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영웅소설(反英雄小說)의 서사적 특성 연구

        김유진 ( Kim¸ Yujin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49 No.-

        영웅소설 유형은 영웅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고에서는 영웅의 일대기라는 구성의 문제에서 나아가 영웅이라는 인물 유형이 지닌 변별적 자질을 통해 영웅소설의 세부 분류를 시도하였다. 〈최고운전〉, 〈전우치전〉, 〈홍길동전〉처럼 영웅소설 가운데 예외적 특징을 보이는 작품들의 주인공을 반영웅(反英雄, Anti-Hero)의 인물유형으로 분류하고 이들 작품의 서사가 보여주는 특성을 추출해보았다. 그 결과 반영웅소설 유형을 새롭게 제안할 수 있었다. 반영웅소설의 서사는 자식 살해라는 가부장제의 극단적 폭력성을 보여주는 한편, 국가 지배 권력의 무능력을 고발하는 것이었다. 나아가 반영웅소설의 서사는 국가 간 관계에 있어서 대국(大國)과 소국(小國)의 불평등한 관계의 문제를 비판하는 한편 대등한 국가 간 관계에 대한 고민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반영웅 인물 유형과 반영웅소설은 새로운 작품 유형으로 제안될 수 있다. So far, the type of heroic novel has been described about the hero's biographical story. This paper tried to classify heroic novels in detail through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heroic character type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the composition of the hero's biographical narratives. The protagonist of the heroic novels such as Choe-go-un-jeon, Jeon-u-cu-jeon, and Hong-gil-dong-jeon were classified as the type of characters of Anti-Hero and these pre-modem novels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s of Anti-Heroic novels.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suggest to call this type of novels as Anti-Hervic novels. The main character of the Anti-Hero novels and these narratives were to show the extreme violence of the patriarchal system of killing children, while accusing the incompetence of national governance. Furthermore, the narrative of the Anti-Heroic novel criticized th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great and small nation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while also showing concerns about equal relations between the nations. These Anti-Heroic characters and Anti-Heroic novels can be categorized into a group of pre-modern novels.

      • KCI등재

        영웅소설에 형상화한 공간 스토리텔링의 양상과 의미

        안기수(Ahn, Gee-Soo)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이 연구는 조선조 영웅소설의 창작기법으로 형상화한 공간 스토리텔링의 양상과 의미를 세 가지로 살펴보았다. 조선조 영웅소설 작품에 형상화한 공간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지만 본고에서는 담론의 이념공간, 영웅활동의 지리공간, 그리고 낭만적인 환상공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먼저 담론의 이념공간을 들 수 있다. 영웅소설의 작가, 독자, 향유자의 취향을 종합해 보면 크게 충, 효, 선, 악의 이념과 가문, 애정, 출세 등의 세속적 욕망의 결합체로 이루어졌다. 이에 영웅소설의 주요 담론도 당시대의 윤리관과 밀접한 현세적인 유교이념 공간을 표출하고 있다. 따라서 영웅소설에서 인물의 공식은 보편성을 지녀야 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유가적 인물의 기본형인 도덕적인 선과 악으로 양극화된다. 이처럼 선한 인물과 악한 인물의 뚜렷한 양극화는 도덕적인 보상과 연결되어 있고, 소설 향유자는 자신과 동일시를 통해서 대리만족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독자는 선이 결말에서 반드시 악을 이기고 승리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낙관을 갖게 된다. 영웅소설의 담론공간도 이러한 인물을 서사세계에 올려놓고 도덕 지향적 욕망을 맛보는 서사의 이념 공간을 구조화하였다. 둘째, 영웅활동의 지리공간을 들 수 있다. 충효의 담론은 영웅소설 주인공이 활동하는 작품내적인 서사 활동공간으로 가정, 산속, 전쟁터로 스토리텔링할 수밖에 없음으로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현실 공간창조가 필요했다. 작가는 자연공간으로서 가정, 산, 강, 바다, 섬 등의 공간이동을 통하여 이러한 모티프를 수용하면서 주인공의 삶이 상승적으로 전개되면서 입공에 합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소설내적인 통시적 서사 공간이 영웅소설의 모티프로 반드시 필요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낭만적인 환상공간을 들 수 있다. 환상공간은 인간이 경험할 수 없는 그러나 개념적으로는 설명할 수 있는 환상세계의 공간을 의미한다. 인간은 유한자로서 신이 아니기 때문에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신앙을 갖게 되는 것이고, 환상을 꿈꾸는 존재이다. 일반적으로 영웅소설에서 환상공간은 천상계, 선계, 지하계, 수중계 등이 지상계와 관련하여 일어나는 신비한 비현실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즉 자유로운 상상력과 현실을 벗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환상공간은 가장 현실적이지 않는 세계를 표현하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절실한 현실이 드러나는 이중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영웅소설은 영웅탄생의 당위성을 부여한 천상계와 구원의 장소라 할 수 있는 선계, 수중세계, 지하세계 등을 스토리텔링하고 있다. 이러한 환상공간은 주인공의 입공하는 노정과 직접 관련되어 있으며, 그곳에 가기 위해 각 인물들이 찾는 특별한 장소가 상승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환상공간은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절대자의 은신처이자, 피난자의 안전한 도피처가 되며, 영험한 장소를 말한다. 즉 영웅소설의 환상공간은 신화적 질서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주인공의 생애에 걸쳐 영향력을 미치는 질서의 공간이고, 죽음 이후에 돌아가는 귀환의 공간이기도 하다. 순환적으로 스토리텔링된 환상공간은 영웅소설에서 가장 낭만적인 공간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three meanings of spatial structure and storytelling, which were accepted in the creative technique of Joseon Dynasty hero novels. The space set up in the Joseon Dynasty"s hero novels can be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However, in this paper, we divided it into conceptual discourse space, geographical space where the hero worked, and fantasy space. First, we can raise the space of ideology through discourse. Combining the tastes of writers, readers, and perfumers of hero novels, it is largely a combination of the ideas and families of loyalty, filial piety, good, evil, affection, and desire for success. Thus, the main discourse of hero novels is expressed in the worldview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ethics of the time. Therefore, the basic form of a typical character is polarized into good and evil because the formula of a character in a hero novel must have universality. The distinct polarization of good and evil characters is linked to moral rewards, and novel lovers feel vicarious satisfaction through the same identification with themselves, having realistic optimism because they know that good must win over evil in the end. The space for discourse on hero novels is also structured as an ideological space of a narrative in which such characters are placed on the storyboard and taste moral-oriented desires. Second, you can pick up the space of entry and exit where the hero is active. Chunghyo"s discourse is a space where the hero"s heroic activities are carried out, and it took a bigger war to realize it. Through the artificial space of the house, temple, war, and moving of mountains, rivers, seas, and islands, the author needed to accommodate these motifs and to give rationality to the entrance of the hero"s heroic activities. Third, we can raise the fantasy space through a circular structure. Fantasy spaces mean spaces that humans cannot experience, but that can be explained conceptually. Because man is not God but a finite man, he has faith to overcome weakness, and he dreams of fantasy. The fantasy space in hero novels is generally a mysterious, unreal space where celestial systems, ships, underground systems, and underwater systems occur in relation to the terrestrial system. In other words, having free imagination and out-of-reality characteristics, the fantasy space expresses the least realistic world. Still, it ironically has a dual property that reveals the most desperate reality. In the heroic novel, the story is told of the celestial world that caused the hero birth, the world of vision, the underwater world, and the underground world, which is the place of salvation. These fantasy space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main character"s journey, and the special places that each character visits to get there are interconnected. These fantasy spaces are the hideouts of the absolute, the haven of refugees, and the places of spirituality. In other words, the fantasy space of hero novels is the space in which mythical order influences the main character throughout his life.

