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봉산(道峯山) 한시(漢詩) 연구(硏究)

        안순태 ( Soon Tae An ) 한국한시학회 2012 韓國漢詩硏究 Vol.20 No.-

        근대 이전 도봉산은 서울의 산이 아니었다. 도성에서 가깝지도 않았을뿐더러 金剛山과 같은 名山처럼 일부러 찾아 나설 만큼 볼거리가 많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문인들이 도봉산을 찾아 시문을 남겼는데, 본고에서는 도봉산을 두고 지은 名篇을 중심으로 한시에 드러나는 도봉산의 공간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도봉산이 지니는 다양한 공간적 함의를 살피기에 앞서 劉希慶과 朴世堂이 도봉산과 각별한 인연을 맺고 도봉산을 두고 지은 시들을 살폈다. 유희경은 어린 시절 부친을 여의고 도봉산에서 시묘살이를 하면서 도봉산과 인연을 맺었고 南彦經을 도와 도봉서원을 건립했으며 만년에 도봉산에 깃들어 살다가 죽어 도봉산에 묻혔다. 한편 박세당은 수학기에 도봉산과 인연을 맺은 이후 수락산 西溪에 머물면서 도봉산 밖에서 도봉산을 애호하였다. 고려 시대부터 도봉산은 여러 佛刹들이 들어서 있던 佛家의 道場이었다. 도성에서 제법 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超俗의 분위기가 조성되어 간간이 寧國寺 등의 사찰을 찾아 讀書를 하는 이들이 있었다. 金守溫이나 徐居正의 시를 통해 조선 전기 도봉산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바, 參禪하는 禪僧들을 형상화하거나 탈속적인 면모를 부각시키는 등 佛家의 道場으로서의 도봉산의 공간적 함의를 확인할 수 있다. 도봉산이 세상에 더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573년경 趙光祖의 位牌를 봉안한 도봉서원이 들어서면서였다. 이후 1696년에 宋時烈의 위패까지 봉안되면서 도봉서원은 道脈 계승의 산실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러한 양상을 李廷龜나 宋時烈, 李敏求 등의 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成汝學이나 金昌協은 도봉산의 아름다운 景槪를 읊거나 도봉서원에서 독서한 경험을 두고두고 떠올리며 시를 짓기도 해서 도봉서원을 두고 지은 시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양과 동북쪽 교외를 잇는 곳에 위치한 도봉산은 여러 시인들의 시에서 한양의 지표로서의 의미를 띠면서 때로는 이별의 장소로 형상화되기도 하였다. 李安訥, 丁若鏞, 魚有鳳, 金尙憲 등의 시를 통해 이 점을 살폈다. Dobong Mountain did not consider as a mountain in Seoul before the modern time. It was not a mountain near the capital, and, unlike other famous mountains,there were not many spectacles to visit. However, not a few literary men visited Dobong Mountain and wrote poems about it. So I studied spatial meanings of Dobong Mountain in these poem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re were many poets who wrote Dobong Mountain as a daily space during thier lifetime. Yu Hee-kyung[劉希慶] had deep connection with the mountain during his lifetime. Park Se-dang[朴世堂] got a grave site to see Dobong Mountain as well. They liked Dobong Mountain as a daily space as we can find in their poems. Dobong Mountain was a spiritual place of Buddhism where several temples placed. Because the mountain was quite far from the capital, it had a supermundane atmosphere. So there were some people who studied in temples like Youngkuksa[寧國寺]. Through poems of Kim Su-on[金守溫] and Seo Geo-jeong[徐居正], we can see the atmosphere of Dobong Mountain in the Former-Joseon period. We can identity the mountain as a spiritual place of Buddhism as the poets met Buddhist monks in their poems. Dobong Mountain became more generally known in 1573 as Dobong Seowon[道 峯書院] in which enshrined Cho Kwang-jo[趙光祖]`s tablet constructed. Enshrining Song Si-yeol[宋時烈]`s tablet in Dobong Seowon in 1696, Dobong Seowon became a cradle of inheriting moral doctrine. We can see this aspect through Song Si yeol and Yi Min-ku[李敏求]`s poems. In this regard, we can see Dobong Mounatain had a meaning of memorial place of learning time at Dobong Seowon through Kim Changhyup[金昌協]`s poem. Dobong Mountain was a sign of Seoul and a place of farewell at the same time because of its location in between capital Hanyang[漢陽] and northeast suburb. This aspect was in poems of Yi An-nul[李安訥], Uh Yu-bong[魚有鳳], and Kim Sang-hun[金尙憲].

