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신산업분야 규제완화 정책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을 통한 정책효과 분석 -

        한승희 ( Seunghui Han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4

        본 논문은 신산업 분야에 대한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이 실제 기업혁신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성향점수매칭(PSM)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규제완화 정책으로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한시적 규제 유예 및 완화, 규제충돌문제 완화 정책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규제완화 정책의 영향을 받는 집단을 배타적으로 구분하여 총 7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2018년 한국기업혁신조사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기업들을 처리집단과 통제집단을 매칭한 후 분석한 결과, 세 가지 규제완화정책의 수혜를 모두 받은 경우에만 실제 기업의 혁신성과인 혁신매출비중과 공정/프로세스 혁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정부의 신산업 분야의 규제완화 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규제완화 정책이 실제적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기업이 개별 규제완화 정책의 수혜를 모두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한 가지 혹은 두 가지 규제완화 정책을 적용받는 것으로는 기업의 실제 혁신성과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정부는 규제완화 정책에 대한 정보가 모든 기업체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여러 규제완화 정책이 기업에 잘 적용되고 있는지를 관련 부처별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기업 또한 규제완화 정책형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조직관리 및 제도운영을 통해서 신기술 및 신산업 분야의 혁신을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d how the government's deregulation policy on the new industry field affects actual performance of company innovation by apply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method. The representative deregulation policies were divided into comprehensive negative regulation, temporary regulatory deferral and mitigation, and regulatory conflict mitigation policies, and the groups affected by each deregulation policy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the analysis after matching companies with experiment groups and control groups based on the 2018 Korea Business Innovation Survey data, the actual innovation performance of companies, the innovative sales ratio and process innovation, are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f all three deregulation policies have been benefited. The analysis suggests that while the government's deregulation policy in the new industry sector continues to be implemented, concrete policy plan must be sought to ensure that companies receive all the benefits of deregulation policies in order to have practical effects.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actual innovation performance of companies by being subject to one or two deregulation policies. The government should ensure that information on deregulation policies can be delivered to all companies, and it needs to monitor by each ministries to examine if various deregulation policies are well applied to companies. Companies should als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deregulation policies and make efforts for innovation in new technology and new industries through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institutional operation.

      • KCI등재후보

        정책통합 관점에서 본 지방자치단체 기후변화정책 변화 연구

        고재경 (재) 인천연구원 2018 도시연구 Vol.- No.14

        Due to the multi-level structure of climate change policies, policy integration and coordination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climateoriented policies by the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the interplay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policy integr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policies pertaining to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have different integration levels. In the case of mitigation, some leading examples emerge through the bottom-up approach, but observations vary depending on the will and cap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Horizontal policy integration, in general, remains insufficient due to the fragmented governance of the national government. In contrast to mitigation, adaptation has been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from the outset, and vertical policy integration areas such as planning, goals, reporting, and evaluation are well-organized compared to mitigation. Nevertheless, policy integration at the implementation stage is weak. Local climate change policy is based on a bottom-up approach for mitigation and a top-down approach for adaptation, which is in contrast to the nature of the issue. Characteristics of mitigation and adaptation concern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policy integration measures, as the hierarchical integration of the national target and the local goal proves effective for mitigation, while adaptation can be promoted through the national-local horizontal partnership. Moreover,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mitigation and adaptation is an important issue to be addressed. 기후변화정책의 다층적 구조 하에서 지방자치단체 정책이 성공을 거두려면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상호협력과 조정, 정책통합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정책통합의 관점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지자체 기후변화정책 변화와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완화와 적응의 정책통합은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완화는 상향식 접근을 통해 일부 선도 사례가 구축되고 있으나 지자체 의지와 역량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며 주류화를 위한 수평적 정책통합 수단은 미흡하다. 적응은 완화와 달리 초기부터 중앙정부 주도로 추진되어 완화에 비해 계획, 목표, 보고 및 평가 등 수직적 정책통합 수단이 체계적으로 갖추어져 있으나 실행 단계에서의 정책통합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기후변화정책에서 완화는 상향식 접근, 적응은 하향식 접근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이슈의 특성과도 반대된다. 완화는 국가 목표 지자체 목표의 위계적인 통합이 중요한 반면 적응은 국가-지자체 수평적 파트너십을 통한 목표 통합이 효과적이므로 정책통합의 관점에서 완화, 적응 이슈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단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완화와 적응의 통합적 접근도 중요한 이슈이다.