      • '토지'의 여성영웅소설적 면모 고찰

        최은영 한국지역문학회 2020 한국지역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박경리의 '토지'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영웅성’을 조선 후기 창작된 여성영웅소설과 비교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특히 '토지'의 등장인물 중 ‘서희’를 중심에 두고 고소설과의 서사의 유사성을 통해 '토지'가 현대적 ‘여성영웅소설’이라는 장르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토지'와 '홍계월전'에는 ‘출생-위기-위기 극복-귀환’이라는 영웅소설의 서사 유형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토지'와 고소설의 여성영웅소설은 무남독녀로 태어나 가문의 위기를 극복한다는 점과 강혼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도 모티브에서도 유사성을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토지'는 현대적 의미의 ‘여성영웅소설’이라고 장르를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제약을 극복하는 방식에서 전쟁이나 독립운동과 같은 남성적 영역에서 남성으로 위장을 통해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기질이나 성품을 통해 상인으로 성공한다는 점에서 고소설의 여성영웅과 차이를 지닌다. 또한 사회적 성공을 통해 가부장적인 역할을 모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여성으로 혈통을 이어 가문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여성적 가치를 이어나간다는 점에서 고소설의 여성영웅에서 한 단계 나아가는 현대적 의미의 여성영웅으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heroin novel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of 󰡔To-Ji(The Earth)󰡕 written by Park Kyoungri by comparing with a heroin novel created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To-Ji󰡕 describes a vast amount of historical backdrops from 1897 and 1930. If we, however, see centrally 3 parts narrative of a process of getting back a house that belonged originally to Seo-hee from Jo Jun-gu, then we can figure out a narrative flow of hero novel which goes to 'Birth-crisis-overcome the crisis-Return'. We can also find similarities with heroin novels from a motif of 󰡔To-Ji󰡕 that how to progress its main narrative. These similarities, therefore, can be that a main female character was born as an only daughter who cannot carry on her family line and thus faced to a difficulty(or crisis). After gaining social success, however, she did a mesalliance and gave a birth to a boy. 󰡔To-Ji󰡕, therefore, has characteristics of heroin novels genre with having a narrative pattern and a similar motif. There are, however, differences as well. These differences are that she finally succeeds as a merchant not by disguising as a man who joins to an army and exhibits her skills in the male-centered area such as an Independent Movement or wars but via her spirits and good natures. Succeeding as the merchant through her own effort, nature and skills is different from the old heroin novels. She does not imitate a patriarchal role and carry on her family. These are shown from that she keeps her virtues of female by sustaining her blood. As you can see from these points, this novel has the female character who have a modern sense of the heroin unlike with the ones found in the old heroin novels.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과 소설사적 전변 -단편 영웅소설과의 교섭양상을 중심으로-

