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유교사회 유림 네트워크 분석 시론

        홍성덕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본 연구는 근현대 전환기 유학자의 사회관계망 분석과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 시론적인 글이다. 식민지배와 함께 한국은 탈유교사회로 전환되었다. 식민지 근대는 전통의 해체를 요구하였고 전통의 해체는 유교문화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했다. 그럼에도 전통적 유림이 유교문화를 배척한 것은 아니었다. 사회가 근대사회로 재편되는 과정에서도 유학자는 사회관계망 형성을 통해 유학의 계승을 놓지 않았다. 탈유교사회 속에서 삶을 영위한 유학자들의 사회관계망 분석을 통해 근대 한국사회에서 유교의 본질과 위상이 어떠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조선 유학의 지형도를 분명히 할 수 있고, 근현대 유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현대 한국사회에서 유학이 가지는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탈유교사회에서 유교문화가 가지는 규범성이 파악하고 21세기 건강한 한국사회를 위한 유학의 기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사회관계망 분석은 유학자의 개인 문집에서 관계형성자를 추출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사회관계망 분석은 시계열적으로 재배열되어야 하며, 유학자의 지리 정보와 인적 네트워크 형성의 관계를 밝혀야 한다. 유학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 밀집도를 파악하기 위한 증거 자료를 제시해야 하며, 관계의 위계성 여부로 검증되어야 한다. 유학자 사회관계망 시스템에는 기본적으로 근현대 유학자뿐 아니라 일반 사람들의 인적 정보가 축적되어야 하며 출처정보가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시스템은 인명DB와 출처DB를 중심으로 설계되고 유학자 상호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유형 분류와 기술(記述) 내용이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불특정의 두 유학자가 상호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해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근현대 유학자에 대한 정보는 전근대보다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내용이 많다. 따라서 시스템은 확장과 변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a kind of an essay to suggest the directions to analyze social networks of Confucian scholars in modern and contemporary era and construct the appropriate system for the study. With the beginning of Japanese colonial ruling, Korea became a post-Confucian society. The colonial modern times required deco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s, which forced Korea to get out of its Confucian culture. However,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didn’t exclude their Confucian culture. Even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as a modern society, the scholars didn’t give up inheriting Confucianism constructing their own social net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social network in the post- Confucian society,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essentials and status of Confucianism at that time. Wit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topographical map of Joseon’s Confucianism more clearly, and change the studying paradig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addition, we may understand the diversity that the Confucianism has in contemporary Korea. Further, understanding the canonicity of Confucian culture in the post-Confucian society, we can suggest the functions of Confucianism for the healthy Korean society for the 21st centur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begins from extracting relation-promoters from scholars’ personal anthologies. Social network analysis should be rearranged according to time series,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each scholar and the relations of personal network formation should be clarified. Further, corroborative data to understand the relation density among scholars should be suggested, and they should be verified upon the hierarchy of relationships. In the Confucians’ social network system, there should be included human information of both modern and contemporary scholars and common people, and the information of the sources should be provided as well. For this,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database of names and their sources, and categories of types and description explaining mutual relationships among scholar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how two unspecified scholars could be linked should be analyzed and provided visually. In fact, inform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scholars is rather difficult to get than that of premodern scholars. Thus,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be expanded and changed more easily.