      • KCI등재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김창곤,Kim, Chang Go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7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0 No.1

        종합적인 보건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완화의료정책의 개발과 강화가 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암정복 10개년 계획과 국가암관리종합계획의 기틀 하에 암정책의 일환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이 시행되어왔고, 2003년 암관리법(Cancer Control Act)을 제정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최근 호스피스 완화 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의 대상은 최근 관련법의 제정에 따라, 말기암환자에서 암(Cancer),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만성 폐쇄성 호흡기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만성간경화(Chronic Liver Disease/Live Cirrhosis) 등으로 확대되었고, 급여체계는 2015년에 모든 의료기관에 일당 정액수가와 행위별 수가의 복합지불방식으로 완화의료 건강보험제도가 시행되었다. 전달체계관련 건강보험제도는 입원형과 자문형, 그리고 가정형으로 구분되고, 완화의료전문기관의 지정 평가 지원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재원체계는 건강보험기금과 국가지원금으로 조달되고 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관련법의 시행에 앞서, 정책대상의 사회적 합의가 요구되며, 낮은 급여체계의 현실화, 민관협력을 통한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설정과 전문요원양성, 질 관리 및 평가체계정립, 그리고 장기요양보험과 호스피스기금 등을 활용한 안정적인 재정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Globally,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and strengthen a palliative care policy to support a comprehensive healthcare system. Korea has implemented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PC) policy as part of a cancer policy under the 10 year plan to conquer cancer and a comprehensive measure for national cancer management. A legal ground for the HPC policy was laid by the Cancer Control Act passed in 2003. Currently in the process is legislation of a law on the decision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HPC and terminally-ill patients. The relevant law has expanded the policy-affected disease group from terminal cancer to cance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chronic liver disease/liver cirrhosis. Since 2015,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cheme reimburses for HPC with a combination of the daily fixed sum and the fee for service systems. By the provision type, the HPC is classified into hospitalization, consultation, and home-based treatment. Also in place is the system that designates, evaluates and supports facilities specializing in HPC, and such facilities are funded by the NHI fund and government subsidy. Also needed along with the legal system are consensus reached by people affected by the policy and more realistic fee levels for HPC.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s should also cooperate to set HPC standards, train professional caregivers, control quality and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A stable fund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by utilizing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und and hospice care fund.

      • KCI등재후보

        미국의 양적완화가 한·미 무역관계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목을 중심으로

        박수명 경인행정학회 2014 한국정책연구 Vol.14 No.3

        최근 선진국들은 자국의 경기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직접적인 통화팽창 정책을 취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최근의 양적완화 정책이다. 이러한 양적완화 정책은 자국의 부진한 경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취한 정책이지만, 신흥국들을 비롯한 다수의 개발도상국들은 양적완화정책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우리나라 수출경쟁력에 어떠한 파급효과를 가질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우리나라 물류산업 경쟁력(국제운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도구로서 RCA, CAC, TSI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대상으로는 우리나라 주요교역 상대국 10개국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국, 우리나라 모두 미국의 양적완화에 따른 수출경쟁력은 그다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양적완화정책이 실시된 이후, WON/USD가 등락폭은 있지만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며, 일부 수출품목에서는 미국 시장 내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제3차 양적완화정책은 미국이 직접적으로 환율개입을 시사한 정책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수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기후변화와 지속가능발전 사회의 정책 과제