      • KCI등재

        자살 시도자를 향한 사회적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안순태 ( An Soontae ),이하나 ( Lee Hanna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자살 시도자를 향한 사회적 낙인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살 낙인은 자살 예방을 위한 주요 과제이지만, 국내에는 이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가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문화와 가치가 반영된 자살낙인 척도 개발을 시도하였다. 문헌 연구와 일반인 심층 조사를 바탕으로 항목을 구성하고, 일반 성인남녀 16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항목 추출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일반 성인남녀 510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차원성,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는 작업을 시행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무능력`, `기질`, `부도덕성`, `연민`, `이기주의`, `찬미`, `사회적 배제`의 7가지 차원으로 46개 항목이 최종적으로 추출되었다. 각 차원의 세부 항목들은 모두 유의미한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기존 척도들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는 한국 사회의 자살 낙인을 체계적으로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며, 자살 시도자를 향한 낙인의 구체적인 이해를 통해 한국적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낙인 감소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ocial stigma toward suicidal people. Suicide stigma is an important issue for suicide prevention,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systematic efforts to measure the stigmatic social perceptions about suicid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suicide stigma scale reflecting the culture and values of Korean society. After compiling exploratory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 in-depth survey, we first extracted distinctive factors with a survey of 164 adults. Then, based on another survey of 510 adults,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yielded 7-factors with 46 items :`Incompetence,` `Personality,` `Immorality,` `Selfishness,` `Glorification,` `Sympathy,` and `Social Exclusion.` The subscales of each dimen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nal reliabilities. The convergent validity was also confirmed by its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Scale of Public Attitudes about Suicide, Stigma of Suicide Scale, and Stigma of Suicide Attempt.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systematically measure suicide stigma in Korean society. Furthermore, a better understanding of suicide stigma reflecting the Korean culture will help us develop effective message strategies to reduce stigma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대학 교양한문 교육과 인성교육 -논어(論語) 세미나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7 한문교육논집 Vol.48 No.-

        본고는 論語 세미나 수업의 예를 통해 대학 교양한문 수업에서 지향해야 할 인성교육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을 어떠한 과정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년 1월,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 시행되고 있는바 이 법은 특정 가치의 일방적 전수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은 다양한 가치의 탐색 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대학 교양한문 교육에서의 인성교육 또한 궤를 같이해야 한다. 『論語』는 동양 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가치들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다. 필자는 `욕망`, `효도`, `언행` 등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설정하고, 해당 주제와 관련이 있는 지문을 『論語』에서 편집하여 그 가치들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으로 논어 세미나 수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강독을 통한 지문 이해, 연관 주제에 대한 토의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가치에 대해 탐색하게 하고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고 포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수업을 설계, 운용하였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부차적으로 한문 원문을 강독하는 이점을 체득하거나 한문 독해 능력 향상과 같은 효과도 거두게 되었다. 이러한 세미나형 수업은 한문에 대한 수강생의 부담을 줄이고 다양한 가치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한문 독해 능력 향상과 같은 교육 효과도 부차적으로 거둘 수 있다. 세미나형 수업이 온전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20명 내외의 소규모 강좌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의 한국 대학 현실에서 그러한 환경은 요원하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精讀을 지향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그룹 활동을 통해 다양한 가치들에 대한 동료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게 하는 경험은 대형 강좌에서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차후 인성교육에 주안하여 대학 한문교육을 실시한다면 이러한 세미나 형태의 수업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 of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aimed at the liberal arts class in university and how it can be carried out in the seminar class. In January 2015,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was enacted and enforced. This law is problematic in that it aims to unilaterally transfer certain values. Character education in the university should be done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various values. Character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should also be the same way. “Lunyu(論語)”, the analects of Confucius contains various core values that form the basis of Oriental culture. I set up a topic on the basis of values, edited passages related to the topic, and discussed the values of them. The course was designed and operated with diverse value exploration courses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passages through readings on the surface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topic. In the process, the students gain the advantage of reading the texts of Chinese texts in addition, and have the same effect as the ability of reading Chinese texts. This seminar type class has the advantage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can be done through the process of reducing the burden of learners about Chinese characters and exploring various values, and the educational effect such as the improvement of the Chines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can be secondary. In order for the seminar type classes to be fully realized, it is assumed that they should be operated as small lectures of about 20 people. However, in the reality of Korean universities nowadays, such an environment can be an faraway something. Nonetheless, the experience of pursuing reading and listening to colleagues` opinions on various values through group activities is not impossible in large lectures. If we are conducting a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t a university with the aim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future, we should aim to teach this type of seminar.