      • KCI등재

        전라감영 복원의 의미와 과제

        홍성덕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60

        In October, 2020, Jeollagamyeong was restored. This paper is going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restoration of Jeollagamyeong since 1996, and suggest the meanings of the restoration and problems to be solved henceforth. The restoration of Jeollagamyeong has an important meaning in Jeollabuk-do society that it not only spotlights the history of Jeollabuk-do, but also recovers Jeonju city’s identity. The project to restore Jeollagamyeong was bound to connect to the ways of revitalizing Jeonju’s downtown area, and it took 24 years to get agreements. Restoring Jeollagamyeong, the discussion processes between Jeollabuk-do and Jeonju city could be evaluated as a model of governance administration. The restoration committee has been entrusted with exclusive rights and decided to restore Jeollagamyeong not by the governments’ will but by respecting the ideas of experts and citizens. They proceeded the excavation and study of the restoration site in order to secure the authenticity of restoration, and thus recorded the results of excavation of the site including the building (the old province hall). While restoring the gamyeong, provincial hall of the Joseon era, they intended to create the double space-time while including the build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One thing to keep in mind for the practical use of the restored buildings is that even though Jeollagamyeong is restored based on Joseon style, it will be used by the present citizens. It means though the restoration should be done based on the buildings and cultures of the Joseon, it should have present senses. To achieve the goals, the restored Jeollagamyeong has urgent things to decide: the main body of its management, scale of further restoration, visions for practical use and decisions of future businesses. Further, as done during the process of its restoration, the solutions for the problems should be solved under the same governance system. I suggest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Restoration and Re-creation Committee of Jeollagamyeong should be maintained, and the project should be proceeded step by step based on the agreements of all the related to set management rules and future visions according to historical and cultural viewpoints. 2020년 10월 전라감영이 복원 준공되었다. 본 논문은 1996년부터 시작된 전라감영 복원 논의 과정을 살펴보고 복원의 의미와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전라감영 복원은 전라북도 역사재조명과 전통문화중심도시 전주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차원에서 지역사회 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감영 복원의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도시가 팽창함에 따라 협소한 도청사의 신축 과제가 제시되면서부터이다. 1996년 신축 도청사 부지가 결정되면서 청사 이전 이후 구청사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하였고, 전라감영의 수부로서 전라감영의 복원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감영 복원 문제는 구도심 활성화 방안과 연계되었고 논의를 모아가는 과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복원 논의 과정은 전라북도와 전주시의 거버넌스 행정의 모범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복원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에 복원 과정에 대한 일체의 권한을 부여한 것이다. 위원회는 관 중심의 복원이 아닌 전문가와 시민 중심의 합의를 도출하였다. 복원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사 연구와 발굴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철거되어 사라질 근현대 유산(구 도청사)에 대한 기록화 작업을 병행하였다. 조선시대 감영을 복원하지만 근현대라는 중층의 시공간을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복원된 건물은 전라감영 중 감사영역에 해당하는 선화당, 관풍각, 연신당, 내아, 내삼문 등이었다. 복원 건물에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설비를 갖추었다. 활용과 관련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조선시대 감영 건물을 복원하였으나 그 건물을 활용하는 것은 조선시대가 아닌 현재라는 점이다. 이는 감영 건물의 활용에 대한 비전과 방향에 관한 합의를 도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활용은 감영의 본질 즉 조선시대의 감영·감영문화를 기반으로 하되 현재적 의미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제 복원 준공된 감영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운영의 주체, 추가 복원의 규모, 활용 비전·사업의 정립 등이다. 복원 과정에서 그러했던 것처럼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거버넌스체제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전라감영복원재창조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면서 조직 편의 논리가 아닌 역사문화적 관점에서 운영과 미래 비전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고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그에 앞서 당면한 운영 문제는 전문성을 가진 단체 또는 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조선후기 한일외교체제와 대마도의 역할

