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 구성원 의무감의 매개 효과와 교환 이데올로기의 조절 효과

        김용현(Yong Hyun Kim),강승완(Seung-Wan Kang),손승연(Seung Yeon S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4

        오늘날과 같은 초경쟁시대에서 조직의 생존과 번영을 위하여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와 헌신이 절실하다. 특히 구성원의 창의성이 조직경쟁우위의 원천이라는 점에서 이를 독려하는 리더십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었다. 그중에서도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인식, 태도,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바람직한 리더십의 하나이다. 하지만,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연구들은 몇 가지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 둘째,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창의성 간에 내재된 영향력 과정에 대한 연구 관심이 부족하다. 셋째,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의 발굴 노력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수행되었고 3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구성원 의무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의무감을 통하여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구성원의 교환 이데올로기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군 조직에 종사하는 간부 211쌍을 대상으로 1개월의 시차를 두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 및 SPSS macro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구성원의 의무감이 이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조절된 매개 효과 검증결과,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의무감을 경유하여 창의성에 미치는 간접 효과는 교환 이데올로기가 높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에 대한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정적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둘째, 의무감의 매개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창의성 간에 내재된 매커니즘의 일부를 밝혔다. 셋째, 의무감을 통한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효과가 구성원의 교환 이데올로기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함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 의무감, 창의성 간의 역학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연구의 말미에는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hypercompetitive era,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dedication of employees are necessary for an organization to prosper. There is an ongoing need in the field for research on what types of leadership are effective in cultivating the creativity of employees. Self-sacrificial leadership (SSL) is one desirable type of leadership that affects employee performance. However, the past literature on this topic has some limitations. This study has three aims. First,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SL and creativity. Second, we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felt obligation. Third, we suggest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s’ exchange ideologies. 211 dyads of supervisors- subordinates in military settings were surveyed with a one-month time difference between observations.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SS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ity and that the felt obligation of employees mediated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s of SSL on creativity through a felt obligation were only significant when the exchange ideology of an employee was hig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anded the research scope of SSL by verifying the impacts of SSL on creativity. Second, by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of felt obligation in this process, we revealed some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connection between SSL and creativity. Third, by demonstrating that the effects of SSL through a felt oblig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an employee’s exchange ideology, the dynamics of the effect of SSL were further understood. At the end of the study, we discuss its limitations and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 KCI등재

        자기희생적 리더십 : 선행요인으로서 상사의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

        손승연(Seung Yeon Son),김석영(Seckyoung Loretta Kim)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4

        리더의 자기희생이 효과적인 리더십 행동 중 하나라는 것에는 학자나 일반인들이나 모두 공감하는 듯하다. 이런 사회적 통념 및 학문적 공감이 토대가 되어 1990대 후반부터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들이 등장하였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다양한 인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하지만 기존연구들은 선제적 관점에서 무엇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히지 못했다. 그에 따라 연구관점의 불균형이라는 약점과 자기희생적 리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제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런 기존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요인 중 일부를 발굴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사의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이 구성원이 지각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았다. 제조업체 기업 종사자 상사-구성원 255쌍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만성이 높은 상사일수록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더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사가 자신의 조직이 정치적이라고 지각할수록 구성원들은 자신의 상사가 덜 희생적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상호작용효과 검증 결과, 조직정치지각이 낮은 경우보다 높을 때 원만성과 자기희생적 리더십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요인 중 일부를 밝힘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연구관점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결과에만 초점을 둔 선행연구의 관점 불균형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상사의 성격특성 특히 원만성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리더 선발 시 여전히 성격특성에 대한 고려가 유용하다는 것과 특히 원만성이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주로 구성원 수준에서 다루어온 조직정치지각의 부정적 효과가 상사수준의 리더십에도 여전히 부정적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조직에 유익한 상사의 바람직한 리더십을 이끌어 내려면 조직이 어떤 업무환경 조성에 주력해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성활성화 이론을 이용하여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보다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리더 선발 과정에서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와 그런 행동을 유도하도록 조직이 무엇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Prior empirical research in self-sacrificial leadership has examined the effec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Scholars have demonstrated that self-sacrificial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role and extra-role behavior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investigating the anteceden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Recognizing this issue, this study selected a leader s trait of agreeableness and his or 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s predictor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In particular, the study hypothesiz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More importantly,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a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based on trait-activation theor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Korean firms by postal mails or direct visits. All of the items except demographics (age, gender, position and tenure) were measur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strongly disagree to 7=strongly agree). A total of 255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ou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testing our hypothes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xhibit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 leader’s agreeableness on self-sacrificial leadership is strengthened when the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is high than when it is low. This research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Our findings suggested that a leader s agreeableness and his/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his or her self-sacrificial leadership. Furthermore, our results applied a trait-activation theory and demonstrated when leader exhibited self-sacrificial leadership. Our results exhibited that fair and low political work environments may compensate for the negative effects of low agreeableness on self-sacrificial leadership. Based on our result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과업성과

