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단감의 탈립력 및 과특성 비교

        김민정,심창기,김용기,박종호,홍성준,한은정,윤종철,지형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6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fruit detachment force and fruit quality of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cultivated sweet persimmon fruits. The altitudes of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cultivated orchard were between 100 to 300 m and 70 to 250 m above sea level, respectively. Sweet persimmon, ‘Fuyu’ is the major cultivar, and the average age of plant was 19.8 years in three survey regions and organically cultivated orchards were 5 years less than conventionally cultivated orchard. In soil nutrient management, conventionally cultivated orchard are prefer chemical fertilizers. The other hand, organically cultivated orchards are mainly used livestock manure and green manure, hairy vetch and ryegrass and supplied the seaweed and fermented wild grass extracts as trace elements. In insect pest control practices, the conventionally cultivated orchard are sprayed chemical pesticides 14 to 16 times per year. The organically cultivated orchards were used plant-derived extracts, matrine, prethrin, azadirachtin, rotenone, etc, and blue light trap and pheromone traps. In plant disease practices, the 0.5% egg yolk-cooking oil and plant extracts mixture and soluble sulfur mixtures, 1% lime sulfur or 1% loess sulfur mixture was used for control agent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Mycosphaerella nawae. In the average fruit detachment, organically cultivated orchards were higher 34.0 to 145.7 N than conventionally cultivated orchard. Although, the average fruit stalk thickness of organically cultivated orchar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urvey regions and thicker 0.76 to 1.08 mm than conventionally cultivated orchard. Also, the average fruit firmness of organically cultivated orchards were higher 2.9 to 5.1 N compared to conventionally cultivated orchard. Although, the average fruit fresh weight of organically cultivated sweet persimmon were higher 16.0 to 54.4 g than the fresh weight of conventionally cultivated orchard. The average soluble solids content of organically cultivated sweet persimmon were higher 1.4 Brix than conventionally cultivated orchard excepted for Jinju region. 본 연구는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단감의 탈립성과 과품질을 조사 비교하였다. 해발 100~300 m에 위치한 유기재배 단감 과수원과 해발 70~250 m에 위치한 관행재배 단감 과수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재배품종은 ‘부유(Fuyu)’이며, 단감나무의 평균 수령은 19.8년으로 유기재배가 관행재배보다 평균 5년 적었다. 토양 양분관리는 관행재배의 경우 대부분 화학비료를 선호하는 편이었고, 유기재배의 경우 가축분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헤어리벳치나 호밀을 녹비로 재배하고 부족한 미량원소의 공급을 위해 해조추출물이나 발효산약초추출물 사용하였다. 해충 방제를 위해 관행재배의 경우 화학농약을 년간 14~16회 살포하였고, 유기재배의 경우는 Matrine, Prethrin, Azadirachtin, Rotenone, black pepper extract 등의 식물유래 추출물과 유아등이나 페르몬트랩을 사용하였다. 단감 탄저병이나 둥근무늬낙엽병을 방제하기 위해 5% 난황유와 식물추출물 혼합제나, 1% 석회유황합제 또는 1% 황토유황합제를 주로 사용하였다. 단감나무 가지로부터 단감의 탈립력은 조사 지역간의 차이는 있지만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 단감의 탈립력이 평균 34.0~145.7 N 높았다. 과경 두께는 지역적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 단감의 과경이 평균 0.76~1.08 mm 더 두꺼웠다. 단감의 과실 경도도 관행재배에 비해 유기재배가 평균 2.9~5.1 N 더 높았다. 단감의 과중은 유기재배 단감의 과실무게가 관행재배 단감의 과실무게보다 평균 16.0~54.4g 더 많았다. 단감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진주지역을 제외하고 산청과 창원지역의 유기재배가 관행재배 보다 평균 1.4 Brix 높았다.

