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행노정 영상콘텐츠와 영상 아카이브 구현 모델 연구

        신춘호(Shin, Chun-ho)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5 한국문학과 예술 Vol.16 No.-

        이 논문은 전통시대 해외견문의 공간인 ‘연행노정(燕行路程)을 영상기록(사진 동영상)한 결과물을 영상아카이브로 구축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글이다. 문헌기록인 연행록(燕行錄)의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행록의 내용을 보완할 수 있는 연행노정 영상기록물에 대한 관리와 활용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의 관점으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옛길, ‘연행노정’의 현장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영상으로 기록해온 성과들을 분석-정리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영상콘텐츠들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활용될 수 있는 방안들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연행정보 축적을 위한 영상아카이브 구축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연행노정의 국내구간인 의주대로(한양-임진강)의 노정을 기록한 영상기록물(사진 · 동영상)의 사례를 통하여 영상아카이브구축의 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구체적으로 연행노정전자책(영상전자책 또는 멀티미디어형 전자책)의 제작사례를 제시하였다. 연행노정의 현장에 대한 영상기록물을 생산하고 관리, 보존하는 영상아카이브의 구축 못지않게 콘텐츠를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기록사진집(도록)을 디지털환경에서 구현하는 ‘멀티미디어형전자책’은 연행문화와 연행록의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행노정 영상아카이브의 한 방법론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writing that devises a plan of implementing and utilizing the output with the video record(photo moving image)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which is the space of overseas experience in traditional era, as the video archive. At the point of time that the necessity is raised for being recorded as the world heritage site in Yeonhaengrok(燕行錄), which is a documentary record, there is also a need of managing and applying the video records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available for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Yeonhaengrok(燕行錄). This study analyzed and arranged the results, which have continued to observe and record it as video as for an old path, namely, a site of ‘Yeonhaeng-Nojeong’ that is being newly recog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a cultural heritage. Additionally with the perception as saying of requiring a plan available for systematically managing and utilizing these video contents, the necessity was proposed for implementing video archive for accumulating information on Yeonhaeng(燕行). For this, it suggested a method of implementing video archive through a case of video records(photo moving image), which recorded a journey of Uijudaero(Hanyang-Imjingang river), which is the domestic section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and specifically presented a case of producing an electronic book(video electronic book or multimedia-typed electronic book)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As much as implementing video archive that produces, manages and preserves video records on a site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the contents need to be positively utilized in the aspect of cultural industry. ‘Multimedia-typed electronic book,’ which implements the traditional documentary photograph collection(Dorok, 圖錄) in digital environment, will become one methodology of video archive in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available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contemporary Yeonhaeng culture and Yeonhaengrok with diverse methods.

