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왜주홍(倭朱紅)의 수입과 활용

        김미라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3 石堂論叢 Vol.- No.85

        The red-pigment of the late Chosun age, showing on the historical documents, is various like Danmok, Juhong, Dangjuhong, Banjuhong, Beonjuhong, Waejuhong, Seokganju, Juto and etc. But, so far only Seokganju was identified where it’s from and what it’s applied and the others were not as the traditional pigments. Waejuhong was imported from Japan, which was named to distinguish Danjuhong imported from China. Juhong can be compared with Juto, Seokganju in the aspect of mineral red-pigment and its main ingredient is mercury that has the similarity of Jinsa. But, compared with the other pigment, Waejuhong was used very specially in Chosun royal family. It was used as the finest painting material limited to the craftworks for the royal family, after mixing with the lacquer, the luxurious varnishing material. This report focuses on the domestic inflow of Waejuhong in late Chosun age, and its applications in the royal family. It reveals its inflow situation concretely and, therefore, it has the significance for disclosing how Waejuhong was applied practically as taking a close look at the connectivity of the existing real-one and the application of the royal family written in the Uigwe.(The record of national ritual rites).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social recognition for Waejuhong, its inflow route from Japan and import volume, and the second chapter shows the examples that Waejuhing was applied in the important events of the royal family like the national funeral and wedding ceremony as well as presents the existing remains lacquered with Waejuhong, disclosing its production year. The historical documents that disclose them are the written papers about the re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and [Kukjangdogam Uigwe] which was the record of national rite centered around the king, the high majesty and [Garyedogam Uigwe]. As the written papers about re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the data sourced from Chosun-side like [Jeungjeonggyorinji] and the part of the ones from Japan-side was the main research materials. So far, Waejuhong varnish was perceived only in the broad category of ‘Juchil’(Red Varnish) used in the high class of Chosun Society, but this report has the significance on that the deeper research has been taken on the inflow and applications of Waejuhong that had the special uses and value in the late Chosun age. 문헌에 등장하는 조선 후기 붉은 안료는 단목(丹木), 주홍(朱紅), 당주홍(唐朱紅), 반주홍(磻朱紅), 번주홍(燔朱紅), 왜주홍(倭朱紅), 석간주(石磵朱), 주토(朱土) 등 다양하다. 그런데 오늘날 그 산지와 활용방법에 관해 확인되는 것은 석간주 정도일 뿐이며, 그 외 전통 안료로서 산지와 활용방법이 확인된 것은 거의 없다. 왜주홍은 일본에서 수입된 것으로, 중국에서 수입했던 당주홍과 구별하여 불렸다. 주홍은 광물성 붉은 안료라는 면에서 주토, 석간주와 비교될 수 있고, 주성분이 수은으로 진사(辰砂)와 매우 흡사한 안료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왜주홍은 조선왕실에서 매우 특별하게 사용된 안료로서 다른 붉은 안료들과 차별화된다. 조선 시대 가장 고급 도료인 옻칠과 섞어서, 왕실공예품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최고급 칠 재료로 쓰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왜주홍의 국내 유입과 왕실의 쓰임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왜주홍의 유입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의궤를 통해 언급된 왕실에서의 왜주홍 사용을 현존하는 실물자료와 연결하여 왜주홍의 사용양상을 실체적으로 밝힌다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한 의의가 될 것이다. 본론의 1장에서는 조선 후기 왜주홍에 관한 사회적 인식과 일본으로부터 유입되는 왜주홍의 경로, 이를 통한 수입량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국장과 가례와 같은 왕실의 중요 행사에서 왜주홍이 사용된 실상을 파악해보았다. 아울러 제작년을 알 수 있는 현존 왜주홍칠 유물을 살펴보았다. 이를 밝히기 위한 문헌 자료는 조일 관계 기록지와 당시 최고위 신분이었던 국왕 중심의 의례 기록인 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 ,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 을 중심으로 하였다. 조일 관계 기록지로는 증정교린지 를 비롯한 조선 측 자료와 일부 일본 측 자료를 연구의 토대로 삼았다. 지금까지 왜주홍칠을 조선 시대 상류층에서 사용한 ‘주칠(朱漆)’의 넓은 범주 안에서만 파악했다면, 논고를 통해 조선 후기 특별한 사용과 가치를 가졌던 왜주홍의 유입과 활용에 대한 밀도 있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 KCI등재