      • 근적외선 분광과 유효 파장 선택 기법을 이용한 과수 및 채소 재배 토양 유기탄소 예측

        이재은 ( Jae-eun Lee ),김민지 ( Min-jee Kim ),양재의 ( Jae E Yang ),모창연 ( Changyeun M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토양 비옥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토양 유기물(SOM)은 작물 수확량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과수류와 채소류 재배시 토지에 사용되는 비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수확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토양유기물의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과채류 재배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신속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 유기물 함량 측정을 위해 근적외선 분광 기술을 이용하여 토양 유기탄소(SOC)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과수 및 채소 재배 포장 166 곳에서 채취되었다. 토양 시료의 분광분석을 위해 SM304 (Korea Spectral Products, Korea)을 사용하여 근적외선 영역인 900 nm-2400 nm 파장대에서 반사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토양 시료는 각 3회 반복 측정하여 총 498개의 스펙트럼을 획득하였으며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펙트럼 전처리(평활화, 정규화, 1차미분, 2차 미분, SNV, MSC)를 적용하였다.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와 CARS(Competitive Adaptive Weight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토양 유기탄소 함량 예측을 위한 유효 파장을 선정하였다. 4 종류 과채류 재배 토양의 유기탄소 함량 예측을 위한 PLSR(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PCA-PLSR, CARS-PLSR 모델을 개발하였다. 최적 모델을 구명하기 위해 토양 유기탄소 함량 예측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복숭아 재배 토양에서 정규화 전처리 적용 PLSR 모델의 결정계수(Rv 2)와 평균제곱근오차(RMSEV)가 각각 0.81, 6.16 g/kg으로 우수한 유기탄소 예측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과수류 및 채소류 재배 포장에서 토양 성분을 모니터링하는 토양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블루베리 친환경재배 토양표면관리를 위한 솔잎멀칭에 의한 잡초억제효과와 근권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안인 ( In Ahn ),김삼현 ( Sam Hyun Kim ),맹운영 ( Woon Young Maeng ),이인애 ( In Eae Lee ),이종진 ( Jong Jin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블루베리 친환경재배시 멀칭을 하지 않고 노지로 방치할 경우 강우에 의한 토양 침식으로 인해 천근성인 블루베리의 뿌리가 노출되거나 잡초 번무에 의한 양·수분의 경합, 토양건조로 생육이 불량해 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표면에 볏짚, 왕겨, 파쇄목, 톱밥, 피트모스, 메밀껍데기, 나뭇잎 등의 유기물을 멀칭하는 재배농가가 늘고 있다. 그러나 볏짚, 왕겨는 잡초종자 혼입우 려와 화재 위험성이 있고, 톱밥은 분해되면서 질소성분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으며, 피트모스는 토 양표면을 딱딱하게 하기 쉬워 수분통과가 어려워지며, 파쇄목과 메밀껍질 및 피트모스는 비교적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 식재 골사이를 친환경부직포 피복과 동시, 주변 야산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소나무 낙엽인 솔잎을 이용하여 멀칭재배를 한 전북 무주군 및 옥천군 2군데 유기재배 농가포장과 멀칭하지 않은 무주군 및 옥천군 유기재배농가포장의 잡초 발생 억제효과[(1-멀칭구의 잡초총건물중/무멀칭구의 총 건물중)× 100]와 블루베리가 식재된 표토 5㎝를 제외한 근권토양을 채취하여 토양 pH와 유기물 함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블루베리 솔잎멀칭에 의한 잡초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블루베리 품종에 상관없이 발생초종은 바랭이, 개망초, 쇠비름, 참비름, 방동산이, 명아주, 쑥, 냉이, 닭의장풀, 개여뀌, 씀바귀, 깨풀, 개여 뀌 등이 발생 되었던 바, 바랭이가 가장 우점이었고, 그 다음으로 개망초, 쇠비름, 명아주, 방동산 이가 많이 발생되었으며, 그 밖에 쑥, 닭의장풀, 냉이, 개여뀌 등이 소량 발생 되었다. 솔잎 멀칭구 는 1.7/㎡이 발생되어 무 멀칭구 85.0/㎡ 대비 방제가 98%의 우수한 잡초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솔잎멀칭이 근권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솔잎 멀칭포장과 비멀칭 포장의 블루베리 재배지 근권토양을 채취 유기물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옥천지역은 솔잎멀칭포장이 2.98%, 비멀칭 포장은 3.01로 차이가 없었고, 무주지역은 솔잎멀칭포장은 1.3%, 비멀칭포장은 1.6%로서 큰 차이는 아니지만 오히려 비멀칭포장에서 유기물 함량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 기물 보충효과는 인정할 수 없었으나, 블루베리 솔잎멀칭구 5㎝ 부근의 토양을 조사한 결과 모든 멀칭구에서 잡초억제외 부수적 효과 로서 배수, 보수성, 통기성 등 토양보습 개선효과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블루베리 친 환경재배시 식재 골 사이를 친환경 부직포로 피복하고 블루베리 나무주변을 솔잎멀칭할 경우 잡초 억제 및 보습효과 등 여러 장점이 있어 어느 멀칭재료보다도 블루베리 토양표면관리를 위한 효율 적인 멀칭재배 수단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딸기 유기 재배시 주요 품종간 생육, 수량 및 병해충 발생 특성