      • KCI등재

        봉산탈춤 연행가요 연구

        김호석(Kim Ho-seok) 한국민속학회 2016 韓國民俗學 Vol.63 No.-

        봉산탈춤 연행가요는 봉산탈춤을 구성하는 악(樂) · 가(歌) · 무(舞)의 3요소 중 연희자들이 전통적인 선율을 적용하여 부르는 가(歌)에 해당한다. 이 연행가요들은 6.25전쟁으로 황해도에서 월남한 예능인 중에 민천식과 양소운이 1965년에 녹음한 음원이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음반시리즈 30 봉산탈춤」에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봉산탈춤에서 부르고 있는 연행가요들은 위 음원자료와 비교할 때 많은 부분 변형․누락되었거나 새로운 곡이 삽입되어 있다. 본 논문은 문화재 지정을 위해 1965년 당시에 녹음했던 봉산탈춤 연행가요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특징을 고찰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연행가요 25곡 중 2곡은 원곡을 유지하고 있으나 12곡은 변형되었고 11곡은 누락되었다. 변형된 연행가요의 경우 10곡은 토리나 선율이 변형되었으며 2곡은 가사가 누락되거나 새로이 삽입되어 있다. 연행가요가 변형되거나 누락된 원인은 민천식이 예능보유자로 인정된 당일에 타계하여 그가 부른 연행가요가 전승되지 않았고, 봉산탈춤 연희자들이 민천식이 부른 연행가요에 관심을 갖지 않았기 때문이다. 둘째, 연행가요 25곡의 음악적 특징을 음악유형과 토리별로 분류해본 결과, 음악유형 분류에 있어서는 12곡이 민요조로 12곡이 판소리조로 1곡이 시조형식으로 되어있고, 토리 분류에 있어서는 육자배기토리가 12곡으로 가장 많고, 성주풀이토리가 5곡, 경토리와 반경토리가 각각 4곡으로 봉산탈춤이 황해도 탈춤임에도 전국권의 다양한 토리가 섞여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봉산탈춤에 육자배기토리인 판소리조의 연행가요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판소리 명창 방만춘이 황해도 봉산의 어느 절에 살면서 지역민들에게 육자배기토리를 전수시킨 결과, 봉산탈춤 연행가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탈춤에 있어서 연행가요의 가장 효과적인 전승교육은 공연이다. 공연은 연희자들이 자신의 가창능력을 최고로 발휘하여 관객들에게 감동을 전하고 예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이다. 봉산탈춤은 월남한 탈꾼들인 민천식, 양소운, 최경명과 같은 명창들이 있어서 명성을 떨칠 수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공연에서 더 이상 명창들의 연행가요는 들을 수가 없다. 이제 본 논문에서 고찰한 연행가요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특징을 참고하여 문화재 지정 당시의 원곡이라도 복원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The Bongsan Masked Dance Drama consists of music, a play song and a mask dance. The play song is a song that performers sing with a traditional melody. The soundtrack of the original play song was recorded in 1965 by Cheon-sik Min and So-un Yang, entertainers from Hwanghae province, and it was transmitted to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s collection of record music series 30, Bongsan Masked Dance Drama” in 2003. However, there have been modifications to or omissions of music of Cheon-sik Min’s play songs. This paper reviewed the transmiss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eon-sik Min’s original play song, which was recorded in 1965 as a designated cultural ass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25 songs, only two songs were preserved as the original, while 12 songs were modified and 11 songs were omitted. In the case of the modified songs, the melodies and scales of 10 of the songs had been changed, and some lyrics were missing from or added to 2 of the songs. The cause of the modifications or omissions is that Cheon-sik Min’s play song had not been transmitted after his death in 1967, and no performers were interested in his play song. Second, among the 25 songs categorizeds based on their musical features, 12 of the songs are minyo-jo (folk songs), 12 of the songs are pansori-jo, and the last one song is si-jo (Korean verse). When categorized by tory, 12 of the songs are yukjabaegi-tory, the most popular kind; five of the songs are seongjupuli-tory; four songs are gyong-tory; and another four are bangyong-tory. Although the Bongsan Masked Dance Drama originates from Hwanghae province, a lot of mixed tory can be found in the country. Especially, there are many yukjabaegitory because the Bongsan play song was affected by Man-chun Bang, a master singer, and he transmitted yukjabaegi-tory to the local people of Hwanghae province in Bongsan. The most effective transmission of the masked dance were performances. A performance is an opportunity to gain recognition and impress audiences with the best use of the performers"s skills. The Bongsan Masked Dance Drama could achieve nationwide fame due toe master singers like Cheon-sik Min, Gyong-myong Choe and So-un Yang. Today, however, we are not able to hear the play song as it was sung by these master singers, it is hoped that the original versions of the play song may be restored.

      • KCI등재

        연행록(燕行錄)에 보이는 북경(北京) 이미지 연구

        김민호 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語文學誌 Vol.32 No.-

        燕行錄記錄了和中國相關的多種多樣的事項。本文所考察的是各個燕行錄中所出現的和北京有關的形象。北京從過去被燕太子丹表象爲悲憤慷慨的印象轉變到作爲首都且消閑繁華的形象。現在能看到的燕行錄都是北京作爲首都以後的記錄, 흔少看到以前那種悲憤慷慨。在大部分燕行錄中, 都共同認證文物的華麗性。從而認證了北京不是周邊而是中心位置的認識。本文中所考察的燕行錄可以分爲明末和淸中葉兩個時期。明末的燕行錄從思想上說, 反而是朝鮮更優越, 換句話說也就是有著以朝鮮爲中心的想法。明末的燕行錄作者們通過對腐朽的士風, 陽明學和佛敎的盛行, 官吏的腐敗等的提及來表現對當時中國感到失望。本文所提及的淸朝燕行錄是淸朝社會穩定的時期對北京進行訪問的記錄。燕行錄的作者們通過對淫亂的社會風氣, 强調精神的優越性, 幷且有著小中華的意識。但是, 從根本上可以看到關於淸代的文物進行肯定, 幷通過這個來自覺幷改善朝鮮的後進性的傾向。這裡所考察的明末朝鮮的使節團對於漢族具有心理上的同質性, 但是在訪問北京時發現的思想上的異質性後, 對中國感到失望, 幷加以批判。但是, 淸代的使節團看到了淸代文物以及制度的發展, 幷試圖學習타們的先進文物。像這樣明末和淸代的北京形象是有變化的。

      • KCI등재

        연행시(燕行詩)에 대한 반성적 검토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한시학회 2021 韓國漢詩硏究 Vol.29 No.-

