에 간행된 전적들이다. 귀중서에 해당되는 임란이전에 간행된 전적은 12종이었다. 간행지는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에서 간행된 전적은 62종, 일본에서 간행된 전적이 3종이었다. 소장 전적의 간행처는 대부분이 사찰에서 간행된 전적이 많았다. 묵담유물관에 소장된 전적은 대부분이 17세기 이후에 간행된 불교전적으로 사찰에서 간행된 전적이 많이 소장되어 있었다. An analysis of the subjects of the books housed by the Mukdam Museum at the Yonghwasa Temple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religious part of books includes those needed for Buddhist monks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ir training, and those necessary for learning Chinese letters. The historical books contain records of events at temples. The books about great minds involve those about zen (thinking in serenity) including books about Buddha himself related to the thinking of topics while regarding the void. It also includes many books about faith and rituals. Referring to the time of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most of them were published between the 17th century and the 20th century. Twelve books, which are regarded as valuable, were published before the Imjin Waeran,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The places where they published the books were scattered all across the country. Sixty two books were published in China, and three were in Japan. Many of the books housed by the Mukdam Museum were Buddhist ones, which were published by temples in and after the 17th century.

      • KCI등재

        웅치ㆍ이치전적지의 범위와 관리 현황

        하태규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이 글은 임진왜란 초기 전라도를 침공하던 왜군을 물리침으로써 호남을 지키고 나아고 호남이 나라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던 웅치와 이치전적지의 범위를 설정하고, 현재 그 현황과 관리 실태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웅치전투는 진안으로부터 전주를 공격해 오는 왜군을 막아 싸웠던 전투였다. 따라서 웅치전적지의 범위는 웅치 일원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이 영역 안에 위치한 웅치, 덕봉길, 적천치 등 세 개의 고개길을 중심으로 각각의 지구별 전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현재 웅치 일원의 세 개의 고개에는 옛날에 넘어 다니던 길의 형태가 많이 남아 있는데, 특히, 덕봉길에는 임진왜란과 관련된 지명, 성황당 돌무더기, 토성 추정지, 전사자 무덤으로 추정되는 지형, 그리고 진지지형으로 추정되는 지형이 남아 있어 이 곳이 웅치전투의 주 전투 지역었음을 짐작케 한다. 웅치전적지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25호로 지정되었으며, 웅치 정상 부근에 웅치전적비를 세웠다. 그러나 문화재 구역의 범위 설정의 오류로 인하여 대부분의 전적지 지역이 문화재 구역에 포함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전적지에 해당하는 웅치 영로의 대부분이 관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상당 부분이 농경지 개간, 임산 자원 개발, 광산개발로 활용되면서 그 원형이 크게 변형된 채 방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치는 현재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와 충청북도 금산군 진산면 묵산리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이지만, 조선시대에는 전라도 진산과 전주 월경지의 경계였다. 이치 전투는 금산을 점령한 왜군이 진산을 거쳐 전주 방면으로 공격해 오던 왜군을 물리친 싸움이다. 따라서 이치전적지의 범위는 이이 영로 주변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주 전투는 묵산리 쪽 고개 아래로부터 이치 정상에 이르는 고갯길과 그 주변일대에서 전개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이 지역에는 임진왜란 전투와 관련된 직접적인 유적은 전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치 정상 양쪽 일부 구간에 이치 옛길의 형태가 비교적 양호하게 남아 있다. 전라북도에서는 이치전적지를 전라북도 기념물 제26호로 지정하였고, 충청남도에서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154호로 지정하여 관리하여 오고 있다. 하지만, 양 도에서 지정한 전적지의 범위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고개 정상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전적지가 문화재 지정 범위에서 벗어나 있고, 이에 따라 문화재로서 전적지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결국 하나의 전적지를 전북과 충남이 별개의 전적지로 설정하여 지방문화재로 지정하여 관리하여 오고 있다. 그런데 더 심각한 문제는 양도에서 지정한 문화재구역이 문화재로 지정하고 그것을 표시하거나 기념시설을 건립한 지역을 전적지로 지정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치전적지로 지정된 문화재구역은 이치 전적지의 범위 밖에 해당한 곳이다. 따라서 실제 이치전적지에 해당하는 이치의 영로 부분은 전적지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고, 이에 따라 관리도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웅치・이치전적지는 문화재의 지정 범위 설정이 잘못되어 있어 역사유적지로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웅치・이치전적지의 국가 지정 사적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리적 조건과 전투상황을 고려하여 전적지의 범위를 올바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cope of the battleground at Ungchi and Ichi and to examine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status, which were the decisive occasions for Honam to save the country and to save Honam from the enemy by defeating the Japanese invaders who invaded Jeolla-do in the early years of Imjinwaeran. The Ungchi battle was a battle that fought against Jeonju from Jinan. Therefore, the scope of the Ungchi Battleground can be set as a Ungchi area, and each district can be set up around each of the three main roads, such as Unchi, Deokbong-gil, and Jeokcheonchi, which are located in this area. At present, there are many forms of roads that passed over in old days in three mountain heads of Ungchi battle. Especially, Deokbong-gil makes many guesses that it was the main battle area of the Ungchi battle because there are traces left such as nominal names related to the Imjinwaeran, pile of rocks of shrine to the village deity, estimated area of earthen fortifications, estimated area of the grave of person killed in battle, estimated area of military camp. The battleground at Ungchi was designated as Jeollabuk-do monument No. 26, and the monument for Ungchi battle was built in the vicinity of the summit of Ungchi. However, due to the error in the setting of the cultural property area, most of the settlement area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cultural property zone. As a result, most of the Ungchi moving troops are not managed and much of it is being used as agricultural land clearing, forest resource development, and mining development. So, the original shape is largely deformed and left untouched. Ichi is the head of the boundary between Sanbukri in Unju-myeon, Wanju-gun, Jeollabuk-do, and Muksan-ri in Jamsan-myeon, Geumsan-gun, Chungcheongbuk-do. However,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the boundary between Jinsan in Jeolla-do and wolgyeongji(land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region) of Jeonju. The Ichi battle is a battle that destroyed the Japanese invaders who had occupied Geumsan attacked Jinsan and then attacked Jeonju. Therefore, the scope of the battleground at ichi can be set to the moving troops surrounding this zone. However, it is presumed that the main battle was deployed in the vicinity of the Muksan-ri headquarters to the top of Ichi and the surrounding area. Currently, there are no direct relics related to the Battle of Imjinwaeran in this area. However, the shape of the old road remains fairly good in some sections of both sides of the top of Ichi. In Jeollabuk-do, the battleground at ichi was designated as Jeollabuk-do monument No. 26. In Chungcheongnam-do, it is designated as the Chungcheongnam-do Monument No. 154 and managed. However,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s in the scope of the battleground specified on both sides, most of the battleground except for the top of the head are out of the range of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Therefore, it is not properly managed as a cultural property. In the end, Jeonbuk and Chungnam have designated a battleground as a separate battleground and designated it as a local cultural property. The more serious problem, however, is that the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rea has been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and the area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has been designated as battleground. Therefore, the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rea is located outside the scope of the battleground at ichi. In other words, the part of the moving troops that corresponds to the real battleground at Ichi is out of the scope of the battleground at Ichi, and thus the real battleground at Ichi is not managed at all. As mentioned above, the Battleground at Ungchi and Ichi are not properly managed as historical sites because the designated scope of cultural properties is wrong.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privatiz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of the Battleground at Ungchi and Ichi, it is first necessary to properly define the scope of the battleground considering geographical conditions and combat situations.