        김대영(Daeyoung Kim),고관달(Kwan Dal Ko),윤형권(Hyung Kweon Yun),윤무경(Moo Kyung Yoon),곽정호(Jung-Ho Kwak),김태일(Tae il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7 No.4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매향' 등 6품종을 대상으로 유기재배 방법으로 촉성 및 반촉성 직형에서 재배하여 생육, 수량, 과실 품질 및 병해충 발생 양상 등을 조사하여 유기농 재배에 적합한 딸기 품종을 선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년에 걸친 시험 결과 두작형 모두에서 '설향'의 수확량이 타품종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았다. '설향'의 재배기간 전체 평균 당도는 12.˚Bx로 타품종과 비교하여 낮은 경향이었으며 특히 고온기에 당도저하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촉성 재배의 주요 출하시기인 2월 하순까지는 타품종과 비슷한 당도 변화를 보였다. '설향'의 경도는 평균 279g/Ø5㎜로서 기존 촉성재배 대비 품종인 '아키히메' 보다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산도는 '매향'(0.69%)에서 가장 높았다. 촉성 재배시 '선홍'에서 생체중 및 근중이 타 품종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엽면적은 '설향'이 유의성있게 높았다. 반촉성재배시 품종간 생육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병해충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설향'의 잿빛곰팡이병 발병도가 높게 나타났다. 재배 및 육묘기 모두 '설향'이 흰가루병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목화진딧물 발생량도 타품종과 비교하여 낮은 경향이었다. 점박이응애 발생량은 '레드펄'에서 낮은 밀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생육 및 병해충 발생양상 조사한 결과 '설향'이 촉성 유기 재배에 가장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되었으며 반촉성 재배시에는 고온기 '설향'의 경도 및 당도가 저하되어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uitable cultivar for organic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cultivation in Korea. The six strawberry cultivars which were bred and commonly cultivated in Korea as forcing and semi-forcing culture were tested in this experiment. To achieve the objectiv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s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for two consecutive years such as growth habit, yield, fruit quality and occurrence rate of disease/pest. As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total yield of 'Seolhyang' was the highest among cultivars tested in both forcing and semi-forcing cultivation. The average of soluble solid contents (SSC) in 'Seolhyang' was 12.0˚Bx that is lower than other cultivars and especially below 10 °Bx after March (high temperature period). Bu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sse among 6 cultivars until the end of February. The average of hardness in 'Seolhyang' was 279 g/Ø5 ㎜ which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Akihime'. Titration acidity (TA) in 'Maehyang' was 0.69% which was the highest value among 6 cultivars. Total fresh/root weight of 'Seonhong' and leaf area of'Seolhyang' were significant among other cultivars' ones in forcing culture. Growth habits (fresh weight, root weight, leaf area, etc.)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ultivars in semi-forcing culture. The lowest occurrence rate for powdery mildew and aphids was found in 'Seolhyang', but gray mold was severer than other cultivars. The density of two spider mites was the lowest in 'Redpearl'. We have concluded that 'Seolhyang' is the most suitable cultivar for organic strawberry cultivation by the result of yield, tTuit quality and resistance of disease/pest.

