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이만제 한국소통학회 2014 한국소통학보 Vol.25 No.-

        본 연구는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 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상, 전라 지역 대학생 9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머감각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의사소통, 만족감, 이 해성, 친근감의 대인관계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머감각 중 유머생성 능력이 대인관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유머 스타일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적 유머스타일은 의사소통, 만족감, 이해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자기고양 유머스타일은 친근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격적 유머스타일은 이해성, 친근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멸적 유머스타일은 친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 humor sense and humor style on interpersonal rel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ho have more humor sense have high degree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affe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Especially humor production skill variable of humor sense is most prominent variable explaining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2. Humor style has significant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ffinitive humor style has most significant effects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 Self-enhancing humor style has most significant effects on affe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Self-defeating humor style has positive effects on affection, on the other side aggressive humor style has negative effects on understanding and affe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at is, humor and humor style can be significant factors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 in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후보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

        신봉자 ( Shin Bong Ja ),김혜순 ( Kim Hye Soon ),이명희 ( Lee Myung H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만성 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 중인 환자에게 비디오를 이용한 유머중재가 우울과 스트레스 반응인 상태불안과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비디오 유머중재 선행 연구(Kim & Suh, 1996; Suh & Kim, 1994)에 의하면 입원환자들은 유머의 내용으로 TV 코미디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아침보다는 점심 때를 더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10-20분, 20-30분의 순이었고,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유머를 즐기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인 혈액투석 환자는 외래환 자로서 혈액투석이 주 3일, 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특성상 개별적으로 침상TV를 이용하여 혈액투석 중간인 오전에 30분간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하였다.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Beck의 도구로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19,34점에서 12,73점으로 6.60점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21.42점에서 19.04점으로 2.38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비디오 유머중재 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중재가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켰다는 Lee 등(2006)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또한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정도는 Lee 등(2006)의 연구에서 21.9점, Yun, Yang과 Hahn(1999)의 연구에서 22.9점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Lee 등(1995)이 우울 점수 9점 이하는 정상(normal), 10-15점은 경한(mild) 우울상태, 16-23 점은 보통 (moderate) 우울상태, 24-63점은 심한(severe)우울상태로 구분한 것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는 보통의 우울상 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Zung의 도구로 검증한 Kim 과 Suh(1996)의 연구에서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결과와 Suh와 Kim(1994)의 유머중재가 항암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선행연구와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타난 것은 우울과 관련되는 복합적인 변인들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즉 Suh와 Kim(1994)의 연구대상인 암환자의 경우중개기간이 항암제 치료기 간으로 항암제 부작용을 경험하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할 때 유머중재에 관심을 적게 갖지 않았나 하는 점도 고려할 수 있다. Kim과 Suh (1996)의 연구대상인 석고붕대나 견인장치로 기동 성장애를 경험하는 환자들은 기동성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Suh와 Kim (1994)의 암환자의 우울점수 39,9점보 다 많은 42점으로 나타나 대상자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uh와 Kim (1994)은 우울은 상황적인 요소라기보다는 특성적인-요소로 여겨지며 단기간의 간호중재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머중재 연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중간에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혈액투석이 끝나는 1 시간 3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였으나 Kim과 Suh (1996) 의 연구에서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1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여 유머중재 전에 우울도구와 우울점수에 따른 유머중재의 횟수와 시간, 내용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디오 유머중재 이후 대상자들은 혈액투석시간 이외에도 대상자들 간에 서로 바라보며 웃기도 하고 큰소리로 이야기도 나누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치료를 평생 받으며 살아야 한다는 심리 · 정서적 압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혈액투석환자들만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투석을 받는 시간만이라도 의료인들이 대상자의 심리 · 정서적 지지방법으로 비디오 유머중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투석시간외 일상생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유머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디오 유머중재 전 · 후 상태불안, 혈청 코티졸을 검증 한 결과, 상태불안은 차이가 있었으나 혈청 코티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은 실험군은 43.86점에서 35.08 점으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은 47.85점에서 49.71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유머중재가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 시켰다는 Suh와 Kim (1994)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들의 불안 감소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Kim과 Suh (1996)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상태불안 점수 43점은 기동성 장애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3점(Kim & Suh, 1996), 척추손상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Song, 2003), 암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Kam, 2003)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동성장애 환자의 경우 생명에 위급함을 느끼기 않는 만성적인 질환인 반해 일상생활에서 생명의 위급함을 느끼고 있는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에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통하여 불안이 더욱 더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불안은 주관적 근심과 걱정에서 오는 막연한 것으로 두려움, 근심, 죽음이나 재앙이 당장 일어날 것만 같은 느낌을 갖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Jo & Sung, 2000). 혈액투석환자의 불안은‘투석기계에 생명을 의존하고 살아가는 것’,‘ 가족에 대해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 투석 치료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Lee, 2007).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을 치료하기 보다는 주기적으로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대부분의 환자들은 병의 예후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치료계획에 따라 기계에 의존해 치료를 받아야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환자들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머중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혈청 코티졸 검정결과에서 실험군은 8.64㎍/dL에서 13.12mg/dL으로 4.47㎍/dL 증가, 대조군은 8.85㎍/dL에서 16.29㎍/dL으로 7.43㎍/dL으로 모두 증가하였다.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혈청 코티졸 수치가 2.96㎍/dL 더 높게 상승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을 혈액투석환자에게 실시한 Heo (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오전에 검사한 혈청 코티졸의 정상범위가 6-28 ㎍/dL임을 감안할 때 정상범위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환자의 혈중 코티졸 농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한다고 보고한 Daugirdas, Peter와 Todd (2001)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그러나 Heo (2007)의 연구에서 실험군은 0.30 ㎍/dL, 대조군은 1.57㎍/dL 증가하여 본 연구에서 코티졸 상승범위가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는 투석중에 개인별로 유머비디오를 적용하였으나 Heo (2007)의 연구에서는 투석이외의 시간에 집단별로 웃음요법을 시행한 결과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CRH-ACTH계의 활성증가를 통해 CNS에 의해 매개되는 코티졸 분비의 현저한 증가는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적인 상황에서 발생한다(Galla & Luke, 1996). 혈장 코티졸 농도의 증가폭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자극 세기에 비례하며, 스트레스는 질병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질병 과정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질병과 치유과정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혈액투석환자들은 Glucocorticoid의 활동으로 조직의 저항에 의하여 혈중 코티졸 수치가 올라가고 반감기가 증가된다(Daugirdas et al., 2001). 또한 코티졸 수치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액투석과정에서 혈청 코티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혈액투석환자들의 투석 전, 중, 후에 따른 비디오 유머의 효과에 대한 반복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상태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로 가정과 임상에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umorous video on the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Methods: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n=23) and a control group (n=21). Treatment was watching humorous video tapes 30 min each time, three times a week. The depression level and state anxiety level were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Cortisol was measured by a blood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V-test, and t-test. Results: Depression and anxie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 Conclusions: Humorous video tape could be a usefull tool at home and clinical sett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the patients on hemodialysis.