        본고는 연행시(燕行詩)의 개념과 명칭, 범주 등에 대해 재검토하고 연행시 연구의 경향성을 살핀 후 연행시가 갖추어야 할 요건, 그리고 인구에 회자된 연행시들이 그 요건을 어떻게 충족하고 있는가를 살핀 것이다. 연행록의 일종인 연행시는 ‘우리나라 사행원이 북경에 다녀오는 과정에서 지은 시’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 전기에 명조(明朝)에 다녀오는 과정에서의 기록은 ‘조천록’, 조선 후기에 청조(淸朝)에 다녀오는 과정에서의 기록은 ‘연행록’이라 한다. 조천록과 연행록을 포괄하여 ‘사행록’이라 칭할 수도 있으나 현전하는 문헌들 대부분은 청조에 다녀오는 과정에서의 기록인 점, 1421년 명의 연경 천도 이전부터 조선 사행단이 연경으로 향했던 점, 애초에 조천록이라 했던 것을 조선 후기 이래 연행록으로 통칭했다는 점, 사행록은 일본 사신단의 기록을 칭하기도 한다는 점 등으로 조선조 중국 사행기록을 ‘연행록’이라 통칭하여도 좋지 않을까 한다. 또 한시만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시를 포함하고 있는 일록 등에도 ‘연행록’이라 칭하였으므로 연행시도 연행가사, 연행일기 등과 함께 연행록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목만중은 연행시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자료적 가치와 시적 성취를 든 바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행시 연구는 주로 연행시의 자료적 가치에만 주안하여 온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행록에 대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다. 반면 시인의 시적 개성 내지 성취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향후 연행시 연구에서는 연행시의 ‘자료적 가치’와 함께 ‘시적 성취’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reflective review of the concept and category of Yeonhaengshi, and the name of 'Yeonhaengshi',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tendencies of research on Yeonhaengshi, the nature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for exemplary Yeonhaengshi. Yeonhaengshi is a type of Yeonhaengnok. Yeonhaengshi can be said to be 'a poem written by Korean envoys while they were visiting Beijing'. Poems written by Korean envoys during their visit to Beijing are also called 'Sahaengshi'(使行詩). However, the meandering poem emphasizes the 'mission' of the envoys, so it is not appropriate as a name for a poem written by people who went to China without an official mis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ahaengshi also refers to the poem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envoys for Japan. Therefore, as a term to refer to a poem written during a trip to Beijing, China as a member of an envoy, 'Yeonhaengshi' is more appropriate than 'Sahaengshi'. The research on Yeonhaengshi so far has been focused on 'the joy of leaving far away', 'reminiscence of history', 'exchanging poetry with Chinese writers', 'awareness of China', and 'difficulties on the road,' regardless of who the author of Yeonhaengshi is, and 'longing for hometown'. However, Yeonhaengshi, which was highly regarded in China, was thanks to the poet's poetic talent. So far, Yeonhaengshi'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the 'data value' of the content of poetry, and lacks consideration for the poet's poetic personality or achievement. In future research on Yeonhaengshi,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oetic achievement' as well as 'data value' of poetry.

      • KCI등재

        일반논문 : 인형연행사 기술의 새로운 모색

        허용호 ( Yong Ho Heo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09 공연문화연구 Vol.0 No.19