      • KCI등재

        당밀 농축 용액 기반 유기성 액비 사용에 따른 시설재배 고추의 생육 특성, 토양 양분 균형 및 효소 활성도 분석

        이평호(Pyoung Ho Yi),정대호(Dae Ho Jung),고팔 셀바쿠마르(Gopal Selvakumar),이성은(Seong Eun Lee),한승갑(Seung Gab Han),이인복(In-Bog Lee) 한국원예학회 2020 원예과학기술지 Vol.38 No.5

        시설 재배 작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고자 화학 비료를 투입하는 경우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물학적 특성이 손상될 수 있다. 화학 비료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발효 찌꺼기를 기반으로 하는 유기성 액비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종별 처리에 따른 시설 재배 고추의 생육 특성과 생산량을 조사하고, 양분 이용 효율을 분석하며, 토양의 화학성과 미생물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여 화학 비료와 무기성 및 유기성 액비의 효과에 대해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네 가지 비종별 처리구는 무비구(CON)와 화학 비료 처리구(CF), 무기성 액비 처리구(CL), 유기성 액비 처리구(OL)로 구성되었다. 토양과 식물체의 양분 함량과 식물체의 양분 이용 효율, 토양의 미생물 효소 활성도를 분석하였다. 유기성 액비를 처리한 고추의 전체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며, 과실 건물중은 화학 비료 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기성 액비를 처리한 고추의 인과 칼륨의 이용 효율이 증가하였으며, 화학 비료에 비해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가용성 인산, 칼륨과 칼슘 함량 등이 증가하였다. 또한 유기성 액비 처리구에서 urease와 β-glucosidase의 활성도가 증가하여 토양의 유기 질소와 탄소 순환을 촉진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발효 찌꺼기를 기반으로 하는 유기성 액비 처리는 시설 재배 고추의 생산량을 화학 비료와 유사한 수준을 보장하며, 토양의 화학성과 미생물상을 개선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xtensiv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to increase yields of crops grown in rain-sheltered houses may impair the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the soil. Organic liquid fertilizer based on vinasse produced by sugarcane fermentation is increasingly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to chemical fertilize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s, and nutrient utilization efficiency and measure the effect of soil microbial enzymatic activity when using organic liquid fertilizer based on condensed molasses soluble wit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under protected cultivation. Four different fertilizer treatments were applied: no fertilizer (CON), chemical fertilizer (CF), chemical liquid fertilizer (CL), and organic liquid fertilizer (OL). Soil and plant nutrient contents, plant nutrient use efficiency, and soil enzyme activity were analyzed in each treatment.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red peppers treated with organic liquid fertilizer increased, and fruit dry weight was similar between CF and OL. The P and K use efficiency of red peppers treated with organic liquid fertilizer increased, and the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₂O₅, K, and Ca contents of soil in organic liquid fertilizer treatment increased compared to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In addition, the urease and β-glucosidase activity in organic liquid fertilizer treatment increased significantly, which may stimulate nitrogen and carbon circulation in soil.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use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based on vinasse of soluble condensed molasses improves red pepper production similar to chemical fertilizers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ctivity.

      • 유기재배 단감의 병해충 관리요령과 농자재의 안전사용기준 설정

        최덕수,마경철,고숙주,김도익,김현우,김상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단감은 연평균기온이 13℃ 이상이며 겨울철에 –14℃ 이하의 낮은 기온이 없는 지역을 재배안전지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주 재배지는 전남과 경남지역으로 전국 재배면적은 24,299ha에서 171,699톤을 생산하고 있는데, 유기재배 면적은 20.7ha로 전체 면적의 0.09%를 차지하여 매우 경미한 실정이다. 이처럼 단감 유기재배가 확대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병해충 방제가 어렵기 때문으로 조사되었으며, 방제가 어려운 병해충으로 는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 감꼭지나방, 노린재류, 주머니깍지벌레 등이었다. 유기재배 선도농가의 병해충 방제회수는 해에 따라 다르지만 연 9~16회 살포하며, 주로 사용하는 자재는 석회유황, 황토유황, 기계유유제 그리고 유기목록 공시자재로 등록된 식물추출물제, 자가제조한 마늘, 은행, 자리공추출물 등을 사용하였다. 유기재배 단감의 병해충 방제체계 확립을 위하여 부유 8년생에 종합관리 Ⅰ(연 8회 살포), 종합관리 Ⅱ(연 11회 살포)를 두고 농가관행방제와 비교하였다. 종합관리1, 2, 농가관행방제에서 최종 착과율이 각각 81%, 74%, 77%였으며, 탄저병, 주머니깍지벌레, 감관총채벌의 피해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기 노린재 피해과율은 각각 16.5%, 27.7%, 30%로 종합관리 처리에서 관행보다 다소 낮은 피해를 보였다. 또 농가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유기농자재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시기별, 농도별 약해시험 결과, 유황제는 어린잎일때는 300배, 잎 전개 후에는 200배로 사용하고, 보르도액, 유화제는 모든 시기에 100배, 기계유유제는 모든 시기에 50배 사용하여도 약해는 발생하지 않는다.