      • KCI등재

        TV광고에서 유머의 유형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의 특성 및 기능에 관한 연구

        홍수정,박소영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1 No.22

        현재 유머라는 키워드는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이슈화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유머광고의 유형에 따른 시각이미지 표현 방법의 기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유머광고의 유형을 유머의 인식과정과 유머반응에 대한 이론을 중심으로 각성형 유머광고, 부조화형 유머광고, 우월성형 유머광고로 분류 하였다. 한편, 선행 연구에 나타난 유머 내용의 유형을 중심으로 해학, 기지, 풍자, 아이러니로 구분하였고 유머의 생산방법을 중심으로 비주얼 펀, 비주얼 패러디, 비주얼 패러독스로 구분하였다. 이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 TV유머광고를 2D 이미지, 3D 이미지, 실사 영상(이미지)로 나누어 분류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표현 특성을 조사 하였다. 조사대상은 국내 공중파에서 방영된 유머광고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인터넷 사이트 TVCF(www.co.kr)의 품목별 형식에서 유머광고로 분류된 광고를 선정하였다. 분석기간은 2009년부터 현재(2009.01~2010.01)까지 약 1년간 방송에서 방영된 유머광고 20여 편을 선정하여 조사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점차 대중적인 광고기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유머광고를 보다 잘 이해하는 한편, 유머소구에 적합한 이미지 표현유형을 밝힘으로써 향후 유머광고의 이미지 선정과정 등에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Currently, the keyword, humor, becomes an issue over the whole society and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 foundation of methods of expressing visual images according to types of humorous advertisement. For the methods of this study, the types of humorous advertisements were divided into awakening, mismatched, and superiority types of humorous advertisements, by centering on process of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humors. On the other hand, for the types of contents of humor appearing previous studies, advertisements were distinguished into humor, wits, satires, and irony and for the methods of producing humors, visual puns, parody, and paradox. In order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visual images in these three types of humorous advertisements, this study divides the advertisements into 2D, 3D and actual images. This study mainly selected advertisements from humorous advertisements broadcasted in the Korean public network. The data was selected from chosen advertisements as humorous advertisement in the types by item on the web-site of TVCF (www.tvcf.co.kr). Twenty humorous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about a year from 2009 until now (January 2009 to January 2010). This study helps better understanding of humorous advertisements, which become a popular method of advertise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becomes an empirical foundation for image selection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proper image expressions for humor appeals.