        묘제에 보이는 백제와 왜 사이 교류의 몇 가지 특질

        우재병(Woo, Jae-Pyoung)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5세기 후엽경과 6세기 전엽경, 이 두 시기에 걸쳐 백제서남부지역 일부 수장묘에서는 서로 다른 양상의 왜 양식 묘제가 각각 채용된다. 예를 들어, 5세기 후엽경 왜 양식 원통형토기 묘제 채용의 경우, 백제 중앙 양식 방분에 왜 양식 원통형토기가 장식되는 양상이 주류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6세기 전엽경이 되면 왜 양식 전방후원분에 왜 양식 원통형토기로 장식되는 사례가 등장하게 된다. 6세기 전엽경에 나타난 이러한 왜양식 묘제 채용 강화 양상은 무령왕 정권기에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이 시기 백제의 친왜정책이 전 단계보다 일층 강화되었음을 시사하는 고고학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백제 서남부지역에서의 왜 양식 묘제 채용 과정에는 두 시기 사이에 차이점이 명료하게 관찰된다. 이들 두 시기에 걸친 고고학적 자료의 변화는 백제와 왜 사이 교류에 특별한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5세기 후엽경 백제와 왜의 교류는 고구려에 의한 서울지역 수도 함락이라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려는 백제에 의해 주도된 측면이 강하였다. 금관가야를 축으로 형성되었던 기존 광역교역시스템이 재편된 이후, 백제와의 교류 교역을 강화하려던 왜에게도 백제의 수도 함락은 충격적인 사건으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중국남조 백제와의 교류 강화를 통한 선진지식 전략물자의 안정적 수입을 위해서, 이 시기 왜는 위기상황 속의 백제와의 정치적 연대를 강화하는 전략적 선택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 서남부지역 유력 수장묘에 왜 양식 원통형토기 묘제를 채용한 것은 백제와 왜와의 정치적 연대를 과시하기 위한 묘제를 이용한 외교전략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6세기 후엽경 백제와 왜 사이 교류의 고고학적 특질은 백제 무령왕정권과 왜 繼體정권의 등장과 더불어 양국에서 강화된 친왜정책 친백제정책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양국에서 거의 동시에 출현한 상대국 묘제 채용 강화 현상의 배경에는 양 왕권 사이의 개인적 친분이 작용한 측면도 있었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시기 무령왕은 친왜정책 뿐만 아니라 친중국남조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다. 이점을 고려하면 무령왕정권에 의한 이러한 정책 추진 배경에는 개인적 친분보다는 정책적 판단이 크게 작용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이 시기 왜 繼體정권에 의한 문화적인 친백제정책의 시행은 왜와 중국남조 백제와의 정치적 연대를 강화하여 권력 내부의 안정을 추구하려는 신정권의 전략적 선택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5∼6世紀 百濟·加耶·倭사이의 廣域交易體系 再編과 그 背景