      • KCI등재

        『詩學韻叢』 硏究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한시학회 2016 韓國漢詩硏究 Vol.24 No.-

        `Shihak-Unchong`(詩學韻叢) is an anthology of Chinese classical poems of China, Korea and Japan. It was published in 1918 and edited by Song-Gisik(宋基植),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n educator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 can call the anthology of poems which classified to rhyme characters as `Bunun-Shisun`(分韻詩選). It planned to compile poems to help the biginner learning Chinese classical poem. `Shihak-Unchong`(詩學韻叢)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Bunun-Shisun` as well. The catalog shows who wrote a poem with some rhyming characters, and the emphasizing points or comments shows good paragraphs and the general knowledges. Though `Shihak-Unchong`(詩學韻叢) is a `Bunun-Shisun`, it also contains historical poems even they are not a Geunchesi, a strictly formal Chinese classical poem established by Tu-Fu(杜甫). Therefore the bigenner not only could learn how to write a Chinese classical poem but also could know the general knowledge regarding the Chinese classical poems. Because `Shihak-Unchong` was edited and published by Song-Gisik himself, it has some limits. In spite of that, it could be valued greatly not olny because it functionated as a guide book for a beginner to write a Chinese classical poem but also because it settled the East Asia`s Chinese classical poems in traditional period.

      • KCI등재

        연행시(燕行詩)에 대한 반성적 검토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한시학회 2021 韓國漢詩硏究 Vol.29 No.-

