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욕망하는 주체와 욕망하는 기계

        김석(KIM Seok)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9 No.-

        들뢰즈는 욕망의 생산성과 적극성을 욕망하는 기계개념에 연결시키면서 정신분석의 오이디푸스적 주체를 관념론적 퇴행이자 욕망의 억압이라 비판한다. 욕망하는 기계들은 내재성의 장에서 흐름과 종합을 반복하는 생성이자 일의적 존재의 힘을 상이한 강도로 분유하는 실재자체이다. 들뢰즈에 의하면 주체란 특이성들이 맺는 관계에 뒤따르는 한갓 파생물이며 진정한 욕망은 분열증 분석에 의해 새롭게 정초되어야 한다. 시니피앙의 전제적 억압을 걷어내고 해방된 욕망을 고양시킬 때 실재의 충만성은 바깥의 힘으로 스스로를 드러내는 것이다. 하지만 라캉에게 욕망은 주체를 구성하는 힘이자 상징계에서 소외되는 존재에 대한 갈망이다. 욕망은 존재가 시니피앙적 대체과정인 은유에 의해 상징계에 사로잡히면서 본질적인 결여로 남을 수밖에 없는 한계에서 비롯된다. 이 때 상징계는 주체를 구성하는 조건이지만 존재소외를 발생시킴으로 욕망을 근원적 불가능성 속에서 규정짓고 주체를 욕망의 영원한 운동 속에 두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욕망의 역동성은 시니피앙에 대한 저항과 실재를 향하는 윤리적 차원에서 발견되며, 욕망의 진정한 행위자는 부분충동들이 아니라 무의식적 주체 혹은 오이디푸스적 주체일 수밖에 없다.

      • KCI등재

        인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기계에 중독된 인간의 미래상

        김문주 한국중독범죄학회 2019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9 No.2

        Human desire to have new abilities is as old as the human species itself. However, the nature of man evolves not simply with evolution but with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machine creation. However, humans try to regard beings created by their desires as 'mechanical other'. In short, human beings are afraid of machines. Today, human beings are living in the digital panopticon, in which human beings themselves are not only the subject of surveillance, but the object of surveillance, they illuminate and monitor themselves.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era of human machine addiction. In most science fictions, science and technology are represented as fearful things. Because of these fears, humans define mechanical things as being lower than humans and place them on the object of surveillance. While anthropocentric thought mechanical types is a form of human being unable to escape from machine addiction. In the end, machine addiction of human causes people to question their own identity. Machine addiction of human throws human beings into a dilemma.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social problems that will aris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dentity of human beings, and the in – depth examination of machine addiction of human patterns. 새로운 능력을 갖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인간이라는 종(種) 자체만큼이나 오래 되었다. 그런데 인간의 본성은 단순히 진화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기계 창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진화한다. 하지만 인간은 자신들의 욕망으로 낳은 존재들을 ‘기계적 타자’로서만 간주하려고 한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은 기계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인간은 인간 스스로가 감시의 주체이자, 감시의 대상으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자기 자신을 조명하고 감시하는 디지털 파놉티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본 글에서 인간의 기계중독 시대라고 이야기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공상과학 텍스트에서 과학기술은 두려운 존재로 표상된다. 이러한 두려움 때문에 인간은 기계적 존재를 인간보다 하등한 존재로서 규정지어 감시의 대상에 놓는다.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로 기계를 감시의 대상으로 놓으면서도, 계속적으로 기계적 타자를 만들어내는 인간의 모습은 기계중독을 벗어나지 못하는 인간의 모습이다. 결국 인간의 기계중독은 인간의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품게 만든다. 인간의 기계중독은 인간을 딜레마에 던져 놓는다는 것이다 인간의 기계 중독 양상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과 그로 인해 인간의 정체성이 바뀌는 과정 속에서 발생하게 될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 배틀 엔젤> 분석 - 욕망, 되기, 탈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