        본 연구는 인형연행의 역사를 기술하는 새로운 모색의 일환으로 자리한다. 일반적인 문화사적 전개에 의존하는 방식이나 왕조별 접근의 방식, 나아가 이 둘의 결합된 방식을 넘어서서 또 하나의 새로운 방식을 시도한 것이다. 여기에는 인형연행의 `역사`가 아니라 `인형연행`의 역사를 기술하려는 필자의 지향이 함축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조선시대까지의 인형연행 관련 자료를 대상으로 논의를 했다. 이 자료에는 문헌 자료는 물론이고 유물, 그리고 그림까지 포함된다. 논의는 우선 인형연행의 자료를 정리하고 분류 기준을 설정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50항목에 이르는 자료들을 정리하고, 이를 분류할 기준을 설정하였다. 분류 기준은 1차적으로 인형연행이 자리하는 문맥이 설정되었다. 이는 제의와 오락으로 나타난다. 2차적 분류 기준은 인형연행의 핵심적 사항인 연행방식이다. 이 기준에 따라 조종, 목소리연기, 섬김, 축출, 진열 등의 항목이 설정되었다. 이러한 분류 기준에 따라 인형연행을 유형화하고 시대를 구분하는 논의가 이어졌다. 그 결과 인형연행의 시대는 `다양한 인형 이용의 시대`, `섬김의 제의적 인형연행 시대`, `조종의 오락적 인형연행 시대`, `진열의 제의적 인형연행 시대`, `축출의 제의적 인형연행 시대`, `조종의 제의적 인형연행 시대`, `진열의 오락적 인형연행 시대`, `조종과 목소리연기의 오락적 인형연행 시대`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인형연행의 내적 시대 구분에 따라 이를 통시적으로 펼쳐 보이는 인형연행사 기술이 이어서 이루어졌다. 그 기술의 결과, 인형연행은 왕조사적 시대 구분에 메이지 않고 나름의 전개 과정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정적인형에서 동적인형으로`나 `제의적 연행에서 오락적 연행으로`라는 일반적인 문화사적 전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무언인형에서 유언인형으로의 전개`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인형연행의 문화사적 전개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제의적 인형연행에서 오락적 인형연행으로의 전환`이라는 전개과정은, `제의적 인형연행과 오락적 인형연행의 순환`으로 수정되어야 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정적 인형에서 동적 인형으로`라는 전개과정 역시 `정적 인형과 동적 인형의 순환`이라는 차원에서 바라보는 것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렇게 일방적인 전환이 아니라 순환으로 나타나는 이면에 자리하고 있는 것은, 인형연행이 한 시대를 마감하게 되었다고 그 시대의 인형연행이 그 전승을 마감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한 시대에서 다른 시대로 인형연행이 전개되는 동시에 이전 시대의 인형연행은 그 나름의 자체적 생명력을 가지고 지속과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또한 크게는 제의적 인형연행과 오락적 인형연행 사이에, 작게는 각각의 인형연행 유형 사이에 상호영향 관계가 존재한다는 점 역시 인형연행의 역사를 살피는 데 있어 간과해서는 안 될 사항으로 제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인형연행사의 새로운 모색과 기술은 완결된 것이 아니다. 그야말로 `또 하나`의 인형연행사 기술의 시도였을 따름이다. 이 시도는 인형연행 외부에 자리한 정치·경제·사회적 문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또한 대단히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인형연행 전통의 지속을 염두에 둔 기술이었음을 부인하지 못한다. 인형연행 외부 문맥을 감안하고, 지속이 아닌 단절까지 감안하는 인형연행의 문화사 기술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인형연행사를 넘어서는 다른 전통연행까지 포괄하는 전통연행사를 장기적으로 염두에 두는 포석도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고에서의 제안이 비판적으로 검토되기를 필자는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link in a chain which grope for the description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This study imply my intention which is not a description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but a description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Object materials of this study is materials connected with puppet performance from ancient times to Chosun dynasty. Object materials of this study include not only records but also remains and pictures. Discussion start with regulation of puppet performance materials and establishment of a classification criterion. As a result of that discussion, the age of puppet performance is as follows: `the age of diverse use of puppet`, `the age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of worship`, `the age of play puppet performance of handling`, `the age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of display`, `the age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of expulsion`, `the age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of handling`, `the age of play puppet performance of display`, `the age of play puppet performance of handling and voice-acting`. According to the internal division of age, the description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which is spread chronologically is attempted. As a result of the description, I confirm that puppet performance reveal a one`s unfolding process. And a distinct aspect from the general cultu! re history is found. The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a changeover that is `from ritual puppet performance to play puppet performance` is amended by a circulation of ritual puppet performance and play puppet performance`. And the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a changeover `from static puppet to dynamic puppet` is amended by a circulation of static puppet and dynamic puppet`. Like this the thing which is laid in the inside which is not a one sided changeover but is a circulation is said that from one age of puppet performance to other age of puppet performance is not a close of former puppet performance tradition. Unfolding from one age to other age, on the other hand former puppet performance reveal aspect which is a continuance and change with a one`s vitality. And a relation of mutual influence is exist between the ritual puppet performance and the play puppet performance on a large scale, among the puppet performance types on a small scale. this also don`t overlook in cas! e of a groping of puppet performance history.

      • KCI등재

        연행시(燕行詩)의 양식적 특성에 대하여 -여행 문학으로서의 연행시의 보편성과 특수성-

        안순태(An, Soon-tae)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4

        본고는 연행시(燕行詩)가 여행 문학으로서 국내 유람시․기행시와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밝히고 그러한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연행시의 양식적 특성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행시는 연행 과정에서 지은 시다. 연행도 일종의 여행이라는 점에서 연행시는 금강산 등 국내 유람 과정에서 지은 시와 표면적으로 눈에 띄는 차이를 보이지 않기도 한다. 연행시와 기행시의 유사성에 대한 지적은 몇 차례 있었으나 본고를 통해 그 둘의 차이점을 본격적으로 논의했다. 같은 여행 문학이라는 점에서 여느 기행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들을 연행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정의 견문을 재현하거나 역사를 회고하고 동행과 수창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이는 연행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여행 문학 보편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반면 중국 문사와 수창하거나 중국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고 객수(客愁)를 서정적으로 읊조리는 등의 것은 여느 국내 유람시․기행시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연행시만의 특징이다. 국내 유람시․기행시와 연행시의 공통점과 차이점만 살핀다고 해서 연행시의 성격을 제대로 파악했다고 하기 어렵다. 연행시는 그것을 이해하는 데 있어 연행이라는 현실적․체험적 맥락, 즉 시가 지어진 상황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 점에서 연행시는 서정적 성격이 강한 일반적 한시나 국내 유람시․기행시에 비해 교술적 성격이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행시의 의미를 온전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작(詩作)의 상황, 즉 연행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시인의 현실적 경험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Yeonhangshi, poetry written by people who visited Beijing as envoys during the Joseon Dynasty differs from general domestic travel poetry. Yeonhaengshi is a kind of travel literature written during the course of their envoy to Beijing. So it looks similar to poems written on the way to a domestic tourist destination such as Mt. Geumgang.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this issue, but there has been no result of studying the problem in earnest. Yeonhaengshi is a kind of travel literature. So, in Yeonhaengshi, we can check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onfirmed in other travel poetry. These are poems that describe what they saw, poems about history, and poems exchanged with those who accompanied them. It could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travel literature that can be confirmed in Yeonhaengshi. On the other hand, exchanges with Chinese writers, describing of Qing Dynasty, and lyrical recitations of the troubles of a traveller can be said to be unique characteristics of Yeonhaengshi that is difficult to find in other domestic travel poetry.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Yeonhaengshi, the realistic and experiential context of visiting Beijing, that is, the situation in which the poem was written, is a very important th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Yeonhaengshi have didactic style compared to general Korean poetry including domestic travel poetry.

