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王子午鼎> 명문의 내용과 서체미 고찰

        박재복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7 문화와예술연구 Vol.10 No.-

        <왕자오정 (王子午鼎)>은 기물의 모양이 독특하고 문양은 실랍법 (失 蠟法), 명문은 조충서 (鳥蟲書)를 사용하여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준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무덤주인, 제작연대, 내용분석에 치중하였는데, 본 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왕자오정> 명문의 내용과 기물의 주인, 그리고 명문에 나타난 서체미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왕자오정> 본체의 명문에 영윤자경 (令尹子庚)이란 명칭을 통 해 왕자오 (王子午)가 영윤으로 있던 기원전 558~552년 사이에 열정 (列 鼎)을 주조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 덮개에 보이는 붕 (倗)은 자 경과 자남 (子南)의 뒤를 이어 영윤 (令尹)이 된 위자붕 (蔿子馮: 楚叔之 孫倗)으로, 어떤 정치적 혼란 속에서 이 기물을 획득하여 덮개를 추가로 만들고, 기원전 548년에 죽으면서 자신의 무덤 (M2)에 부장하였을 것으 로 추정된다. 둘째, 춘추 5패 (覇) 중의 한사람인 초나라 장왕 (莊王)은 9정 (鼎)에 대한 고사로 유명하다. 그의 아들인 왕자오는 자신의 신분보다 한 단계 높은 7점의 열정을 주조하여 당시 초나라의 국력이 막강하였음을 고고 학적으로 증명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왕자오정>과 같이 화려한 청동기 가 보이지 않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인문정치가 미약하였기 때문으로 추 측된다. 셋째, 조충서는 춘추전국시기에 장강 중하류 지역에서 크게 유행하여 중원 지역에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오 (吳), 월 (越), 초 (楚), 서 (徐), 증 (曾), 채 (蔡), 송 (宋) 등의 여러 제후국에서 주로 발견된다. 춘추시기에 서 조충서는 무기류에서 주로 확인되고 용기에는 극히 드물다. <왕자오 정>은 현재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조충서의 명문으로 그 사료적 가치 뿐만 아니라 서법예술에서도 상당히 수준 높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춘추시기 초나라 문화권에서는 세로의 길이가 긴 장방형 결구를 선호하고 있다. <왕자오정>의 명문도 이러한 결구를 취하고 있는데, 본 체의 복부에는 조충서로 14행 84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고, 덮개에는 장 방형의 대전 (大篆)으로 4자가 새겨져 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 이 기물 본체는 왕자오가 만들고 덮개는 위자빙이 만들었기 때문이며, 덮개를 추가로 만드는 과정에서 좀 더 고풍적인 장방형의 전서를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왕자오정>은 동시기 청동예기 중에서 기물의 제조방법과 명문의 서사방식이 매우 빼어난 것으로 예술적 가치가 높은 최고의 걸작 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당시 초나라 왕실과 국제정세를 알 수 있는 청동기 유물이며 조충서의 초기적인 형태로 조충서의 형성과 변화양상 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Wangjaojeong(王子午鼎)" shows the extreme level of splendor by adopting unique forms and using the Silnapbeop pattern and the Jochung handwriting styl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nscription content, owner of the article, and handwriting aesthetics of the inscription in "Wangjaojeong" as follows: First, it was estimated that Wangjao must have cast Yeoljeong in 558~552 BC when he was an esteemed son based on the title of Jagyeong, the esteemed son, in the inscription of the main body of "Wangjaojeong." Bung(?) on the cover is Wuijabung(蔿子馮), which led to an estimation that he must have obtained the article in some political confusion, added a cover to it, and had it buried in his tomb after he died in 548 BC. Secondly, Zhuang Wang of Chu, one of the five Warring States, is known for declining 9 Jeong. His son, Wangjao cast seven Yeoljeongs, a step higher than his status, which suggests based on the archeological evidence that Chu enjoyed mighty national power. Finally, Jochungseo was a huge hit in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areas of the Yangtze during the period of Warring States and had impacts even on central China, being mainly discovered in many surrounding states as Wu(吳), Yue(越), Chu(楚), Xu(徐), Zeng(曾), Cai (蔡), Song(宋). The Jochungseo inscription of "Wangjaojeong" is one of the earliest pieces discovered so far, holding important values as a historical material and also high artistic values as a work of calligraphy. "Wangjaojeong" excels in the manufacture technique of article and the narrative method of inscription compared with other bronz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during the same period, being called the greatest masterpiece of high artistic value.