        여수현 ( Yeo¸ Soo H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논고는 들뢰즈·가타리의 철학을 바탕으로 예술이 생성해낼 수 있는 삶에 대한 사유를 <알리타: 배틀 엔젤>(2019, Robert Rodriguez)을 통해 탐구한다. 본 논고의 목표는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관념의 동종성을 거부하고, 일원적 중심성으로부터의 탈주하는 삶을 들여다보는 데 있다. 우선 Ⅱ절에서 기계, 배치, 욕망의 세 가지 개념을 논리적으로 풀어나가며 ‘욕망하는 기계’로서 알리타를 분석한다. 들뢰즈·가타리는 모든 행위 주체를 가리켜 ‘기계’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주체는 다른 것들과 접속함으로써 그 자신의 속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기계들이 접속하여 선을 이루고 나아가 면을 이루면, 그 장을 가리켜 ‘배치’라고 하는데, 이러한 배치를 이루는 모든 기계가 바로 ‘욕망하는 기계’이다. 알리타의 욕망을 배치의 두 축인 ‘기계적 배치와 집단적 배치’, ‘탈영토화의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 그리고 두 축 사이의 ‘감응’으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Ⅲ절에서 알리타의 욕망의 흐름을 ‘-되기’의 과정에서 풀어본다.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욕망은 ‘-되기’가 발현되기 위한 힘 자체이다. ‘-되기’를 통해 알리타의 자아는 분산되고, 해체됨으로써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을 띠게 된다. 이는 알리타가 지향해야 할 본질적 속성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알리타의 생성적 속성이 발현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Ⅳ절에서 ‘-되기’를 통해 발산되는 알리타의 존재 역량이 ‘탈주’로 드러남을 확인한다. 알리타의 욕망, 그리고 그 욕망의 흐름인 ‘-되기’는 세계에 틈새를 생성하는 ‘탈주’를 향하게 된다. 소위 ‘탈주’라 하면 문제 상황으로부터의 회피를 의미하지만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탈주’는 발산적인 행위 역량이 결부된 차이 생성의 운동으로 ‘나’라는 존재자를 확인하는 관문을 의미한다. 알리타 존재가 지닌 함의를 ‘탈주’로 탐구함으로써 그것이 내포한 진리를 밝혀본다. 이상으로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배틀 엔젤> 분석을 시도하는 본 논고는 ‘기계’라는 개념 규정에서 출발한 알리타 존재의 의미가 ‘탈주’를 통해 확인된다는 점, 그리고 이는 탈위계적 세계를 생성하는 힘이 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thoughts of life that art can create through < Alita: Battle Angel(2019, Robert Rodrigues) >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Guattari.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ject the sympathy of the idea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and to look into the fuite from the monolithic centrality. First of all, in Section II, the three concepts of machine, agencement and desire are logically solved and Alita is analyzed as ‘a machine of desire’. Deleuze·Guattari refer to acting subject as ‘machine’. The reason is that the subject changes its own attributes by connecting with others. When these machines connect, form lines, and then form faces, the space is called ‘agencement’. Every machine that makes this agencement is a 'machine of desire'. Alita's desires are analyzed by two axes of agencement,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ciation and machined assemblage’, ‘poin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lines’, ‘affect’ between the two axes. Next, in Section III, we explore the flow of Alita's desires in the process of ‘devenir’.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desire is the power itself to express ‘devenir’. Through 'devenir', Alita's ego is dispersed and disintegrated, giving it the potential to become any form. This mean that Alita's creative attribute is expressed. Finally, it is confirmed in Section IV that Alita's ability to exist through 'devenir' is revealed as 'fuite'. Alita's desire, and ‘devenir’ are directed toward the ‘fuite’ that creates a niche in the world. The so-called ‘fuite’ means avoidance from a problem situation, but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fuite’ means a gateway to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I" as a movement to create differences involving the ability to releasable act.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lita's existence as ‘fuite’ to reveal the truth it implies. This paper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lita, which started from the concept regulation of ‘machine’, was confirmed through ‘fuite’, which became a force to produce a Nonhierarchical world.