        이해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2 신안보연구 Vol.- No.175

        This research paper explores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policy options. Currently, the world experiences a continuous rise in temperature and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abnormal weather conditions increase due to climate change, thus aggravating the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Historically, the world has focused on mitigation policies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to deal with the adverse effects of climate change while exploring new opportunities and developing adaptation policies to enhance the ability of each country to respond to extreme weather conditions. Mitigation policies should include long-term and reasonable targets and vision for greenhouse gases reduction to promote a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and should ultimately incorporate sustainable policy measures to build a carbon-free world. Meanwhile, adaptation policies should have a long-term master plan upon which other specific adaption policy measures can be based. In particular, adaptation policy measures are urgently required for the agriculture, forestry, fisheries,marine/coastal/river manage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limate change diseases and other health-related issues. Mitigation policy and adaptation policy are both mutually-complementary and substitutable. Therefore, the cost-effectiveness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on each policy measure and more effective policy measures should be incorporated in the finest policy mix or package in order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more effectively and to promote a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이 글은 기후변화 대응으로서의 완화정책과 적응정책의 분석하고 기후변화시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한 것이다. 세계는 기후변화로 인해 지속적인 기온 상승은 물론 기상이변의 강도와 빈도가 더욱 강해져 미래의 불확실성을 더욱증대시키고 있다. 역사적으로 세계는 기후변화 원인물질인 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완화정책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기후변화 완화정책은 주로 대체에너지원의 개발, 에너지효율화 추진, 경제적 수단으로서의 배출권거래제도,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등을 추진하여 왔다. 선행적으로 유럽 선진국은 탈탄소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적 추세에 따라 저탄소녹색경제를 지향하기 위한 다양한 완화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세계는 기후변화의 악영향에 대응하는 한편 영향의 기회를 포착하고 국가의 적응능력을 제고하고자 완화정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유럽 선진국은 이미 완화정책의목표와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완화정책은 아직 초보적이며 단편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후변화 완화정책과 적응정책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완화정책에는 먼저 지속가능한 발전 사회를 위한 장기적이고 합리적인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비전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법ㆍ제도를 정비하고 기후변화 관련 예측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탈탄소화를 통한 지속가능 발전의 정책대안들을 적극 개발하고 실행해야 한다. 아울러 적응정책의 장기적인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 계획에 따라 각 분야의 적응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농림수산, 해양, 연안, 하천의 관리, 기후변화 관련 질병예방 및 건강분야의 적응대책이 시급한 편이다. 완화정책과 적응정책은 상호보완성과 대체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기후변화에 효과적을 대응하고 지속가능발전사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각 정책수단의 비용-효과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정책수단들의 Policy Mix가 요구된다.

      • KCI등재

        김영삼 정부 시기 조선산업의 규제완화 정책과 담론정치

        조한나(Cho Hanna)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4

        본 논문의 목적은 김영삼 정부 시기 한국의 조선산업정책을 둘러싼 정책 엘리트 간의 아이디어 경쟁을 살펴보고, 1993년 조선산업합리화조치 해제를 계기로 김영삼 정부의 조선산업정책이 규제완화방침으로 변화하게 된 원인에 대해 담론제도주의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1989년 조선산업합리화조치는 조선시설의 과잉설비에 따른 국내업체간 과다수주 경쟁을 막기 위해 1993년 말까지 생산설비를 늘리지 못하게 하는 규제조치였다. 그러나 1993년 조선산업 합리화조치의 해제를 앞두고 이 해제가 세계조선업계의 과잉공급과 국내 조선업계의 불황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해제를 연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국내외에서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 답하고자 하는 질문은 두 가지이다. 첫째, 1993년 대내외 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김영삼 정부에서 조선산업 합리화조치 해제로 가게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합리화조치 해제 이후 통상마찰과 같은 외부 압력이 더욱 거세지고 정부 내부 관료들 간의 이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높은 강도의 규제완화 조치를 취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논문은 김영삼 정부 시기 이러한 산업정책의 변화를 두고 시장주의적 정책 엘리트들과 관치주의적 정책 엘리트들 간에 담론경쟁이 있었음을 주목한다. 이 연구는 정책 행위자들 간의 ‘정당한 권위’를 확보하기 위한 지속적인 아이디어 경쟁이 정책 변화를 추동하는 주요 요인이며 특히 아이디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최고정책결정자의 정치적 이해와 얼마나 부합하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요인임을 보인다. 김영삼 정부 시기 이러한 담론 경쟁은 전반적인 산업정책을 “민간주도의 경쟁촉진” 기조로 전환시키면서 조선산업정책의 규제완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산업정책방침의 변화는 한국 조선산업정책에도 영향을 미쳐 1990년대 한국 조선업체들의 과잉설비증설과 과당경쟁에 영향을 미쳤다. 1993년 조선산업 합리화조치의 해제와 1990년대 조선산업정책에서의 규제완화정책은 이러한 담론경쟁의 분석틀에서 이해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tention of ideas amongst policy elites with regard to the shipbuilding industry during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e lifting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Rationalization Measure’ in 1993 marks the beginning of a policy shift by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on its stance towards the shipbuilding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The Shipbuilding Industry Rationalization Measure (1989~1993) had been enacted in 1989 in order to regulate over-competition between Korean shipbuilding firms and their eager expansion of production facilities. However, months leading up to the lifting of the rationalization measure in 1993, worries about a foreseeable over-production occurring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throughout the world and how the consequence of this occurrence could present itself as a major obstacle for local shipbuilders were raised both at home and abroad, which led many to ponder on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rationalization measure by a few more years. In this context, two main questions are raised : First of all, why did the government decide to lift the Shipbuilding Industry Rationalization Measure in 1993 despite all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that mounted against them? Next, why did the government continue to take strong deregulation measures toward the shipbuilding industry despite the increase in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This paper observes how there existed a contention of ideas on the matter of industrial policy between neoliberal bureaucrats on the one hand, and government-controlled bureaucrats on the other and how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South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1990s has radically changed as a result. In specific, discursive contention between bureaucrats and their grab for ‘legitimate authority’ came to shape the policy-making process, while it can also be concluded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certain discourses could appeal to the political interests of President Kim Young-sam determined whether they were given the final say in shaping the policy. These discursive contentions within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influenced the shipbuilding industry by directing the general industrial policy towards the promotion of competition in the private sector and deregulation thereof. This change of industrial policy in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that had consistently relied heavily on government regulation led to the excessive production of shipbuilding facilities and over-competition between Korean shipbuilding firms in the 1990s. In all of this, discursive institutionalism can be applied as a useful framework of analysis to make sense of the decision to lift the Shipbuilding Industry Rationalization Measure in 1993 and the deregulation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throughout the 1990s.