      • KCI등재

        엇갈린 행보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6 No.-

        이 글은 미국의 연행 중심론과 한국의 현장론간의 비교를 시도한 것이다. 두 연구 방법론의 전개 양상, 내용, 지향점 등에 대해 각각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교를 하면서 그 차이를 드러냈다. 두 방법론이 드러내는 차이를 중심으로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연행 중심론은 즉흥적인 변형, 연행마다 새롭게 창출되는 의미, 의미의 다중성과 충돌 등에 관심을 보인다. 이러한 관심은 곧, ‘보편적이고 영원한 진리 탐색에 저항’, ‘과거 지향적 민속학에서 현재 지향적 민속학으로’, ‘정태적 구조 중심의 논의에서 연행과 사회 문화의 구성 과정 그 자체의 동태적 양상 중시로’라는 인식론적 전환을 말하는 것이다. 연행 중심론은 어떤 규범적인 법칙을 추구하려 하지도 않았으며, 총체성 혹은 전체성과는 거리가 있는 지향점을 가지고 있었다. 어떤 정태적 본질과도 거리가 있는 것이 연행 중심론의 문제의식이었다. 동태적인 과정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은 구성주의적 사유를 선취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학사적 차원에서 본다면 연행 중심론은 인식론적 전환의 궤적을 그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비록 그 전환을 방해하는 진정성 추구의 양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인식론적 전환이라 평가할 수 있는 행보를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장론은 연행 현장, 미시적 접근, 공시적 관점, 가변성 등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의 편향을 넘어서려 했다. 연행 중심론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한 것들까지 염두에 두면서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했다. 하지만 그 시도는 또 다른 편향을 낳았다. 새롭게 염두에 둔 전승현장, 거시적 접근, 통시적 관점, 지속성 등의 강조로 수렴되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어떤 선험적인 본질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모든 연행과 모든 전승을 제어하는 규칙과 규범을 추론하고, 나아가 그 원리를 해명하는 것이 현장론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진정한 민속, 온전한 민속, 지속적 전통 등을 곳곳에서 강조하는 것 역시 어떤 선험적으로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미리 상정하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현장론은 연행론이 떠났던 처음 자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기존의 고착되고 정체된 것, 보편적이고 영원한 것에 도전하며 형성이 된 연행 중심론이 처음 출발했던 자리로 다시 돌아와 버린 것이다. 다분히 반구조주의적이며 구성적인 과정을 중요시 하는 출발의 입장에서 다시 구조주의적이며 본질주의적인 출발 이전의 인식으로 돌아가 버리고 있다. 구성주의적 선언과 도전에서 비롯된 현장론이 결국 도전하고 배격했던 그 인식으로 회귀해 버리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국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의 행보는 엇갈린다. 연행 중심론이 인식의 전환이라는 어쩌면 혁명적인 궤적을 그리고 있다면, 현장론은 시공간적으로 시야의 확장을 도모하다가 인식론적으로 회귀라는 궤적을 그리고 있다. 연행 중심론의 전환이라는 궤적에는 탈구조주의와 구성주의라는 인식이 주도적인 반면, 현장론의 회귀라는 궤적에는 구조주의와 본질주의가 자리하고 있다. 서로 다른 인식론적 지반 위에서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은 자리하고 있다. 한때 잠시 만나는 듯 했지만, 현장론은 다시 돌아가 버렸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I investigate unfold aspects, contents, aim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respectively, and bring out the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ison those. The result of discussion on the differences of two methodology is as follow.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pay attention to emergent variation, new meaning which is created every performance, multiplicity and conflict of meaning etc. That attention imply epistemological turn which are ‘resistant of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universal and eternal truth’, ‘from the past-intention folklore to the present-intention folklore’, ‘from a discussion of static structure to an attach impotance to dynamic aspects of construction process of performance and social culture’.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do not inquire into the normative rule. The thin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a far cry from any static essenc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pay attention to a dynamic process is the preoccupation of constructivist thinking. Even though It seems that authenticity which interrupt the turn is seeked, We can say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in terms of folklore study.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overcome a tendency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is inclined toward performing field, microscopic approach, synchronic perspective, variability etc. Mindful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to neglect things,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dialectical integration. However that attempt produce another inclination which is inclined toward traditional field, macroscopic approach, diachronic perspective, durability, etc. That result from a belief of a priori essence.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is reasoning of rule and norm which control every performance and tradition, and explanation of that fundamentals. The emphasis of authentic folk, continuous traditions also imply that a priori thing which is supposed to worthy is establish in advance. And then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which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departed.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challenge the static, the universal, the eternal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the viewpoint of departure which is anti-structuralism and consider a constructive process, return to the recognition of before departure which is structuralism and essentialism. In consequence, trac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are crossed. As for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the field-contextual study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return’. Post-structua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but on the other hand structuai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field-contextual study. On the different bas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each settle down. At one time two methodology meet a little whil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return to the old place.