        한길연 ( Han¸ Gil Yeon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50 No.-

        본고에서는 초기 형성기와 이후 변모양상에 초점을 맞춰 단편 영웅소설과의 교섭양상을 중심으로 국문장편소설의 소설사적 전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단편 영웅소설, 엄격하게 말하자면 단편 남성영웅소설과의 교섭양상을 살펴보면, 17세기 국문장편소설인 <구운몽>, <창선감의록>, <소현성록> 등에서 기자치성, 신몽 등의 ‘신이한 탄생’과 도술획득화소, 무기획득화소 등의 ‘비범한 능력 획득’ 등의 ‘영웅의 일대기 구조’와 관련한 요소들이 구비되어 후대 단편 영웅소설에 영향을 미쳤음을 검토하였다. 18세기 이후로는 단편 영웅소설과의 길항작용 속에서 국문장편소설은 단편 영웅소설과 차별되는 서사문법을 공고히 하면서도 단편 영웅소설의 영향을 받으며 또 다른 변화를 모색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국문장편소설에서 신이한 탄생 및 비범한 능력 획득과 관련한 화소들이 축소 혹은 소거됨으로써 국문장편소설 내부의 서사문법이 공고해지고 있었다. 이는 상층 중심의 국문장편소설이 하층 중심의 단편 영웅소설과 차별되는 뚜렷한 자기모색의 과정에서 나온 결과일 뿐 아니라, 전란 직후의 불안한 시대인 17세기와 달리 18세기 이후 안정기로 접어들며 이러한 서사장치가 불필요하게 된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한편, 이러한 흐름 속에서도 <창란호연록>, <조씨삼대록> 등에서 보이는 유리 모티프, 환술 모티프는 단편 영웅소설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는 18세기 이후 국문장편소설의 향유층의 저변이 확대되는 한편 서사적 흥미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려는 경향과도 맞물려 있음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단편 여성영웅소설과의 교섭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국문장편소설 속 단위담에 등장하는 여성영웅도 그 분량 및 비중에서 단편 여성영웅과 버금가기에 여성영웅에 포함시켜야 함을 전제한 뒤, 국문장편소설 속 여성영웅을 ‘체제순응형’, ‘체제이탈-순응형’, ‘체제이탈형’으로 분류하였다. 초기 형성기의 교섭양상으로 도술을 통해 남편을 음조하는 <박씨전>의 ‘박씨’ 등이 장편소설의 체제순응형에 영향을 주었으며, 17세기 말~18세기 초에 창작된 <유씨삼대록> 속 ‘설초벽’이라는 여성영웅은 <설저전>과 <이현경전> 사이의 공백을 메워줄 수 있는 여성영웅으로서의 가능성과 단편과 차별되는 장편 여성영웅의 단초를 보여줌을 고찰하였다. 18세기 이후로는 국문장편소설의 여성영웅이 단편 여성영웅소설과의 길항작용 속에서 체제순응형, 체제이탈형, 체제순응-이탈형으로 삼분화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다수의 장편에서 등장하는 체제순응형은 <박씨전>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이현경전> 등과 차별되는 규범적 여성영웅상을 구현함으로써 국문장편소설 속 전형적인 여성영웅으로 자리잡고, <화정선행록>의 충효혜, <임화정연>의 석가월 등의 체제이탈형은 시가를 떠나 자신만의 공간에서 종신한다는 점에서 장편소설 속 여성영웅 중 가장 혁신적인 여성영웅으로 부각되며, <부장양문록>의 장벽계, <하진양문록>의 하옥주 등의 체제이탈-순응형은 단편 여성영웅소설의 영향을 받아 장편에서도 순연한 장편 여성영웅소설의 탄생을 보여주면서도 여성의식에 대한 섬세한 부조를 통해 단편 여성영웅과의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제 논의를 통해 국문장편소설은 단편 영웅소설과의 교섭하에 고유의 서사문법을 구축하는 한편 끊임없이 변화를 모색하면서 17세기 이후 고전소설사의 전변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였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In this thesis, I investigated the influencing relation of inside and outside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change in the history of novel, focusing on the exchange with short hero novels and heroine novels. First of all, looking at the aspects of exchange with short hero novels, I examined that factors related to the hero's life story structure, such as "Mysterious Birth" and "Acquiring extraordinary ability," were established in the 17th century Korean full-length novels such as "Guunmong", "Changseongamuirok", and "Sohyeonseongrok", which affected future short hero novels. After the 18th century, Korean full-length novels sought another change under the influence of hero novels while solidifying their narrative grammar, which is different from hero novels, in the rivalry with short hero novels. As the motifs related to mysterious birth or acquiring extraordinary ability gradually reduced, the internal narrative grammar of the full-length novels was solidified. It was the result of the self-exploration process in which the upper-class Korean full-length novels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lower-class hero novels. Furthermore, unlike the 17th century, which was an unstable period right after the war, it is estimated that the above narrative devices became unnecessary as they entered a period of stabilization after the 18th century. Next, I looked at the pattern of exchange with short female hero novels. First of all, it is assumed that female heroes who appear in unit stories in full-lengnth novels should be included as heroines in terms of their volume and weight. Heroines in Korean novels were categorized as 'type of conformist', 'type of seceders', and 'type of seceders-conformist'. In the early formative exchange patterns, "Parkssijeon" and others influenced the type of conformist of the full-length novels. Created i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the heroine of "Yussisamdaerok" filled the gap between "Seoljeojeon" and "LeeHyeonKyeongJeon", while showing the beginning of a full-length female hero that is differentiated from a short story. Since the 18th century, female heroes of Korean full-length novels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types in competition with short female hero novels. Through these discussions, I could consider that Korean full-length novels played a key role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history of classical novels since the 17th century by establishing their own narrative grammar and constantly seeking changes in exchange with short hero novels and female hero novels.