      • 古代韓國에 있어서 漢籍․佛典의 傳來와 受容에 대하여

        南豊鉉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보 Vol.0 No.31

        우리나라의 典籍의 實物은 통일신라시대의 佛經 4種이 전해올 뿐 그 이전의 것은 전하는 것이 없다. 그러나 중국과 우리나라의 史書에는 각 시대마다 典籍에 대한 기록이 적지 않게 올라 있다. 이 글은 그 기록들을 總括해 보고자 한 것이다. 우리 先人들이 중국과 접촉한 기록은 紀元前 12세기의 箕子東來說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후 衛滿朝鮮, 漢四郡을 거치는 동안에 많은 중국의 流亡人들이 중국의 동북방과 韓半島에 들어왔으니 그들의 문화와 함께 典籍들도 들어 왔을 것이다. 高句麗는 小獸林王2年(372)에 大學을 세웠고 또 佛敎가 들어왔다. 大學의 設立은 그 이전에 많은 典籍이 들어 왔음을 말하는 것이다. 漢籍에는 五經, 三史, 三國志, 晉陽秋, 三國志, 孫盛晉春秋, 玉篇, 字統, 字林, 文選, 老子道德經이 있었고 書體에 관한 기록이 있다. ?堂을 세워 자제들에게 漢籍을 교육하였고 600년에는 歷史書 ‘留記’를 新集5卷으로 편수하였다. 佛敎는 三論宗이 盛했고 華嚴, 唯識思想, 小乘, 天台, 涅槃宗이 있었으며 日本에 三論을 傳하였으니 이 계통의 佛典이 전래되었다. 百濟는 375년에 高興이 書記를 편찬하였다. 中國史書에는 五經, 子, 史, 道家書와 易林, 式占, 墳史, 醫藥, 卜筮, 占相術, 天文地理, 遁甲術의 書冊이 있었고 百濟가 講禮博士, 毛詩博士를 求했다는 기록이 있다. 日本에 論語, 千字文을 전했고 五經, 曆, 醫의 博士와 採藥士 등을 보냈다. 佛典은 印度에서 梵本 阿毘曇藏과 五部律文을 들여다 번역하였고 天台宗, 華嚴學, 三論學, 唯識學이 있었다. 新羅는 545년에 居柒夫가 國史를 편찬하였다. 이 무렵에 詩, 書, 禮, 左傳, 老子가 있었고 隋書에는 文字와 甲兵이 중국과 같다고 하였다. 7세기에는 溫湯碑文, 晉祠碑文, 新撰 晉書, 孝經, 曲禮, 爾雅, 文選, 莊子, 老子등이 史書에 올라 있다. 眞德王5년(651)에는 國學의 실무자로 大舍를 두었다. 佛敎는 佛典과 함께 5세기에 이미 들어왔다. 565년에는 釋氏經論 1700여권이 들어왔고 慈藏이 唐에서 돌아올 때 藏經一部를 가지고 와 經卷이 모두 갖추어졌다. 小乘律과 大乘律이 함께 들어왔고 大乘經典, 三論宗, 涅槃宗, 天台宗, 攝論宗, 唯識學, 密敎의 經典이 들어왔다. 統一新羅 時代에 들어와 682년에 國學을 세워 周易, 尙書, 毛詩, 禮記, 春秋左氏傳, 文選, 論語, 孝經, 諸子百家書, 算學(綴經, 三開, 九章, 六章)을 가르쳤다. 686년에는 則天이 吉凶要禮, 文館詞林의 規戒가 되는 50권을 보냈다. 7세기 후반에는 本草甲乙經, 素問 針經, 脈經, 明堂經, 難經을 敎授하였다. 737년경에는 새로 편찬된 老子道德經이 들어왔고 景德王 때에는 天文博士, 漏刻博士, 律令博士를 두었다. 金生은 대표적인 書藝家였다. 이 시대에는 중국에서 번역된 佛經과 論疏가 거의 다 수입되어 중국에 가지 않고도 經學을 연구할 수가 있어 많은 論疏가 전한다. 元曉는 현재 90여종 180권 이상의 論疏를 저술한 기록이 있다. 義湘은 海東華嚴宗의 開祖로 十大弟子를 길러냈고 法藏이 보내온 著述을 검토하였다. 憬興은 法相宗의 學僧으로 그의 著述이 39部 259卷이 현재 조사되어 있다. 이밖에 順璟, 義寂, 道證, 太賢, 表員, 審祥 등이 저술을 남기어 日本의 正倉院의 고문서의 기록에 올라 있다. 儒學과 佛敎에 따른 典籍의 수입은 고대의 國家體制를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들이 수입되면서 그를 이해하기 위한 많은 論疏가 지어졌고 한편으로는 우리말로 해석하기 위한 釋讀口訣이 발달하였다. 한문의 釋讀法은 삼국시대에 이미 발달하여 삼국통일前後에는 그 口訣의 吐가 확립되었다. Just only 4 Buddhist scriptures of unified Silla(統一新羅時代) were handed down, the former times Classical Books in Korea are not exist. But according to chinese history books and korean history books, records of classical books are occasionally found. This study is to integrate the records. Dae-hak(大學) was built and Buddhism was brought in Goguryeo(高句麗) Dynasty in 372. People of Goguryeo(高句麗) imported books from China. There were Five Classics(五經), 三史, 三國志, 晉陽秋, 孫盛晉春秋, 玉篇, 字統, 字林, 文選 and 老子道德經 among those. Rue-gi(留記) which was history book was made compilation in 600. Seo-gi(書記) was made compilation in Bakje(百濟) Dynasty in 375. There were Five Classics(五經), 子, 史, 道家書, 易林, 式占, 墳史, 醫藥, 卜筮, 占相術, 天文地理 and 遁甲術. There is a record that Bakje(百濟) have asked for 講禮博士, 毛詩博士. Bakje(百濟) sent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the Thousand-Character Text (千字文) to Japan. In 545, 居柒夫 made compilation Guk-sa(國史) in Silla(新羅) Dynasty. In those days, There were 詩, 書, 禮, 左傳, 老子. In 7C, 溫湯碑文, 晉祠碑文, 新撰晉書, 孝經, 曲禮, 爾雅, 文選, 莊子, 老子 were recorded in History Book(史書). Buddhism(佛敎) was already introduced with Buddhist Books in 5C. In 565, 1700 volumes of 釋氏經論 were imported. In unified Silla(統一新羅時代), Guk-hak(國學) was established in 682. 周易, 尙書, 毛詩, 禮記, 春秋左氏傳, 文選, 論語, 孝經, 諸子百家書, 算學 were taught in there. In King Gyungduk(景德王), there were 天文博士, 漏刻博士, 律令博士. As almost Buddhist Books translated in China were introduced and it was possible to study 經學 without going to China, there were many comment studies. 元曉 義湘 憬興 順璟, 義寂, 道證, 太賢, 表員, 審祥 were famous scholar who left many comment studies. Importation of Books accompany with the flourish of Confucianism(儒學) and Buddhism(佛敎) contribute to building of ancient nationality. Many comment studie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se imported books. On the other hand, 釋讀口訣 was developed to interpret the meaning.