      • KCI등재

        구전이야기 현지조사연구의 문제와 시각

        김영희 한국구비문학회 2003 口碑文學硏究 Vol.0 No.17

        연행․전승 현장의 변화와 구전이야기 연구 성과의 축적에 따라 ‘현장’을 보는 새로운 시각과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현지조사연구론을 모색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검토해 보면, 우선 󰡔한국구비문학대계󰡕(이하 󰡔대계󰡕)는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현지조사연구의 시발점을 보여주었으나 선험적인 틀에 따른 현지조사, 객관적인 조사 방식의 모순, 연행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 시각 미비 등의 한계를 드러냈다. 그러나 이후 󰡔대계󰡕는 비판적으로 계승, 발전되지 못한 채 후대 연구자들에 의해 답습되었다. 󰡔대계󰡕의 경험을 바탕으로 80년대 이후 연행론과 화자론이 활발하게 대두되면서 역동적이고 입체적인 연행의 여러 측면을 정치하게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 시각이 조금씩 무르익어 갔다. 그러나 연행론과 화자론은 축적된 연구 성과에 기반한 현지조사연구론의 추동을 받지 못함으로써 텍스트 분석에 치중하거나 텍스트 작가론의 방법을 답습하는 편향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최근 참여관찰에 기반한 민족지적 시각과 방법이 현지조사연구의 새로운 전망으로 부각되고 있다. 민족지적 연구는 연행 및 전승 현장의 복잡한 맥락(context)과 연행의 역동성을 분석할 수 있는 미시적인 관점과 질적인 분석 방법을 지향한다. 또한 연구 주체와 연행 주체, 현장 사이의 다양한 연관과 상호 작용에 주목하여 이를 전면화함으로써 연행에 내재한 이질적인 요소들을 함께 포착할 수 있다. 무엇보다 민족지적 관점은 배후에 숨어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조사자의 시각을 전면에 폭로하여 객관주의 신화를 해체하였다. 이로써 현지조사는 일방적인 조사와 관찰이 아닌, ‘현장과의 만남’이 되었으며, 연행을 둘러싼 수많은 차이와 균열들을 무화(無化)하지 않음으로써 연행에 작용하는 다양한 헤게모니들을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 KCI등재