      • KCI등재

        상사의 유머가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팀인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덕로,김태열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1

        유머가 전략경영의 주요 요소로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경영학 분야에서도 유머의 개인성과나 조직유효성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유머와 개인 및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는 데 큰 역할을 해왔지만, 몇몇 중요한 이슈들을 다루는 데는 적지 않은 한계가 있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은 유머를 단차원적 구성개념으로 다루어왔다. 둘째, 상사의 유머와 부하의 창의성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매개변수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개인의 유머 감각에 대한 연구들이 폭넓게 이루어져 왔을 뿐 직접적으로 유머유형과 직무태도나 성과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이루어진 연구는 매우 드물고, 특히 경영학분야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넷째, 상황요인에 따라 유머의 유효성이 달라짐에도, 유머와 개인창의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에 대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사의 유머가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아울러 양자 사이에 내재적 동기부여가 매개역할을 하는 지, 그리고 팀인적자본이 내재적 동기부여와 부하의 창의성 간의 관계에 조절역할을 하는 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조사대상기업을 연구개발이 중요한 통신기업 5개사를 선정하여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유효한 347부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사의 자기강화적 유머가 부하의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내재적 동기부여는 양자 사이의 정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상사의 유머가 부하의 내재적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고, 내재적 동기부여와 팀인적자본이 상호작용하여 부하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hile humor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field of psychology, recently management scholars have begun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or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cent research supports the use of humor as an effective strategy to manage the work environment, and high profile case studies involving companies such as Southwest Airlines, Ben & Jerry’s, and Sun Microsystem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humor as a significant management tool. Specifically, employing humor at work has been associated with high job performance, effective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positive employee psychological well-being, improv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creased employee creativity. Although current studies have enhanced our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or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earchers have yet to address several important issues. First, most studies to date have considered humor as a single dimension in their analysis, yet humor is widely acknowledged to be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Second, research has not yet explained the underlying mechanism and effects of supervisor humor specifically on employee creativity. Third, scholars have yet to research the use of humor as a positive management strategy in shaping attitudes and behaviors, as most current studies focus on humor with respect to individuals and stress management. Finally, there is scant research examining the situational variables other than demographics that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or an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addresses these issues, we examined how various types of supervisor humor affect subordinates’ individual creativity, how subordinates’ intrinsic motivation mediates the latter relationships, and how team human capital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humor and subordinates’ individual creativity.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indirect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humor and subordinates’ individual creativity. We analyzed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wher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an play an important role for organizational success, and where individual creativity is encouraged. Five hundred surveys were distributed, one hundred to each company. Our sample focused on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in the R&D departments. Before we distributed the surveys, we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urvey briefly and received assistance from either human resource managers or the supervisors in the team. To resolve the common method variance program, we asked both subordinates and supervisors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Subordinates assessed the types of humor of their supervisors, their own intrinsic motivation, and team human capital, whereas supervisors assessed their subordinates’ individual creativity. Since one supervisor assessed several subordinates, we us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o examine the research hypotheses. Furthermore, we used 3-level analysis to control the company effect on the results that examined the role of humor on strategic management across organizations. That is, we used supervisor humor, intrinsic motivation, and individual creativity as Level-1 variables, team human capital as a Level-2 variable, and included company as a constant at Level-3. The results show that supervisors’ self-enhancing hum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ordinates’ individual creativity, and subordinates’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mediates the latter relationship. In addition, team human capital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intrinsic motivation and individual creativity, and team human capital significantly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s of subordinates’ in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self-enhancing humor and subordinates’ individual creativity.