      • KCI등재

        어린왕자의 재해석

        Simon Kim 한국프랑스학회 201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2 No.-

        어린왕자는 어떤 책인가? 이 물음에 대한 대답 중 가장 놀라운 것은 어린왕자 가 세계의 모든 나라들을 통틀어서 가장 많이 읽힌다는 성경의 바로 다음 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만큼 영향력 있는 작품임과 동시에 또한 그만큼 가장 잘 팔리는 책이라는 말이다. 어린왕자는 100여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ㆍ출간되었으며, 한국에서만도 300여종 이상의 다양한 번역본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 뿐만 아니라, 어린왕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두가 쉽게 접하고 읽는 책 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어린이 독자들을 겨냥한 다양한 동화전집(한솔출판사 등)의 목록에도 반드시 포함되어 있는 책이기도 하다. 그 만큼 어린왕자는 그 글을 접하는 독자에게는 텍스트의 이해에 있어 전혀 어려움이 없는 수준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고 여겨져 왔다. 즉, 이 작품의 언어구사의 수준은 심지어 그 대상이 어린이들이라도, 책을 접하는 데 있어서 전혀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그 누구를 막론하고 접근이 용이하다는 이유 때문에 어린왕자는 프랑스어나 간혹 영어(학습용 영문합본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심지어 일본어(학습용 일한대역본의 경우)를 공부하기 위한 외국어 교재로도 종종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의 용이성에는 어린왕자의 출판 배경도 한몫을 차지하고 있다. 제2 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미군 지휘 하에 있던 2-33 폭격기대에 복귀한 생텍쥐페리는 이곳에서 전투 조종사로 복무하던 중 어린왕자의 초안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1940년 아라스 전투를 치룬 이후, 생텍쥐페리는 뉴욕에 잠시 체류하며 아라스로의 비행Flight to Arras을 집필하였고, 1942년에 발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듬해 4월 어린왕자를 뉴욕에서 최초로 발표하기에 이른다. 이에 비해 프랑스에서의 출간은 생텍쥐페리가 사망한 이후인 1946년에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선을 보인 초판이며, 뉴욕의 출간에 비해 비교적 늦게 독자들에게 알려진다. 총 27장으로 구성된 어린왕자는 한국어 번역자에 따르자면 “《육년 전 어느 날》, 비행기 고장으로 사하라 사막에 홀로 불시착한 비행사가 사막 한가운데서 한 어린 왕자를 만났다가 헤어진 일주일 동안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어린왕자가 ‘동화’라는 문학 장르로 분류되는 이유들, 예를 들어 독서 의 용이함이나 독자의 다양함에 기인한 해석이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지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셍텍쥐페리의 어린왕자는 과연 동화로 여겨질 기준에 충족하는 것이며, 만약에 그렇다면 그 기준은 또 무엇일까? 그 여부를 따져 보기 위해, 우선 동화의 정의를 살펴보기로 한다.