        연행 體驗 기록의 慣行과 그 매커니즘

        김영죽 한국한문고전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The discussion on the record of the performance and its change to be discuss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part of the Yeonhang(燕行) experience. However, the period was limited to data from th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imitation of the text, the description of the text, and the extensibility are distinctively expressed in this period record. The imitation of the Yeonhang(燕行) text, the explanation and extension, was a kind of practice. But this practice can not necessarily be viewed as a negative view. Yeonhang texts until the mid-18th century imitate Kim Chang-up's <Yeonhang diary> and endeavor to demonstrate the way to Beijing. By the mid and late 18th century, it became impossible to distinguish what part was already quoted and what part was recorded by oneself. As the Yeonhang record data is accumulated and the search function is increased, the researchers have tried to identify their value. But the result was paradoxical. The individualized evaluation of the single text was largely similar to previous records. If so, can we say that all of them are ineffective and worthless? Rather, after Kim Chang-up's <Yeonhang diary>,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the similarities and common causes of records that are common in the Yeonhang record.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practices and the mechanism of writing around Yeonhang text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본고에서 다룰 연행 체험 기록의 관행과 그 매커니즘에 관한 논의는 연행 체험자들의 일련의 ‘기록 행위’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다만, 시기를 18세기와 19세기 초반까지로 제한하였는데, 이는 가장 활발하게 연행록이 저작되었던 점과 기록의 답습, 수정 및 확장 등의 특징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金昌業의 『燕行日記』 이후 18세기 중반까지의 연행록 ‘體制’의 상호 답습과 자료의 확충은 유행처럼 번지다가 19세기에 들어서면 더욱 확연해진다. 대체로 18세기 중반까지의 연행록들은 김창업의 『연행일기』를 답습하고 연행 노정에서 이를 실증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18세기 중 후반으로 들어서면 이미 어떤 부분이 인용된 것이고, 어떤 부분이 스스로 기록한 것인지 구분할 수 없을 정도가 되어버린다. 연행록 데이터가 집적되고 검색기능이 늘어남에 따라 연구자들은 연행록들의 가치를 규명하고자 노력해왔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역설적이게도 단일 텍스트의 '개성적' 부분이라 여겨진 것이, 결국 답습의 일부에 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를 모두 '沒個性的'이고, '沒價値'한 것으로서 置之度外 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수많은 연행록들 속에서 흔히 보이는 기록의 유사성, 그 動因을 살펴보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 아닐까 한다. 본고에서는 2가지 측면에서, 연행 기록의 관행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는 연행의 체험을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서이다. 작자의 기록적 욕구와 직접 체험의 한계가 있을 때에는 수행한 이들의 耳目을 빌어 기록한다. 즉 대리견문에 의한 기록인데, 이는 연행록의 저자가 三使의 신분일 때 종종 그러하다. 두 번째는 前代 연행록의 답습과 보완이다. 『연행일기』는 18세기 이후 연행록 구성의 ‘원형’으로 취급된다. 때문에 이를 다수의 연행록이 이를 답습했으며, 더 나아가 저자 개인의 견문과 지식수준에 따라 수정, 보완하여 연행 관련 정보를 부연하고 확장시켜 나간다. 이에 이러한 경향성이 잘 구현된 작품들을 분석하여 그 동인 밝히는데 이해를 돕고자 한다.