      • KCI등재

        김영삼 정부 시기 조선산업의 규제완화 정책과 담론정치

        조한나(Cho Hanna)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본 논문의 목적은 김영삼 정부 시기 한국의 조선산업정책을 둘러싼 정책 엘리트 간의 아이디어 경쟁을 살펴보고, 1993년 조선산업합리화조치 해제를 계기로 김영삼 정부의 조선산업정책이 규제완화방침으로 변화하게 된 원인에 대해 담론제도주의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1989년 조선산업합리화조치는 조선시설의 과잉설비에 따른 국내업체간 과다수주경쟁을 막기 위해 1993년 말까지 생산설비를 늘리지 못하게 하는 규제조치였다. 그러나 1993년 조선산업 합리화조치의 해제를 앞두고 이 해제가 세계조선업계의 과잉공급과 국내 조선업계의 불황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해제를 연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국내외에서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 답하고자 하는 질문은 두 가지이다. 첫째, 1993년 대내외적 압력에도 불구하고 김영삼 정부에서 조선산업 합리화조치 해제로 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합리화조치 해제 이후 통상마찰과 같은 외부 압력이 더욱 거세지고 정부내부 관료들 간의 이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높은 강도의 규제완화 조치를 취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논문은 김영삼 정부 시기 이러한 산업정책의 변화를 두고 시장주의적 정책 엘리트들과 관치주의적 정책 엘리트들 간에 담론경쟁이 있었음을 주목한다. 이 연구는 정책 행위자들 간의 ‘정당한 권위’를 확보하기 위한 지속적인 아이디어 경쟁이 정책 변화를 추 동하는 주요 요인이며 특히 아이디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최고정책결정자의 정치적 이해와 얼마나 부합하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요인임을 보인다. 김영삼 정부 시기 이러한 담론 경쟁은 전반적인 산업정책을 “민간주도의 경쟁촉진” 기조로 전환시키면서 조선산업정책의 규제완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산업정책방침의 변화는 한국 조선산업정책에도 영향을 미쳐 1990년대 한국 조선업체들의 과잉설비증설과 과당경쟁에 영향을 미쳤다. 1993년 조선산업 합리화조치의 해제와 1990년대조선산업정책에서의 규제완화정책은 이러한 담론경쟁의 분석틀에서 이해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tention of ideas amongst policy elites with regard to the shipbuilding industry during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e lifting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Rationalization Measure’ in 1993 marks the beginning of a policy shift by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on its stance towards the shipbuilding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The Shipbuilding Industry Rationalization Measure (1989~1993) had been enacted in 1989 in order to regulate over-competition between Korean shipbuilding firms and their eager expansion of production facilities. However, months leading up to the lifting of the rationalization measure in 1993, worries about a foreseeable over-production occurring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throughout the world and how the consequence of this occurrence could present itself as a major obstacle for local shipbuilders were raised both at home and abroad, which led many to ponder on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rationalization measure by a few more years. In this context, two main questions are raised : First of all, why did the government decide to lift the Shipbuilding Industry Rationalization Measure in 1993 despite all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s that mounted against them? Next, why did the government continue to take strong deregulation measures toward the shipbuilding industry despite the increase in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This paper observes how there existed a contention of ideas on the matter of industrial policy between neoliberal bureaucrats on the one hand, and governmentcontrolled bureaucrats on the other and how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South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in the 1990s has radically changed as a result. In specific, discursive contention between bureaucrats and their grab for ‘legitimate authority’ came to shape the policy-making process, while it can also be concluded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certain discourses could appeal to the political interests of President Kim Young-sam determined whether they were given the final say in shaping the policy. These discursive contentions within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influenced the shipbuilding industry by directing the general industrial policy towards the promotion of competition in the private sector and deregulation thereof. This change of industrial policy in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that had consistently relied heavily on government regulation led to the excessive production of shipbuilding facilities and over-competition between Korean shipbuilding firms in the 1990s. In all of this, discursive institutionalism can be applied as a useful framework of analysis to make sense of the decision to lift the Shipbuilding Industry Rationalization Measure in 1993 and the deregulation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throughout the 1990s.