      • KCI등재후보

        국내 유기자원의 양분함량 및 유기질비료 원료로서 활용가능성 조사

        장재은(Jae-Eun Jang),이진구(Jin-Gu Lee),임갑준(Gab-June Lim),한정아(Jeong-A Han),윤승환(Seuong-Hwan Yoon),김상우(Sang-Woo Kim)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추계

        현재 국내 친환경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기질비료의 대다수는 수입 유박으로 유박의 사용은원료의 안전성 우려 및 자원순환과 토양환경 보존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업을 추진하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친환경농업 정책에 상충되므로 수입 유박을 대체할 수 있는 원료의 확보와 유박비료 자체를대체할 수 있는 대체 비료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질소함량이 높은 유기자원을선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입 유박을 대체할 수 있는 유기질비료를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질소함량이 높은 국내산 유기자원 선발을 위하여 계분, 어분, 콩깻묵, 참깻묵, 들깻묵, 혈분, 우각, 맥주오니등 8종을 분석하여 질소함량이 높은 유기자원을 선발하였다. 우각은 전질소(T-N) 함량이 12.0 %로혈분 13.5 % 다음으로 높았으며 어분 및 깻묵은 전질소 함량이 5.9~7.9 % 수준이었다. 계분은 유기농업에 사용가능한 무항생제 계분으로, 질소함량이 1.5 %, 맥주오니는 질소함량이 3.4 %로 나타났다. 무항생제 계분, 우각 등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수입유박 질소함량(4.0~4.2 %) 대비 질소함량이 7.5 % 로 높고 중금속이 Zn 400 mg/kg, Cu 120 mg/kg 이하 등 유기농업자재 품질기준에 적합한 유기질비료를 개발하였다. 우각 등 국산 유기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고농도 질소원 선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재배 적합 유기질비료 개발은 지역자원을 이용한 기존 수입 혼합유박 대체 연구의 출발점이자 폐기되고 있는 국내 유기자원의 활용 방안 모색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이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개발이지속적으로 추진된다면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시설재배지에서 유기복합비료 시용량에 따른 상추 생육 및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김명숙(Myung-Sook),박성진(Seong-Jin Park),김성헌(Sung-Hyun Kim),황현영(Hyun-Young Hwang),심재홍(Jae-Hong Shim),이윤혜(Yun-Hae Lee) 유기성자원학회 2020 유기물자원화 Vol.28 No.3

        국가정책사업인 유기질비료 지원사업은 1999년부터 시작되었고, 유기질비료의 과다 시용은 시설재배지의 양분집적을 초래했다. 시설상추재배시 안정적인수량 확보와 과다 시비로 인한환경오염을 예방하기위해 유기복합비료의적정 추천량 기준을 설정하고자 시험하였다. 유기복합비료의 무기질 질소 기비량의 대체비율은 토양검정 질소 기비량(8.6 kg 10a-1 )을 기0 준으로 1 %0에서 작물수량이 높았다. 토양의 질산태질소와 전기전도도도 무기질비료 처리구보다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기비량 100%를 유기복합비료로 대체한 경우에 질소이용율은 23%로 무기질비료 처리구와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상추의 수량을 증가시키고 토양 중에 투입된 비료성분의 토양 잔류 정도를최소화하는 관점에서는 유기복합비료를 무기질 질소 기비량의 100%를 대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The Project supporting organic fertilizer started in 1999 as a national policy. In farmhouse, over application of mixed organic compound fertilizer(OC) caused salt accumulation in plastic film house soil. To replace inorganic fertilizer with OC fertiliz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OC application on yield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for lettuce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 The OC fertilizer was applied at 50(OC50+N50), 100(OC100), and 150(OC150) % level of the basal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in soil testing recommendation. And these were compared to NPK(nitrogen, phosphat, and potash fertilizer) and PK treatment. The yield of lettuce in OC100 was similar to that of NPK treatment. In OC 50, 100a nd 150t reatments, pH had a tendency to increase than that of NPK treatment. Nitrate nitrogen(NO3-N) and electrical conductivity(EC) were similar to NPK treatment. These showed that nutrients from OC fertilizer were less likely to accumulate in soil than NPK. Also, use efficiency of nitrogen in OC100 treatment were similar to NPK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OC application as the basal dressing at the 100% level could be best to prevent a nutrient accumulation of soil and to increase the yield and commercial quality for lettuce.