      • KCI등재

        조선 전기 왕자 교육의 실태와 그 특징

        한희숙(Han, Hee-Sook)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4

        본고에서는 조선 전기 왕자인 대군・왕자군들의 교육 실태와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에는 왕위 계승자인 세자와 원자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군과 왕자군의 교육은 제도적 장치를 갖지 못하고 부왕의 관심에 따른 사부교육 중심의 개인교습으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각 왕대의 대군•왕자군의 수가 소수이고 일정하지 않았던 점과, ‘宗親에게는 임무를 맡기지 않는다’는 명분에 따라 왕자들이 관직에 나가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 전기에는 왕자들이 왕위를 계승할 수 있는 잠재적 존재였고, 또 외교활동 및 종친부를 비롯한 왕실관련 기관의 임무를 수행해야 했으며, 왕실 자제로서의 품위를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왕자들의 지식 함양과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였다. 왕자들의 교육에는 부왕의 재위기간과 관심, 훈육 등이 많이 좌우하였다. 태종은 마음가짐이 단정하고 經書에 박학한 師傅를 뽑아서 대군들을 가르치게 하였다. 세종은 종친의 교육을 위해 종학을 설립하고, 8세가 되면 종학에 입학토록 하고, 모범을 보이기 위해 대군들을 입학시키기도 했지만 사부교육을 더 중요시 하였다. 성종도 대간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왕자들을 사부들로 교육시켰다. 성종은 말년에는 궁궐 내에 讀書廳을 두고 문신을 가려 贊讀이라 이름 하여 왕자들을 가르치게 하였다. 종학은 연산군 11년에 폐지되었다가 중종대 다시 설치되었지만 중종도 왕자들을 사부로 하여금 가르치게 하였다. 조선 전기 세자를 제외한 왕자 교육은 주로 왕자사부에 의한 개인교습교육이 중심이 되고 여기에 종학교육이 보조적으로 이루어졌다. 종학은 종친들을 위한 교육기관이었지 왕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기관은 아니었다. 왕자 교육은 방법이나 내용면에서 양반들의 교육과 큰 차이점이 없었다. 왕자들은 기본적으로 『小學』과 『孝經』 『四書』와 『大學衍義』 『三經』과 『通鑑』 등을 배웠다. 그러나 왕자들에게는 제왕교육을 받은 세자와는 달리 治國과 平天下 등 정치적인 역량을 키우는 교육은 하지 않았다. 왕자들의 교육에 가장 큰 관심을 둔 왕은 세종이었다. 그러나 조선 전기 세자를 제외한 왕자 교육은 그 실태와 체제면에서 대체로 부실했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왕자들은 “宗親不任以事”의 명분에 의해 공부를 해야 할 동기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경제적인 문제와 공간 부족 문제, 그리고 道敎的인 인식, 避病, 避厄 등의 이유로 어린 왕자들을 궁 밖에 위탁 입양시키는 일이 많았던 왕실 자녀들의 양육 문화 때문이었다. 그리고 세자를 제외한 모든 왕자들은 11~14세에 결혼을 하여 궁 밖으로 나가서 살아야 했던 왕자들의 이른 혼인 나이도 영향이 있었다. 혼인 후 부왕의 관심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 90여명의 왕자들 가운데 양녕대군이나 수양대군, 안평대군, 월산대군, 제안대군 등 소수의 재능 있는 대군들만이 詩・書・風流 등에 두각을 나타냈을 뿐이었다. The early Joseon Dynasty education of the Seja and Wonja had been made by the national level institutionally. But the education of the Daegun and Wangjagun had been formed by private education as a attention of the king and it did not have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enough. Because it was the small number of Daegun and Wangjagun of each King and also the princes were prohibited from working at government office as a according to the Jongchin who did not have been entrusted with the job. However, there was the potential that the prince could be the king in the early Joseon and they had to perform the duties of royal institutions, including Jongchinbu, and diplomatic activity, and they had been trained to maintain the dignity as the royal family son. The princes had received a lot of according to the attention of the king Taejong allowed the private teacher taught the princes. Sejong established the Jonghak for the education of the princes and the Jongchin. The princes had to enroll in the Jonghak from 8years old. Sejong let the princes attended the Jonghak by good example but he thought that private teacher education was more important. Seungjong allowed private teachers taught the princes inspite of the opposition of the Daegan. In later Sungjong Doksircheung was established in the palace and the princes were taught by the Chandok. The Jonghak was abolished when Yonsangun 11years, but it was reinstalled when Jungjong who wanted to teach the princes by a private teacher. The princes were educated to the moral character, except political education which was for threat to the throne. The princes education excluding Seja was generally poor in its status as a system in early Joseo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ystems in accordances with the growth process of the princes did not prepare well. That’s why instead of the princes who could not go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y had received a nice treat as a social and economic goal and their education goal motivation was not clear, and the princes were being raised at outside the palace due to economic, space, and avoid illness from the youth, and education could be interrupted by early marriage, and many students attended at Jonghak. Therefore, only small numbers of Daegun were distinction in literature and calligraphy.