      • KCI등재후보

        잠재성으로서의 문화

        오창호(Chang-Ho Oh)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4

        이 논문의 목적은 그 어느 때보다도 문화담론이 난무하는 가운데 정작 문화연구가 직면한 난관을 돌파할 수 있는 이론적 전망을 제시해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오늘날 문화연구가 직면한 난관을 문화에 대한 욕망적 접근과 그에 따른 문화연구의 보수화 현상으로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문화연구에 욕망적 접근이 대두했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문화연구가 봉착했던 장애를 걷어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연구의 오랜 전통, 즉 자본주의에 대한 견제와 비판이라는 본래의 사명을 포기하는 위험을 초래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과제는 문화연구에 있어서 욕망 주제의 등장이 갖는 긍정적인 의미를 적극 수용하면서도 문화연구의 정치성을 상실하지 않는 제3의 길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논문은 욕망이론 중에서도 들뢰즈·가타리의 욕망론에 주목하고 의지하였는데, 그들의 욕망론이 다른 욕망론과 달리 빼어난 특성은 그들이 욕망의 잠재적 차원을 발견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그들이 말하는 잠재성의 구체적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면서, 욕망의 잠재성이 문화연구에 주는 통찰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theoretical prospect of being able to break through the impasse faced by cultural studies amid rampant cultural discourse than ever. This paper identified the challenges faced by today’s cultural studies as a desire approach to culture and hence conservative phenomenon of cultural studies and tried to overcome them. What emerged was a desire approach in the cultural studies, on the one hand, means to provide a great opportunity to be able to kick a disability which cultural studies face, on the other hand, to have a risk to give up a long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that checks for the original mission of capitalism. So an object of this present paper is to accept the strongly positive significance of the emergence of desire topics in cultural studies, while at the same time to show a third way for not losing politics of cultural studies. To accomplish this task, the thesis depended on the desire concept of Deleuze & Guattari among many desire theories. and intention theory. Their desire theory’s outstanding characteristics is that, unlike other desires theories, they have found a virtual level of desire. This study is by looking at what the specific contents of virtuality of culture as they say, to suggest some insights that the virtuality of desire present to cultural studies.

      • KCI등재

        소셜 미디어와 유목적 삶: 들뢰즈.가타리 욕망이론의 관점에서 본 소셜 미디어 문화현상

        오창호 ( Chang Ho Oh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4 언론과학연구 Vol.14 No.4

        본 논문은 오늘날 다양한 소셜 미디어 이용현상의 의미를 욕망론의 관점에서해명해 보았다. 특히, 들뢰즈·가타리의 무의식적 욕망론에 입각하여 소셜 미디어이용현상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무의식적 욕망론의 특징은 소셜 미디어를 “주체(인간)-대상(기계)”이라는 이원적 구도에서 “누가”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라는 기능적이고 도구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인간 연속체”라는 일원적 구도로 접근한다는 점이다. 일원적 구도에서는 인간도 기계도 자연도 없이 오로지 이것이 저것을, 혹은 저것이 이것을 접속하고 생산하는 과정이있을 뿐이다. 그것은 소셜 미디어에 대한 특정한 이해관계에 얽매인 당사자의 입장에서 소셜 미디어를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관점을 배제한 채 무관심하고 초연한 입장에서 소셜 미디어 문화 현상을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경우주위에서 목격되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이용행위를 몇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는것이 가능하며 각 유형의 문화적 의미를 그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욕망의 배치로설명하였다. 소셜 미디어, 욕This paper explores the cultural phenomenon of social media inthe light of desire theory. To do this, this paper adopts the perspectivewhich consider social media in terms of the “machine-humancontinuum” instead of as a “subject (human) - object(Machine)” dualistic composition. The dualist focus on the functionof the instrument on the base of “Who”, “What”, “for whatpurpose” and “by how” problematic. But the unitarist considersneither human nor machine without relationship. They see onlyprocess of production that are connected to it in terms of access tothe unconscious desire. This approach is not by way of a particularinterest in social media bounded to the perspective of theparties, but indifferent and detached perspective position. I intendedto explain the cultural phenomenon of social mediathrough Deleuze & Guattari”s theory of desire.