      • KCI등재

        초기 여성영웅소설로 본 <이현경전>의 성격과 의미

        박양리(Park, Yang-Ri)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4 No.-

        이 글은 초기여성영웅소설로서 <이현경전>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여성영웅소설의 사적 맥락 속에서 이 작품이 지닌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현경전>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군담을 포함한 입 신양명담, 다양한 각도에서의 신분노출담, 혼사갈등으로 인한 남녀이합담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현경전>에서 주인공 현경이 남장을 통해 과거급제 - 출정입공 - 지위극대화의 과정을 이루고 있다. 이 때 군담은 후대의 작품과 달리 하나의 흥미요소로 부각되지 않고 담백하게 그려지고 있다. 후대의 여성영웅소설의 경우 신분노출은 하나의 사건을 통해 단선적으로 제시되지만, <이현경전>에서는 지루할 정도로 복잡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작품 전체에 있어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현경이 왜 여성으로 복귀해야 하는가에 대한 작가의 고민이 드러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여타의 여성영웅소설이 입공서사와 남녀이합서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비해 <이현경전>에서는 남녀이합이 작품 후반에 처음 등장하며, 혼사갈등을 중심으로 한 부부대립담으로 치환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현경의 영웅성은 온전하게 부각되는데 반해 남자주인공인 장연은 졸렬하게 그려지고 있다. <이현경전>의 여성영웅소설사적 의미는 몇 가지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여성영웅소설에 있어서 핵심요소인 입신양명구조가 <이현경전>에서 본격적으로 완성되었다. <이현경전>은 ‘권신에 의한 겁탈 문제’가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 시대의 작품인 <설저전>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설저전>에서 나타나지 않던 군담을 포함한 완벽한 형태의 입신양명구조가 <이현경전>에 이르러 비로소 나타나게 된 것이다. 둘째, 초기 여성영웅소설에서 오히려 진전된 여성의식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이현경전>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아무런 고민 없이 여성의 삶으로 복귀한 <설저전>의 주인공에 비해 <이현경전>의 주인공은 자신의 영웅성을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이는 곧 여성 자의식에 대한 진지한 탐구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셋째, ‘남녀불균형의 미학’을 온전히 그려내고 있는 소설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현경전>의 남주인공 장연은 모든 면에서 현경에 비해 모자라고 용렬한 성품이다. 심지어 남녀 주인공 사이의 직접적인 대결에서도 현경은 우위에 자리한다. 이는 초기여성영웅소설이 오히려 후대의 작품에 비해 남녀불균형의 미학을 충실히 따르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cret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eHyeonGyeongJeon>, an early heroine novel, and the significance of a heroine novel in the context of history. <LeeHyeonGyeongJe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consisting of the story for establishing oneself in life containing military story, the story for disclosing one's identity from diverse aspects, and the story for meeting and parting between men and women due to marital conflict, which are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LeeHyeonGyeongJeon> comprises the main character, HyeonGyeong's process of disguising herself as a man,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going to war and distinguishing herself at a battle, and maximizing her social status. Unlike the works of the later generations, the military story part is not magnified as an interesting factor but is treated lightly. In case of the heroine novels of the later generations, disclosing one's identity is presented in a unilinear mode through an event. However, in case of <LeeHyeonGyeongJeon>, it is complicated enough to be boring and forms a significant part in the whole work. This part reveals how great pains the author took about the reason for HyeonGyeong to return to a woman. While other heroine novels, meanwhile, closely connect the description of making a contribution and the description of meeting and parting between men and women, <LeeHyeonGyeongJeon>describes the meeting and parting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substituting the story of fight between husband and wife focusing on marital conflict. Though the heroine nature of HyeonGyeong is clearly expressed through such a process, the male main character, JangYeon is described as a childish and shameful pers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LeeHyeonGyeongJeon> as a heroine novel can be found in several aspects. First, the structure of establishing oneself in life, which is a core factor in a heroine novel, was completed earnestly in <LeeHyeonGyeongJeon>. <LeeHyeonGyeongJeon>can be said to be influenced by <SeolJeoJeon>, the work of the previous times, in that the issue of committing a rape on a woman by a powerful courtier. The perfect structure of establishing oneself in life containing military story, which <SeolJeoJeon> did not have, had not shown up until <LeeHyeonGyeongJeon>was written. Second, advanced female consciousness was discovered in the early heroine novel like <LeeHyeonGyeongJeon>. Compared to the main character of <SeolJeoJeon>, who returned to the life of woman without hesitation, the main character of <LeeHyeonGyeongJeon> would not easily give up her heroine nature. This means that an earnest study was conducted on the women's sense of identity. Third, the work is noteworthy in that it is an early novel which fully describes 'the aesthetics of the im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Jang-Yeon, who is a male main character of <LeeHyeonGyeongJeon>, is dull and inferior to Hyeon-Gyeong in all respects. Even in a face-to-fac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characters, Hyeon-Gyeong defeats him. This suggests that the early heroine novel follow the aesthetics of the im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more faithfully than the works of the later generations do.

