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넓은 덕트 단면내의 음원 분포 규명

        허용호,이정권,Heo, Yong-Ho,Ih, Jeong-Guon 한국음향학회 2014 韓國音響學會誌 Vol.33 No.2

        덕트 내 음원 면에서의 음압과 입자 속도분포를 상세히 알 수 있다면, 주된 소음원들의 위치와 강도를 분석하여 전파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소음화 설계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가능하다. 이를 위한 기존의 방법들은 대개 단면상 위치와 무관한 일정 변수로 나타내는 제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원의 단면 분포를 높은 공간분해능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모드 합성법을 기반으로 감쇠파의 영향과 근접장 측정을 포함하는 행렬식을 유도하였으며, 컴프레션 드라이버에 의해 일부 단면이 가진된 유동이 없는 덕트 시스템에서 검증하였다. 감쇠파모드 개수의 증가에 따라 음압 스펙트럼을 더욱 정확하게 근사화 할 수 있었으며, 26개의 감쇠파 모드를 포함한 수렴 결과로부터 관심 헬름홀쯔 수 영역에서 -25 dB 이하의 오차로 예측할 수 있었다. 수렴된 모드 진폭들을 이용하여 kR = 1에서 음원 면에서의 음원변수 분포를 관찰한 결과, 실제 음원이 설치된 국소 위치에서 높은 음압과 입자 속도 값을 분명히 나타내는 것을 보였다. 또한, 감쇠 모드의 역추산시에 정규화기법을 도입하여, 과결정된 반경방향 모드에 의해 발생된 무의미한 피크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If one identifies the detailed distribution of pressure and axial velocity at a source plane, the position and strength of major noise sources can be known, and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axial direction can be well understood to be used for the low noise design. Conventional techniques are usually limited in considering the constant source characteristics specified on the whole source surface; then, the source activity cannot be known in detail. In this work, a method to estimate the pressure and velocity field distribution on the source surface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is studied. The matrix formulation including the evanescent modes is given, and the nearfield measurement method is proposed. Validation experiment is conducted on a wide duct system, at which a part of the source plane is excited by an acoustic driver in the absence of airflow. Increasing the number of evanescent modes, the prediction of pressure spectrum becomes further precise, and it has less than -25 dB error with 26 converged evanescent modes within the Helmholtz number range of interest. By using the converged modal amplitudes, the source parameter distribution is restored, and the position of the driver is clearly identified at kR = 1. By applying the regularization technique to the restored result, the unphysical minor peaks at the source plan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with the filtering of the over-estimated pure radial modes.

      • KCI등재

        충청도 사혼제 속의 연행 인형 연구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02 한국무속학 Vol.0 No.4