        우재병(Woo, Jae-Pyoung) 한국고대학회 2009 先史와 古代 Vol.31 No.-

        이 글에서는 倭의 國家形成過程을 논하기 위한 기초작업의 하나로 3∼6世紀頃 百濟·加耶·倭 사이에서 이루어진 원거리교역의 변화양상과 그 배경을 분석하여 보았다. 3∼4世紀頃에는 한반도의 주요한 鐵생산지였던 낙동강하구의 加耶지역이 이들 3지역간 광역교역체계의 중심축이었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특히 鐵이라는 전략적 필수물자의 생산과 교역을 바탕으로 성장한 加耶지역의 廣域交易體系내 역할이 강화되는 시기는 樂浪붕괴전후로 보인다. 5∼6世紀頃이되면 4세기경까지 金官加耶와 倭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百濟·加耶·倭사이의 廣域交易體系에 再編이 일어난다. 이 시기의 주목되는 변화로는 3지역간 교역체계에서 百濟의 역할이 확대되고, 특히 百濟와 倭사이의 교역체계가 급격히 활성화되는 양상을 들 수 있다. 百濟와 倭사이의 급격한 교역체계 활성화는 양 지역의 政治的인 親緣關係 强化를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5세기경에 일어난 고구려에 의한 가야와 백제에 대한 攻勢와 백제의 漢城지역 首都함락과 웅진천도는 백제와 왜사이의 급격한 친연관계 형성의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倭의 경우 백제양식의 횡혈식석실, 부뚜막시설과 시루를 이용한 취사·난방시스템 등 이 시기 확산되는 墓制와 생활문화의 변혁은 百濟와의 정치적인 친연관계 강화를 상징하는 고고자료라고 할 수 있다. 百濟의 경우 백제 서남부지역 일부 수장묘의 묘제로 일시적으로 채택된 倭樣式 前方後圓墳, 百濟와 倭의 해상교역루트상에 위치하고 倭樣式 노천제사유물이 발굴된 竹幕洞祭祀遺蹟 등은 이 시기 倭와의 정치적인 친연관계 강화를 상징하는 고고자료라고 할 수 있다. 5世紀頃부터 새롭게 변화하는 百濟·加耶·倭사이의 廣域交易體系는 정치․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이들 지역간 武器․武裝體系 革新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素環頭大刀의 경우 이 시기에 百濟․加耶․倭에서 공통적으로 柄部가 細莖형식인 72cm전후의 小形大刀와 79cm전후의 中形大刀가 성행한다. 이들 素環頭大刀는 刺擊時의 충격흡수에 유리한 柄部를 가진 개량된 형식으로 騎馬戰과 中武裝步兵戰에서 특히 위력을 발휘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가야·백제와의 교역체계를 통하여 鐵素材 등 필수물자와 선진문물을 도입하였던 倭의 경우도 가야·백제와 더불어 고구려의 위협에 대처하고 기존 교역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 시기 武器․武裝體系의 革新을 필요로 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5∼6世紀頃 百濟·加耶·倭사이의 廣域交易體系 再編은 단순한 경제적인 교역시스템의 변화라기보다는, 첨단 武器體系의 교류를 포함한 정치·경제·군사 등 다방면에 걸친 포괄적인 교류를 강화한 새로운 교역시스템의 성립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nging features and the backgrounds of the longdistance trades that occurred among Paekche, Kaya, and Wa. Kumguan-Kaya, in the region of the lower part of Nakdong River and where the 4th century's Taesung-dong Tumuli are located, played an central role in its trade with Wa and prospered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more than other political powers of the Korean peninsula did. It is viewed that the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of Kumguan-Kaya resulted from its geographical advantages over other political powers in importing and exporting strategic irons. By the 5th and 6th centuries A.D., the Paekche-style cooking and heating systems, and the corridor-style burial chambers of Paekche's descent became widespread throughout the Japanese islands. Around the fifth century, there were two noticeable developments in the treatment of iron swords with a ring pommel in Paekche. These standardized iron swords of 72 cm and 79 cm in length were imported to Kaya/Wa. Another kind was the thinning of tang in Paekche and in Kaya/Wa. The thin tang made it possible to adopt a thick hilt so as to reduce the shock that soldiers experience during an attack on an enemy. I examined some noticeable backgrounds of how Paekche-style cultural products became spread across the Japanese islands during the 5th and 6th centuries A.D.. Two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1) it is thought that Paekche emigrants are accredited with playing a vital role in introducing and spreading the aforementioned Paekche-style cultural products. 2) it is surmised that the adoption of the aforementioned Paekche-style cultural products was probably made by the Wa central government seeking an alliance with Paekche as a way of getting out the political crisis at that time. These two main features were probably due to diplomatic tensions among East Asian countries, for example, Koguryo's attack on Paekche around 475 A.D.. According to these examinations, I would argue that Paekche was successfully able to get out of crisis by exerting diplomatic ties with both China and Japan. Both the brickchambered tomb of the King Muryeong and the Keyhole-shaped Burial Mounds of the occupant give clues to Paekche's survival efforts. In conclusion, trade systems among Paekche, Kaya, and Wa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was very comprehensive, widely covering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trade systems including advanced arms trade. It is contented that, in the process of Wa's diversification of its trade routes, maintaining amicable relations with other political powers in the region would have been necessary to make the maritime trade secure.

      • KCI등재

        조선 후기 왕실 목공예품용 왜주홍(倭朱紅) 안료의 위계와 활용

        김미라 ( Kim Mira ) 동양미술사학회 2024 동양미술사학 Vol.18 No.-

        조선 후기 붉은 안료 ‘왜주홍’은 위계성을 갖는 특수한 물질이었다. 왜주홍이 사용된 곳은 왕실 최고위 신분층과 관련한 것으로 한정되었는데, 국가 의례에서조차 쉽게 사용되지는 못했다. 왜주홍은 위계성을 갖는 물질이었던 만큼, 임금은 왕실 행사에서 자신의 권위와 위계성을 강조하는 목적으로 직접 왜주홍을 내하(內下) 하기도 하였다. 왕은 자신의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표방하고 정치적 입지를 굳히고자, 스스로 주최하는 국가 행사에서 ‘왜주홍’의 사용량을 특별히 늘리고자 하였고, 이것은 간혹 위계에 따른 물질 사용의 규율 범위를 넘어서기도 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논문에서는 먼저 문헌을 통해 왜주홍이 ‘위계성을 갖는 물질’임을 설명한다. 문헌을 통해 주묵정칠(朱墨正漆) 사용의 신분층과 실제 왕실로 들어온 왜주홍의 양이 많지 않았던 사실을 근거로 제시한다. 이어서 ‘위계성을 갖는 왜주홍의 활용’에 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1725년~대한제국선포 이전(1894년, 고종 31) 기간의 349건 『의궤』에서 왜주홍 사용량을 추출하여 데이터화하고 이를 기초자료로 삼았다. 그리고 자료에서 왜주홍이 특별하게 많이 사용된 국가 행사를 선별하여, 그 행사의 시대적 배경과 행사 주최자인 왕의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그 시대적 배경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임금의 생부와 생모가 왕이나 왕후에 오르지 못했을 때 그 위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2) 수렴청정했거나 임금 자신의 즉위를 도왔던 왕후의 위계를 높여 왕권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3) 임금이 수렴청정에서 벗어나 친정하게 된 것을 표방하거나 즉위 30년을 자축하는 경우, 4) 왕실 고위 신분층들의 연향, 5) 임금의 임어(臨御) 건물 영건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왜주홍’은 왕실에서 위계와 권위를 표방하는 ‘특수 물질로써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ed-pigment, ‘Waejuhong’ was the special material with the hierarchical feature of the late Josun. The main application was only limited to the highest social ranks, not even easily in the national rite.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feature of Waejuhong, the king bestowed it down to emphasize his dignity and hierarchy in the royal ceremonies. The king used it many times unprecedentedly in the national ceremonies for the purpose of declaring the legitimacy of his succession and reinforcing his political position. To back up the above paragraph, after the written documents were reviewed beforehand about the kind of the painting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the description of Waejuhong’s hierarchy follows. And the scarcity value of Waejuhong is mentioned as the average annual inflow of Waejuhong is disclosed after Imjin Waeran (Josun-Japan war occurred in 1592) on the basis of the writer’s earlier study. This report weighs on the application of Waejuhong with hierarchical feature. Reveal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ational ceremonies on which Waejuhong was used many times, it is to find out what the king, as the host of ceremonies, intended for. Eventually this shall be the important connection for the better recognition of the royal craftworks and material culture as the re-confirmation process of Waejuhong hierarchy. To explain the application of Waejuhong hierarchy by royal family, the basic data are set up from the database showing each consumed amount of Waejuhong on 349 UIgwes (the record of the national rite) manufactured from Yeongjo to 1894 (Gojong 31) and then, the review is focused on w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was after selecting the ceremonies in which the application of Waejuhong was quite high remarkably in each Josun Dynasty. The summary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is followings; in case that enhancing the father or mother of the king who failed to rise to the throne, in case that enhancing the queen mother who ascended the king to the throne successfully and acted the regency for the king’s sake, in case that the king declared the end of regency and celebrated the 30<sup>th</sup> accession anniversary, in case that the royal family’s grand party including the king was held and the building the king’s special chair.