        유제훈(Yoo, Jae-Hoon),손승연(Son, Seung Ye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4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환경의 소용돌이로 인해 조직은 그 어느 때보다도 직무 및 역할에 대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참여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경향을 반영하듯 리더십 연구 분야 에서는 30여 년간 구성원들로 하여금 개인의 이익을 넘어 조직의 전체적인 목표를 지향하게 하는등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도록 하는 효과적인 리더 행동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들이 주류가 되어왔다. 이러한 다수의 리더십 이론들 중에서 고무적 및 모범적 행동으로 제시되어 온 것이 바로 리더의 자기희생이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다양한 성과 준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3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과업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을 경유하여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성원의 교환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제조업에 종사하는 상사―구성원 255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과업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과업성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결과,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을 경유하여 과업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교환 이데올로기가 높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성과의 초석인 구성원 과업성과에 미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정적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주로 구성원의 태도와 인식을 종속변수로 둔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연 구를 확장하였다. 둘째, 이 과정에서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과업성과 간에 내재된 영향력 과정의 일부를 밝혔다. 셋째, 직무만족을 통한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효과가 구성원의 교환 이데올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아냄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 직무만족, 과업성과 간의 복합적인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다. 연구의 말미에는 본 논문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d three objectives. First, we sought to ascertain a relationship between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employee’s task performance. Secon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mpact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on task performance is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s exchange ideolog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Korean firms by postal mails or direct visits. All of the items except demography were measur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 = strongly disagree to 7 = strongly agree). A total of 255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esting hypotheses. Specifically, we adopted the three test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s of job satisfaction. We also used SPSS macro (MODM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task performance, and exhibited that the effect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on task performance was completely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We also found that exchange ideolog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ask performance. Finally, study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zed moderated mediation model, demonstrating that the magnitud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ontingent upon the level of employee’s exchange ideology.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cluding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 자기희생적 리더십: 리더의 자기희생 시점 차이가 구성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승연,김진호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2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2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으로 대변되는 오늘날, 조직 활동에 대한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와 헌신을 독려하는 효과적인 리더 행동 중 하나인 리더의 자기희생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이득과 손실에 부여하는 사람의 주관적 가치가 다르다는 것을 흥미롭게 설명한 프로스펙트 이론에 착안하여, 리더의 자기희생 시차(현재희생 vs. 미래희생)가 구성원의 반응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자기희생의 유무에 주로 초점을 두었던 선행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하였다. 또한 이 차별적 효과가 조직환경의 불확실성 및 리더의 능력에 대한 인식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희생의 리더십 기능을 최초로 제시한 Choi & Mai-Dalton(1998)의 연구모형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참가자들은 리더의 미래희생보다 현재희생을 더 큰 희생으로 인식하였으며, 그에 따라 현재희생을 보일 때 더욱 강력한 반응, 즉 높은 카리스마적 정통성 부여 및 호혜적 행동의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희생 대비 현재희생이 구성원의 반응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는 조직 불확실성이 높을 때, 리더의 능력이 높게 인식될 때 더 명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이론과 행동 경제학 분야의 프로스텍트 이론을 접목하는 다학문적 접근방식을 취하여 자기희생의 유무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의 관점을 시차까지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조직 불확실성 및 리더 능력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자기희생 시점이 주는 차별적 효과가 언제 더 명확하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향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자기희생에 대한 초기 불교의 태도