      • KCI등재

        교사유머의 유형화 및 유형별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허영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활용하는 유머를 유형화하고, 유형화한 유머가 어떤 교육적 효과를 보이는지를 측정함으로써 교사유머의 유형별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866차시의 참관수업을 통해 교사들이 수업 중에 활용하는 유머 857개가 조사되었으며, 이를 세 가지 분석기준(유머활용목적, 유머표현방식, 유머활용결과)에 의해 유형화하였다. 유형화한 유머 중 표본을 대표하는 유머 75개를 선정하여 271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유머활용의 교육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중고등학교 교사가 주로 활용하는 유머유형은 유형1(분위기전환 및 주의집중 유도-내용유머-호감유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유형은 교육효과 분석 결과, 정서적 효과·인지적 효과·수업내용 이해정도에 미약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히려 자주 활용되지 않는 유머유형인 유형6(수업내용 이해 및 기억증진-표현유머-호감유머)이 정서적 효과·인지적 효과·수업내용 회상정도에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수업에서의 유머활용 시 교육효과가 높은 유머유형6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특히 수업내용 회상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위기 전환 및 주의집중 유도’ 보다는 ‘수업내용 이해 및 기억증진’의 목적을 가지고 교과와 관련된 내용으로 유머를 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자신의 유머감각 함양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사전에 수업계획을 통해 유머활용 계획을 세우고 연습을 충분히 할 것을 요청하였다. 그리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교사유머의 성공적 활용을 위한 전략 및 방안 연구, 유머러스한 수업내용의 개발 및 제공 등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ype of teacher's humor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ype teacher's humor. To achieve this, investigated 857 cases of teacher's humor through observed 866 lesson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type of teacher's humor was categorized into eight types by purpose of humor and expression form, agreeable or non-agreeable humor, namely from type 1 to type 8. Also, 75 humors are selected from 857 humors and educational effects of humor were measured by 2714 students. Educational effects includes affective effects, cognitive effects, memory of lesson contents. As a result, the educational effect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humor. Teacher usually use humor by type 1(atmosphere conversion and concentrate student's attention - storytelling - agreeable humor), but type 1 have a little affective effects, cognitive effects, memory of lesson contents. On the other hand, type 6(expansion of contents comprehension and increase of memorization - expressive qualities - agreeable humor) that teachers do a little used affect a lot of affective effects, cognitive effects, memory of lesson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 make frequent use of type 6 on lessons. And suggest that focus purpose of humor on ‘expansion of contents comprehension and increase of memorization’ and contents of humor is involved in lesson contents.

      • KCI등재

        예비교사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교사교육에 요구하는 변화 (Vol.22 No.3)

        허영주(Hur, Youngju)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유머활용에 대한 의견과 유머감각 그리고 유머스타일을 탐색하며, 이를 통해 예비교사의 유머능력 함양을 위한 교사교육의 변화 방향을 제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3개 대학 총 265명의 예비교사였으며, 교사유머에 관한 예비교사의 의견 조사지와 유머감각 측정지, 유머스타일 측정지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유머능력은 필수적이고 후천적 노력으로 함양 가능하다고 보며, 유머능력을 보유하기 위하여 노력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평균적으로 유머감각 수준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머의 실제 활용과 활용 후의 피드백 등 유머감각 향상에 긍정적인 방법보다는 수동적이고 소극적 방법으로 유머능력 함양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의 유머스타일은 주로‘관계적 유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자멸적 유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유머능력함양을 위한 교육활동이 교사교육에서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이 때 주요 내용은 교사의 중요한 능력으로서의 유머능력의 필요성과 함양가능성에 대한 확신, 유머능력 증진을 위한 확고한 의지 확보, 교육활동을 위한 유머활용의 목적의 명확한 인식, 부정적 유머활용의 단점과 실례, 예비교사들의 유머능력 함양 계획 검토와 적극적 유머함양 방법을 경험할 기회 등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d that change about teacher education for fit in humor sense and humor style of pre-service teacher. For study, 265 pre-service teachers is tested, Thorson & Powell's MSHS(Multidimensional Sense of Humor Scale)(1993) and Martin etc.'s HSQ(Humor Style Questionnaire) (2003) be used in study. As result, pre-service teacher take a view that humor is necessary to support teaching and effort increasing humor. And pre-service teacher have effort's plan. But pre-service teacher's humor sense is medium capability and have been used passive methods than active and effective methods on humor increasing. Also, pre-service teacher's humor style usually is affiliative humor or self-defeating humor. Self-enhancing humor and agressive humor nothing much. So researcher said some proposals of the teacher education. First and most important proposal is that contents for increasing on humor use capability must add in teacher's curriculum. Contents encompasses that have belief on humor sense as necessary condition of teaching and have a strong will efforts for more higher teacher's humor sense. And it have steadily perception on cause of humor use for teaching and defects of passive methods on humor increasing, chance used for active and effective methods.