      • KCI등재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 백제 죽막동제사에 왜양식 제의가 포함된 배경

        우재병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70

        During the late 5th century to theearly 6th century, Wa-style religious services were held at the Baekje's Chungmakdong ritual site. Therecognition of the participation of theJapanesein Baekje's national religious services symbolizes the close political solid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the war with Goguryeo, Baekje's most important task wa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est coast route. In particular, Baekje needed to strengthen maritime trade with Wa in order to secure the necessary costs for carrying out the war with Goguryeo. The two countries staged joint religious services to show off their close diplomatic solidarity to Goguryeo. Built in the southwestern area of Baekje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keyhole tombs symbolizes the clos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Wa, which was strengthened during this period. These actions are believed to have been intentional to prevent Goguryeo's attack. The deep ties between King Muryeong and Keitai administration also seem to have been an important factor in clos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this period.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 백제의 죽막동제사유적에서는 왜양식 제의가 포함된 정황이 발견되었다. 죽막동제사유적에서의 제의 활동 강화는 이 시기 백제 서해안 항로에서의 안전 확보가 중요한 과제였음을 시사한다. 백제의 서울지역 수도가 함락되는 등 고구려의 공격이 더욱강화된 상황에서 서해안항로를 통한 전쟁물자와 국제적인 교역품의 안전한 운송은 백제의 국가적 과제였다. 특히 백제의 경우, 고구려와의 전쟁 비용‧물자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왜와의해상교역은 매우 중요하였다. 백제에서 생산된 철 등 전략물자와 장식 환두대도, 금 귀걸이 등은 특히 왜에게 필요한 물품들이었다. 백제는 이러한 경제적인 이유에서도 왜 사신‧상인들을 우대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 시기 죽막동제사에서는 중국 남조양식 제의와 가야양식 제의도 왜양식 제의와 더불어 거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현재 확실하게 인정되는 외국양식 제의는 소형석제모조품을 헌공하는 왜양식 제의가 유일하다. 왜인들이 백제의 국가적인 제사 장소에서 왜양식 제의를 거행할 수 있었던 것은 백제 측의 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양국이 합동으로 죽막동제사를거행하는 장면을 연출한 것은 고구려를 포함한 주변국에게 백제와 왜 사이의 긴밀한 외교적연대를 과시하기 위한 연출된 행위였다고 추정된다. 죽막동제사에 왜양식 제의가 추가된 또 하나의 배경은 백제와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목표로하는 왜의 새로운 정치‧경제적인 전략 수립이다. 고구려의 대규모 침공으로 교역의 중심축역할을 상실한 금관가야를 대체할 새로운 교역 중심축을 확보해야하는 것이 왜의 최우선과제였다. 5세기 전엽 이후, 왜가 백제로 향하는 해상항로에 위치하는 아라가야, 소가야, 대가야등 가야서부지역 정치체들과의 교역‧교류를 강화한 것도 이러한 전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선결과제였기 때문이다. 6세기 전엽 무령왕 시기가 되면, 왜인들의 죽막동제사 참여와 더불어 백제 서남부지역 일부수장묘에 왜양식 전방후원분이 채용되는 현상이 함께 등장한다. 이것은 전방후원분이 아닌원통형토기라는 왜 무덤양식을 채용하던 5세기 후엽 단계에 비하여 양국 간의 상호 신뢰가증가되었음을 시사한다. 백제와 왜에서 새롭게 정권을 잡은 무령왕과 게이타이(繼體)왕 사이의 개별적인 정치적 신뢰감도 매우 높았음을 의미한다. 고구려의 남하정책 저지라는 이들의전략적 목표와 더불어 상호 신뢰감이 이 시기 백제의 친왜정책 강화를 유도한 것으로 볼 수있다.