      • KCI등재

        딥러닝을 활용한 경판 방각본 소설의 유형 고찰 -영웅소설과 애정소설 유형을 중심으로-

        강우규 ( Kang Woo-kyu ),김바로 ( Kim Ba-ro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본 연구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경판 방각본 소설 중 영웅소설과 애정소설로 파악되는 작품들의 유형성을 분석하였다. <조웅전>, <소대성전>, <임장군전>의 영웅소설과 <숙향전>, <숙영낭자전>의 애정소설을 토대로 영웅소설과 애정소설을 분류하는 딥러닝 유형 학습 모델을 구축했다. 이를 토대로, 영웅소설로 분류되는 <금방울전>, <장백전>, <장풍운전>, <정수정전>, <현수문전>, <황운전> 6작품과 애정소설로 분류되는 <백학선전>, <쌍주기연>, <양산백전>, <옥주호연> 4작품의 유형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애정소설과 영웅소설 사이에서 이견이 존재했던 <백학선전>, <쌍주기연>, <양산백전> 등은 애정소설로 파악되었고, 영웅소설로 분류되던 <금방울전>, <장백전>, <장풍운전>, <현수문전> 등도 애정소설로 파악되었다. 영웅소설로 분류되던 <정수정전>, <황운전> 그리고 애정소설로 분류되던 <옥주호연>만이 영웅소설로 파악되었는데, 이 작품들은 모두 여성영웅소설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체적으로 <조웅전>, <소대성전> 등의 일반적인 영웅소설과 <정수정전>, <황운전> 등 여성영웅소설이 유형성을 공유하고 있고, <장백전>, <현수문전> 등 왕조교체형이라고 불리는 영웅소설이 이들과는 상이한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ology of works identified as hero novels and romantic nove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First, we built a deep learning type learning model based on hero novels such as Jowoongjeon, Sodaesungjeon, and Imjanggunjeon, and romantic novels such as Sukhyangjeon and Sookyoungnangjajeon. Through this, we verified six works of hero novels(Geumbanguljeon, Jangbaekjeon, Jangpungunjeon, Jungsujeongjeon, Hyunsumunjeon, and Hwangunjeon) and four works of romantic novels(Baekhaksunjeun, Ssangjugiyeon, YangsanBaekjeon, and Okjuhoyeon). As a result, Baekhaksunjeun, Ssangjugiyeon, and YangsanBaekjeon, which had a difference opinion between romantic novels and hero novels, were identified as romantic novels. Geumbanguljeon, Jangbaekjeon, Jangpungunjeon, and Hyunsumunjeon were also identified as romantic novels. Only Jungsujeongjeon, Hwangunjeon and Okjuhoyeon were classified as hero novels, all of which were female hero novels. In other words, the general hero novel and female hero novels such as Jungsujeongjeon, Hwangunjeon share the stylistic tangibility. Novels, such as Jangbaekjeon and Hyunsumunjeon, which feature heroes who cause the downfall of a dynasty, have different stylistic features.

      • KCI등재

        〈애정 모티프〉를 활용한 영웅소설의 치유 스토리텔링과 의미

        안기수(Ahn, Gee-So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5

        이 연구는 조선조 영웅소설에서 애정 모티프를 수용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애정 치유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특히 애정을 치유하기 위한 스토리텔링에서는 남녀주인공이 겪는 첨예한 애정갈등에 따른 고난의 양상과 성격이 다양하게 형상화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스스로 자유의사에 의한 결혼과 부모에 의한 결혼의 갈등, 그리고 신분이 높은 사람과의 강제적인 혼인과의 갈등을 해결해 가는데 영웅소설 창작에 어떻게 치유 스토리텔링이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애정 모티프는 애정소설이 가지고 있는 주요한 서사장치의 소재로서 인간의 가장 본질절인 욕구이자 흥미소이다. 그런데 이러한 애정 모티프가 애정소설에만 국한해서 수용된 것은 아니다. 영웅과 사랑이야기는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인 이야기이며 조선시대 영웅소설의 서사체계에도 애정갈등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영웅소설을 외형적인 서사구조로만 보면 탁월한 영웅능력을 가진 주인공의 낭만적인 영웅담에 국한해서 주목하게 된다. 창작 영웅소설의 일반적인 서사체계는 주인공이 어려서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탁월한 능력을 수학한 후 국가의 전란에 참가하여 적을 무찌르고 위기로부터 국가를 수호하여 그 공로를 인정받아 높은 벼슬에 오르게 된다. 그리고 주인공은 상승된 자신의 신분을 이용하여 혼사장애를 겪으면서 상처받은 옛 연인을 다시 만나 애정을 치유하고 행복하게 사는 것으로 결말을 맺는다. 영웅소설은 이러한 애정서사의 틀을 하나의 서사원리로 일정하게 도식화하여 수많은 애정 모티프를 스토리텔링하고 있으며, 창작관습이 당시대 대중들에게 통속화된 것을 여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이러한 영웅소설에서 볼 수 있는 주인공의 일생과정에 형상화된 애정 모티프를 다양한 유형이나 서사패턴으로 사건을 스토리텔링하여 이것을 긴장과 이완으로 풀어가면서 작가와 독자는 물론, 당시대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애정갈등의 상처를 낭만적으로 치유해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애정 모티프를 수용한 영웅소설이 보여주는 자기 서사의 글쓰기 방식이 당시대인에게 애정에 대한 유사한 상처를 공유하거나 작품을 통하여 대리체험의 치유 글쓰기와 일맥상통한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The study looked at the aspects and meanings of storytelling to heal affection in the works, targeting Joseon-era hero novels using love motifs. In particular, the storytelling to heal affection, he noted that various aspects of hardship and personality are depicted in various ways due to the sharp conflicts of affection experienced by the heroine I would like to see how healing storytelling is being used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marriage by free will and marriage by parents, and the conflict between marriage by a person of high status. In general, affection motifs are human"s most essential needs and interests as the subject of a major epic device that love fiction has. But these love motifs are not limited to romance novels. Heroes and love stories are universal stories that appear worldwide and are also featured in the epic stories of the Joseon-era hero novels. This is the story of a hero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f you look at hero novels in an ostensible narrative structure, you will only pay attention to the romantic hero stories of the main character with outstanding hero skills. The epic system of creative hero novels is recognized for its contributions by the hero"s youth to overcome all kinds of hardships and to study outstanding ability, and then to defeat the enemy and defend the nation from crisis. And the protagonist takes advantage of his elevated status to meet his ex-lover, who was hurt while suffering from a marriage disorder, again ends by healing his affection and living happily. Hero novels schematize these frameworks of love stories and tell stories of countless love motifs in a constant pattern, demonstrating the popularization of literary creation. The author is romanticizing the wounds of social affection not only of writers and readers but also of those times by telling stories about events in various types or types of epic patterns, as he embodies the love motifs embodied in the protagonist"s life-long process It was to note that the style of writing a self-written narrative that shows a hero"s story embracing a love motif is in line with the writing of healing through proxy experience or sharing similar wounds about affection to people of that time.