      • 유기재배 단감 과수원의 병해충 종합관리 기술

        최덕수,마경철,고숙주,김효정,이진희,김도익,김현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4

        국내 단감 재배면적은 24,299ha인데 친환경 재배면적은 30ha로 극히 미미한 실정으로 이를 확대하고자 농가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유기재배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하여 3년간 수행하였다. 유기재배 단감 과수원에서 가장 피해가 심한 병해충은 탄저병, 감꼭지나방, 노린재류, 주머니깍지벌레이며, 일부 포장에서 는 차응애, 감관총채벌레, 독나방 등이 발생한다. 이들 각각의 병해충에 대하여 친환경 방제자재를 선발하였는데, 탄저병의 균사생육을 억제하는 유지자재는 석회유황, 황토유황, 결정석회황합제 등 황이 들어간 제품에서 효과적이었다. 감꼭지나방 유충은 고삼+님추출물제에서 70% 살충효과가 있었다. 감꼭지나방 방제를 위하여 (E,Z)-4,6-Hexadecaduenyl acetate와 (E,Z)-4,6-Hexadecadienal를 58:5.8비율로 혼합한 교미교란트랩을 5×5m 간격으로 설치한 결과 피해과율을 낙과율이 31% 경감되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는 마늘+시트로넬라유, 너삼씨앗유, 고삼+미생물이였으며, 감관총채벌레는 잎을 말고 그 속에서 가해하기 때문에 방제효과가 비교적 낮았으나 님추출물제, 너삼씨앗유에서 6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다. 독나방에는 너삼씨앗유, 마늘+시트로넬라유, 고삼+미생물이 효과가 좋았다. 각 병해충별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를 이용하여 유기재배 단감의 병해충 방제체계 확립을 위하여 부유 8년생에 종합관리Ⅰ (연 8회 살포), 종합관리 Ⅱ(연 11회 살포)를 두고 농가관행방제와 비교하였다. 종합관리Ⅰ, Ⅱ, 농가관행방제(16회 살포)의 수확과율이 각각 70.7, 67.7, 71.2%였으며, 각 처리 모두 탄저병, 깍지벌레, 감관총채벌레 피해는 극히 미미하였으나 노린재류 피해과율은 32~75%까지 발생하여 노린재는 방제가 되지 않았으며 추후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스펙트럼 전처리와 합성곱 신경망(CNN) 모델 기반 과수재배포장의 토양유기탄소 함량 예측

        이재은 ( Jae-eun Lee ),김민지 ( Min-jee Kim ),양재의 ( Jae E Yang ),모창연 ( Changyeun M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토양유기탄소(SOC)는 질소, 인, 황 등의 영양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토양 비옥도 및 작물 생산성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토양유기탄소 함량은 기후 조건, 토지 사용 방법, 농업 시스템 및 농업 활동 등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토양 내 유기탄소 함량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기탄소 함량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유기탄소함량을 비파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근적외선 분광기술을 이용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토양 시료는 토성이 서로 다른 과수 재배 포장 418 지역에서 수집하였다. 토양 시료들의 스펙트럼은 USB4000 Fiber Optic Spectrometer (Ocean Optics, Inc., USA)을 사용하여 가시광-근적외선 영역인 500 nm-1100 nm에서 측정하였다. 토양 시료당 3회 반복 측정하여 1,254개의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예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펙트럼 전처리들을 적용한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모델 개발하였다. 스펙트럼 전처리 방법으로 평활화, 1차 미분, 2차 미분, 정규화, SNV 등을 적용하다. 작물별 토양유기탄소 예측 CNN 모델을 개발하고 결정계수(R2)와 평균 제곱근 오차(RMSE)를 사용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작물 재배 포장별 유기탄소 예측 모델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근적외선 분광 기반 딥러닝 기술은 추후 작물 재배포장의 토양 관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