      • KCI등재

        5~6세기 서남부지역 수장묘를 통해 본 백제와 왜의 관계

        우재병(Woo Jae Pyoung)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50 No.-

        이 글에서는 6세기 전엽경 왜양식 전방후원분이 축조되기 이전인 5세기 후엽경에 이미 백제와 왜국 사이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시사하는 고고학적 자료가 존재하였음을 분명히 하였다. 이 주장의 주요한 고고학적 자료는 5세기 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들의 분구를 장식하기 위해 채택된 왜양식 원통형 토기들이다.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에 보이는 백제 중앙양식 방형 분구와 왜양식 원통형토기의 혼용은 백제 중앙에 의한 지방세력 우대정책과 친왜정책을 상징하는 고고학적 자료이다. 5세기 후엽경 백제와 왜국 사이의 외교적 연대 강화를 시사하는 또 하나의 유력한 고고학적 자료는 백제 서해안 항로상에 위치하는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에서 발굴되었다. 백제 중앙이 국가적 해안 제사가 거행되던 이곳에서 왜인들에 의한 왜양식 제의 거행을 허용한 것은 이 시기 강화된 백제의 친왜정책을 시사한다. 한편 6세기 전엽경 왜국 중앙의 정치적 동향을 고려하면, 백제 서남부지역 왜양식 전방후원분 축조로 상징되는 무령왕 정권기의 친왜정책 강화는 이 시기에 등장한 새로운 친왜파에 의해 주도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고구려에 의한 서울지역 백제 수도 함락 사건과 공주 천도 후에 일어난 연속된 권력구조변동 사건 속에서 백제 중앙은 친중국남조 정책과 더불어 지방세력 우대정책과 친왜정책 강화를 선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 묘제에 보이는 재지 묘제와 중앙양식 묘제, 왜양식 묘제의 변화 양상은 이러한 백제 중앙의 정치전략채택 과정을 명료하게 시사한다. This paper clearly presents the existence of archaeological evidence implying the consolidation of diplomatic ties between Paekche and Wa already around the late 5th century, before the construction of Wa-style keyhole tombs in the 6th century. The major archaeological data of this argument is the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selected to decorate the burial mounds of leaders from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around the late 5th century. The mix of square-shaped burial mounds in the style of central Paekche and Wa-style flowerpot-shaped clay cylinders reflected in the tombs of leaders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Paekche symbolizes, in archaeological terms, the preferential policies on local powers and the pro-Wa policies pursued by central Paekche Another convincing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suggests a strong diplomatic bond formed between Paekche and Wa in the late 5th century was found at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in Buan, located in the sea route by the west coast of Paekche. To allow Wa-style rituals to be performed by the Wa people at a place where national seaside rituals were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Paekche signifies the pro-Wa policies of Paekche especially reinforced at the time. Meanwhile, considering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central Wa during the early 6th century, it is highly likely that a pro-Wa group that newly emerged at the time led the consolidation of the pro-Way policy of King Muryeong’s regime, represented by the construction of Wa-style keyhole tomb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Paekche. Amidst the continuously changing power structure following the fall of Paekche’s capital in the Seoul area due to attacks by Goguryeo and the transfer to its new capital Gongju, central Paekche seemingly chose to consolidate its preferential policies on the local powers and pro-Wa policies, along with its amicable policies toward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The changes of local tombs, tombs in the style of central Paekche, and Wa-style tombs that we can note from the tombs of leaders from the southwestern area of Paekche during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clearly demonstrates this trace of political strategies chosen by central Paekche.