        김한상(Kim, han-sang)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6 No.-

        자기희생은 자발적으로 삶을 끊거나 몸의 일부를 바치는 행위들을 포함하는 고행을 가리킨다. ≷자따까(Jātaka)≸와 ≷아바다나(Avādana)≸와 같은 인도불교의 내러티브 장르는 자기희생을 사신(捨身)의 영웅적 사례로 언급하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들과 베트남 에서는 여러 형태의 자기희생들 가운데 박해에 항의하거나 붓다에게 예배하기 위해서 분신이 가장 일상적으로 행해져왔다. 자기희생은 최근에 테라와다 불교권에서도 드물게 발생해왔기 때문에 대승 불교권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빨리 성전과 그 주석서들에 입각하여 자기희생에 대한 초기 불교적 관점을 논의한다. 첫째, 자살과 마찬가지로 자기희생은 인간의 삶을 최대한 활용하기도 전에 그러한 기회를 스스로 저버리는 것이다. 둘째, 자기희생은 사람에게 극도의 신체적 통증을 일으키고 그를 죽음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에 고행에 포함되어야 한다. 잘 알려져 있듯이, 붓다는 고행을 실천하는 것이 해탈에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간주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희생은 비존재에 대한 갈애(vibhava-taṇhā)의 부추김을 받거나 유신견(有身見, sakkāya-diṭṭhi) 또는 자아에 대한 견해(atta-diṭṭhi)에 뿌리를 두고 있는 행동이다. 넷째, 자기희생은 모든 중생에 대한 자애(mettā)의 근원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는 자기사랑(attā-piya)이나 자기애 (atta-kāma)에 위반되는 행동이다. 그러므로 자기희생은 붓다의 가르침과 합치하지 않으 며, 그러한 의미에서 절대로 영웅적이거나 고귀한 행동으로 인정될 수 없다. Self-immolation refers to ascetic practices that include the voluntary termination of life or the offering of parts of the body. Indian Buddhist narrative genres of Jātaka and Avādana refer to such practices as Bodhisattva’s heroic examples of abandoning the body. In East Asian countries and Vietnam, auto-cremation has been most commonly practiced among many forms of self-immolation to protest against persecution, or to pay homage to the Buddha. This act is not confined to Mahāyāna Buddhist world. There have been cases, if not many, of this striking forms of self-immolation in Theravāda Buddhist world these days. With this paper, I discuss Buddhist perspectives on self-immolation on the basis of Pāli canon and its commentaries. Firstly, as in the case of suicide, self-immolation cuts short his or her opportunity to attain liberation, before having made proper use of human life to its fullest potential. Secondly, self-immolation should be included in self-modification or asceticism because it causes extreme physical pains and even leads to death. As is well known, the Buddha does not consider the undertaking of austerities as a necessary prerequisites for liberation. Thirdly, self-immolation is an act motivated or urged by craving for non-existence (vibhava-taṇhā) and is rooted in personality-belief (sakkāya-diṭṭhi) or ego-belief (atta-diṭṭhi). Self-immolation is against self-love (attā-piya) or self-affection (atta-kāma) which is highly appreciated as a source for lovingkindness (mettā) towards other beings. Thus, I can safely say that self-immolation is not in keeping with the original teaching of the Buddha and that self-immolation cannot be recognized as heroic or noble by no means.

      • KCI등재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지식공유: 역할모델 영향의 매개효과 및 전반적 공정성의 조절효과

        양종호,오동진,손승연 한국인사관리학회 202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7 No.1