        홍성덕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1

        Japanese scholars understand that the Joseon government and Tsushima domain were the main sites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paper offers a different idea by suggesting that Tsushima domain performed diplomatic operations under the command or the connivance of the Edo Bakufu. One should remember that the peace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did not begin on a one-to-one basis during the process of restoring diplomatic ties after the Imjin Waeran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he reopening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peace negotiations between Japan and Ming China. Thus, it was unavoidable that the main Japanese participant in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was Tsushima, not the Japanese government, because of the unstab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conditions of both central governments. The Giyu Agreement of 1609 was the diplomatic basis of Joseon and Japan relations. Japanese scholars’ evaluation of the Giyu Agreement displays the fatal flaw of connecting Joseon and Tsushima with no consideration of the “pre-modern” situation because their evaluation comes from misinterpreting promises as an agreement. According to international law, promise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n agreement. Meanwhile, Joseon strengthened diplomatic policies toward Japan based on the Giyu Agreement. Tsushima, which was the mediator between the two countries,forged kings’ documents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diplomatic negotiations. Although the forgeries were revealed, neither Joseon nor Japan punished the governor of Tsushima. Instead, the Japanese government introduced into Tsushima the Iteian monk rotation system for managing diplomatic documents directly. From that point, Tsushima concentrated on friendly trade with Joseon, which was done by sending various chawae , or temporary goodwill envoys. The Joseon government controlled the activities of these envoys by restricting their activities to nearby Japanese offices and limiting their diplomatic delegations. Through spatial and personal control, the Joseon government was able to stop people from smuggling and meeting without permission. More detailed regulations on the operation of Japanese offices and the exchange of goods were established, and the new diplomatic line of Munuihaeng -Byeolchawae was introduced. It is definitely false to evaluate the late Joseon period only based upon the thirty years around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It is necessary for historians in Japan to shed their exclusive, patriotic viewpoint. They should admit that Japan’s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the Joseon government were conducted while the Edo Bakufu was still being established. Further, the features of seongsingyorin (true foreign relationships) should be studied based upon the Edo Bakufu’s dominance of foreign diplomacy toward the Joseon government from 1635. 조선후기 한일관계에 대한 평가는 국교재개기 대마도주의 국서개작(위작) 사건에 묻힌 듯 전 시기를 조망하지 못하고, 외교의 주체에 대한 두 나라의 상반된 견해가 맞서 있다. 교섭의 주체가 조선과 쓰시마번이라는 일본 내의 연구와 에도막부의 명령 또는 묵인 아래 이루어진 것으로 대등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기본적으로 조선후기 한일관계는 조선전기의 형태를 전제로 하고 있다. 다만 조선전기 두 나라의 정치ㆍ외교적 환경과 조선후기의 그것은 동일한 사상적 토대위에서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대적 차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국교재개기에 유념해야 할 것은 두 나라의 강화교섭이 조선과 일본의 일대일 관계로부터 시작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명나라와 일본의 강화협상 연장선에 조선과의 강화논의는 맞물려 있다. 그리고 강화교섭의 공감대는 자국 중심의 교섭 방향을 결정지었다. 즉 조선의 差重之計와 강화조건 제시, 국서개작 및 僞犯의 묵인 등과 대마도를 매개로 한 일본의 강화교섭전략 그리고 대마도주의 국서개작 묵인, 통신사의 조공사절화와 같이 서로의 입장을 앞세운 교섭이 진행되었던 것이다. 바로 그 사이에서 대마도주는 사활을 건 외교협상을 벌일 수밖에 없었다. 1609년 조선은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두 나라 외교관계의 기본틀을 만들었다. 기유약조에 대한 일본 연구자들의 평가는 국제법적 해석을 토대로 지적했듯이 ‘전근대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조선과 대마도를 연결짓는 오류를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반면 조선은 기유약조를 통해 대마도를 중심으로 하는 대일본 외교정책을 강화하였다. 국왕사의 파견을 허락하면서 가능하지 못하도록 한 것도 임진왜란 이후 조선이 가지고 있었던 대일본 외교정책의 근간이 되었다. 국교재개 이후 특히 1630년대 국서개작사건 이후 에도막부는 이정암윤번제를 시행하여 모든 외교문서를 직접 장악하였다. 이후 대마도는 대조선 통교무역에 집중하게 되었고 이는 다양한 명목의 임시사절인 차왜의 파견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조선의 대일통제는 왜관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통제와 외교사행을 제한하는 인적통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내용적으로는 밀무역을 방지하기 위한 물적통제와 왜관 안팎에서 벌어지는 두 나라 사랍들의 접촉에 의한 사회ㆍ경제통제가 진행되었다. 왜관의 운영과 물자의 교류에 대한 많은 세부적인 규정들이 만들어지고, 인적통제는 문위행-별차왜의 새로운 외교라인의 형성으로 정착되었다. 문위행-별차왜는 외교실무전문가로서 17세기 중반 이후 두 나라의 직접적인 외교교섭 창구였다. 국교재개 전후 30여년의 시대적 환경만으로 조선후기 전 시기를 평가해 버리는 것은 명백한 오류이다. 폐쇄적 자국중심의 사고로부터 벗어나 일본의 에도막부가 정착해 가는 과정 속에서 국교재개교섭을 평가하고 아울러 1635년 이후 에도막부의 대조선외교권 장악을 바탕으로 성신교린의 성격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창 동학농민혁명의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화 방안

