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아 기질에 따른 놀이지원역량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승희 한국보육학회 2023 한국보육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영아 기질에 따른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영아의 기질 분석은 설경옥(2017)의 기질 연구어린이집 8일차 적응프로그램이 끝난 후 교사의 기질 분석 자료와 영아의 학부모 기질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최종 영아의 기질을 판정하였다. 교사-영아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영아 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영아 기질에 따른 놀이 지원을 통해 순한 기질-고마운 영아, 느린 기질-혼자 놀이하다 스스로 준비되면 놀이에 참여하니 기다리면 되는 영아, 까다로운 기질-에너지고 높고 문제 상황을 많이 발생시키는 영아라는 고정화된 관점에서 벗어나 교사의 기다림과 관심, 적절한 지원 방법이 효과가 있었다. 순한기질의 영아는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자주 지지해 주며 성장을 촉진하는 놀이 지원이 적합하게 나타났으며, 느린 기질의 영아는 막연히 기다리거나 기다려 주지 못하고 성인이 해주는 것이 아니라 기다리면서 느린 기질 영아가 스스로 친숙해지고 숙련되는 시간을 충분히 교사와 함께 가질 수 있도록 놀이 지원을 하도록 하는 방법,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는 영아를 수용하고 인정하면서 흥분된 에너지를 놀이로 전환시키고 정서적 지지를 받도록 놀이 지원을 하는 방법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규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가 어린이집에서 긍정적 적응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영유아 관계에 유아의 기질과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 temperament on young children’s adjustment in daycare cente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288 pairs of the questionnaire which is consist of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nd questionnaire for teachers who raise children aged 3 to 5 were used for analysis, and data from 288 pair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pearson's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the mediation effect.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behavioral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conflict.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behavioral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eacher-child conflict, teacher-child dependence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Second, variables such as effortful control, intimacy, conflict, and depend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behavioral inhibition and effortfu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child relationship. Third, teacher-child conflict was found to be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and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e ne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t of child temperament in explainings a child’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 and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 영아의 기질 및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영아의 또래 공격성 및 위축에 미치는 영향

        강경희,김민정,김혜영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15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영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영아의 또래 부적응 행동 인 또래 공격성 및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영아의 기질과 영아의 또래 공격성 및 위축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3곳의 재원 중인 만 2세반 영아 50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기질과 또래 공격성에서는 영아의 기질특 성 가운데 영아의 적응성은 또래 공격성에만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기질의 다른 특성 은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태도 가운데 애정적 양육태도만 또래 공격성 및 위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영아의 기질은 아버지의 양육태도에는 영아 의 생리적 규칙성이 높을수록 아버지는 자녀에게 더 많은 애정태도를 보였다. 넷째, 영아의 기질 과 또래 공격성 및 위축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영아의 기질의 하위요인 가운데 영아의 생리적 규칙성과 아버지의 애정적 태도는 영아의 위축 간 의 관계에서, 영아의 적응성과 아버지의 애정적 태도는 영아의 위축 간의 관계에서, 영아의 기분 과 아버지의 애정적 태도는 영아의 위축 간의 관계에서 3가지 경우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영아가 보이는 특성은 선천적인 기질의 문제보다는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라 영아의 행동은 긍정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만2세 영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 간 갈등해결방식

        조영아,이선숙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2 學校敎育硏究 Vol.7 No.2

        This research has analysed temperament pattern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conflict situations occurring in the free play time of two year olds between peers at a child care fac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infants with a fussy temperament tried to resolve conflicts with strategies of taking, denial, obstinacy, and physical attack, while children with a gentle or middle temperament used more amicable methods of apology, giving the item back, humor, accommodation, and suggesting an alternative. Therefore, conflict situations between fussy temperamented infants and gentle or middle temperamented infants usually ended with neither party having much satisfaction as they were resolved by the gentled or middle temperamented infants either yielding or accommodating the fussy temperament infants. However, although conflict situations occurred between gentle or middle temperamented infants, those ended with both parties being satisfied through a positive resolution strategy. Thus,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aspects of conflict resolu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pattern involved in the conflict relationship.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다니고 있는 만 2세 영아들의 자유놀이시간에 일어나는 또래와의 갈등 상황을 참여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을 통해 기질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는 빼앗기, 부정하기, 고집부리기, 신체공격하기 등의 전략으로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였고, 순한 기질과 중간 기질의 영아들은 또래와 갈등이 발생했을 경우 사과하기, 되돌려주기, 유머, 순응하기, 대안제시하기 등의 전략을 통해 원만하게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와 순한 기질, 중간 기질의 영아와의 갈등 상황에서는 순한 기질이나 중간 기질의 영아들이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에게 양보해주거나, 순응함으로써 갈등이 해결되어 대부분 갈등의 주인공 모두에게 만족을 주지 못하는 방향으로 종결되었으나, 순한 기질과 중간 기질 영아들 간의 갈등 상황에서는 갈등이 일어나긴 했지만 긍정적인 해결전략으로 모두에게 만족을 주는 방향으로 종결되었음을 볼 수 있어 갈등관계에 놓인 기질 유형에 따라 갈등해결결과가 다른 양상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영아의 이해언어 및 표현언어 능력