      • KCI등재

        웅치ㆍ이치 전적지 활용방안 및 콘텐츠 구축 방향

        홍성덕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임진왜란 당시 전라도의 위상과 역할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고는 웅치ㆍ이치 전투지의 활용과 콘텐츠 구축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문화재로 지정된 전적지는 총 13개소이다. 이중 임진왜란 전적지가 7개소이다. 이치전적지는 중복 지정되었으므로 전투지는 6개소이다. 전적지의 정비활용은 기본적으로 기념물(기념비, 기념탑)의 조성, 사당의 건립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전적지의 특성상 전투에서 순국한 관군ㆍ의병을 추념하거나 추도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승리와 패배 여부를 떠나 전적지 활용은 ‘순국’의 의미 때문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승리한 전투의 경우 축제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전적지는 엄숙한 제향의례에 머물러 있다. 공간 조성 역시 순국의 상징(기념비, 탑)과 제향을 수행하는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웅치ㆍ이치 전적지는 활용과 콘텐츠 구축을 시행하기 힘든 선행 조건을 가지고 있다. 전적지 위치 비정 오류, 활용을 위한 연계성 확보의 어려움, 제한적인 스토리 개발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웅치ㆍ이치 전적지의 권역 확정, 지속적인 학술연구 추진과 학문적 검증이 필요하다. 아울러 웅치ㆍ이치 전적지 활용 기본계획 수립과 도ㆍ시군간의 연계협력망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웅치ㆍ이치 전적지의 경우 전적지를 관할하는 자치단체가 완주군과 진안군, 금산군 등으로 나뉘어져 있어 전라북도ㆍ충청남도와 완주군ㆍ진안군ㆍ금산군 등의 유기적인 협력 의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웅치ㆍ이치 전적지의 활용과 콘텐츠 구축을 위해 시행할 수 있는 사업으로 ① ‘호남 국가보장론’의 비전 설정, ② 임진왜란 때 전라도 역할론의 인식 확산, ③ ‘호남 국가보장론’ 상징 사업으로 ‘若無湖南 是無國家’ 비의 건립과 디지털 콘텐츠 보급, ④ 호국루트 개발, ⑤ 전라북도 임진ㆍ정유왜란 자료조사, ⑥ 이치전적지 추모사업 공동개최, ⑦ 전투 스토리 조사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문화재의 활용과 콘텐츠 구축의 성공은 역사적 사실의 확인과 대중에 맞는 활용방안의 강구, 미래유산으로서의 정체성 비전 설정 등이 갖추어져 있을 때 가능하다. The statuses and roles of Jeollabuk-do in the times of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ave not been known as much. This paper suggests basic directions on how to use the historic battlefields such as Ungchi and Ichi, and to develop and collect their contents. Battlefields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in Korea are 13 in total. Among these, seven sites belong to Imjinwaeran. However, as Ichi Battlefield has been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twice, the number of battlefields is six. A common fact among them is that memorials, monuments and shrines were built to maintain and honor them. This is because they are the special places where descendants commemorate the soldiers and volunteers who died for their country in the battlefields. In cases of victory, the battlefields can be the place of festivals, but most of them serve solemn rituals to honor their sacrifice. In case of Ungchi and Ichi battlefields, they don't have good essential prerequisites to develop any contents to be used. The reasons are difficulty in designating specific spots, securing any connections for use, and limited stories. Thu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ange of the two battlefields with consistent academic studies and verification. Further, basic plans to use the battlefields and collaborative networks between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other cities and counties should be prepared and constructed in advance. Despite those limits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are the primary projects that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and use of Ungchi and Ichi battlefields: ① specific explanation on the theory that 'Historically Honam area has kept Korea'; ② expansion of the theory that Honam played great roles during the Imjinwaeran period; ③ The monument where 'Without Honam, There Is No Country' will be written should be built as a symbolic project of 'Historically Honam has kept Korea' and, further, digit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and spread; ④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routes defending the country; ⑤excavation of data of Imjinwaeran and Jeongyuj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1597) in Jeollabuk-do; ⑥ co-hosting memorial projects of Ichi Historic Battlefield, ⑦ investigation of stories related to the two battlefields. For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 and construction of contents 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o verify historical facts and to develop the way to use them meeting the needs of people, and to establish the vision of its identity as an important heritage of oru future.

      • 학술연구 : 미국(美國) 하버드대학 옌칭도서관(圖書館) 한국본(韓國本) 고전적(古典籍) 고찰(考察)

        윤동원 ( Dongwon Yun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4 디지틀 도서관 Vol.76 No.-

        본 연구는 미국으로 유출된 전적 중 하버드대학 옌칭도서관에 소장된 한국본 전적을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 주제별 분석에서는 왕정정치에 필요했던 史部전적이 207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중 族譜, 榜目, 戶籍臺帳, 實紀類가 많았다. 자부에는 불교전적이 집부에는 소설류, 개인문집이 많았으며, 소설류는 모두 근대에 간행된 딱지본 및 한글본이 많았다. 귀중서에 해당되는 임란이전에 간행된 전적은 13종이며, 전적의 대부분이 19세기에서 20세기에 이후에 간행된 전적들이었다. 간행지 및 간행처가 명확히 밝혀진 전적은 50여종 이었다. 開刊된 전적은 최초의 간행본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매우 크다 하겠다. 개간된 전적은 8종이었다. 판본별 분석에서는 필사본이 406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傳存여부를 파악해 본 결과 전존되지 않는 전적은 60종이었다. 그러나 필사본을 포한한다면 466종으로 94.9%를 차지하고 있다. 이제 해외에 산재되어 있는 우리의 전적을 제대로 발굴하고 세계화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일은 반출된 한국 전적의 반환운동과 함께 전적의 수집은 보다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그 첫 단계로 소장 국가의 우리 전적에 대해 심도 깊게 파악하고 양측이 모두 합리적인 방향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협정을 맺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analyzed old books printed in Korea but housed by the Harvard-Yenching Library in the USA. Referring to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of these books, history books account for the majority: there are 207 kinds of history books which record kings’ reign. They also include family genealogies, registers of those who passed the national exams, family registers, and practical writings. As for books about philosophies and religions, those on Buddhism take the largest portion. With regards to literary books, novels and individual anthologies occupy the majority. Many of the novels are found to be mostly movable print books and written in Korean. There are thirteen kinds of valuable books, which were published before the Imjin Waeran (the Japanese Invasion in 1492). Most of the books surveyed are found to have been publish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There are about fifty kinds of journals and books whose publishers are clearly known. First issued journal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were the first journals published. There are eight kinds of first issued journals. Referring to the analysis of printing types, there are forty six kinds of hand-written book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A search of their existence in Korea indicates that sixty kinds of these books no longer exist in Korea. However, including hand-written books, the number of kinds of books that are no longer found in Korea has increased to 466. These kinds of books account for 94.9%. When finding books which originally belonged to Korea, and making them known to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make a long-tern plan and promote a lasting campaign to restore and recollect them.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ttitudes of countries toward the books which keep those books originally owned by Korea, and to make efforts to reach an agreement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ose books in a reasonable way.