        본고는 연행시(燕行詩)의 개념과 명칭, 범주 등에 대해 재검토하고 연행시 연구의 경향성을 살핀 후 연행시가 갖추어야 할 요건, 그리고 인구에 회자된 연행시들이 그 요건을 어떻게 충족하고 있는가를 살핀 것이다. 연행록의 일종인 연행시는 ‘우리나라 사행원이 북경에 다녀오는 과정에서 지은 시’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 전기에 명조(明朝)에 다녀오는 과정에서의 기록은 ‘조천록’, 조선 후기에 청조(淸朝)에 다녀오는 과정에서의 기록은 ‘연행록’이라 한다. 조천록과 연행록을 포괄하여 ‘사행록’이라 칭할 수도 있으나 현전하는 문헌들 대부분은 청조에 다녀오는 과정에서의 기록인 점, 1421년 명의 연경 천도 이전부터 조선 사행단이 연경으로 향했던 점, 애초에 조천록이라 했던 것을 조선 후기 이래 연행록으로 통칭했다는 점, 사행록은 일본 사신단의 기록을 칭하기도 한다는 점 등으로 조선조 중국 사행기록을 ‘연행록’이라 통칭하여도 좋지 않을까 한다. 또 한시만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시를 포함하고 있는 일록 등에도 ‘연행록’이라 칭하였으므로 연행시도 연행가사, 연행일기 등과 함께 연행록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목만중은 연행시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자료적 가치와 시적 성취를 든 바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연행시 연구는 주로 연행시의 자료적 가치에만 주안하여 온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행록에 대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다. 반면 시인의 시적 개성 내지 성취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향후 연행시 연구에서는 연행시의 ‘자료적 가치’와 함께 ‘시적 성취’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reflective review of the concept and category of Yeonhaengshi, and the name of 'Yeonhaengshi',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tendencies of research on Yeonhaengshi, the nature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for exemplary Yeonhaengshi. Yeonhaengshi is a type of Yeonhaengnok. Yeonhaengshi can be said to be 'a poem written by Korean envoys while they were visiting Beijing'. Poems written by Korean envoys during their visit to Beijing are also called 'Sahaengshi'(使行詩). However, the meandering poem emphasizes the 'mission' of the envoys, so it is not appropriate as a name for a poem written by people who went to China without an official mis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ahaengshi also refers to the poem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envoys for Japan. Therefore, as a term to refer to a poem written during a trip to Beijing, China as a member of an envoy, 'Yeonhaengshi' is more appropriate than 'Sahaengshi'. The research on Yeonhaengshi so far has been focused on 'the joy of leaving far away', 'reminiscence of history', 'exchanging poetry with Chinese writers', 'awareness of China', and 'difficulties on the road,' regardless of who the author of Yeonhaengshi is, and 'longing for hometown'. However, Yeonhaengshi, which was highly regarded in China, was thanks to the poet's poetic talent. So far, Yeonhaengshi'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the 'data value' of the content of poetry, and lacks consideration for the poet's poetic personality or achievement. In future research on Yeonhaengshi,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oetic achievement' as well as 'data value' of poetry.