      • KCI등재

        <傅張兩門錄>의 작품 세계와 소설사적 위상

        이병직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4 No.-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work through <BooJangYangMoon Rock> and to seek the novelistic position. A few heros show strong actions in this work. Particularly the heroine appears in front, displays heroism, and love stories repeat many times. In the later part, the work indicates the family prosperity by adding the second generations' activities. The woman is changed into the man and shows many activities in a hero story. In the Chosun dynasty, outdoor activity in women has much limitation. Thus, through the story like this novel, the author destroys the limitation of outdoor activity in women, gives the women many opportunities, and tries to get the sympathy from the readers. The love stories have four times repetition in this work. Women fall in love with each other and they try to hide their identities in this story. That's the characteristic points. In one side, the character is hiding her identity, In another side, someone tries to find for her re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hiding and finding the identity, the story arouses the real interest. This story adapts the women-centralized narrative structure and tries to magnify women's consciousness in this work. The war and politics stories didn't draw much attention from women. So these are reduced in the story. Instead, there are many increasing stories associated with marriage, occasion, children and so on. And through these stories, the author emphasizes women's serious problems very much. The novelistic meaning of this work is as follows. First of all, it shows the family history in the title of this novel. However, this deals with the wonderful actions of women and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works. Second, the family story is happening with the story of women heroism combined. These two kinds of stories are happening together. That's the good properties. Finally, this work historically succeeds to next generation until the late of Chosun dynasty. 〈부장양문록〉은 17~18세기 한창 성행하던 국문장편소설을 포함한 가문소설의 영향 속에서 여성영웅적인 면모가 결합되어 형성되었으며, 〈김희경전〉·〈하진양문록〉 등과 함께 장편 여성영웅소설의 면모를 지닌다. 이 작품은 남녀복수주인공의 일대기에 입각하여 여성영웅적인 활약상이 돋보이는 영웅서사와 남녀 간의 결연갈등이 부각되어 있는 결연서사가 교직되어 있다. 여성영웅으로 활약하는 장소저의 모습에서는 충과 효가, 윤소저의 결연에서는 신과 절행이, 부소저의 혼사장애담에서는 절행과 부덕이 부각된다. 그리고 양가의 자손들이 장성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다른 집안과 혼사를 치른다는 가문소설적 내용이 가미되어 있다. 이 작품은 가문소설, 여성영웅소설, 국문장편소설 등 다양한 갈래적 속성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이 작품이 18세기 여성영웅소설과 가문소설이 서로 경쟁하는 구도 속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국가와 국가 간의 전쟁, 간신과 충신 간의 권력투쟁, 집안과 집안 간의 세력 다툼 등과 같은 대서사의 비중은 적고, 대신 혼사갈등에서 빚어지는 자잘한 이야기들, 부녀자의 연회 등과 같은 아기자기한 면모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런 것들은 모두 여성 독자를 고려한 서술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충돌하는 지점에서 여성이기 때문에 겪어야 하는 삶의 고뇌를 진지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의식이 부각되어 있다. 이 작품의 소설사적 위상은, 소설 제명에서 동일한 양문록 소설과 비교한 결과 〈하진양문록〉이 본 작품과 가장 유사하며, 가문소설과 여성영웅소설의 친연성을 두루 갖추고 있지만 소설사의 흐름을 고려할 때 가문소설에서 여성영웅소설로의 갈래 이동이 진행되는 지점에 놓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 작품은 〈이현경전〉의 여성영웅의 형상을 계승하고 있으며, 동시대의 〈김희경전〉?〈하진양문록〉과 함께 장편 여성영웅소설의 면모를 지니며,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이나 단편의 여성영웅소설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서사적 기반과 정착 과정