        The organization has been striving to secure the capabilities of members with discriminatory and competitive advantages to survive fierce competition while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mong these factors of competitive advantage, knowledge is considered a strategic resource for the survival of the organization. As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by organizational members and efficient management have emerged as the top priority for the prosper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organiza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knowledge sharing and information related to task performance among members. Through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the leader in knowledge sharing of member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but it had several limitations, so it was intended to supplement this through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lf-sacrificial leadership presented as one of the leadership that positively affects members' attitudes or behaviors from the perspective of discretionary and self-sacrificial behavior without formal compensation or recognition, even though members' knowledge sharing is positive behavior for peers and organizations. Second, members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of role model influences on the premise that knowledge sharing behavior will increase through the process of imitating their desirable role model, leader's self-sacrificial attitude and behavior. Third, members who face environmental uncertainties in the organization pay more attention to the leader's behavior and respond more clearly to the leader's behavior,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overall justice on the influence of the leader's self-sacrificial leadership. For an empirical study, data collected from 187 samples of supervisors-subordinates dyads among Navy officers and enlisted were use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it was found that self-sacrificial leadership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knowledge sharing, and role model influ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the lower the overall fairness, the stronge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role model influence, and the lower the overall fairness, the stronger the indirect effect between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role model influence. This stud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academic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identifying how self-sacrificial leadership affects the knowledge sharing and revealing the influence process of the role mode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verall justice.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the organization by confirming the positive impact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that can promote knowledge sharing for the organization's prosperity and sustainability, and finally, the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조직은 급변하는 외부 환경에 적응하면서 점차 치열해지는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 차별적이고 경쟁우위를 지킬수 있는 구성원의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우위 요소 가운데에서도 지식은 조직의 생존을 위한 전략적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조직 구성원들에 의한 새로운 지식 창출과 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가 조직의 번영과 지속 성장을 위한 최우선적인 전략으로 대두되면서 구성원 상호 간 과업 수행 관련 지식 및 정보를 나누는 지식공유에 관한 다양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왔다. 선행연구를 통해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있어 리더의 역할이 적지 않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본 연구를 통해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첫째, 구성원들의 지식공유가 동료나 조직을 위한 긍정적 행동임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보상이나 인정에 대한 전제가 없는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재량적이고 자기희생적 행동이라는 관점에서 구성원의 태도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리더십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성원들은 그들의 바람직한 역할모델인 리더의 자기희생적 태도와 행동을 모방하려는 과정을 통해 지식공유 행동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역할모델 영향의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지식공유 간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셋째, 조직내 환경적 불확실성에 직면한 구성원들은 리더의 행동에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리더의 행동에 더 명확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리더의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영향력에 대한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조직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해 해군 간부 중 직속상사-구성원 187쌍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구성원은 지식공유와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할모델 영향은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지식 공유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전반적 공정성이 낮을수록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역할모델 영향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전반적 공정성이 낮을수록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역할모델 영향 간의 간접효과도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 내재된 역할모델의 영향력과 전반적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아울러 조직의 번영과 지속 성장을 위한 지식공유를 촉진할 수 있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긍정적인 영향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 리더 자기희생의 측정도구 개발 및 추종자의 학습효과 검증 :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대상으로

        조성룡(Seong Lyong Cho),백기복(Ki Bok Baik) 대한리더십학회 2011 리더십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리더 자기희생이 하급자(추종자)들에게 학습되고 전파되는지를 대한민국 육군 장교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두 실증연구를 통하여 밝히려는 것이었다. 먼저 에서는 지휘성공사례집 등에 기초하여 군에서의 희생적 행위들을 추출한 후, 48개 기초문항들을 구성하였다. 이어서 두 차례에 걸친 군 전문가 리뷰를 통하여 최종 33개 문항을 도출한 후, 파일럿 서베이를 실시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 리더의 자기희생은 헌신형, 직무형, 수범형의 세 차원으로 이뤄져 있음을 밝혀냈다. 에서는 을 통하여 개발된 자기희생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리더의 자기희생이 추종자들에게 학습, 전파되는지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리더의 자기희생 및 그 하위 구성요소인 헌신형 희생, 직무형 희생, 수범형 희생은 추종자 자기희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종자의 자기 효능감은 리더 자기희생이 추종자에게 학습, 전파되는 과정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의의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wo-fold: to develop a measure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to identify how a leader's self-sacrificial behavior can be transferred to followers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In, which purported to develop a measure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with Korean military officers, a series of research proces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leaders' self-sacrificial behaviores, ending up with a 33-item measure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We also performed a pilot test with a primary military sample in order to find factors underlying the self-sacrificial leadership, resulting in three factors such as Contribution-Type Self-Sacrifice, Task-Related Self-Sacrifice, and Modelling-Type Self-Sacrifice. In, we have conducted a full-range empirical study with Korean military officers and tested hypotheses that leaders' self-sacrifice will be transferred to followers' self-sacrifice and that self-efficacy will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leader self-sacrifice and followers' sacrifice. And it was found that leaders' self-sacrificial behavior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ollowers' self-sacrificial behaviors. In addition, the followers' self-efficac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self-sacrifice and followers' self-sacrific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반 : 자기희생의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 측면