      • KCI등재

        삼국사기 신라 上代기사에 보이는 倭 : 김부식의 對外觀과 저술의 실제

        신종원(SHIN, Jong-Won)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2

        The early section of the Annals of Silla which forms the initial chapters of the Samguk Sagi (hereafter SGSG) contain fifty entries related to Wae (Jp.wa). These wa-related entries attracted greater attention of scholars after the discovery of the King Gwanggaeto Stele because of their perceived relevance to a research question they aimed to examine. They wanted to examine whether Wae appearing in the SGSG, were the same wae whose military expedition is mentioned in the King Gwangaeto stele. Some scholars argued that the Wae of the Annals of Silla were the same Wae forces that crossed the sea and invaded Silla on numerous occasions, while others pointed out that they were merely sea pirates who used seasonal wind to cross over to the Korean peninsula to raid coastal settlements. If we carefully analyze wa-related entries of the SGSG we can classify them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First, some entries demonstrate positive and sympathetic feelings for Wa, present an idealized picture of their distant land and also suggest that the kings or great ministers of Silla were derived from Wae. The second category includes cases of defense against and punishment of Wae by Silla rulers, and thereby emphasize their virtuous and efficient politics. The third category includes Wa people or Wae forces who were primarily intruders or raiders. The fourth category relates to records about diplomatic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of envoys. It is apparent that when narrative the activites of Wae in the second category the author of the SGSG was motivated by the Confucian notion of history serving as a mirror to aid the administration, and the third category is undergirded with the historian’s objective to strengthen border defense. Amongst the four categories, listed above, Wa of the last category alone can be judged as derived indisputably from the Japanese archipelago. These records relate to the period prior to the unification of Japan by Yamato administration, and therefore, one may justifiably argue that Wae of these records denotes the force of provincial administration, especially that of Kyushu. Records of Wae (envoys) appear in the Annals of Baekje also, but they cease to appear after the 22nd year of King Soji(522). Instead we see on the pages of the SGSG during this period records about Gaya, more specifically entries about Wa.Gaya. These records suggest some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Wa and Gaya. The identity of Wa which was vague to some extent in earlier records, now assumes specificityIt appears that at least a section of the Wae population is given the nomenclature Gaya or is broadly wrapped under the cover of Gaya. Records about Malgal give us a clue to understand Wa-related records of the SGSG. Since both Wa and Malgal remained as tribal settlements through history and failed to achieve centralized monarchical states, both these terms (Wa and Malgal) were used pejoratively to denote the notion of inferior polities. These terms were used depending on the region. The settlement of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called Malgal, while that of Southeastern area was called Wae. In order to form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records about foreign land and people it is necessary to look at Kim Bu-shik, the author of SGSG and his times. Kim Bu-shik and his followers played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the character of the foreign policy of Goryo by crushing the rebellion of Myocheng and accepting the suzerain status of Jin dynasty China, a barbarian state in Chinese history. In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with Jin and accepting Jin’s suzerain status ovewr Goryeo Kim Bu-shik was inspired by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memory of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Wae. One of the motivations for Kim Bu-sik to write the SGSG was to emonstrate that Silla was bound in its early phase by diplomatic ties of similar nature, and yet it could achieve peninsular unification. 삼국사기 신라본기 상대 기사에는 倭사료가 50여 건 실려 있다. 이들 왜 기사는 광개토왕비가 발견된 이후 더욱 주목 받게 되었다. 그것은 이들 기사가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倭(軍) 활동과 부합되는가 어떤가를 검토해 보려는 문제의식 때문이다. 일부 연구자는 신라본기의 왜는 왜국 군대가 바다를 건너 수시로 신라를 침범한 세력이라 한 데 반해, 어떤이는 그들을 다만 계절풍을 이용한 해적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신라본기의 왜 기사를 일별해보면 이들 사료는 크게 네 부류로 나누어진 다. 첫째는 왜에 대한 호감이나 동경을 가지면서, 먼 곳에 있는 이상향 정도로 보아 신라의 왕이나 대신이 왜에서 왔다고 기술하고 있다. 두 번째는 왕의 善政德治를 보여주는 사례로서 왜군에 대한 방어, 토벌에 관한 기사다. 셋째는 단순한 침범이나 약탈적 성격의 왜인 왜군이다. 네 번째는 외교나 사신왕래에 대한 내용이다. 이러한 倭(使)는 백제본기에도 등장한다. 두번째 부류는 ‘쓰여진 역사’가 통치의 본보기가 된다는 점에서, 세 번째 부류는 국방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모두 역사를 쓰는 의도가 뚜렷이 보이지만 사실여부를 확인할 방도는 없다. 이들 네 부류에서 바다 건너 일본열도에서 온 세력이 분명한 것은 네 번째뿐이다. 그것도 야마토정권의 통일세력이 나오기 전의 기사이므로 일본열도의 지방정권 특히 九州의 세력이 주요 대상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신라 상대의 왜 사료는 소지왕 22년(500) 이후로는 전혀 보이지 않고, 대신 가야 사료가 자주 나오는 등 왜 가야 기사는 시대별로 단락을 지어 있다. 이에 왜와 가야 사이에는 어떤 식으로든 연결성이 있어 보인다. 앞에서 보았듯이 다소 막연했던 倭가 점차 분명해지자 그 가운데 일부는 가야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삼국사기 의 왜 사료를 이해할 때 참고가 되는 것은 말갈 사료다. 왜나 말갈 모두 국가 단계나 조직까지는 이르지 못한 집단으로서 막연히 부른 낮춤말에 지나지 않는다. 지역에 따라 한반도 중부에 사는 무리를 ‘말갈’이라 써놓았고, 동남부의 집단을 ‘왜’라 하였다. 삼국사기의 대외기사를 이해하려면 먼저 글쓴이 김부식과 그 시대를 알아야 한다. 김부식 일파는 묘청의 난을 진압하고 금나라에 사대의 예를 취하는 것으로 고려의 외교 노선을 결정하였다. 오랑캐나라에 사대하는 정책을 뒷받침하는 역사상의 경험/기억으로서 과거 신라 또한 왜에 대해서 그렇게 하였고, 그럼에도 결국 삼국을 통일하여 오늘에 이르렀다는 역사를 보여주고자 한 것이 삼국사기를 찬술하게 된 배경의 하나라고 생각된다.삼국사기에는 왜와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실려 있는데 신라와 백제에서 건너 간 왕족이나 대신을 ‘(人)質’이라고 적었다. 하지만 이들 기사가 의거한 원전 어디에도 ‘質’이란 표현은 없다. 이렇게 縮小史觀/패배주의적 바탕에서 자의적으로 편찬한 역사책을 광개토왕비를 이해하는 보조자료로 삼을 수는 없다.