      • KCI등재

        유머에 대한 인식을 통해 본 소통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 강의를 중심으로

        여은호,박경우 한국소통학회 2013 한국소통학보 Vol.20 No.-

        이 연구는 한국의 대학 강의실에서 사용되는 유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내재화되어 있는 소통문화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조사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두 가지 연구문제(1. 대학 강의에서 사용되는 유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가? 2. 대학 강의에서 사용되는 유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 문화적 자아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연구자들은 18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통해 교실에서의 유머에 대한 사례들을 조사하고, 개념도 기법(concept map)을 통해 대학 강의에서 사용되는 유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들에서 발견된 바와 같이 특정 형태의 유머는 일반적으로 부적절하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지만, 모든 유형의 유머가 상황에 따라 적절하거나 부적절하게 인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념도를 통해 나타난 유머 유형의 군집분포를 살펴보면 대학 강의에서 사용되는 유머의 유형에 대한 인식은 ‘자기중심적 유머’와 ‘타자중심적 유머’로 뚜렷하게 나누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유머의 유형을 파악할 때 유머를 사용하는 자와 유머의 대상 사이의 ‘관계’, 즉 상호 관계성(interdependence)을 중요한 인식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머의 유형별로 나타난 선호도 또한 사회적 조류와 개인적 신중함을 중시하는 관계 중심형 문화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유머의 유형과 그 적절성에 대한 인식의 연구는 한국사회에서의 유머가 어떠한 구조를 지니고 있는가 하는 일차적인 문제를 넘어서 한국사회의 소통문화의 전체적 구성에 대한 이해의 단초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사회의 소통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머뿐 아니라 다양한 소통의 방식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보다 근원적인 요소들을 이론적으로 찾아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insight in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in Korean society by investigat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different types of humor in college classes. The researchers focused on two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perceptual structure Korean college students use when they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fferent types of humor in college classes? 2. What ar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munication that influence the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humor in college classe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using an open ended questionnaire among 181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humor cases collected by the survey were categorized into 15 types of humor using the analytic induction technique. Th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 15 types of humor in terms of their appropriateness were analyzed by the concept mapping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 that “others-related” types of humor were dominant in Korean college class compared to “self-related” types of humor. The concept map analysis also shows that Korean students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humor based on a dichotomous perceptual structure which reflects the collectivistic character of the communication culture in Korea.

      • KCI등재후보

        경찰공무원의 유머감각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임운식(Lim, Woon-Sik) 한국민간경비학회 2016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5 No.4

        오늘날 유머는 조직의 경영기법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고, 조직 구성 원들의 유머감각은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유머나 유머감각에 대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들 자신이 지각하는 유머감각이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연구를 통해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독립변인으로 유머감각을 선정하였고, 종속변인으로 직무열의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직무열의는 활력, 헌신, 몰두의 세 가지 하위 구성요소로 구분하였으며, 통제변인으로 성별, 연령, 학력, 계급을 선정하였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유머감각은 직무열의의 구성요소인 활력, 헌신, 몰두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머감각 수준이 높은 경찰공무원 일수록 직무에 있어서 활기와 헌신, 몰두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보았듯이 경찰공무원 개개인의 유머감각 수준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므로 경찰공무원들의 유머감각이 증진될 수있도록 조직차원에서 유머능력향상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중앙경찰학 교, 경찰교육원, 경찰대학에서 신임교육과정, 직무교육과정, 치안정책과 정, 전문화과정에 유머감각관련 교과를 편성하여 시행하여야 할 필요 성이 있겠다. 그리고 조직 내 직무교육시 외부 전문강사를 활용하여 일선 경찰공무원들의 유머감각을 증진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유머감각 질문검사지를 활용하여 경찰공무원들의 유머감각을 평가하고 이를 인사배치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officers󰡑humor sense and job engagement. In this study, humor sense i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job engagement i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one. job engagement was divided into three sub-factors such as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and control variables included sex, age, academic background, and rank. To test the hypotheses, survey data from police officers in Dae-Gu are collected and analyzed. Principal component method is used to see which items cluster together in each factor and to calculate factor scor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umor sense had significant effects on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as the three sub-factors of job engagement, indicating that the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were higher as the police officers󰡑had higher humor sense. Based on these finding,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ssues to promote police officers󰡑humor sense.