      • 최근 양적완화 정책의 역사적 고찰 -대공황기 주요국 평가절하 사례와의 비교-

        이명활 한국국제금융학회 2013 국제금융연구 Vol.3 No.2

        The major advanced economies’ adoption of quantitative easing in the aftermath of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s akin to the competitive currency devaluation that took place in the 1930s after the Great Depression, which had raised tension and conflict among major economies. The currency devaluation was done to abolish the gold standard to open up more room for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In comparison, the recent monetary easing is part of unconventional monetary policy tools in face of limited room for conventional monetary policy amid zero interest rate environment. In the Great Depression era, countries whose currency value were overvalued when re-introducing the gold standard after the first World War, were the first ones that undertook currency devaluation, and their economies recovered faster than others. The US government lowered its currency value against gold, effectively conducting reflationary monetary policy around the world. The recent monetary easing in advanced countries is based on these past experiences. However, while the entire global economy fell into a deflation before, the present condition is different as only advanced economies are faced with concerns over deflation. Quantitative easing in advanced countries puts inflationary pressure on emerging markets, and raises tension over exchange rates. In the aftermath of the Great Depression, it might have been the best move to abolish gold standard and implement an orderly currency devaluation, but such option was unavailable due to the lack of cross-border policy coordination. Drawing lessons from the past experience, it will be critical to strengthen global policy coordination to mitigate tension between advanced economies and emerging markets.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양적완화 정책은 흥미롭게도 1930년대 대공황기 당시 상당수 국가들이 불황 탈피를 위해 경쟁적 평가절하를 단행하면서 주요국 간에 갈등과 혼란이 고조되었던 사례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대공황기의 평가절하 정책은 통화정책 상의 제약요인이었던 금본위제를 폐지하고 리플레이션 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단행되었다. 반면, 최근 양적완화 정책은 제로금리 하에서 전통적 통화정책 수단에 제약이 발생하자 비전통적 통화정책 수단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다. 한편, 대공황기에는 1920년대 금본위제 복귀시 통화가 과대평가되어 어려움을 겪었던 국가들부터 먼저 평가절하를 단행하였는데, 이로 인해 이들 국가의 경제가 가장 먼저 회복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미국은 달러화를 금에 대해 평가절하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리플레이션 정책을 실행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왔는데, 최근 주요국의 양적완화 정책은 이와 같은 대공황기의 교훈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가 동시에 디플레이션에 빠졌던 대공황기와는 달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상황은 선진국에서만 디플레이션 우려가 비대칭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로 인해 선진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신흥국에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고 환율갈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한편, 국제적 합의 하에 금본위제를 폐지하고 질서 있는 평가절하를 단행하는 것이 대공황기 당시 최선의 선택이었으나 국제적 협력체제가 미약했던 당시 상황 하에서 이는 선택 불가능한 정책대안이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최근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갈등이 고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바, 대공황기의 경험을 교훈 삼아 향후 글로벌 정책공조를 확고히 하기 위한 노력이 강화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후보