        본 연구는 ‘연행 인형’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충청도 사혼제 속에 등장하는 허수아비에 주목한다. 생명이 없는 짚으로 만들어진 허수아비가 어떠한 과정을 거치며 무엇인가를 의미하는 생명이 있는 존재, 곧 연행 인형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살핀다. 이러한 고찰의 과정은 곧 충청도 사혼제 속의 허수아비들의 연행 인형화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허수아비의 조형 과정과 외양에서 연행 방식 그리고 의미화에 이르는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덧붙여 이러한 연행 인형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징들의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도 함께 추론해 보았다. 논의의 결과, 충청도 사혼제 속 허수아비들은 그 조형 과정과 외양에서 짚과 헝겊 등 내구성이 약한 재료로 금기와 제약을 거친 제작자가 짧고 단순한 제작 공정을 거쳐 평면적이고 소박한 연행 인형을 일회적으로 제작한다는 특징을 드러낸다. 연행방식의 경우, 그 발화 연행에서 ‘보이는 연행자 발화의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움직임 연행에서는 ‘보이는 연행자의 공공연한 조종’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연행 방식은 ‘드러내는 연행 방식’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의미화 과정의 경우 ‘축성이라는 의례를 거쳐서 초자연적인 존재인 미혼인 채로 죽은 영혼으로 영속적 변환’이라는 양상을 보인다. 충청도 사혼제 속 허수아비들의 연행 인형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들은 종교ㆍ주술적 문화 전통이라는 문화적 기반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즉, 충청도 사혼제의 연행 공동체는 질병이나 재앙의 퇴치 또는 정신적 안정을 보장받기 위해 초월적 존재를 대상으로 제의를 준비한다. 이를 위해 그 대상이 될 연행 인형을 제작한다. 굿이라는 제의 문맥 속에서 초자연적인 존재 인 미혼인 채로 죽은 영혼을 의미하는 연행 인형을 제작한다. 초자연적 존재를 인형과 동일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술적이다. 주술적 의미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강조되며 중요시되는것은 재미나 흥미 또는 신기함보다는 주술적 효용이나 효과이다. 따라서 연행 인형의 외양이나 연행 방식에 강조점이 두어지지 않는다. 그 결과 나온 특징적 양상이 단순하고 소박한 외양과 드러내는 연행 방식이다. 충청도 사혼제 속 연행 인형의 외양적 특징은 공유된 종교 주술적 믿음 체계 속에서 관념적 존재를 환기시키는 데에 그 강조점이 두어진 주술적 조형임을 드러낸다. 드러내는 연행 방식 역시 종교 주술적 믿음이 중요하고 의례적 행위가 요구되는 주술적 연행 방식임을 드러낸다. 의미화 양상 역시 연행 인형과 초자연적 존재를 동일시하여 연행 인형을 영속적으로 전환시키는 주술적 의미 작용의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논의는 그 동안 인형극에만 한정된 우리의 인형 연행 연구의 편향성을 교정하는 계기가 된다. 오락ㆍ예술적인 인형극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주술ㆍ종교적 인형 연행의 양상을 살피게 되어 우리의 인형 연행의 또 다른 측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는 인형극이라는 한정된 연구에서 인형 연행이라는 보다 개방적이고 너른 연구 영역으로 나아가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 믿는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Heo-su-a-bi(scarecrow: 허수아비) in Chungcheong-do SaHonJe(Soul marrage ritual: 사혼제). For this, I will use the concept, 'puppet performing object' which means the material images of humans, animals, or spirits that are created, displayed, or manipulated in narrative or dramatic performance. In chapter Ⅱ, I examine the process of moulding puppet performing object and aspects of their appearances. The process of moulding puppet performing object are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by shamans who are confined by taboo. The appearances of puppet performing object are figure of the whole body in full dress with a humble and flat face.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moulding puppet performing object and aspects of their appearances are the process of completing non-individual appearance with natural markers(biological, and material traits) through the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by the producer who is restrained with taboo. To make puppet performing object animated, the performance by a human performer is needed. Chapter Ⅲ deals with the acts of a human performer. The performance of a human performer is mainly presented in a way of utterance performance and movement performance. Utterance performance is 'object of a visible performer's utterance'. In this utterance performance, there is no utterance of puppet, which only exists as the object of performer's utterance. Movement performance is 'overt operation by a visible performer'. These performance methods of puppet performing object are common to revealing in performance process. In chapter Ⅳ, I look into the signification of puppet performing object as the whole including the appearance, utterance, and movement. The signification of puppet performing object is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which shows 'transformation(perpetual transformation)' as supernatural existence(the sprit of youth put to death as an unmarried). After passing through some ritual process,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begin to speak and move and are regarded as a living thing by a performer, and then they are transferred into supernatural existence. In chapterⅤ, I examine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and cultural grounds.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of SaHonJe features result from the cultural grounds. The cultural grounds according to each featu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eatur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uppet performing object are the product of cultural grounds as 'incantatory or religious orientation' which evokes an ideational existence in belief system. In performance process of , the revealing performance is related with the incantatory performance demanding the ritual ceremony and religious belief. In signification of puppet performing object is described as the incantatory signification of ritual performance producing the perpetual transformation into supernatural existence.