      • 프랑스 국립동양언어문화학원(國立東洋言語文化學院) 도서관(圖書館) 소장(所藏) 한국본(韓國本) 전적(典籍) 고찰(考察)

        윤동원 ( Dong Won Yun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4 디지틀 도서관 Vol.73 No.-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 국립동양언어문화학원 도서관에 소장된 한국전적을 분석해 보았다. 소장전적은 621종 1,369책으로 분석결과 주제별 분석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은 교육용 도서인 소학류 전적, 예의범절에 관한 전적, 사전류, 역사 지리서, 지도, 몽고어 등 언어에 관한 전적, 불교 전적, 그리고 외교 조약문과 프랑스는 한국의 천주교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聖書나 敎理에 관한 전적들도 많았다. 집부의 소설류들은 근세에 간행된 한글본 소설류들이었다. 간행연대의 분석에서는 18세기에서 19세기에 간행된 전적들이 대부분이었으며 귀중서에 해당되는 전적은 10종이었다. 개간된 전적은 4종이었다. 간행사항이 밝혀진 전적은 5종으로 매우 적은 편이었다. 판본별 분석에서는 목판본과 신식연활자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傳存되지 않는 전적은 364종이었다. 해외에 산재되어 있는 우리의 전적을 제대로 발굴하고 세계화시키 위해 한국 전적의 반환운동과 함께 전적의 수집은 보다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해외에 소장되어 있는 전적은 국내에 소장하고 있는 것보다 오히려 그 가치가 높은 것이 많고 국내에는 없는 희귀한 자료도 많았다. This study analyzes packets of Korean books housed by the librar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Oriental Languages and Civilizations in France. The packets of Korean books housed by the library are composed of 1369 Korean books of 621 kinds. These books deal with various subjects, including elementary educational books, etiquette books, dictionaries, historical and geographical books, maps, language books used for teaching languages like Mongolian, Buddhist books, diplomatic treaty books, and books about the Bible and Catholic principles as a result of the close relation of France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Novels which belong to the literature section are ones published in Korean during early modern times. Regarding the publication year, most of these books were published between the 18th century and the 19th century. There are ten kinds of the books that are regarded as valuable. Four kinds of the books were revised. Only five kinds of the books show the details of their publication, and this quantity is considered to be very small. Regarding the printing modes of these books, woodblock-printed books and books printed in a new mode of lead-type account for most of them. 364 kinds of the books cannot be found in Korea any longer. In order to locate books scattered across the world and make their existence known worldwide, we should promote a campaign of retrieving those books scattered outside Korea, and make a long-term plan to recollect them and put into practice the plan more consistently. Many of the Korean books housed by overseas institutions are likely to be more valuable than those housed by domestic ones. Many of them are thought to be rare materials that cannot be found in Korea.

      • KCI등재

        송대 천태 부흥의 시대적 배경 고찰

        임상목 ( Lim Sang-mo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62 No.0

        본 논문은 송대 천태 부흥의 시대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천태종은 담연(湛然)이 천태학을 부흥시킨 이후 당 말까지 어느 정도의 세력을 갖추었으나, 회창폐불(會昌廢佛)과 황소(黃巢)의 난을 겪으면서 침체기에 들어서면서 그 명맥만을 유지하였다. 당대 화엄종과 선종이 발흥 됨에 따라 천태종은 쇠퇴하였다. 천태종이 송대 이르러 부흥하기 전까지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오월국 전씨 일가의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전홍숙(錢弘俶, 948-978)은 직접적으로 천태학 부흥을 주도하였다. 특히 ‘동제사주(同除四住)’의 사건을 계기로 천태종은 전폭적인 지원을 받게 되었고, 천태 전적(典籍)의 정리와 수집의 필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전홍숙은 천태 전적의 수집과 재정비 사업을 적극 지원하였고, 이로 인하여 당대 천태 전적 수입을 통한 해외 교류가 활성화 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그 과정 중 의통(義通), 제관(諦觀)이 오월에 입국하여 천태교학을 전파하여 천태 부흥에 공헌하였다. 또한, 의통은 송대 천태 부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 지례(知禮)와 준식(遵式)을 배출하여 천태학을 중흥시키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천태종은 당말 오대를 지나면서 천태 교적을 산실하였고, 이후 천태종이 부흥하는 과정에서 산가파(山家派)와 산외파(山外派)로 분파되어 극심한 논쟁을 펼쳤다. 산가파와 산외파 논쟁은 천태 전적의 산실로부터 야기되었다. 분파는 천태종의 부흥을 이끌었고, 동시에 천태 전적 수집과 재정비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천태 전적 재정비에 대한 요구는 숭문(崇文) 정책과 학술 문화가 발전한 송대의 시대적 상황에 따라 결실을 맺었다. 자운준식이 천태 전적 재정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천태교수함목록(天台敎隨函目錄)』과 『천태교관목록(天台敎觀目錄)』을 편찬하였다. 두 천태 전적 목록은 천태 전적 재정비의 시대적 요구에 의해 편찬된 천태 전적을 중심으로 편찬된 목록이며, 두 천태 전적 목록은 송대 천태종 부흥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The Cheontaejong(天台宗) had a certain amount of power until the end of the Tang Dynasty after Dam-Yeon(湛然, 711-782) revived Cheontaejong, but it entered a period of stagnation due to Huichang Dharma-Persecution(會昌廢佛) and the Rebellion of Huang Xiao(黃巢之亂), and only maintained its existence. With the rise of Hwaeomjong(華嚴宗) and Seonjong(禪宗) in the Tang Dynasty, Cheontaejong declined. The Cheontaejong was able to maintain its existence until its revival in the Song Dynasty thanks to the support of the Jeon family of the Owol(吳越). Jeon Hong-suk(錢弘俶, 948-978) directly led the revival of Cheontaejong. In particular, with the incident of ‘Dongjesaju(同除四住)’, the Cheontaejong received full support, and the need to organize and collect Cheontae scriptures(典籍) began to emerge. We actively supported the collection and reorganization project of Cheontae scriptures, and overseas exchanges were activated through the import of Cheontae scriptures. During this process, Uitong(義通, 927-988) and Je-Gwan(諦觀) entered the country in Owol and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Cheontaejong by spreading Cheontae doctrine. In addition, Uito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viving Cheontaejong studies by repudiating Ji-Rye(知禮, 960-1028) and Jun-Sik(遵式, 964-1032),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revival of Cheontaejong during the Song Dynasty. As the Cheontaejong passed through the Owol at the end of the Tang Dynasty, the Cheontaejong lost Cheontae scriptures, and later, during the revival of the Cheontaejong, it split into the Sangapa(山家派) and the Sanwaepa(山外派), which led to intense controversy. The controversy between the Sangapa and the Sanwaepa arose from the birthplace of Cheontae scriptures. The sect led to the revival of the Cheontae sect, and at the same tim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once agai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and reorganizing the Cheontae Buddhist scriptures. The demand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Cheontae Buddhist came to fruition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Song Dynasty, when the policy of reverence and academic culture developed. Jun-sik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organizing the Cheontae scriptures and compiled 『Cheontae-gyosuham list(天台敎隨函目錄)』 and 『Cheontae -gyoguan List(天台敎觀目錄)』. The two Buddhist scripture lists were compile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times to reorganize the Cheontae scriptures, and the two Buddhist scripture list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evival of the Cheontae sect during the Song Dynasty.