      • KCI등재

        황실의 교류: 1904년 독일제국 아달베르트 왕자의 한국 방문

        황윤석(Hwang, Youn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본 연구 <황실의 교류: 1904년 독일제국 아달베르트 왕자의 한국 방문>은 독일 프로이센 제국 황제 빌헬름 2세의 삼남 아달베르트 왕자의 1904년 5월 5일 한국 방문을 독일 측 사료를 통해 복원하였다. 더불어 아달베르트 왕자의 생애와 동아시아 체류 그리고 짧은 서울 방문을 재구성하였다. 두 황실의 교류는 1899년 6월 8일 빌헬름 2세의 친동생 하인리히 왕자의 대한제국 최초 국빈 방문으로 시작된다. 하인리히 왕자의 공식적인 국빈 방문 5년 후 빌헬름 황제의 3남 아달베르트 왕자는 비공식적이고 비밀스럽게 대한제국을 방문한다. 아달베르트 왕자는 5월 5일 “순양함 헤르타” 호를 타고 제물포에 도착했고 경인선 기차를 타고 서울로 왔다. 왕자는 서울 잘데른 공사의 집에 머물렀고 서울과 제물포에 머물고 있는 독일인들을 소개받았다. 짧은 시간 관계상 여러 가지가 불가능하였지만 그럼에도 잘데른은 독일 교관 에케르트가 지휘하고 있는 군악대와 덕어학교를 소개했다. 이러한 간단한 일정을 마친 후 아달베르트 왕자는 방문을 마무리 했고 1904년 5월 6일 다시 제물포에서 배를 타고 중국으로 향했다. 왕자는 24시간을 채 넘기지 않는 체류를 하였다. 이것은 당시 동아시아에서 독일제국의 정치적 입장과 대한제국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반영일 것이다. 러일전쟁과 한일의정서 등 급변하는 한국의 정세 속에서 아달베르트가 고종을 만난다면 독일이 한국에 우호적이라는 인상을 남길 것이고 일본과의 관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독일의 입장에서는 비정치적인 입장을 유지하려고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 <황실의 교류>는 1905년 당시 공식적인 방문이 어려웠던 아달베르트의 대한제국 방문 복원과 더불어 무엇보다 한국과 독일, 두 번째 ‘황실의 교류’를 역사적으로 기록했다는 점에 더 가치를 부여할 수 있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May 5, 1904 by Adalbert Ferdinand Berengar Vikor, Prinz von Preußen (1884-1948) of the German Empire, Prussian Emperor Wilhelm II. In other words, I will study the history of the exchange between the Korean Empire and the Imperial Empire of Germany and re-examine the Korean modern history. On 8 June 1899, Heinrich Prinz von Preußen, 1862-1929, Wilhelm II s brother, visited the Korean Empire. This started the exchange of two imperial families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German Empire. On May 5, 1904, there was a second visit from the German imperial family. Visit by Adalbert Prinz von Preußen, the third son of Wilhelm II. The visit of the 20-year-old young prinz. Despite his short visit to Korea in less than 24 hours, Adalbert stayed in Saldern s house of the Korean Patent Attorney, experiencing Seoul, and on May 6, boarded a ship at Jemulpo for Beijing Prince Adalbert was anonymous and secret, not a visit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hen Prince Adalbert left Germany, there was no Russo-Japanese war, and the Korea-Japan Protocol (23 February 1904) was not signed to restrict Korea s diplomatic rights. there was. In this situation, if Adabert meets Gojong, Germany would leave an impression that Korea is friendly to Korea and could adversely affect relations with Japan. Therefore, this study <Imperial Exchanges> may give more value to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second imperi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Germany, rather than the restoration of Adalbert s visit to the Korean Empire, which was difficult to visit in 1905.