      • KCI등재

        조선 전기 낙동강 유역 水站에서 보이는 倭館的 성격

        심민정(Shim, Min-Jung)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7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6

        조선 전기 대일 관계에서 교통로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은 낙동강이었다. 특히 낙동강 하류 구간은 바다와 육로를 연결해 주는 위치에 있어 바다를 건너 조선으로 향하는 왜인에게 교통상의 기착점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런 낙동강 하류 구간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대일관계를 확인하였다. 기존에 조선 전기 왜인들과의 관계는 왜구 문제에 집중하여 군사적인 측면을 다룬 연구들이 다수였다. 또한 왜인들에 대한 회유정책을 확인한 연구들도 대체로 교류의 양상 보다는 통제의 측면에서 접근한 경우가 많았다. 즉 포소왜관, 왜인과의 교역 등 교류의 일면을 살피면서도 왜인들에 대한 감시와 감독이라는 통제의 측면에 더욱 집중한 것이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우선 낙동강 수로를 통한 왜인과의 교류양상을 확인하는데 집중하였다. 두 번째로 교통로 중 수로에 집중했다. 기존에 교통로 관련 연구는 대부분 육로 중심이었고, 육로상의 군사적인 측면에서 다뤄진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왜인과의 관계가 점차 회복되어 가는 상황에서는 육로 보다 수로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왜인들이 바다를 건너 조선으로 오는 점, 해안가에 있는 포소왜관에 도착한 후 수로와 육로를 이용해 상경한다는 점, 그리고 왜인들의 접대에 소용되는 물품 및 교역 물품들이 대체로 수로를 통해 운반된다는 점이 그러하다. 이렇게 낙동강 수로가 활발하게 이용되면서 수로 주변에는 각종 시설들이 설치되었다. 그 중 수상 교통로의 요지에 설치되어 왕래인의 규찰 임무까지 담당했던 水站이 대표적인 시설이다. 낙동강 하류 구간에서는 동원수참과 견조암수참이 설치되어 이 역할을 담당했다. 한편으로는 상경 수로 곳곳에 설치되어 왜인들의 숙박과 접대를 담당했던 倭客館도 있었다. 그 중 낙동강 하류에는 김해 지역에 견조암 수참이 왜인 감독 뿐 아니라 접대 업무까지 보았고, 창원 주물연진에도 왜객관이 있었다. 이들 왜객관은 기존 연구에서 왜관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그 기능과 성격을 고려할 때 왜관의 범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왜인 규찰과 접대 업무를 동시에 행했던 견조암수참은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고려시대 왜객관으로 인식했었다. 하지만 이 수참은 조선 전기에 분명히 존재했음이 각종 지리지에서 확인된다. 아마도 사량진왜변 이후 왜인 관련 업무가 부산포왜관으로 단일화되고 제포 왜관이 폐쇄되면서 낙동강 수로 최하단 구간에서 왜객관의 역할을 하던 견조암수참은 그 기능을 다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수로 경로상에 포함되었던 다른 수참이나 진(津) 등은 왜사의 왕래가 단절되기 전까지 “왜객관”으로서의 기능과 성격을 유지했을 것이다. Downstream Nakdong River was such an important spot for exchange with Japan in early Chosun. As waegwan was formed in three poso, waein that arrived in Jepo and Busanpo used downstream Nakdong River as the starting point when heading for Seoul. Also, waein’s reception items and trade goods were all started from downstream Nakdong River and headed for the destination. As they used Nakdong River waterways frequently, all sorts of facilities were installed around the waterways. One of the examines was the sucham that was installed at the points of waterborne traffic and was charge of investigating the passengers as well. In downstream Nakdong River, Dongwonsucham and Gyeonjoamsucham were installed and played such roles. Also, there were waegaekgwan that were installed in waterways to Seoul and were charge of providing accommodations and receptions for waein. Concerning downstream Nakdong River, Gyeonjoamsucham in Gimhae took charge of supervising and receiving waein, and there were waegaekgwan in Changwon Jumulyeonjin, too. According to advanced research, Gyeonjoamsucham supervising and receiving waein both at the same time were regarded as gaekgwan in Goryeo. But those sucham were obviously present in early Chosun and seem to have disappeared as Jepowaegwan was closed down.