      • KCI등재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에 소장된 조선전적(朝鮮典籍)에 대한 연구

        허경진,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6 No.-

        이 글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과 동방학연구소(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에 있는 조선전적에 대한 연구로, 전적들의 수집 과정, 총량, 연구할 가치가 높은 자료 등을 검토한 것이다. 러시아에 있는 조선전적은 모스크바 국립대학,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국립대학, 동방학연구소, 역사문화보관소, 카자흐스탄 국립도서관 등에 분산되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곳이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은 제정(帝政) 러시아 때의 황제대학(皇帝大學)으로, 조선으로 파견할 외교관 양성을 목적으로 19세기 말부터 조선어(朝鮮語)를 가르쳤다. 이때, 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이미 조선에 파견된 외교관들이 수시로 구매하여 이곳으로 보냈다. 그리고 동방학연구소는 러시아 학술아카데미의 주요 연구기관으로서, 조선어와 조선 문학의 특성을 연구할 목적으로 조선전적(朝鮮典籍)을 구매하여 소장하였다. 그 결과 현재 두 기관에는 대략 1,000책에 가까운 조선전적이 남아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에는 총 84종, 855책의 조선전적이 소장되어 있는데, 자료적 가치가 높은 것들은 대략 40여 종이다. 원래 한글로 작성된 것을 러시아어로 번역했던 개국오백사년팔월사변보고서 , 조선어를 가르치기 위해 교재로 사용했던 천자문 , 전운옥편 , 유합 , 고소설 토생전 , 삼국지(권3) 등이 중요한 것들이다. 동방학연구소에는 총 264종이 확인되는데,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다룬 책이 많았고 애스톤(Aston)과 뮐렌도르프(Möllendorff)가 소장하고 있었거나 수집했던 고소설을 소장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자료들 중에는 그들 조선어교사의 협조로 당시 세책점(貰冊店)에서 대여해주었던 세책본(貰冊本)을 구매한 것들이 많다. 현재 세계 여러 곳에 조선전적이 소장되어 있지만 가장 특색 있는 곳이 바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과 동방학연구소이다. 차후 러시아 측과의 협의를 통해 목록의 보완 작업, 중요 자료내지 유일본의 현대역 및 영인, 디지털 작업 등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collection of Joseon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housed in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nd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by focusing on the collecting process, the total number of collected items, and some materials worth examining. The Joseon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are kept in various places in Russia, including Lomonosov Moscow State University,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nd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hold the largest collection.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n imperial university established during the Russian Empire, began teaching the Joseon language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 the intention of educating diplomats who were to be dispatched to Joseon. Teaching materials for the courses were purchased and sent to the university by diplomats already working in Joseon.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a major research institute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purchased and stored Joseon books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As a result, approximately one thousand books are currently kept in the institutes. Out of the 84 titles in 855 volumes housed in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pproximately 40 titles are worth examining; some of which include Gaegukobaekyeonpalweolsabeonbogoseo(a report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and then translated into Russian), Chonjamun, Jeonunokpyeon, Yuhap(materials used to teach the Joseon language), and classic novels, such as Tosangjeon and Samgukji(volume3). The collection in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known to house 264 titles) is characterized by its many book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as well as classic novels that were either kept or collected by Aston and Möllendorff. Many of such novels were purchased from book rental shops (sechaekjǒm) with the help of their Joseon language teachers. The Joseon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are housed around the world, yet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and St. Petersburg Branch of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hold the most distinctive collection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list of collected items before embarking on further research. It is hoped that by collaborating with Russia, the list would be supplemented and that modern translation, photo printing, and digitization of important materials and exclusive books would also become possible.