      • KCI등재

        신라 애장왕대의 假王子 파견 시도와交聘結好의 의미

        안주홍 부경역사연구소 2022 지역과 역사 Vol.- No.51

        This article analyzes diplomatic activities with Japan during the reign of King Aejang of Silla. Silla saw Japan as a servant(蕃國) of the Tang Dynasty, just like her. At the same time, Silla regarded itself as the center of the world, so it thought superior to Japan. In this worldview(天下觀), Silla exchanged envoys and to be a good relationship(Gyobingyeolho交聘結好) with Japan in 803. Through this, King Aejang was able to reveal the dignity of the emperor(天子, 皇帝) inside Silla. Meanwhile, in 802, Silla tried to make Kim Kyun-jeong a fake prince(假王子) and send him to Japan as a hostage(質). Kim Kyun-jeong is the grandson of King Wonseong and is not a fake prince. In Silla the male royal family was called the prince. Nevertheless, the record as a fake prince is due to the sense of distinction within the royal family. Silla sent a prince to Tang for diplomatic activities (Prince Sukwi 宿衛王子). It i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by monopolizing diplomacy. King Aejang tried to send a prince to Japan by imitating this form and purpose. 이 글은 애장왕대 假王子 파견 시도와 交聘結好의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760년에 일본은 신라에 專對人의 파견을 요구하였는데, 이는 외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한다. 신라는 재위 왕의 아들만을 왕자라 칭하지 않았다. 원성왕의 손자로 흥덕왕 사후 왕위계승을 다툰 김균정을 가짜 왕자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일본이 왕자의 파견을 요구하였고, 이를 수용하여 802년에 김균정을 가왕자로 삼아 일본에 보내려 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802년의 가왕자 파견 시도 기록은 원성왕계이지만 인겸계는 아니라는 분파 의식이 반영된 것이다. 774년에 신라는 일본에 修好聘問의 관계를 표방하였고, 이를 신라 내부에 공식화한 것이 803년의 交聘結好이다. 802년의 질자 파견 시도는 교빙에 따른 交質이다. 聘은 예기 에 근거한 것으로, 제후가 대부를 시켜 다른 제후를 방문하는 것이다. 신라왕은 당의 제후이자 신라의 천자라는 이중적인 천하관을 표방하였다. 신라는 교빙결호를 통해 일본이 자신과 같은 당의 제후임을 인정하면서도, 일본과 당의 교류를 중개하여 일본에 대한 자신의 우위를 드러내었다. 애장왕과 섭정 김언승은 왕권 강화의 한 수단으로 803년의 대일외교 의례를 활용하였다.