        홍성덕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0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Gochang area, and to create methods to develop relevant industries utiliz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Gochang. Actuall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the revolution currently existing in Gochang are not competitive. Despite great effort, they haven’t been able to make their own brand image related to the revolu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y should change their political will, and try to work together using other resources at their disposal. In order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the first thing they must do is improve their brand image of the Gocha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image of a bluebird has been suggested as their leading brand image. Second, because their contents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don’t have wide appeal, they need to look for projects to link up with theirs.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should not be the main theme of any events that they plan. Instead, they should create linked projects, and events related to the revolution should be included in those projects. Third, they should plan effectively so that the memorial projects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an be beneficial for their residents. For example, it is a good idea to make the sixth industrialization plans that include the production, process, and distribution. Fourth, the resources of the Gocha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can be used through linking projects with other cities around Gochang. They should build strong partnerships with adjacent cities, like Jeongeup or Buan, to help each other achieve better results. Fifth, they should improve their marketing and publicity. Their media exposure is very low, so they should look for more effective promotional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public awareness of the revolution. In addition, they should develop customized programs that target the younger generations, which are heavy users of social media. Lastly, they should work to develop their own policie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listings of the pledges of the candidates of the Gochang local government. When discussing the industrializa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cultural resources, the first priority is to consider suggestions that have previously been provided in similar studies, before looking for new ideas. This is because most of the answers we are looking for are likely to have been suggested already. 본 연구의 목적은 고창군의 동학농민혁명 관련 문화자원을 살펴보고, 문화자원을 활용한 산업화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고창의 동학농민혁명 역사문화자원은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하다. 그 동안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고창의 동학농민혁명은 브랜드화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정책의지의 전환이필요하며 다른 자원과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확대를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먼저 고창 동학농민혁명의 대표 브랜드이미지를 강화해야 한다. 대표 브랜드로 ‘파랑새’ 이미지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둘째, 고창의 동학농민혁명은 자체 콘텐츠 경쟁력이 없기 때문에 지역 내연계 사업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동학 자체로서 메인행사로 기획할 필요는없으며 연계 메인 행사에 이미지를 중복할 수 있는 사업을 개발 포함해야 한다. 셋째,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이 곧 지역주민의 풍요로운 삶으로 연결될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한다. 농작물의 생산과 가공, 유통까지를 포괄한 6차산업화 방안을 마련한다. 넷째로 고창의 동학농민혁명 자원은 지역 간 연계사업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다. 정읍이나 부안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상호 윈-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홍보 전략을 강화한다. 언론 노출 빈도가매우 낮기 때문에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 방안을 마련한다. SNS 세대를 공략할 수 있는 맞춤 프로그램 개발이 있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적극적으로 시책을 개발하여 자치단체장의 공약사업에 포함시키는 현실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과 산업화를 논하려 할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기에앞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들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리들이 찾는 답의 대부분은 이미 거론되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웅치ㆍ이치 전적지 활용방안 및 콘텐츠 구축 방향

        홍성덕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임진왜란 당시 전라도의 위상과 역할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고는 웅치ㆍ이치 전투지의 활용과 콘텐츠 구축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문화재로 지정된 전적지는 총 13개소이다. 이중 임진왜란 전적지가 7개소이다. 이치전적지는 중복 지정되었으므로 전투지는 6개소이다. 전적지의 정비활용은 기본적으로 기념물(기념비, 기념탑)의 조성, 사당의 건립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전적지의 특성상 전투에서 순국한 관군ㆍ의병을 추념하거나 추도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승리와 패배 여부를 떠나 전적지 활용은 ‘순국’의 의미 때문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승리한 전투의 경우 축제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전적지는 엄숙한 제향의례에 머물러 있다. 공간 조성 역시 순국의 상징(기념비, 탑)과 제향을 수행하는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웅치ㆍ이치 전적지는 활용과 콘텐츠 구축을 시행하기 힘든 선행 조건을 가지고 있다. 전적지 위치 비정 오류, 활용을 위한 연계성 확보의 어려움, 제한적인 스토리 개발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웅치ㆍ이치 전적지의 권역 확정, 지속적인 학술연구 추진과 학문적 검증이 필요하다. 아울러 웅치ㆍ이치 전적지 활용 기본계획 수립과 도ㆍ시군간의 연계협력망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웅치ㆍ이치 전적지의 경우 전적지를 관할하는 자치단체가 완주군과 진안군, 금산군 등으로 나뉘어져 있어 전라북도ㆍ충청남도와 완주군ㆍ진안군ㆍ금산군 등의 유기적인 협력 의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웅치ㆍ이치 전적지의 활용과 콘텐츠 구축을 위해 시행할 수 있는 사업으로 ① ‘호남 국가보장론’의 비전 설정, ② 임진왜란 때 전라도 역할론의 인식 확산, ③ ‘호남 국가보장론’ 상징 사업으로 ‘若無湖南 是無國家’ 비의 건립과 디지털 콘텐츠 보급, ④ 호국루트 개발, ⑤ 전라북도 임진ㆍ정유왜란 자료조사, ⑥ 이치전적지 추모사업 공동개최, ⑦ 전투 스토리 조사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문화재의 활용과 콘텐츠 구축의 성공은 역사적 사실의 확인과 대중에 맞는 활용방안의 강구, 미래유산으로서의 정체성 비전 설정 등이 갖추어져 있을 때 가능하다. The statuses and roles of Jeollabuk-do in the times of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ave not been known as much. This paper suggests basic directions on how to use the historic battlefields such as Ungchi and Ichi, and to develop and collect their contents. Battlefields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in Korea are 13 in total. Among these, seven sites belong to Imjinwaeran. However, as Ichi Battlefield has been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twice, the number of battlefields is six. A common fact among them is that memorials, monuments and shrines were built to maintain and honor them. This is because they are the special places where descendants commemorate the soldiers and volunteers who died for their country in the battlefields. In cases of victory, the battlefields can be the place of festivals, but most of them serve solemn rituals to honor their sacrifice. In case of Ungchi and Ichi battlefields, they don't have good essential prerequisites to develop any contents to be used. The reasons are difficulty in designating specific spots, securing any connections for use, and limited stories. Thu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ange of the two battlefields with consistent academic studies and verification. Further, basic plans to use the battlefields and collaborative networks between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other cities and counties should be prepared and constructed in advance. Despite those limits mentioned above, the following are the primary projects that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and use of Ungchi and Ichi battlefields: ① specific explanation on the theory that 'Historically Honam area has kept Korea'; ② expansion of the theory that Honam played great roles during the Imjinwaeran period; ③ The monument where 'Without Honam, There Is No Country' will be written should be built as a symbolic project of 'Historically Honam has kept Korea' and, further, digit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and spread; ④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routes defending the country; ⑤excavation of data of Imjinwaeran and Jeongyujaera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1597) in Jeollabuk-do; ⑥ co-hosting memorial projects of Ichi Historic Battlefield, ⑦ investigation of stories related to the two battlefields. For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 and construction of contents 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o verify historical facts and to develop the way to use them meeting the needs of people, and to establish the vision of its identity as an important heritage of oru future.