      • KCI등재

        Deleuze와 Guattari의 『안티 오이디푸스』에 나타난 기입양식과 교육의 양상

        김영철(Kim, Young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이 논문은 Gilles Deleuze와 Félix Guattari의 『안티 오이디푸스』에 나타난 세 가지 기입양식에 의한 주체형성 과정과 탈영토화의 분열증적 과정이 교육과 가지는 관련을 탐색한다. 기입양식은 사회기계의 표면, 즉 사회체에서의 작용방식과 억압하는 재현작용의 원리를 포함한다. 토지의 몸체, 전제군주의 몸체, 자본의 몸체라는 사회체는 원시 영토기계, 야만 전제군주기계, 문명 자본주의기계라는 사회기계의 표면을 이루며, 그 작동방식은 잔혹체계와 원시코드, 공포체계와 초코드, 냉소체계와 공리계이다. 사회기계의 심층에서 작동하는 억압하는 재현작용의 원리는 부채, 르상티망, 죄책감이다. 기입양식에 따라 변태, 편집증, 신경증의 주체가 형성되는데, 이 과정은 시대적 의미에서 ‘교육’이며, 수단적 의미에서 교육에 포함된다. 한편, 탈영토화의 분열증적 과정은 주인 유형의 형성이라는 능동적 힘의 우세적 관점에서 교육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은 긍정적 힘에의 의지를 완성이라는 형태로 처음부터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ducation and the subject formation in three modes of inscription and between the education and the schizophrenic process of deterritorialization. The ways of operation on a socius, the surface of social machine, and the principles of repressing representation, one of the in-depth elements of social machine belong to the mode of inscription. The surface of social machines such as the primitive territorial, the barbarian despotic, and the civilized capitalist machine, composes of the socium such as the body of the earth, the despotic body, and the body of capital respectively, and is operated by the cruelty system/primitive code, terror system/over-code, and cynicism system/axiomatic. And Debts, ressentiment, and culpability are th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repressing representation. From Nietzsche’s perspective of the affirmative will to power, the process, in which perversion, paranoia, and neurosis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odes of inscription, can not measure a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schizophrenic process of deterritorialization can. The vision of completion is immanent in the latter process from the very beginning.

      • KCI등재

        마르셀 뒤샹의 신부: 욕망 기계 혹은 하이퍼스페이스

        정은영(Jung, Eun Young) 서양미술사학회 202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3 No.-