      • KCI등재

        고구려 벽화의 장식 문양과 錦帳의 표현

        朴雅林(PARK Ah-rim)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3 No.-

        북한 남포시 용강군 옥도리에서 2010년 발굴된 옥도리벽화고분은 인물풍속도 및 사신도로 장식된 고분으로서, 감신총과 유사한 묘실 구조를 갖고 있으며 후실 북벽의 묘주도에 ‘大’ 字와 ‘王’ 字流雲文이 장식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 벽화의 왕자 유운문 장식이 단순한 문양이 아니라 고구려인들의 喪葬儀式을 반영하는 제의적 상징성을 담은 것으로 보고 왕자 유운문 장식의 표현 양상과 왕자 유운문을 담은 錦帳의 실제 제작과 묘실 내 설치 가능성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고구려 벽화고분의 왕자 유운문 장식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왕자 유운문이 묘주도의 병풍과 휘장, 주실 벽과 전실 벽의 장식문양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관 뒤의 벽면과 관대 자체의 장식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고구려벽화에 사용된 왕자문과 연화문은 고구려인들이 공통으로 인식하는 일종의 徽章으로 상징성을 가지고 있어 반복적으로 사용되었고 때로는 묘실 공간 전체를 덮으면서 인물풍속도를 대체할 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묘실 전면을 장식한 왕자 유운문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병풍 또는 휘장의 문양으로 처음에는 병풍의 장식이었다가 병풍의 틀을 벗어나면서 묘실 전체 공간으로 확대되었거나, 벽에 거는 무늬가 있는 비단 揮帳(?帳)이 그림의 형태로 벽면에 표현된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고구려 고분 벽화의 장식문양도를 병풍화가 묘실 전체로 확대된 것으로 본다면 병풍화가 가진 제의적 기능과 상징성이 고분 묘실의 장식에 적용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고분미술에서 구체적인 병풍의 표현 사례는 병풍의 이미지를 많이 사용한 중국 한위진남북조 고분미술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왕자 유운문이 揮帳(?帳)의 장식문양, 즉 錦帳의 표현일 수 있다는 가정 하에『翰苑』과 『삼국유사』의 기록을 통해 고구려에서 ‘雲布錦’ 과 ‘文字錦’이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벽화의 왕자 유운문 휘장이 고구려에서 생산된 錦帳을 묘사한 것이라면, 왕자가 織紋된 운문의 錦帳이 장식된 장천 2호분에서 출토된 經錦, 벽 고리와 주실 네 벽 위쪽의 못 구멍들은 이러한 錦이 고구려 벽화고분안에 실제로 설치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게 한다. 고구려 묘실 내에서 錦帳의 설치는 묘주의 혼전을 상징하는 구조물을 세우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으로 왕자 유운문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고구려 벽화의 장식 문양과 錦帳의 표현에 담긴 제의적 상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Tomb at Okdori, Yonggang Prefecture, Nampo city, North Korea is a newly excavated mural tomb in Koguryo. It has almost identical tomb structure with that of the Niche Spirit Tomb. Interestingly, a unique decorative pattern is found on the painting of the tomb occupant and his spouses on the north wall of the main chamber. The pattern consists of a Chinese character, ‘dae 大’and ‘ wang 王’ surrounded by an wavy cloud motif.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idea that this decoration of a character ‘wang’ and a cloud motif might not be a simple pattern, but a ritual symbol reflecting a funerary ideology of Koguryo people. It also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he manufacture of silk embroidery curtains in Koguryo and the installation of such ritual structure inside a tomb. The survey of the representations of the decorative motif in Koguryo mural tombs reveals that the motif was used on a painting of a screen or a curtain behind a tomb occupant. It was also used as a single subject decorating an entire wall of a front chamber or a back chamber. Sometimes, it is found as a decoration of a coffin bed. The unique decorative motif must have been conceived as a kind of ritual symbol by Koguryo people so that they repeatedly used it in their tombs and even replaced a subject of daily life scenes as covering the entire space of a tomb chamber. It is assumed that the combination of a ‘wang’ character and a cloud motif was first used on a screen or a curtain. Later, it became to break the frame of a screen and expanded to an entire space of a tomb. Or, the unique motif could be a pictorial representation of an embroidered silk curtain which might have been hung on a wall. The first assumption can be supported by the ritual function of a screen painting in Chinese and Korean arts as there are many examples of the representations of a screen either in a form of a paintings or a sculpture in the funerary art. Secondly, some historical records provide us with evidence that Koguryo manufactured a cloud motif silk fabric and Silla presented a silk fabric embroidered with a poem to Tang China. Thus, it is possible that Koguryo manufactured an embroidery curtain with the unique pattern found on the occupant painting of the Tomb at Okdori. Another interesting point is the remains of nail halls on the upper part of a wall in some ornamental motif tombs. It made us speculate those nail halls might have served to hang this kind of embroidery curtains inside a Koguryo tomb. The possible installation of an embroidery curtain in a Koguryo tomb is probably related to the ritual structure for the spirit of the deceased constructed in a tomb. Therefore, the consideration of a unique motif of a‘ wang’character and a cloud motif leds us to make a conclusion that the unique decoration of Koguryo tombs, either painted or installed, could have possessed a symbolic significance related to a ritual space inside a tomb.

      • KCI등재

        임진왜란기의 강화교섭과 加藤淸正

        김문자(金文子)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2 No.-

        임진왜란은 7년 전쟁 기간 중 5년 1개월을 ‘휴전’상태에서 조선과 일본, 일본과 명 사이에서 강화교섭, 즉 외교전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진행되어왔던 ‘일·명, 조·일강화교섭’가운데 특히 조선왕자 송환문제에 깊게 관여했던 기요마사의 활동을 중심으로(서생포 회담)그가 조선과의 강화교섭에 등장하게 되는 배경, 동시에 왕자 송환문제가 이후 전쟁 중의 강화교섭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일본이 조선을 재침한 배경과 ‘조선 왕자의 일본 不參’이 어떠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일본 측은 1593년 평양성·벽제관 전투의 패전으로 무기와 병량 부족이 극심하여 明 정복보다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병량미를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이를 위해 경상도 해안지역에 축성을 해야 했다. 이처럼 조선의 남부지역에 거점을 두고서 조선을 攻略해야 하는 전략으로 변경됨에 따라 히데요시는 명이 요구하는 화의조건에 응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일본군의 한성 철수와 조선 왕자의 송환은 이러한 상황에서 일어났던 것이다. 결국 조선왕자의 송환문제는 明측의 끊임없는 재촉과 戰況이 불리하다고 판단한 고시니 유키나가(小西行長), 이시다 마츠나리(石田三成)의 결단과, 히데요시(秀吉)의 전략변호에 의해 해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총동원해서 감행해 왔던 침략전쟁이 수포로 돌아가고, 국내의 정세마저도 불안한 가운데 히데요시는 정원을 유지하기 위해서 또 따른 돌파구로서 재침략을 감행하였다. 그는 일본의 승리와 자기의 관대함을 국내에 선전하기 위해서 다시 재침을 결심한 것이고, 조선을 공격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전쟁 발발의 원인을 조선으로 돌리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왕자가 일본에 오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조선왕자가 來日하지 않았다던가, 조선통신사가 늦게 도착했다던가, 신분이 낮은 관리들이 왔다던가 하는 명분을 내세워서 전쟁을 다시 개시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재침략의 배경으로 논의되어 왔던 ‘히데요시의 일본국왕 임명 거부설’은 재검토되어야 한다.