      • KCI등재

        왜왕권의 백제유민 관리와 인재등용책

        연민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0 百濟硏究 Vol.71 No.-

        The management and appointment of Baekje migrants by the Japanese royal authority became an important basis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state in ancient Japan. The new knowledge and technologies of the Baekje migrants were introduced into the state management of the Japanese royal authority as they were and spread into its base. There were thousands of refugees from Baekje, and many of them became part of the nobility and powerful clans that formed the upper class in the central and local regions. There were also many Baekje refugees that worked as professionals in the fields of military, academics, and medicine. The Japanese royal authority organized the naval forces and invested the national finance into it including the massive war supplies for the revival of Baekje. In the end, they succeeded in accepting a huge number of talents from Baekje. The migrants of Baekje were selected and appointed as government official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talents and social positions under the new state policy of the Japanese royal authority, exerting their abilities in their respective fields. Of them, many established their own families that prospered through the patrimonial status across the fields including academics, medicine, and literature. 왜왕권의 백제유민에 대한 관리와 등용은 일본고대의 신국가의 건설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이들이 보유한 신지식, 신기술은 그대로 왜왕권의 국가운용에 이입되었고, 그 저변으로 확산되어 갔다. 수천명에 달하는 백제의 망명자 속에는 중앙과 지방에서 상층부를 구성하는 귀족과 호족층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군사, 학문, 의술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적지 않았다. 왜왕권은 백제부흥을 위해 수군단을 구성하고 막대한 군수물자를 투입하는 등 국가적 재정을 소모했지만, 결과적으로 백제의 수많은 인재들을 받아들이는데 성공하였다. 백제 유민들은 왜왕권의 신국가정책 속에서 재능과 신분에 따라 관인으로 발탁, 등용되어 각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해 나갔다. 그들 중에는 학문과, 의술, 문예 등의 제방면 에서 세습적 지위를 통해 가문의 번영을 이룬 씨족도 적지 않았다.

      • KCI등재

        6〜7세기 高句麗의 對倭關係

        연민수(Yeon Min-Soo)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6 No.-

        570년 고구려는 왜왕권에 처음으로 공적 사절을 파견한다. 4세기말 고구려와 왜의 군사적 충돌 이후 170여년만의 접촉이었다. 사절파견의 배경으로는 6세기중엽 고구려 왕권의 분열과 혼란, 신라의 침공으로 한강유역과 동북방 지역의 상실이었다. 고구려가 사절을 파견한 목적은 고구려?백제?왜를 잇는 삼국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신라를 고립시키는 일이었다. 그동안 공포의 대상이었던 고구려가 사절을 보냈다는 것은 왜왕권의 自尊意識을 만족시켜주는 결과가 되었다. 이후 양국의 왕권 상호간의 교류는 활발해졌고, 고구려의 수많은 선진문물이 왜국으로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1세기 간 지속된 고구려와 왜의 우호관계는 백제의 멸망과 동시에 해체되기 시작한다. 여기에는 왜왕권의 친백제 외교노선과 연계되어 있었다. 역사적으로 왜왕권의 대외정책은 백제의 외교노선과 같이 했다. 백제의 멸망으로 왜왕권의 對韓정책은 멸망해 가는 고구려를 외면하고 한반도의 패자가 된 신라와 손을 잡는다. 고구려의 대왜외교는 백제의 멸망으로 더 이상 실효성을 거둘 수 없었다. 백제라는 변수가 고구려의 대왜외교의 한계를 초래했던 것이다. In 570, Koguryo sent an official envoy to Wae(ancient Japan) for the first time. It was the contact in more than 170 years since the military collision between Koguryo and Wae at the end of the 4th century. In the background of the envoy dispatch, around the mid 6th century there were the state of disruption and disorder in Koguryo’s royal authority, and the territorial loss in the northeast area and Han River basin due to Silla’s invasion. The purpose of the envoy dispatch was to construct a triple connection of Koguryo, Pekje and Wae, in order to contain Silla. The envoy dispatch by Koguryo, which had been the object of fear for Wae, resulted in satisfing Wae with its self-repect. Since then, as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me extensive, the advanced civilization flowed into Wae. However, a century of friendly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started to break down when the Pekje kingdom ruined, and this was related to the pro-Pekje foreign policy of Wae. Historically, the foreign policy of Wae had conformed to that of Pekje. Neglecting the declining Koguryo along with the fall of Pekje, Wae’s foreign policy toward Korea came to be cooperative with Silla, the new conqueror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fall of Pekje, Koguryo’s foreign policy toward Wae had no more effectiveness. It was the variable of Pekje that brought about limitations in Koguryo’s foreign policy toward Wa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