      • KCI등재

        朝鮮典籍淸人序跋考論

        劉婧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本論文以淸人為朝鮮典籍所作序跋為考察對象,對這些序跋的數量、規模進行了梳理,也對這些序跋的特色及意義做了進一步的闡釋。這些序跋作品有些收錄在朝鮮和淸人的詩文集中,有些收錄在使行文人的燕行錄或日記中,大部分的序跋作品不為學界所知。 朝鮮後期朝鮮使臣和淸代文人在文化交流的過程中所進行的書籍交流是這一時期兩國文化交流的重要形式之一,而淸人為朝鮮文人詩文所題寫的序跋則是淸人對朝鮮文學批評的主要內容。特別是十八世紀後期和十九世紀形成了淸人為朝鮮文人題寫序跋的高潮,這也表現了這一時期兩國文化、文學交流的深入和規模的擴大。本文所考證的淸人為朝鮮文人所題序跋有八十三篇,收錄在淸人和朝鮮人的詩學文獻中,為研究朝鮮和淸代的文化交流和詩學批評提供了重要的文獻依據。這些序跋具有以下幾個特點: 第一,從數量來看,迄今為止筆者所統計的淸人有四十九人曾為朝鮮文士作序。為朝鮮典籍所作序跋有八十四件,有九十六篇。從創作時期來看,十八世紀後半期掀起高潮,十九世紀是淸人為朝鮮文人作序跋的高峰時期。第二,《韓客巾衍集》是朝鮮後期朝鮮文人編選詩集的重要事件。這部詩選集傳入淸朝并得到淸人的序跋和評點,不但提高了朝鮮"四家"的地位,也掀起了十八世紀後期和十九世紀朝鮮文人向淸人請求序跋的高潮。第三,收到淸人序跋的一些朝鮮士人多是出使過淸朝,或是與淸文人具有直接或間接的交流關係。而為朝鮮文人題寫序跋的淸人文士多是在京身居要職的官員,或是當時具有一定聲名的大家。一部份淸人即使在當時還未有成名,也是具有比較顯赫的家世或卓越的文才。第四,淸代文人之所以能\如此大規模地為朝鮮文人題寫序跋,也和他們關心朝鮮文化,關心時政,還有一部分淸人熱衷于收集和整理朝鮮詩文集有關。第五,淸人對朝鮮文獻所作序跋是朝鮮和淸代兩國文人之間文化交流的產物,這種交流是雙向的,朝鮮文人也有給淸人撰寫序跋的現象。 淸人對朝鮮文獻所作序跋的意義,可詳細闡釋為如下三點:第一,詩文集的序跋這一文體形式,其本身就具有文學批評的故用。第二,朝鮮後期朝鮮文人通過向淸人請序跋這一風氣,極大地推動了朝鮮詩文集的編撰和刊行。第三,朝鮮典籍所載淸人序跋的文獻學意義重大。朝鮮典籍中所載淸人序跋作品中不但記錯了作品的創作經過,還對暸解著者的生平、出使中國並和中國文人交往的經過提供了詳細的線索。另外,傳入朝鮮的一些淸人序跋作品也為研究淸人的學術和文化活動提供了重要的文獻資料。這些淸人都有和朝鮮文人直接交流的經歷,而淸人所作的這些序跋作品,對研究淸代學術思想和文學理論的傳播和影響也是重要的文獻資料。 본 연구에서는 중국 청나라 시대의 문인들이 조선 典籍에 작성한 序跋文을 조사 및 정리하여, 서발문의 수량·규모·특징과 의미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언급하는 '조선 전적에 쓴 청대 문인들의 서발문'은 청대 문인들이 조선 전적을 위하여 저술한 서발문을 의미한다. 이러한 서발문은 대부분이 청대 문인과 조선 문인들의 詩學文獻에 보존되어 있다. 또한 일부는 청나라에 간 조선 사신들이 기록한 '燕行錄'과 조선에 간 청나라 사신들이 기록한 '使朝鮮錄'에 수록되어 있다. 18세기 후기부터 활발해진 조선과 청 왕조 간의 정치 외교 활동으로 인하여 양국 문인 간의 교류가 증대되었다. 조선의 사신과 청대 문인들 간의 문화교류 과정에 진행된 양국간 서적의 교류는 그 당시 실생활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교류 수단의 하나이다. 청나라의 문인들이 조선 문인의 시문집에 서발문을 저술한 시기는 역사상 한·중간의 문화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진 왕성한 시기였다. 청대 문인과 조선 문인이 상호 서적을 교환하면서 저술한 서발문 중에서, 특히 청대 문인이 조선 시문집에 작성한 서발문이 조선 한문학 비평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이와 같은 서발문의 작성자와 작성시기, 출처 등의 구체적인 내용은 '청대문인 서발문 일람표'를 통해 상세히 알 수 있다. 