      • KCI등재

        방정환 번역의 ‘굴절’과 스코포스 - 『왕자와 제비』를 중심으로

        이미정(Lee mijung) 한국근대문학회 202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2 No.2

        이 논문의 목적은 방정환의 번역동화 『왕자와 제비』에 나타난 스코포스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방정환은 사이토 사지로의 『왕자와 제비』를 저본으로 삼고 있다. 사이토 사지로는 원작 오스카 와일드의 『행복한 왕자』의 시간 구성을 재배치하는 방식으로 ‘아동’이 읽기 쉽게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방정환 역시 아동 독자를 대상으로 삼았지만 저본으로 삼은 사이토 사지로 작품과 많은 차이를 볼 수 있다. 이는 방정환이 『왕자와 제비』를 번역한 목적이나 스코포스에서 차별성이 드러난다는 뜻이다. 저본과는 차이가 나는 지점을 굴절로 파악하고, 이를 첨가, 축소 및 생략, 대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방정환의 『왕자와 제비』에서는 굴절을 통해 생생한 현장감 있는 묘사, 감정의 극대화, 개연성의 보완이라는 효과가 드러난다. 그의 번역본에서는 그가 소망하는 이상적 세계관이 내재되어 있다. 이처럼 『왕자와 제비』에는 아동 독자의 작품에 대한 몰입과 감정 이입, 자신의 사상을 전달하고자 하는 스코포스가 잘 나타나 있으며, 이를 방정환 번역의 특성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skopos in Bang Jeong-hwan"s translation of fairy tale, The Prince and the Swallow. Bang Jeong-hwan’s version is based on Saito Sajiro"s The Prince and the Swallow. Sajiro Saito aimed to make it easier for “children” to read, by rearranging the time structure of the original Oscar Wilde’s The Happy Prince. Bang Jeong-hwan is also aimed at children"s readers,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from the work of Saito Sajiro. This means that the purpose of Bang Jeong-hwan"s translation of The Prince and the Swallow, or the difference in skopos, is revealed. The point of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manuscript was identified as refraction and divided into addition, reduction and omission, and replacement. In Bang Jeong-hwan"s The Prince and the Swallow, through refraction, the effects of vividly realistic depiction, maximization of emotion, and complementation of probability are revealed. In his translation, the ideal worldview he aspires to be embedded. As such, The Prince and the Swallow shows children readers" immersion, empathy, and skopos to convey their thoughts, which can be presented as a characteristic of Bang Jeong-hwan"s translation.

      • 『어린 왕자』속 생활세계를 통해 본 아동의 현상학적 이해

        강기수(Kang, Ki-Su),이효진(Lee, Hyo-Ji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Vol.201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생텍쥐페리의 문학작품 『어린 왕자』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을 통해 아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학작품과 현상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현상학적 관점에서 문학작품 『어린 왕자』 속의 생활세계를 이해 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특성과 그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문학작품은 현실에 뿌리를 두고 작가가 상상한 세계를 반영한 표상이기 때문에 문학작품 속 생활세계의 모습을 통해 이해되는 아동의 특성은 어린 왕자만의 특수성과 현실 세계 아동의 본편성을 동시에 드러낼 수 있다. 『어린 왕자』 속 생활세계 속에서 아동은 직관적 이해의 존재, 모험적 존재, 관계 지향적 존재, 실존적 성장의 존재로서의 모습을 드러낸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아동은 만남의 존재로서 실존적 성장을 하며, 이러한 실존적 성장은 아동 내부의 자율성과 신뢰를 전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아동은 배움과 가르침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적 존재인 동시에 올바른 성장을 예비시켜 줄 성인을 필요로 하는 존재임을 의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enomenological speculation on 『The Little Prince』of Saint-Exupéry in order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o figure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literary work and phenomenology, and then, examined the Life-World of 『The Little Prince』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On this basis, the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s the literary work is an expression imagined world of the author on the basis of the realit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understood through the Life-World in the literary work can show both specialty of 『The Little Prince』and universality in the real world. The Life-World in 『The Little Prince』is a world of intuition, expansion, encounter and re-awareness. In this Life-World, children show themselves as being of intuitive understanding, of exploration, of relation orientation and existential growth. In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s that children experience existential growth as being of encounter, and such existential growth is presupposed of autonomy and reliability inside children. And, this study indicates that children are educational being seeking learning and teaching, and also requires adults who prepare proper growth for them.