        마르셀 뒤샹의 〈큰 유리〉(1915-1923)는 후기의 〈에탕 도네〉(1946-1966)와 더불어 장기간에 걸쳐 치밀하게 제작된 작가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큰 유리〉의 도상과 의미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석과 해석이 시도되어 왔으나, 복잡한 형상이나 난해한 내용으로 인해 여전히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큰 유리〉의 상단부에 위치한 ‘신부’ 영역은 하단부의 ‘독신자’ 영역에 비해 압축적이고 단순화된 형상들로 인해 그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큰 유리〉의 신부에 초점을 맞추어 신부란 무엇이며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를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신부야말로 작품 전체에 내재한 에로스의 작동을 가능케 하는 욕망의 대상이자 근원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신부의 정체와 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본고는 크게 세 가지 단계와 수준에서 신부의 의미를 탐구할 것이다. 우선, 1912년 뒤샹의 뮌헨 시기에 제작된 회화를 중심으로 ‘처녀’에서 ‘신부’로 이행하는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신부의 기계-생물 혼성체적 특성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뒤샹이 남긴 『그린 박스』와 그의 사후에 출판된 노트를 기반으로 신부 형상의 정체와 욕망 작동의 구조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뒤샹의 『화이트 박스』를 중심으로 그가 신부 영역 혹은 신부 자체를 ‘하이퍼스페이스’로 접근하였음을 밝히고 이를 시각화하기 위해 뒤샹이 시도한 표상 방식을 앙리 푸앵카레의 과학철학과 연결하여 논의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뒤샹에게 ‘신부’란 ‘독신자’로 상징되는 지상의 모든 존재에게 삶의 원동력을 제공하는 에로스의 근원이자 그 존재들이 3차원의 한계를 넘어 끊임없이 희구하는 초월적인 영역임을 밝힌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multifaceted meanings implicated in the Bride of Marcel Duchamp’s La mariée mise à nu par ses célibataires, même (1915-1923). Called by the artist himself as ‘a reservoir of love gasoline’, the Bride constitutes an invisible source of the erotic desire; she drives the Bachelors to attempt to rise up towards the ‘milky way’ escaping gravity or worldly constraints. In order to illuminate multiple implications of the Bride, this paper delves into the Bride’s domain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bio-mechanical hybridity of the Bride form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virgin’ to the ‘bride’, focusing on Duchamp’s paintings from the Munich period. Next, it explicates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Bride, particularly the mechanism of her ‘blossoming’, based on Duchamp’s Green Box and posthumously published notes. Finally, analyzing the cryptic notes of the White Box, it contends that Duchamp viewed the Bride’s realm as the ‘hyperspace’ and tried to represent it visually by means of tactile and motor senses noted by Henri Poincaré.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Bride is the very source of Eros, which promises an ‘inframince’ revelation of the meaning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영화와 얼굴-들뢰즈와 가타리의 흰 벽-검은 구멍의 체계를 중심으로-