        정준식(Jeong, Jun-Sik)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1 No.-

        이 글은 여성영웅소설이 모색되던 17세기 말부터 나름의 장르관습이 완성되던 18세기 말까지를 초기 여성영웅소설시대로 규정하고, 이 기간에 창작된 여성영웅소설의 서사적 기반과 정착 과정을 탐구한 것이다. 초기 여성영웅소설은 ‘우월한 여성 대 열등한 남성’이라는 여성 우위의 구도를 기반으로 영웅담과 결연담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서사적 기반을 남장 여성의 영웅담, 한 남성 대 두 여성의 결연담, 여성 우위의 구도로 파악하고 이들의 생성 및 결합 양상을 검토하였다. 남장 여성의 영웅담은 17세기 말에 〈설저전〉에서 모색되고 18세기 초에 〈이현경전〉에서 완성되었다. 그 후 〈이현경전〉의 영웅담은 〈김희경전〉ㆍ〈홍계월전〉ㆍ〈하진양문록〉ㆍ〈부장양문록〉 등에 지속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 결연 담은 18세기 중반 이후 〈부장양문록〉ㆍ〈김희경전〉에서 온전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두 작품은 공히 ‘한 남성 대 두 여성’의 결연담을 핵심서사로 삼고 있는데, 이는 중국과 조선의 재자가인소설에 대한 풍부한 독서경험이 작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성 우위의 구도는 〈설저전〉을 제외한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공통 기반이 되었다. 다만 〈부장양문록〉ㆍ〈김희경전〉이 ‘한 남성 대 두 여성’의 결연담을 핵심으로 삼아 일부다처의 화락한 공존을 모색한 반면, 〈이현경전〉ㆍ〈홍계월전〉은 남녀의 극단적 대립을 그려내면서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초기 여성영웅소설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말에 이르는 기간 동안 모색, 형성, 정착되었다. 〈설저전〉은 여성영웅소설의 서사모형을 실험한 모색기의 작품이고, 〈이현경전〉ㆍ〈하진양문록〉ㆍ〈부장양문록〉은 〈설저전〉을 계승하여 단편과 장편의 여성영웅소설을 태동시킨 형성기의 작품이며, 〈김희경전〉ㆍ〈홍계월전〉은 각기 장편 및 단편 여성영웅 소설의 장르관습을 확립한 정착기의 작품이다. 초기 여성영웅소설이 정착되는 데는 남성영웅소설의 서사구조와 군담이 큰 영향을 끼쳤다. 이 과정을 통해 군담의 주체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뀌자 원래 지배이념을 수호하는 데 이바지하던 ‘국가서사’가 가부장적 모순에 대한 여성의 각성과 반발을 드러내는 ‘여성서사’로 성격이 바뀌었다. Early heroine novels show the aspects of combination of epic tales and love stories based on the female-dominant structure of ‘a superior woman to an inferior man’. Thereupon, this article understood the narrative ground of early heroine novels as the epic tales of a woman disguised as a man, love story of one man to two women, and the female-dominant structure and examined the aspects of their generation and combination. The epic tales of a woman disguised as a man was groped for in 〈Seoljeojeon〉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then was firmly established in 〈Yihyeongyeongjeon〉 at the early 18th century. After that, the epic tales of 〈Yihyeongyeongjeon〉 were constantly accepted in 〈Gimhuigyeongjeon〉ㆍ〈Honggyewoljeon〉ㆍ〈Hajinyangmunrok〉ㆍ〈Bujangyangmunrok〉, etc. to contribute greatly to establishing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ovels. Love stories came to have their integrity in 〈Bujangyangmunrok〉ㆍ〈Gimhuigyeongjeon〉 after the mid-18th century. The two works depict the nuclear narrative of love stories of ‘one man to two women’ in deed. The female-dominant structure became the common ground of early heroine novels except for 〈Seljeojeon〉. Early heroine novels were groped for, formed, and settled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il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Seoljeojeon〉 is the work in the period of groping to experiment the narrative models of heroine novels. 〈Yihyeongyeongjeon〉ㆍ〈Hajinyangmunrok〉ㆍ〈Bujangyangmunrok〉 are the works in the period of formation, and they succeeded to 〈Seoljeojeon〉 and quickened the birth of either short or full-length heroine novels. 〈Gimhuigyeongjeon〉ㆍ〈Honggyewoljeon〉 are the works in the period of settlement to establish the genre convention of either short or full-length heroine novels. In the settlement of early heroine novels, there was a great influence of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war stories of hero novels.