      • KCI등재후보

        하인리히 왕자의 대한제국 방문과 전통 활쏘기의 부활

        나영일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7

        Korean traditional archery has been passed down for centuries. Korea is an archerypowerhouse with 39 medals only in Olympic archery events. In the Joseon Dynasty (1392~1910),archery was conducted in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for 500 years. In 1894, the militaryservice examination system was abolished and the basis of archery collapsed, but it is said thatin 1899 Prince Heinrich of Prussia visited Korean Empire and made it possible for the traditionalarchery to be resurrect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visit of the Heinrich Princeof Prussia to the resurrection of traditional archery and to confirm the facts. To this end, Iexamined the articles from newspaper, the diplomatic documents between the Korean andGerman governments on the visit of Prince Heinrich to Korea Empire , and the letter from PrinceHeinrich to Wilhelm II. It can be seen that, at such a time, Prince Heinrich's visit in 1899 made the momentum ofthe activation of archery fraternities and the traditional archery fields. Although exactly whatPrince Heinrich told King Gojong it could not be identified, the records on which archery fieldPrince Heinrich visited, which could not be found in data in Korea, could be identified throughinterpreter Reinsdorf 's report. It could be seen that the archery field visited by Prince Heinrichwas not the Western palace, but Jungilgak , the site of current Cheongwadae (Blue House), whichwas called the Northern palace at that time. In addition, through the fact that HwanghakjeongArchery Fraternity and Cheongryongjeong Archery Fraternity were resurrected centering onMin Yeong-hwan and Lee Jae-sun , who received Prince Heinrich when he visited Korea Empire ,and King Gojong granted congratulatory money, it could be seen that the environment wherethe traditional archery fields and archery field organizations could be activated was prepared. 전통 활쏘기는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우리나라의 대표적 무형유산이다. 조선왕조 500년 동안 무과시험에서 다양한 활쏘기가 행해지면서 전통 활쏘기는 우리나라의 장기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894년 무과제도가폐지되면서 신분 상승의 수단으로서 전통 활쏘기의 수단적 가치와 효용성이 없어지면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때 1899년 프러시아 왕자인 하인리히(Prinz Heinrich, 1862~1929)가 대한제국을 방문하면서 전통 활쏘기의 부활이 가능하였다고 선행연구들을 언급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증거가 없었다. 이 글의 목적은 프러시아의 하인리히 왕자가 전통 활쏘기의 부활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고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문 기사와 하인리히 왕자의 방한에 관한 대한제국과 독일 정부 간의외교 문서, 그리고 하인리히 왕자가 빌헬름 2세(Wilhelm II, 1859 ~ 1941)에게 보낸 편지 등 관련 자료들을 조사하였다. 한국의 자료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던 하인리히 왕자의 활터 방문에 대한 기록은 통역관 라인스도르프(L.W.F. Reinsdorf)의 보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하인리히 왕자가 방문하여 활쏘기를 본 곳은 서궐(西闕)이 아니라 당시에 북궐(北闕)이라 불리던 현재의 청와대 자리인 중일각(中日閣)임을 알 수 있었다. 또 하인리히 왕자의 방문 시에 영접하였던 민영환(閔泳煥)과 이재순(李載純)을 주축으로 황학정 사계와 청룡정사계가 부활되고, 고종이 내하전(來賀錢)을 후원하였다는 사실을 통해 전통 활터와 활터 조직이 활성화될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