이해의 편리를 위해, 문헌자료에 주석을 달았다.), 청대 문인들이 조선 전적에 작성한 서발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조사한 49명의 청대 문인들은 조선 전적을 위해 96편의 서발문을 작성하였다. 시기상으로 보면, 18세기부터 시작하여 20세기 초까지 청대 문인이 조선 典籍에 지속적으로 서발문을 작성하였고, 청대 문인이 작성한 서발문이 19세기에 가장 많이 발견된다. 즉 19세기가 청대 문인이 조선 전적에 작성한 서발문이 가장 왕성한 시기였고 이러한 활동이 20세기 초까지 이어졌다. 통계적 수치에 의하면, 이 기간 동안 저술된 서발문은 비록 청문인들 조선 전적에 저술한 서발문의 전부는 아니지만, 19세기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청대 문인들이 저술한 서발문이 역대 중국 문인들이 조선 문인들을 위해 저술한 서발문 중 양적으로 가장 많은 것이었다. 둘째, 조선후기 洪大容의 入燕은 조선 문인들로 하여금 청나라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일으키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洪大容이 참여한 사절 일행은 적극적으로 청대 문인들과 문화교류를 하였다. 洪大容은 乾隆30년(1765년)에 燕京에 杭州三才인 巖誠, 潘庭筠 陸飛와 교유관계를 맺었다. 그들은 필담과 서찰, 또는 수창 시문을 통해서 교류하였다. 이어 《韓客巾衍集》은 조선 후기에 편집된 중요한 시집으로, 청대 문인의 서발문을 받은 동시에 청대 문인들로부터 호명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四家가 조선 문단에서 호평을 받아, 그때부터 조선 문인들은 앞 다퉈 청대 문인에게 서발문을 요청하는 사례가 빈번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례 중에서 가장 전형적인 예는 《海客詩鈔》의 편찬과 이 작품이 청에 유입된 것이다. 《海客詩鈔》는 조선의 역관인 金奭準이 1868년에 편찬한 6명 同人의 시선집이다. 이 시선집은 후에 역관 李容肅에 의해 청나라에 유입되며, 청나라 문인 董文渙과 許振椲의 평점을 받는다. 또한 조선의 姜瑋(1820~1884)가 편찬한 《韓四客詩選》도 19세기 조선 문인들이 청대 문인들의 서발문을 받고자 편찬한 시선집이다. 이외에도, 몇몇 조선 문인들은 청문인들의 서발문을 받기 위해, 임시로 자신의 시문집을 편찬하여 청나라에 사절로 가는 조선 사절단원에게 부탁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예로, 조선의 金永舜이 편찬한 개인 시문집 《存春軒詩鈔》가 있다. 《存春軒詩鈔》는 金永舜이 청나라 문인의 서발문과 평가를 얻기 위해 同治 5년(1866) 10월 겨울에 사절들이 출국하기 전에 임시로 편찬한 시집이며, 同治 6년(1867) 1월 사절에 참여한 洪良厚가 이 시집을 청대 문인에게 전달하였다. 청대 문인인 董文渙은 이 시집을 同治 6년(1867) 정월 15일에 받은 지 사흘 후에 이 시집의 서문을 작성하였다. 또한 청대 문인인 許宗衡(1811~1869)도 2월에 이 시집의 서문을 작성하였다. 이외에도 청대 문인인 張內炎은 같은 해 정월 하순에 발문을 집필하였다. 셋째, 朝鮮典籍에 서발문을 저술한 청대 문인의 대부분이 그 당시 燕京에 재직했던 유명한 인사이며 조선 문인과 한동안 교유관계를 갖고 있었다. 청대 문인의 일부는 당시 유명하지 않았더라도 명문가의 출신이거나 재주가 특출한 사람이었다. 조선문인들이 청대 문인들의 서발문을 받기 위해 열성을 가진 이유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慕華사상을 품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의 사신들은 청나라와의 외교 활동을 통해서 청나라와 조선사이의 학술동향과 당대