        손철우 ( Chul Woo Son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9 No.-

        자기희생의 개념은 인간의 사랑과 기독교인들의 삶에서 아주 근본적인부분이다. 인간관계 안에서 자기희생을 통해 분명한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희생의 역할은 자주 논쟁거리를 제공해 왔다. 자기희생에 대한 비판은 주로 건강하지 못한 극단적인 주류에 대한 것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기희생의 올바른 모델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자기희생의 올바른 모델을 가지기 위해서 우리는 타인을 위한 배려에 대한 의무감과 자신에 대한 정당한 관심 이 두 가지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이 두 가지 사이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그리고 이 균형은 사회적, 문화적, 신학적인요소를 함께 살펴보아야 가능하다. 한국인들이 자기희생의 동기가 무엇인지 올바로 인식할 때, 그들은 그것을 통해 많은 유익을 얻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자기희생의 올바른 동기는 강압이나 의무감에서 나오는 자기희생이 아니라, 가족관계 포함한 모든 인간관계 안에서 모든 사람들이 존중되는 상호간의 섬김에서 나와야 한다. 이 논문을 통해서 한국인들이 가부장적인문화 안에서 자신들에게 부과된 의무감이나 어느 한 쪽의 일방적인 복종이나 자기 존중을 포기하는 희생에서 떠나서, 상호섬김의 진정한 자기희생의 영역으로 나오는 모험을 시작하게 되기를 소망한다. The concept of self-sacrifice is so essential to both human love and Christian life. However, despite many apparent benefits, the role of sacrifice in relationships is controversial. Criticisms of self-sacrifice have focused on the hazards of unhealthy extremes. In this sense, the model of self-sacrifice should carefully balance the obligations of regard for others with a legitimate regard for oneself and recognizes the social, cultural, and theological elements required to maintain it. Koreans will benefit much from reflecting on the motives of their self-sacrifice; rather than sacrificing out of coercion or out of obligation and duty, the true motives should be mutually beneficial for all of those involved. It is my hope that Koreans depart from their tendencies of one-sided submission, giving up of self-respect, and wholesale yielding to imposed obligations within its patriarchal culture; and venture into a realm of service seasoned with mutuality and authentic self-sacrifice.

      • KCI우수등재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

        손승연(Seung Yeon Son),윤석화(Seokhwa Yun),최연(Yeon Choi) 한국경영학회 2015 經營學硏究 Vol.44 No.4

        경영환경이 급변하는 오늘날, 조직은 그 어느 때보다도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 및 헌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 수십 년간 구성원들로 하여금 개인의 이익을 넘어 조직의 목표에 몰입함으로써 기대이상의 성과를 도모하는 효과적인 리더행동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는데, 이런 다양한 리더행동 중 다수의 리더십 이론들에서 모범적 행동으로 제시되어 온 것이 바로 자기희생적 리더십이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긍정적 인식 형성, 구성원들의 헌신 및 몰입 증진, 조직의 적응력 향상 등 다양한 성과준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선행연구들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미비점을 일부 보완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첫째,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구성원의 태도?인식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둘째, 자기희생적 리더십과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상사호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기희생적 리더십 영향력 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셋째,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상사호감을 경유하여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성원의 학습목표성향이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희생적 리더십 효과에 대한 경계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경우에는 선행연구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던 Choi and Mai-Dalton(1998)의 개념적 정의를 반영한 측정도구(12항목)를 본 연구에서 개발하였으며, 기타 변수들은 기존 연구에서 신뢰성 및 타당성이 인정된 설문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호감이 이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성원의 학습목표성향이 낮을수록 상사호감과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였으며, SPSS macro를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상사호감을 경유하여 상사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학습목표성향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연구의 말미에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미야자와 겐지 宮澤賢治와 권정생의 동화 비교 연구

        심종숙(Shim, Jongsuk),박영기(Park, Youngg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3