      • KCI등재

        <옥주호연>의 창작 방법과 여성영웅소설사적 의의

        김대곤(Kim dae gon)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지금까지 은 '여성의 자아실현'이나 '남성중심 사회에 대한 비판'을 보여준 작품이라고 평가되었다. 그런데 이 형성되었던 19세기부터 여성영웅소설이 점차 대중화되었던 점, 이 필사본보다 방각본이나 활자본으로 활발히 유통되었던 점, 여성영웅소설 가운데 진지성을 보이는 작품은 초기 여성영웅소설로 한정해야 된다는 주장이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점 등으로 인해 의 진지성에 대한 평가는 다시 한 번 검증되어야 할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그래서 이 논문은 의 창작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작품의 진지성을 재검토하고, 여성영웅소설사에서 이 어디쯤 위치해 있는가를 확인해보고자 했다. 선행연구의 거듭된 평가와 달리 은 초기 여성영웅소설이 보여준 진지성을 적지 않게 훼손한 작품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 작품은 초반에 여주인공과 가부장의 극단적인 대립을 통해 당대 남성중심 사회질서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지만, 중․후반으로 진행되면서 남장을 둘러싸고 남녀주인공이 속고 속이는 흥미로운 상황만이 강조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에 대한 논의는 작품 초반에 가부장과 심각하게 갈등하는 여주인공의 모습만을 확대하여 얻은 결론이지, 작품의 서사구조나 주제의식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평가라 할 수 없다. 초기 여성영웅소설 가운데 과 이 심각한 갈등상황을 통해 남성중심 사회질서에 대한 반감을 표출한 사실을 고려하면, 은 초기 여성영웅소설이 구현했던 남성중심 사회질서에 대한 반감을 흥미소로 활용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의 가치는 19세기 독서대중의 바람을 담아낸 작품이라는 데서 찾아야 한다. 19세기는 중세질서에 대한 회의가 점차 확대되면서 중세사회의 붕괴가 가속화되었고, 방각본이 유통되어 특권계층의 전유물이었던 문학작품이 민중으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19세기 사회적․문학적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은 중세질서에 대한 낭만과 불만을 보여준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사유에서 벗어나고자 했다.'남녀 균형의 서술시각'을 통해 중세적 가족질서를 둘러싼 갈등과 화합보다는 1:1의 남녀 애정관계를 지향했으며,'감춤-드러냄의 지연 구조'를 마련하여 남장을 기반으로 한 남녀주인공의 갈등을 흥미소로 활용하였고, 역사적 사건인'진교병변'을 활용하여 소설적 리얼리티를 확보해 나갔다. 이처럼 은 중세 사회에 대한 낭만과 불만을 보여준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사유에서 벗어나, 19세기 독서대중의 새로운 지향가치를 담아낸 작품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 작품세계는 19세기 여성영웅소설의 향방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은 남녀주인공이 군담을 통해 혼란한 사회질서를 존화양이론적 국가질서로 재편함으로써, 유가적 지향가치인'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획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남녀주인공이 노중에서 자유롭게 만나 동행하는 과정을 통해, 구획된 남녀의 영역을 깨뜨려 애정을 성취하는 탈유가적 지향가치를 추구하고 있기도 하다. 이렇게 에서 유가적․탈유가적 사유가 공존하는 이유는 19세기 문학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사대부와 민중의 바람이 혼효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즉, 은 초기 여성영웅소설에서 영웅담을 통해'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실현하려는 사대부의 바람을 계승하면서도, 19세기에 소설 향유층으로 새롭게 편입된 민중의 진솔한 생활감정을 반영하여'남녀 동행에 의한 애정성취'를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의 모습은 사대부와 민중의 사유가 혼효되는 과정 속에서 전대 작품과 다른 19세기 여성영웅소설이 형성되었음을 알려준다. has been evaluated as one ofthe heroine novelswhich combine heroic and tenacious tale of both men and women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handle 'criticism of androcentric society' or 'self-realization of woman'. However, seriousness of is in a position of revalidation because of the several aspects thatheroine novel became popular in 19th century when was written, that was distributed as a commercial novel and a printed books than as a manuscript, and that there was an argument to restrict recent heroine novels with seriousness to only those of early stage novels. Thus, this thesis is to re-evaluate by examining 's manner of writing, and to identify its position among heroine novels. Unlike a series of evaluations of advanced research, is considered as a literary work that deeply destroyed its seriousness, described in those of early heroine novels. This literary work presents a repulsion of male-dominated public order of the time by a radical conflict between heroine and patriarch at the beginning, however, as it continues to middle phase and the latter half, only deceiving situation between hero and heroine is emphasized. The discussion, that has made so far, was concluded by focusing on heroine from the radical conflictsbetween heroine and patriarch, but not the discussion based on a narrative structure nor thematic consciousn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described in and among heroine novels,which reflect a repulsion of a male-dominated society order, is a literary work that depicts the repulsion, realized in early heroine novels, as an interesting element. The value of should be found where the desire of reading masses in 19thcentury was included in this work. In 19thcentury, as the skepticism of medieval order expanded, the erosion of middle age was accelerated, and the distribution of commercial novels led expansion of a literature that had been an exclusive property of the privileged class. In response to thes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in 19th century, intends to break away from early heroine novels which reflect romance and dissatisfaction of medieval order. Through descriptive perspective of the man and woman balance, it preferred the 1 on 1 relation between the sexes than the conflict and harmony of medieval family order,and prepared an interesting element as a conflict between different sexes by 'hide-revelation lag structure'. , also, secured fictitious reality by utilizing historical event, such as 'jingyobyeongbyeon'. Therefore, the meaning of is a new intended value of 19th century to reading masses that were different to preceded heroine novels. Also, the world of can be a significant evidence to judge the direction of 19th century heroine novels. As reorganizing the order of nation through the war history, it shows how Confucian intended value, 'Cultivate your morals, manage the family, then rule a nation and the world,' can be gained. By accompanying two different sex characters, earned none-Confucian vision.The coexisting reasons of Confucian vision and none-Confucian vision are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of 19th century literature milieu andthe confusion of two different desires between privileged class and ordinary people. In other words, succeedsthe ideaof privileged class,'Cultivate your morals, manage the family, then rule a nation and the world,'yet, reflects the new life feelings,'achievement by accompanying woman and man,'of ordinary peoplewhohadnewly transferred thoughts about 19th century novels. These reflection provesanew form of heroine novel was made under the confusion of two different desires between privileged class and ordinary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