      • KCI등재

        화성시 향토박물관 소장 한글 전적(典籍)의 내용과 가치

        채윤미 국문학회 2019 국문학연구 Vol.0 No.40

        This paper is study of Hangul jeonjeok(典籍) in the Hwaseong Municipal Folk Museum. This Hangul jeonjeok(典籍) donated from four noble families who liv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Hwaseong. This paper examined the form and content of these materials. As s result. Noble families in Hwaseong mainly enjoyed books that contained ethical content. and valued the book with the contents of the magic formula. Next. this article discussed more important material separately. Yeolnyeojeon(『列女傳』) can help confirm the existence of female transcriber and study the written ethics book. Daewangdaebijoen Unkyo(『대왕대비전 언교』) is worth the original. Jeongso(『精所』) is the magic book of the Hangul manuscript. This material is useful in identifying the popularization of magic in the late Joseon Dynasty. 본 논문은 화성시 향토박물관에 소장된 한글 전적 19종을 소개하고 그 가치를 논의한 것이다. 한글 전적 19종은 화성 지역에 세거한 양반가에서 기증된 것으로, 본고는 19종의 형태사항과 내용을 개관하였다. 그 결과 간행본이 3종, 필사본이 16종인 점, 문학 작품이 5종인데 비해 14종은 대개 교육적 또는 실용적 성격을 띤 자료임을 밝혔다. 14종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당대 이념과 윤리 교육을 위한 자료로, 7종이 이에 해당한다. 나머지 7종 중 3종은 진언(眞言) 또는 점복(占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진언류 전적은 실제 생활에서 활용하기 위한 실용서로 파악했다. 이로 미루어 화성 지역 양반가는 당대 윤리와 이념 교육적 성격이 강한 한글 전적을 주로 향유하였으며 그런 가운데 진언류 전적도 중시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본고는 한글 전적 19종 가운데 더 중요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판단되는 3종의 자료를 장을 달리하여 검토하였다. 『列女傳』은 여성 필사자의 존재를 고증하고 필사본 규범서를 연구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대왕대비전 언교』는 관련 계통 자료들 가운데 원본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므로 남다른 가치를 지닌다. 『精所』는 순 한글로 이루어진 필사본 진언집으로, 조선 후기 진언의 대중화 양상은 물론 한글 소설에 관습적으로 등장하는 진언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자료임이 분명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