        김영실(Kim, Young-Sil),신애선(Shin, Ae-S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 영아의 이해언어 및 표현언어의 관계, 그리고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 I시, G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의 8~35개월 영아 387명과 어머니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기질은 이해언어 및 표현언어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영아의 기질 유형을 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더딘 기질로 나누어 차이를 알아본 결과, 순한 기질과 더딘 기질의 영아가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에 비해 이해 및 표현언어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양육행동은 영아의 이해언어 및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영아의 이해언어 및 표현언어에 대한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영향력을 알아 본 결과 기질의 하위 요인인 활동성과 양육행동의 하위요인인 긍정한계선 설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infant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7 infants from 8 to 35 months old and their mothers of nursing facilities in J city, I city, and G city, Chollabuk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s’ temperament h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After types of infants’ temperament are divided into docile, tricky, and slow, the results show that infants with docile and slow temperament have higher abilitie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than those with tricky temperament. Seco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y of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based on infants’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show in order of activeness and setting up positive limits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s’ temperament is found to influence more greatly tha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 영아의 기질 및 교사의 효능감이 10-20개월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김영실,정영실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영아기는 어휘력이 급격히 발달하는 시기로, 이 시기 어휘력의 발달은 이후 의사소통 능력뿐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정서발달의 기반이 되기에 중요하다. 따라서 영아의 원만한 어휘력 발달을 돕는 인적·물적 환경요인의 영향에 관심이 모아진다. 영아기 어휘력 발달의 두드러진 특징은 이러한 환경요인뿐 아니라 영아의 내적 요인인 기질이 발달의 다른 시기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그러나 영아의 어휘력 발달과 기질 간의 관계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 그 관련성을 단언하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 영아의 내적 요인인 기질과 환경요인인 영아반 교사의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J시, I시, G시에 소재하고 있는 보육시설 총 115개소의 10-20개월 영아 338명과 담임교사 115명을 연구 대상으로, 영아 기질 측정도구(TTS), 교사효능감 평정도구, 그리고 영아어휘력 측정도구(MCDI-K)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10-20개월 영아의 어휘력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이었고 그 다음 영아 기질의 활동성이었다. 검사의 하위요인별로 보면 영아의 이해어휘에는 영아 기질의 적응성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 영아 기질의 활동성이 영향력이 높았으며, 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그 다음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표현어휘에는 교사의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가장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휘력의 하위영역에 따라 기질의 영향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한 교사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특히 표현어휘 발달에 있어 영아반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영아 기질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10-2020