        김형래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1

        들뢰즈와 가타리는 자신들의 공저 『천개의 고원』에서 ‘얼굴’에 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전개한다. 이 논의는 역시 자신들의 공저인 『앙띠 오이디푸스』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서 구조주의 정신분석학과 인본주의적 존재론을 비판하고자 하는 맥락 속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얼굴론은 『천개의 고원』에 이어 또한 들뢰즈의 단독 저서인 『감각의 논리』와 『시네마 I: 운동-이미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본고는 특히 『천개의 고원』의 얼굴론과 『시네마 1』의 감정-이미지를 중심으로 다루며, 본고의 주된 과제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얼굴론에서 주된 개념인 흰 벽-검은 구멍의 체계가 무엇이고, 그것이 들뢰즈의 영화 이론에서 어떻게 발전되고 적용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먼저 철학과 정신분석학에서 흰 벽-검은 구멍의 유래와 기능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흰 벽-검은 구멍은 사르트르의 주체성 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단적으로 사르트르의 ‘무’와 ‘존재의 구멍’이라는 개념은 주체성 및 주체화라는 관점에서 검은-구멍과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흰 벽-검은 구멍은 라캉의 거울 단계 및 욕망 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때 흰 벽은 거울 및 상징계의 기표의 연쇄와, 검은 구멍은 기표 연쇄에 난 구멍으로서의 대상 a 혹은 욕망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그러나 사르트르와 라캉의 주장은 지나치게 인본주의적이고 구조주의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들뢰즈는 흰 벽-검은 구멍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그들에게 흰 벽-검은 구멍은 욕망하는 기계의 구성 성분이자 얼굴성이라는 추상기계로서, 결국 흰 벽-검은 구멍과 욕망하는 기계, 얼굴성이라는 추상 기계는 얼굴화, 즉 기표화와 주체화로부터의 탈영토화를 가능하게 하며, 권력의 배치에 따라 정치적 함의를 가질 수 있는 힘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넷째, 흰 벽-검은 구멍을 퍼스의 기호학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시네마 I』의 ‘감정-이미지’에서 등장하는 퍼스의 도상, 다이어그램, 일차성 등의 개념은 흰 벽-검은 구멍의 관계를 잠재적 가능태라는 맥락에서 비교적 매우 선명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그 개념은 얼굴 클로즈업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얼굴 클로즈업에서 얼굴은 더 이상 개별화, 사회화, 의사소통의 대상이 아니라 탈인격화와 얼굴의 해체로 발전한다. 이는 영화 미학적 관점에서 기존의 클로즈업 개념에 새로운 지평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theme ‘Face’, on which Deleuze and Guattari have written together. Especially 0 Year: Faciality in A Thousand Plateaus takes Face to the topic. In addi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affection-images of Cinema 1: the movement-image, because this text seems to be an extension of 0 Year: Faciality of D&G. My question is, therefore, in particular where the concepts of the white wall and black hole come from and what their function is, and how these concepts are applied for the Deleuzian film theory. This paper offers approximately four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first answer relates to the concept hole-in-Being which Sartre deployed in his book Being and Nothingness. According to the Sartre’s non-being thesis, the human-being as Being-for-itself bases on nihilation and nothingness that lead to hole-in-Being. It means that hole-in-Being constitutes the subject. In this sense, D&G’s black hole has the similar role, because it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ubjectification. The second relates to the Lacanian concepts: the mirror-stage, object a, and desire and so on. The mirror functions as a reflective white wall that indicates a series of signifier or signification. At the same time, this signification contributes to producing the subject as an effect of signifier. In addition, desire and object a as the gap in a series of signifier allow for the subject to sustain itself. This associates us definitely with the black hole as the subjectification. However, basically D&G do not agree with the humanism and structuralism of Sartre and Lacan. Therefore they suggest a non-humanistic and non-structuralistic theory of face. That is the fourth answer. It relates to the desiring machine and body without organs. The desiring machine comes from the combination of Lacan’s desire and Guattari’s machine. It functions as the attributes and power of BwOs. In this context, D&G present that the white wall-black hole system is nothing but the desiring machine that produces the facialization, or signification and subjectification and simultaneously gives rise to the dismentling and the deterritorialization of face. And finally, the fourth answer relates to the Peirce’s semiotic terminologies: Icon, Diagram and Firstness, which Deleuze introduced in the affection-images of Cinema 1: the movement-image. These terms show the relation between the virtual possible and the actual, which are also the properties of the white wall-black hole. Above all, the close-up of face as an affection-image describes the dismentling and deterritorialization of face, unlike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face. In this respect, Deleuze provides the close-up of face with its new aesthetics.

      • KCI등재

        욕망 논의에서 라캉의 구조와 가타리의 기계의 차이점

        신승철 ( Seung Chul Shi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시대와 철학 Vol.24 No.1

        Lacan`s ``structure`` and Guattari`s ``machine`` are the essential concepts of structualism and post-structualism. Lacan considered the subject to be spilt but paid attention to the signifiant of structure overcoming the spilt. On the other hand, Guattari found the production of subjectivity is possible that expands the spilt beyond structure determined by signifiant. Lacan`s psychoanalysis is based on the hegemony of the symbolic consisted of linguistic structure, while Guattari`s schizoanalysis is based on the machine that is nonlinguistic and the actual work of the real. Freud`s story about repeat of ``fort-da game`` is the ground of Lacan`s ``objet a`` concept and Guatuarri`s ``machine`` concept. Guattari thought that the society is not the megastructure but the connection, disjunction, and conjunction of small parts of machine by functional correlation. Lacan`s dominant system of signifiant is the fixed idea and frame maintaining the equivalent exchange, beyond which, Guattari heads for free and highly organized dia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