      • KCI등재

        천수사(天壽寺)와 <대인(待人)> 화운시 연구

        안순태 ( An Soon-t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3 No.-

        천수사(天壽寺)는 고려조에 개성(開城) 동쪽에 있었던 사찰로 왕조 교체기에 폐사(廢寺)되었다. 천수사가 있던 자리는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영송(迎送)하는 사람들이 많아 조선 초 그 터에 역원(驛院) 천수원(天壽院)이 설치되었다. 이후 1476년 개성부 유수 이예(李芮)가 천수원 곁에 천수정(天水亭)을 건립하면서 천수사의 자취를 이었다. 조선 전기까지 오가는 사람들로 번화하던 천수원과 천수정은 17세기경에 사라지고, 이후 그곳은 황량한 들판으로 변했다. 고려 말에 여러 시인들이 천수사에 들러 시를 남겼거니와, 그 가운데 특히 최사립(崔斯立)의 <대인(待人)>이 인구에 회자되었다. 조선조에도 천수 사에서 지어진 시들이 많았는데 대부분 최사립의 <대인(待人)>에 화운한 것들이었다. 천수사는 왕조 교체기에 사라졌지만 19세기까지도 그 이름이 전할 수 있었던 것은 최사립의 시 덕분이었다. 이 시는 벗을 기다리는 이의 설렘과 초조함, 실망감 등 기다림이 내포할 수 있는 다양한 심경을 회화적 이면서도 역동적으로 그려 후세에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을 표현하였다’는 등의 절찬을 받기도 했다. <대인(待人)>에 화운한 시들은 스무 편이 넘는다. 이 화운시들은 대체로 시기별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조선 초에는 정영위(丁令威)의 요동학(遼東鶴) 고사를 차용한 화운시들이 자주 눈에 띈다. 선술(仙術)을 닦아 학으로 화(化)해 천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정영위가 읊조린 시변(時變)의 무상함을 옮겨와, 천수사의 풍경은 전조(前朝)와 다름이 없는데 그 풍경을 구성하는 사람들이 바뀌었음을 읊은 것이다. 이후 중종(中宗)이 이곳에 행차하면서 중종을 비롯한 여러 신하들이 일련의 차운시를 지었는데 이 시들은 대체로 왕조의 흥망을 심상(尋常)한 것으로 읊고 있다. 이는 어제시와 응제시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17세기에 천수원과 천수정이 사라지면서 이곳은 인적 드문 황량한 곳으로 변했다. 그러한 광경을 목도하고 쓴 화운시에는 쓸쓸한 정조가 깃들어 있음을 살폈다. 화운시는 원운(原韻)을 염두에 두고 지은 시로, 형식은 물론 의경(意境)까지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대인(待人)> 화운시들은 화운시 일반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보인다. <대인(待人)>이 이루어진 공간이 ‘천수사’이고 <대인>에 대한 화운한 시인들은 원운과 특정 공간(천수사)을 모두 염두에 두고 시를 제작해야 했다. 그 결과 형식과 의경 모두 원운을 따른 시작이 산생되기도 하였고 형식은 원운을 따르되 의경은 원운과 달라진 것도 나타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history of the Cheonsu-Temple天壽寺 and to describe the echo verse poem trend with regard to 'Waiting'待人 and why it is beautiful. The Cheonsu-Temple was located in the outskirts of Gaesung開城, the capital city during the Corea高麗 Dynasty. However, the temple was destroyed when the dynasty collapsed. Cheonsu-Station天壽院 was built amidst the temple ruins, as the temple was an important traffic point. The Cheonsu-Pavilion天水亭 was built in 1476 by Yi-Ye李芮 in the station’s neighborhood. The station and the pavilion were completely ruined during the 17th century. Many poets visited the Cheonsu-Temple and composed poems in the latter part of the Corea Dynasty. 'Waiting'待人, written by Choi-Sarip崔斯立, -is the most famous work. Following this work, many poets composed echo verse poems 'Waiting' work that represented the anxiety of waiting for an old friend in front of the Cheonsu-Temple. The following is a highlighted verse: So many people who look like the old friend come to me, but it turned out no one was the man. This work is very picturesque. Over twenty echo verse poems 'Waiting' are categorized in three periods. They compared the “present” to the past by using the Zhenglingwei丁令威 origin from the former Joseon朝鮮 period. In the middle of Joseon period, Jungjong中宗 visited Cheonsu-Station and composed an echo verse poem 'Waiting'. The official literaries also composed poems there. In their works, they presented the collapse of the Corea Dynasty as inevitable and the construction of Joseon Dynasty as something reasonable. Cheonsu-Station was ruined in 17th century, followed after by the ruin of the Cheonsu-Pavilion. It appears that the echo verse poems to 'Waiting' in the latter Joseon period represented the ruin of the Cheonsu-Temple, the Cheonsu-Station, and the Cheonsu-Pavilion.

      • KCI등재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안순태(An, Soontae),오현정(Oh, Hyun Jung),정순둘(Chung, Soondool)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본 연구는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노인 인구에 대한 타 세대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낙인은 노인의 삶의 질 저하와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사회문화적 성격을 반영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해 기존 문헌과 43명의 젊은 성인들로부터 추출한 항목들을 바탕으로 총 3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척도를 1차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자문과 내부 연구자 회의를 거쳐 총 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를 잠정 개발하였다. 척도의 차원성,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252명의 65세 미만 성인남 녀를 대상으로 지각된 노인 낙인,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 노인 태도, 노인 공경을 측정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28개의 항목으로 최종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기질’, ‘능력’, ‘외모’, ‘권위주의적 의존’, ‘자 식집착’의 5개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차원의 세부 항목들은 적절한 내적 합치도를 보였다.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이론적으로 정적 관계에 있는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개념적으로 반대에 있는 노인 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노인 공경 인식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연구는 세대통합을 위한 노인 낙인 해소 연구와 실무의 기초가 되는 척도 개발을 통해 노인 낙인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효과적인 정책 변화와 홍보 전략 수립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for intergener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Although negative stereotypes on elderly population have worsen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older people, there has been a lack of systematic efforts to measure and monitor stigmatic perception and behavior of younger generation on elderly people. We initially constructed a 34-item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by integrating the processes of literature review and exploratory item generation. After confirming the face validity of the scale, a 31-item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was tested with 252 adults recruited from an online research panel. The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ggests a 5-factor solution with 28 items: ability, personality, appearance, authoritarian dependancy, and family-obsession. The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examining its relationships with ageism, elderly discrimination, attitude toward elderly, and respect for elderly. After a series of refinement and empirical tests,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discrimination in our society and to develop necessary policies and promotion strategies to elimin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s.