      • KCI등재후보

        대학수업에서 교수 유머의 분석

        지성구(Seong Goo Ji),송윤희(Yun Hee Song)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structors’ humor and research about conditions for effective use in university classes. Participants were 613 students at H University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2.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verage of major subject classes using humor was 2.26, and professors incorporated humor with an average of 3.91 times per 1 hour class session. Second, when professors used humor in classes, 90.1% of respondents laughed and 73.3% of respondents had positive mood. Inappropriate humor influenced student learning negatively. Third, humor styles which instructors mostly used and students preferred were jokes, funny stories, and humorous comments. Forth, students preferred both contents related humor and contents unrelated humor to offensive humor, self-disparaging humor, and other-disparaging humor. Fifth, humor was an appreciated teaching tool for instructors to facilitate student learning. Students agreed that humor appropriately was used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students’ participation, foster a positive learning climate, access to instructors easily. When students take another class, they want to choose the class which the instructors use humor. Humor not only improved students’ learning and memorizing abilities, but also promo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When instructors used humor, the students increased attention and interests, while there tension and stress are reduced. 본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의 유머 활용을 살펴보기 위해 대학 교수의 유머 활용실태, 학생의 유머 반응, 선호 유머 유형 및 유머 효과를 분석하였다. H대학교 61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및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공수강 과목 수에 따른 유머 수업 수의 평균은 2.26개로 나타났으며 유머 수업 중 1시간 동안의 유머 평균 횟수는 3.91회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웃음반응은 90.1%가 ‘살짝 미소짓는다’와 ‘즐겁게 웃는다’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학생들의 기분반응도 73.3%가 ‘유쾌해한다’와 ‘매우 유쾌해한다’로 긍정적인 응답하였다. 부적절한 유머의 학생반응에 대한 평균은 학생 공격 유머 금지, 수업의 방향성 상실, 수업분위기 저해, 교수의 신뢰성 하락, 수업집중 방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업 중 교수 사용 유머 유형과 학생 선호 유머 유형은 농담, 웃기는 이야기, 웃기는 지적이 높게 나타났 다. 또한 학생들이 바람직하게 인식하는 유머 스타일은 수업 내용 관련 유머와 일반 유머로 나타났으며, 공격적 농담, 교수 자신 비하적 유머, 타인 비하적 유머는 선호도가 낮았다. 수업에서의 유머활용에 대한 학습효과를 살펴보면, 수업 참여의 편안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긍정적 수업분위기, 교수접 근성, 재수강의도, 주의집중 및 흥미 유발, 교수-학생관계 강화, 학습 및 기억증진, 긴장과 스트레스 감소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유머에 대한 교육효과를 살펴보고 유머를 수업현장에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유머의 유형 분류에 관한 고찰 - 유머의 원리와 구조를 중심으로 -

        윤민철 우리말학회 2010 우리말연구 Vol.27 No.-

        유머는 화법의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대화에서 유 머를 어떻게 사용할 지를 적절하게 판단하기 위해 유머에 대한 연구가 필 요하다. 남을 웃게 하기 위한 다양한 말과 행동들이 유머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는 유머가 되기 위해 어떤 것들이 충족되어야 하는 지 살펴보고, 그 항목에 따라서 유머의 유형을 분류해 보겠다. 유머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상대를 웃게 하려는 의도성이 있으며, 유 머가 되기 위한 원리는 듣는 사람의 인지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이탈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이 실현되는 구조는 일반적인 의사소통과 같은 형태의 제 한과 그것을 벗어나는 이탈로 ‘제한-이탈’의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유머 의 유형을 문맥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문맥 연결형과 문맥 분리형으로, 원 리를 기준으로 창조형 유머와 공격형 유머로 나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