      • KCI등재

        <임자연행별곡(壬子燕行別曲)>의 작자와 창작시기 변증

        곽미라 ( Mi Ra Kwa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0

        본고는 도곡이의현(陶谷李宜顯)(1669~1745)의 18세기 작품으로 밝혀진 <壬子燕行別曲>을 작자와 창작시기의 문제를 재검증하여 새롭게 소개함으로써, 그 내용과 문학적 특질을 고찰하는데 발생한 오류를 바로잡고, <임자연행별곡>의 작자를 19세기 석범서념순(石帆徐念淳)(1800~?)으로 확정하려는 의도에서 서술되었다. 『가사소리』소재 <임자연행별곡>은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과정에서 작자가 도곡 이의 현으로 추정되었으며, 현재 18세기 연행가사가 발견되지 않은 상황에서 자료적 가치에 상당한 의미가 부여되었다. 그러나 이는 이본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황에서 초래된 결과로 보인다. 『가사소리』소재 <임자연행별곡>은 2003년에 이미 『연행록해제』를 통해 소개된 바 있는 최우형(崔遇亨)(1805~1878)의 『연행별곡』과 동일한 작품으로, 그의 문집인 『죽하집(竹下集)』에 별축으로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죽하집」 소재 <임자연행별곡>과 『가사소리』소재 <임자연행별곡>의 서지사항과 작품의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여 작자와 창작시기를 정확히 고증하였다. 그 결과 우선 작품에서 언급된 임자년은 1852년이며, 이때 최우형이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연행을 다녀온 정황과, ``도선생``이 도곡 이의현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관찰사를 의미한다는 점, 작품에서 1811년 홍경래의 난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통해 이의현의 작품이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 그 과정에서 작품이 최우형의 「죽하집」에 수록되어 있다는 점과 「죽하집」 서문과 최우형 약보에도 모두 <임자연행별곡>이 최우형의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임자연행별곡>의 작자가 최우형으로 확정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가사소리』 소재 <임자연행별곡>의 제목 왼쪽 하단에 ``셔관셔렴슌``이라는 서명이 발견되면서, <임자연행별곡>이 1852년 최우형과 함께 연행을 갔던 정사 서염순의 작품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작품에 기술되어 있는 ``역사사조(歷事四朝)``와 ``치위팔좌(致位八座)``를 바탕으로 두 인물의 생애와 대조해 본 결과 작품의 내용과 생애가 부합하는 인물은 바로 서염순임을 확인했다. 또한 서염순은 1852년 연행을 떠나기 10년 전인 1842년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하였는데, 이를 통해 ``십년전 도선생``이라는 구절을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임자연행별곡>은 서염순의 작품이라는 것을 비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작품의 작자를 도곡 이의현이라고 추정한 선행 연구와 죽하 최우형의 작품으로 소개한 해제, 그리고 각종 인물정보에서 <임자연행별곡>의 작자는 서염순으로 정정되어야 한다. <임자연행별곡>의 작자를 정정할 경우, 가장 큰 변화는 창작시기의 문제에서 일어난다. 지금까지 소개된 조선 후기 연행가사는 모두 7편으로, 17세기와 19세기 작품의 특징이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어 왔다. 그런데 17세기와 19세기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는 <임자연행별곡>이 18세기의 작품이 아닌 19세기의 작품으로 고증됨으로써, 조선 후기에 다양한 형태의 연행가사가 창작되었을 가능성을 열어두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즉 <임자연행별곡>은 다소 획일적으로 재단되어 온 17·19세기 연행가사 작품들의 특징이 재론되어야 할 여지가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 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임자연행별곡>을 19세기 서염순의 작품으로 밝힌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작품의 구체적인 분석은 물론 작품의 특질, 세계관이 재고되어야 한다. 또한 앞으로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17세기 연행가사의 경향과 함께 19세기 연행가사의 면모를 새롭게 규명하여 연구의 지평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misrepresented author of 「Imja Yeonhangbyeolgok(壬子燕行別曲)」to Seokbeom SEO, Yeom Soon(徐念淳, 1800-?) in 19th century, introducing specific liter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those caused mis-judging the author as Dogok LEE, Eui Hyeon (李宜顯, 1699-1745) in 18th century, by re-considering Yeonhangbyeolgok`s year of written. When 「Imja Yeonhangbyeolgok」in 『Gasasori』 was introduced first in an academy, Dogok LEE, Eui Hyeon had been judged as its author and it had great value as a referenc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Yeonhang Gasa had not yet been revealed. However, the results had caused by inaccurate understanding on its different versions. 「Imja Yeonhangbyeolgok」is the same with 「Yeonhangbyeolgok」written by CHOI, Woo Hyeong (1805-1878) which was introduced through 「Yeonhangrokhaeje」in 2003 and it was attached to Jukhajib(竹下集), his collection. In this study, 「Imja Yeonhangbyeolgok」in 『Jukhajib』 and 「Imja Yeonhangbyeolgok」in 『Gasasori(가사소리)』 were compared each other and analyzed in detail to verity exact author and the year of the book that was written. At the end of the analysis, in the book it was revealed that 1852 was the Imja(壬子). Through three evidences; first point that CHOI, Woo Hyeong went to Saeunsa as Seojanggwan, second, "Do Seonsaeng" meant governor, not Dogok LEE, Eui Hyeon and third, it described HONG, Gyeong Rae`s war in 1811 in the book, it was figured out that the author was not Dogok, LEE, Eui Hyeon. In addition, the author of 「Imja Yeonhangbyeolgok」seemed to be determined as CHOI, Woo Hyeong because this was attached to 『Jukhajib』 written by CHOI, Woo Hyeong, indicated on CHOI, Woo Hyeong`s profile and preface of 『Jukhajib』. However, one possibility came up that it would be written by Jeongsa SEO, Yeom Soon who was dispatched with CHOI, Woo Hyeong as an ambassador because there was a signature called "Sheogwan Sheo, Ryeom Syun" on the left bottom of the title, 「Imja Yeonhangbyeolgok」in 『Gasasori』. By comparison with profiles for 2 persons based on "contribution for 4 kings(歷事四朝)" and "promotion to higher position such as Panseo(致位八座)", it was confirmed that SEO, Yeom Soon was the person who fit to contents and profiles in the book. After a careful review of their position at the time they were dispatched. SEO, Yeom Soon was a governor of Hwanghae-do in 1842. It was 10 years before she was sent as an ambassador in 1852. With this proof,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aragraph "Do seonsaeng 10 years ago". Through the study above, it was cleared that 「Imja Yeonhangbyeolgok」 was written by SEO, Yeom Soon. For this reason, previous study judging that this book was written by Dogok LEE, Eui Hyeon, bibliographic introduction that introduced CHOI, Woo Hyeong as the author, and other various biographic intelligences should be corrected. When the author of 「Imja Yeonhangbyeolgok」is corrected, the expected main change would be the time book was written. So far, there are only 7 Yeonhang Gasa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Imja Yeonhangbyeolgok」having characteristics in 17th century and 19th century was ascertained as the work made in 19th century, the possibilities that a variety forms of Yeonhang Gasa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would be written were figured out. In other words, 「Imja Yeonhangbyeolgok」plainl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discuss about uniformly judged Yeonhang Gasa`s characteristics appeared in 17th and 19th century. As a result, those works such as detailed analysis, characteristics and outlook shall be re-evaluated based on the study above illustrating 「Imja Yeonahngbyeolgok」was written by SEO, Yeom Soon in 19th century. Meanwhile, there shall be needs of keeping responsibilities that Yeonhang Gasa`s aspect in 19th century including tendency in 17th century constantly identified, and prospect for the study shall be ext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