      • KCI등재

        전주시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과 도시재생 -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홍성덕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8 No.-

        최근 10년 사이에 가장 주목할 만한 도시재생의 사례로 손꼽을 수 있는 곳 중의 하나는 전주한옥마을이다. 1977년 한옥보존지구로 지정된 이후 1995년 미관지구가 해제됨에 따라 무분별한 개발이 예정되었던 공간이 전통문화 지구단위 계획으로 단순 ‘보존’에서 특색있는 ‘개발’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본 논문은 한옥보존지구 지정으로 슬럼화한 한옥마을이 한국을 대표하는 ‘한옥마을’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전주한옥마을의 개발은 한옥보존지구의 해제와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도시 지정이 맞물리면서 기획되었다. 지구단위 계획을 통해서 재개발된 전주한옥마을의 성공요인은 한옥이라는 전통 주거공간과 조선왕실문화, 유교문화, 종교문화 등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이 반경 5백미터 이내에 밀집된 역사문화자원이 토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통문화중심의 도시화 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한 결과이기도 하다. 사업 추진 및 협력 주체로서 전통문화중심도시추진단은 모범적인 민관거버넌스였다. 한옥마을 공간 내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은 진정성을 강화하는 방향, 전통문화상품 개발 및 판매를 촉진하는 상품화 확대방안, 숨어 있는 콘텐츠를 발굴 알리는 체험과 교육의 콘텐츠 구축방안 등 세 영역으로 진행되었다. 공공영역이 민간영역의 활성화를 뒷받침하는 균형점을 이루었다. 역사문화자원의 활용은 도시정체성으로 연결되었다. 한옥마을 내에 담은 역사문화자원과 전통문화는 전주의 도시정체성으로 발전해 나갔다. 한옥마을의 공간적 확대가 불가피 하며 그 대상은 마을 밖의 구도심이다. 전라감영 복원으로 대표되는 도시재생이 이어질 계획이다. 한옥마을의 성공은 새로운 도시재생 공간의 득이 될 수도 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재생의 성공여부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a study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cess of Jeonju Hanok Village which had gradually become slums while it had remained as a hanok preservation zone for 20 years. Jeonju Hanok Village seems a dense area where over 700 hanoks are clustered, but, actually, it is not a traditional one but a modernized urban town.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cultural resources clustered from loyal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and other religions. The real urban regeneration of Jeonju Hanok Village was begun when Jeonju was designated as a city of the 2002 FIFA Worldcup Korea-Japan. The urban regeneration proceeded focussing on three directions: to keep the authenticity of the cultural heritages in the village, make th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goods favourable on the market, and develop relatively unknown contents. Dur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private and public joint governance, like the Project Team of Traditional Culture-centered City, was a critical factor of its success. As a result, Jeonju Hanok Village has grown up to a famous tourist destination which over six million tourists visit a year. For everlasting success of the village, there have been lively discussions on the identity of the city. Based on the Jeonju citizens' consensus of 'the Jeonju spirit', urban regeneration of the parts which have been lagged behind is on the way again. The success stories of Jeonju Hanok Village have suggested new visions toward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success of new projects is as clear as day l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