        유명은,이진화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22 놀이치료연구 Vol.26 No.3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in studies on infant temperament based on 105 articles registered in RISS and KCI in Korea from 2010 to 2020. Most studies were found to be conducted on infants between 12 and 36 months old, focusing mainly on infant temperament, playfulness, and peer interaction. Furthermore, the most common relationships examined were between parents and infants, teachers and infants, infant temperament in relation to adaptation at daycare centers. Regarding parental variables, infants’ temperaments and mothers’ parenting styles were mainly studied, while studies dealing with infant temperament and teacher interaction were the most common among teacher-related variables. Of the 103 studies, most were quantitative,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 tool was the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the development of a temperament measurement tool for infants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father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의 RISS와 KCI에 등록된 영아 기질 관련 학위 및 학술논문을 총 105편을 대상으로 연구의 대상, 연구내용, 연구방법 등의 측면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개월에서 36개월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내용에서는 영아관련에서는 영아기질과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부모와 영아간의 관계에서 가장 많았고, 교사와 영아간의 관계에서는 영아기질과 어린이집 적응관련 내용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부모 관련 변인에서는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방식 관련 연구 내용이 영아와 어머니의 관계를 대상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교사관련 변인에서는 영아와 교사의 관계 유형에서 영아기질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양적연구가 103편으로 가장 많았고, 가장 많이 사용된 측정도구는 영아 기질 질문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어린 영아를 대상으로 한 기질 측정도구 개발, 아버지 대상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영아의 기질 및 교사의 효능감이 10-20개월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김영실 ( Kim Young-sil ),정영실 ( Jeong Young-sil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영아의 기질과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G시, J시, I시에 위치하고 있는 어린이집 총 52개소의 10-20개월 영아 338명과 담임교사 115명을 연구 대상으로, 영아 기질 측정도구(TTS), 교사효능감 평정도구(STEBI), 그리고 영아어휘력 측정도구(MCDI-K)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10-20개월영아의 어휘력은 이해어휘가 표현어휘에 비해서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10-20개월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에서는 영아의 기질 중 활동성은 어휘력 전체, 이해어휘, 표현어휘와 정적상관이 있었고 적응성은 표현어휘와 부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셋째, 10-20개월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아의 어휘력에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이해어휘와, 그리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은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 모두와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10-20개월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영아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으며, 다음으로 영아의 기질 중 활동성이었다. 어휘력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이해어휘에서는 영아 기질 중 적응성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 활동성이 영향력이 높았고 영아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그 다음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어휘에서는 영아교사의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휘력의 하위영역에 따라 기질의 영향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한 교사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특히 표현어휘 발달에 있어 영아반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study, as representative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of infant,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ant temperament(internal factor) and infant teacher`s efficacy(environmental factor). For this reas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338 infants aged 10 to 20 months and their 115 teachers at 52 childcare facility located in J city and I city, G city Jeollabukdo. And the study used TTS(infant temperament measurement tool) and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nd Korean adaptation of MCDI(MCDI-K, infant vocabulary measurement too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n first, receptive language are shown to be about twice as frequent as expressive language in the vocabulary ability of infant aged 10 to 20 month. Second, of infant aged 10 to 20 month whole infant temperament and expressive language that is a sub-region of the vocabulary are negative correlation. Third, teacher`s efficacy and whole vocabulary ability of infant aged 10 to 20 month are negative correlation. Fourth, as a factor influencing vocabulary ability of infant, personal teacher`s efficacy (in infant teacher`s efficacy) was the most influential, the next was activity of infant temperament. According to sub factors of vocabulary ability of infant, adaptability in infant tempera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the next was activity, the next was personal teacher`s efficacy (in infant teacher`s efficacy). In expressive language, general teacher`s efficacy (in infant teacher`s efficacy) was most influential. When viewed this, since the sub-region vocabulary affected infant`s temperament is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interaction teacher considering this. Especially for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it is seen that the role of infant`s teacher is important.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이경하 ( Kyoung Ha Lee ),서소정 ( So Jung Seo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및 영아발달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지식이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13개월∼36개월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461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4.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AMOS 5.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의 활동성 및 사회성 기질이 높을수록, 영아의 정서성 및 수줍음 기질이 낮을수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았으며,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낮을수록 영아발달 수준이 높았다. 어머니의 양육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 영아발달 수준이 높았으며,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아발달 수준이 높았다. 둘째,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지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효능감이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는지 살펴본 결과,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이 검증되었고,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지식은 영아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 infant development. The variables of interest in this study were maternal parenting efficacy,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fant temperament, and infant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played a meditational role on the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and infant tempera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61 infant-mother pairs who were using infant child care faciliti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4.0 and AMOS 5.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hips among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parenting efficacy, and some of sub-areas(activity, sociability, and emotion) of infant temperament. Seco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mediated the effects of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and infant temperament on infant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mong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영아의 기질과 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임현주 ( Hyun Ju Lim ),이대균 ( Dae Kyun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다. 이에 더하여 영아의 기질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 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09) 2차년도 자료가 사용되었는데 2008년에 태어난 영아와 어머니 총 1,904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는 인구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와 영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검증,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단계적 중다회귀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인 변인은 기질에서 활동성, 영아의 발달에 있어서는 의사소통과 개인·사회성이었다. 기질 중 활동성은 남아의 점수가 높았으며, 영아의 발달에서 의사소통과 개인·사회성은 여아의 점수가 남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영아의 발달 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영아의 성별, 기질(활동성), 양육방식(온정성), 기질(정서성)의 순서로 영아의 발달에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영아의 기질이 영아에 발달에 미치는 과정 에서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매개적 역할을 함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yle on infant`s development. Further,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temperament and infant`s development.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904 infants who were born in 2008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2st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of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method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fant` gender are found in infant`s of temperament, communication and personality·sociality. Second,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infant` gender, temperament(activity), mother`s parenting style(warmth), temperament (emotionality), birth order on infant`s development. Thir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on infant`s develop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style.

      • KCI등재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오영순 ( Oh Young-soon ),김용임 ( Kim Yong-nim ),정영실 ( Jung Young-sil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I시, J시,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0∼24개월 영아 283명과 영아반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교사기질 측정도구(DOTS-R), 교사효능감 평정도구(STEBI), 영아어휘력 측정도구(MCDI-K)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교사의 기질은 어휘력 전체와 어휘력 하위영역인 표현어휘에서 부적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이해어휘에서는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교사효능감은 어휘력 전체와 이해어휘에서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기질 및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교사의 기질 중 융통성이 가장 영향력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어휘력 증진을 위해 영아반 교사의 역할의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fant teachers` temperament and teacher-efficacy on infant vocabular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83 infants that were 10 to 24 months old and their 95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I, J, and K cities, Jeollabukdo. the study used DOTS-R(teachers` temperament measurement tool) and STEB(teachers` efficacy evaluation instrument) and Korean adaptation of the MCDI(MCDI-K infant vocabulary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 teachers` tempera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whole vocabulary(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hat is a sub-region of vocabulary,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eptive language. Second, infant teacher`s 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hole vocabulary(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and receptive which language. Third, for the effects of infant thachers` temperament and teacher-efficacy on infant vocabulary, the flexibility of the teachers` tempera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then individual teacher-efficacy had a high influen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role of an infants` teacher in developing vocabulary abilit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