      • KCI등재

        한국형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Suicide Literacy) 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안순태 ( An Soontae ),이하나 ( Lee Hanna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아직 국내에서 자살 예방정보 이해력 척도가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서구권에서 개발된 기존 척도 문항들을 기반으로 탐색적 연구를 시도했다. 한편, 본 연구는 이미 개발된 척도를 번안하는 차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한국 사회의 자살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 일반인 조사 등을 병행하는 단계적 연구 과정을 거쳐 진위형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척도 축소 과정을 거치며 명확한 답을 내리기 어려운 문항들을 삭제했다. 결과적으로, 초기 57개의 문항은 최종적으로 15개로 축소됐으며, 1) 위기대응/예방, 2) 위기신호, 3) 위험요소 등 세 개의 요인을 구성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종 척도는 자살과 관련한 정보 문항들이 배제되고, 위기 신호와 위기대응ㆍ예방에 대한 부분이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사람을 대상으로 자살 예방에 관한 지식을 탐색적으로 조사하고, 이에 대한 측정 도구를 개발한 첫 연구로서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suicide literacy. Based on the Scale of Suicide Literacy (LOSS), we attempted an exploratory study reflecting culture-specific items. This study focused on constructing items that can help reduce the suicide rate in Korean society. After compiling exploratory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 online in-depth survey, we first extracted distinctive factors with a Delphi expert consultation. In this study, items that were difficult to answer clearly were deleted through the scale-reduction process. Then, based on another survey of 552 adults,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yielded 3 factors with 15 items: 1) treatment/prevention, 2) risk factors, 3) signs. The final scale was strengthened items measuring treatment/prevention and signs. This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 Korean suicide literacy scale.

      • KCI등재

        건강정보검증에 대한 노인과 비노인 집단 비교

        안순태(Soontae An),임유진(Yujin Lim),정순둘(Soondool Chung)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3

        본 연구는 노인과 비노인에 있어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에 따른 건강정보검증행동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 집단과 65세 미만 비노인 집단 1,0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 고저에 따른 집단의 특성과 건강정보검증 행동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디지털리터러시-건강임파워먼트 저-저 집단과 저-고 집단에서 노인 집단이 많이 나타났으며, 고-저 집단과 고-고 집단에서는 비노인 집단이 많이 나타났다. 특히 노인 집단은 저-고 집단에 속한 빈도가 높게 나타나 디지털 건강 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능력은 낮고 자신감은 높은 경우가 많은 반면, 비노인 집단은 고-저 집단에 속한 빈도가 높게 나타나 건강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능력은 높지만 자신감이 낮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집단에서는 건강정보검증행동에 미치는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의 상호작용이 검증되었으며, 비노인 집단에서는 건강임파워먼트의 주효과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집단은 디지털리터러시와 건강임파워먼트의 균형있는 개선이 필요한 반면, 비노인 집단은 건강임파워먼트를 통한 건강 정보활용 능력에 대한 자신감의 개선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health information verification behavior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groups. Targeting a total of 1,000 people in the two group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were investigated. Interestingly, this study found that elderly people fell primarily in the category of low digital literacy and high health empowerment. However, non-elderly people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high digital literacy and low health empowerment category. Also, our analyses found an interaction effect in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on health information verification behavior in the elderly group, while the main effect of health empowerment was verified in the non-elderly group.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lderly need to improve both digital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while the non-elderly need to focus on developing subjective confidence through health empowerment.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