        존재가 스스로의 불완전성을 인식하고 자기 부정성에 눈 뜰 때 자신과 투쟁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존재는 도약함으로써 자기 희생의 과정을 수용한다. 본고에서는 한·일의 동화작가 미야자와 겐지 宮澤賢治 의「쏙독새별 よだかの星 」과 권정생의「강아지똥」을 중심으로 자기희생의 신념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알아보았다.「쏙독새별 よだかの星」에서 쏙독새는 자신의 외모를 비하하는 다른 새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부정성을 알게 된다.「강아지똥」에서 강아지 똥은 더럽다고 자신을 피하는 참새나 흙덩이를 보면서 하잘 것 없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쏙독새는 매에게 생명의 위협까지 받게 되지만 자신도 벌레들을 잡아 먹어야 살아가는 생물로서의 존재악을 깨닫게 된다. 이때, 생태계의 먹이 사슬을 끊고 스스로 희생함으로써 천상으로 비상하여 별이 된다. 강아지똥은 보잘 것 없는 존재이지만 어떻게 선한 존재가 될까 고민하다가 스스로 민들레의 거름이 되어줌으로써 새로운 생명, 아름다운 꽃을 피워낸다.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은 각각 자신들의 신앙의 표상이었던 부처와 예수의 모습을 작품 속에 표현해 내었다. 가장 낮은 자의 모습으로 자기를 희생하는 쏙독새와 강아지똥의 모습은 존재의 불완전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생명을 탄생하는 경지로 나아간다. When the existence realizes his own incompleteness and becomes aware of his negativity, the existence will struggle with himself. In that process, existence accepts the self-sacrifice process as his jump. In this paper, by reviewing ssokdoksaebyeol よだかの星 of Kenji Miyazawa 宮澤賢治 and Gangajiddong of Kwon Jeong-saeng, we looked into that how the faith of self-sacrifice is implemented in their literary works. In ssokdoksaebyeol よだかの星, ssokdok bird recognizes his existence and is aware his negativity given to him in relation to other birds which demean ssokdok bird. In Gangajiddong, Gangajiddong recognizes his worthless existence while he is watching the sparrow and a lump of earth which are avoiding dirty Gangajiddong. Although Ssokdok bird is being threatened his life by hawk, because he also catches and eats insects to survive, he also realizes him as the evil of existence. Gangajiddong agonizes to become a good existence and he produces new life and beautiful flowers bloom by becoming fertilizer for dandelion. Kenji Miyazawa has faith in Buddha and Kwon Jeong-saeng has faith in Jesus and they express Buddha and Jesus in their works. The scene of Ssokdok bird and Gangajiddong who sacrifices themselves proceeds to the stage of creating a new life by overcoming incompleteness of existence. 존재가 스스로의 불완전성을 인식하고 자기 부정성에 눈 뜰 때 자신과 투쟁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존재는 도약함으로써 자기 희생의 과정을 수용한다. 본고에서는 한·일의 동화작가 미야자와 겐지 宮澤賢治 의「쏙독새별 よだかの星 」과 권정생의「강아지똥」을 중심으로 자기희생의 신념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알아보았다.「쏙독새별 よだかの星」에서 쏙독새는 자신의 외모를 비하하는 다른 새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부정성을 알게 된다.「강아지똥」에서 강아지 똥은 더럽다고 자신을 피하는 참새나 흙덩이를 보면서 하잘 것 없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쏙독새는 매에게 생명의 위협까지 받게 되지만 자신도 벌레들을 잡아 먹어야 살아가는 생물로서의 존재악을 깨닫게 된다. 이때, 생태계의 먹이 사슬을 끊고 스스로 희생함으로써 천상으로 비상하여 별이 된다. 강아지똥은 보잘 것 없는 존재이지만 어떻게 선한 존재가 될까 고민하다가 스스로 민들레의 거름이 되어줌으로써 새로운 생명, 아름다운 꽃을 피워낸다.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은 각각 자신들의 신앙의 표상이었던 부처와 예수의 모습을 작품 속에 표현해 내었다. 가장 낮은 자의 모습으로 자기를 희생하는 쏙독새와 강아지똥의 모습은 존재의 불완전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생명을 탄생하는 경지로 나아간다. When the existence realizes his own incompleteness and becomes aware of his negativity, the existence will struggle with himself. In that process, existence accepts the self-sacrifice process as his jump. In this paper, by reviewing ssokdoksaebyeol よだかの星 of Kenji Miyazawa 宮澤賢治 and Gangajiddong of Kwon Jeong-saeng, we looked into that how the faith of self-sacrifice is implemented in their literary works. In ssokdoksaebyeol よだかの星, ssokdok bird recognizes his existence and is aware his negativity given to him in relation to other birds which demean ssokdok bird. In Gangajiddong, Gangajiddong recognizes his worthless existence while he is watching the sparrow and a lump of earth which are avoiding dirty Gangajiddong. Although Ssokdok bird is being threatened his life by hawk, because he also catches and eats insects to survive, he also realizes him as the evil of existence. Gangajiddong agonizes to become a good existence and he produces new life and beautiful flowers bloom by becoming fertilizer for dandelion. Kenji Miyazawa has faith in Buddha and Kwon Jeong-saeng has faith in Jesus and they express Buddha and Jesus in their works. The scene of Ssokdok bird and Gangajiddong who sacrifices themselves proceeds to the stage of creating a new life by overcoming incompleteness of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