        1960년대 긴장완화 형성과 전개 : 동방정책을 사례로

        이종국 한독사회과학회 2005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5 No.2

        전후 냉전질서는 1960년대에 접어들어 새로운 변화의 국면에 접어들었다. 분단국가 서독은 냉전기의 ‘서방정책’을 기본으로 냉전 ‘규범’의 범위를 점차 변화시켜 긴장완화라는 새로운 변화요인을 통하여 ‘정상화와 화해’의 방향으로 정책을 전개하였다. 아데나우워 정권의 권력정치의 유산을 교훈으로, 빌리 브란트는 분단국의 목표인 분단 극복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긴장완화 정책을 전개하였다. 그는 ‘접근과 변화’라는 신동방정책의 정책의 이념을 바탕으로 소련과 동유럽 여러 국가와 적극적인 신뢰구축을 행하면서, 유럽의 평화질서를 구축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독 긴장완화의 충분조건과 필요조건은 냉전시스템의 안정요인을 침식시켜나갔다. This Articles explain the building and development of detente , which continue to be debated to 60~70’s of the Europe in the International Politics. Amidst the Cold war, West Germany had no alternative to security through Western. At the same time Division of Germany became a prerequisite for the Western’s guarantee. Detente as an analytical concept used detente as policy and process, which two level of analysis: international and the domestic system. This approach addresses the difficult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detente in 60~70’s The heart of Ostpolitik which was systematic combination of policy towards soviet, East Germany was the settling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German states. Willy Brandt had declared the slogan change through rapprochement which developed by Egon Bahr in the 60’s. His policy was an attempt to pass from a regulated coexistence to mutual cooperation. In the result, The Sufficient conditions and necessary conditions of West Germany Detente policy was eroded the factor of stability the cold war system.

      • KCI등재

        수도권 규제완화정책에 대한 정책 네트워크 모형 적용 연구

        유병권 ( Byeong Kwon You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6 No.1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changes in policy network and policy output by using Seoul Metropolitan Area policy, one of the key policies in territorial space management of Korea, as policy network.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a year form around October, 2008, when the deregulation polic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announced by the Lee Myung Bak Administration, through documentary survey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It found out that, before a policy was announced, policy-making was led by the closed policy network within the government. In this process, 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al Competitiveness, which was supported and authorized by President Lee Myung Bak and entrepreneurs, showed leadership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cision-making, At that time, the key issue in policy output was to amend the Presidential Decree that prescribes significant deregulation to the extent that the government is allowed to do without facing resistance form the National Assembly. After the policy was announced, approving and opposition groups to the policy debate within the government, but they formed an issue network to respond to the government policy. Especially, the opposition group raised strong resistance through a strategic alliance between political factions, which made the government draw up a more comprehensiv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t prevented radical deregulation and bought about a more consolidated opposition group. Also,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ho were included in the issue network, helped submit legislation for policy changes. This study can be differentiated form other precedent researches by analyzing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form the policy network perspective with more open and dynamic views. However, in the case of the closed policy community,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bureaucratic or cooperative analys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토공간 관리정책에 있어서 핵심 중의 하나인 수도권정책을 정책네트워크모형을 적용하여 정책네트워크의 유행 및 정책산출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이명박 정부 들어 수도권 규제완화정책이 발표된 시점인 2008년 10월을 전후하여 1년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헌조사, 참여관찰 등에 의존했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사실은 정책발표 전에는 폐쇄된 정책공동체가 주도하여 정부 내에서 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는 대통령 자문위원회고서 대통령과 기업가들의 지지를 업고 권위를 인정받을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의 리더십과 의사결정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시기에 있어서 정책 산출은 국회의 개입 없이 정부 내에서 취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대폭적인 규제완화 애용을 담은 대통령을 개정하는 것이 핵심이었다. 정책발표 후에는 정부 내에서 의 논의를 벗어나 발표된 정책에 대해찬성집단과 반대집단이 이슈네트워크 형태로 정부정책에 대해 대응하였다. 특히 반대집단은 합종연횡을 통해 정부정책에 강하게 반대함으로써 정부로부터 보다 포괄적인 지역발전대책을 이끌어냈고, 더 이상의 근본적인 규제완화를 저지했으며, 반대연합을 결속시키는 효과를 얻어냈다. 또한 국회의원들도 이슈네트워크에 포함됨으로써 의원입법을 국회에 제출하는 형태로 정책병동을 모색했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개방적이고 동태적인 측면에서 정책결정과정을 정책네트워크 모형을 통해 설명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발견하고자 했다. 그러나 폐쇄된 정책공동체의 경우 기존의 관료제 내지 조합주의적 분석모형과 정책네트워크 모형의 큰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운 점도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