      • KCI등재

        엇갈린 행보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12 韓國民俗學 Vol.56 No.-

        이 글은 미국의 연행 중심론과 한국의 현장론간의 비교를 시도한 것이다. 두 연구 방법론의 전개 양상, 내용, 지향점 등에 대해 각각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교를 하면서 그 차이를 드러냈다. 두 방법론이 드러내는 차이를 중심으로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연행 중심론은 즉흥적인 변형, 연행마다 새롭게 창출되는 의미, 의미의 다중성과 충돌 등에 관심을 보인다. 이러한 관심은 곧, ‘보편적이고 영원한 진리 탐색에 저항’, ‘과거 지향적 민속학에서 현재 지향적 민속학으로’, ‘정태적 구조 중심의 논의에서 연행과 사회 문화의 구성 과정 그 자체의 동태적 양상 중시로’라는 인식론적 전환을 말하는 것이다. 연행 중심론은 어떤 규범적인 법칙을 추구하려 하지도 않았으며, 총체성 혹은 전체성과는 거리가 있는 지향점을 가지고 있었다. 어떤 정태적 본질과도 거리가 있는 것이 연행 중심론의 문제의식이었다. 동태적인 과정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은 구성주의적 사유를 선취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학사적 차원에서 본다면 연행 중심론은 인식론적 전환의 궤적을 그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비록 그 전환을 방해하는 진정성 추구의 양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인식론적 전환이라 평가할 수 있는 행보를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장론은 연행 현장, 미시적 접근, 공시적 관점, 가변성 등에 주목하는 연행 중심론의 편향을 넘어서려 했다. 연행 중심론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한 것들까지 염두에 두면서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했다. 하지만 그 시도는 또 다른 편향을 낳았다. 새롭게 염두에 둔 전승현장, 거시적 접근, 통시적 관점, 지속성 등의 강조로 수렴되는 결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어떤 선험적인 본질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모든 연행과 모든 전승을 제어하는 규칙과 규범을 추론하고, 나아가 그 원리를 해명하는 것이 현장론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진정한 민속, 온전한 민속, 지속적 전통 등을 곳곳에서 강조하는 것 역시 어떤 선험적으로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미리 상정하고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현장론은 연행론이 떠났던 처음 자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기존의 고착되고 정체된 것, 보편적이고 영원한 것에 도전하며 형성이 된 연행 중심론이 처음 출발했던 자리로 다시 돌아와 버린 것이다. 다분히 반구조주의적이며 구성적인 과정을 중요시 하는 출발의 입장에서 다시 구조주의적이며 본질주의적인 출발 이전의 인식으로 돌아가 버리고 있다. 구성주의적 선언과 도전에서 비롯된 현장론이 결국 도전하고 배격했던 그 인식으로 회귀해 버리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국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의 행보는 엇갈린다. 연행 중심론이 인식의 전환이라는 어쩌면 혁명적인 궤적을 그리고 있다면, 현장론은 시공간적으로 시야의 확장을 도모하다가 인식론적으로 회귀라는 궤적을 그리고 있다. 연행 중심론의 전환이라는 궤적에는 탈구조주의와 구성주의라는 인식이 주도적인 반면, 현장론의 회귀라는 궤적에는 구조주의와 본질주의가 자리하고 있다. 서로 다른 인식론적 지반 위에서 연행 중심론과 현장론은 자리하고 있다. 한때 잠시 만나는 듯 했지만, 현장론은 다시 돌아가 버렸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I investigate unfold aspects, contents, aim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respectively, and bring out the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ison those. The result of discussion on the differences of two methodology is as follow.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pay attention to emergent variation, new meaning which is created every performance, multiplicity and conflict of meaning etc. That attention imply epistemological turn which are ‘resistant of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universal and eternal truth’, ‘from the past-intention folklore to the present-intention folklore’, ‘from a discussion of static structure to an attach impotance to dynamic aspects of construction process of performance and social culture’.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do not inquire into the normative rule. The thin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a far cry from any static essenc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pay attention to a dynamic process is the preoccupation of constructivist thinking. Even though It seems that authenticity which interrupt the turn is seeked, We can say that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in terms of folklore study.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overcome a tendency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is inclined toward performing field, microscopic approach, synchronic perspective, variability etc. Mindful of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to neglect things, the field-contextual study try to dialectical integration. However that attempt produce another inclination which is inclined toward traditional field, macroscopic approach, diachronic perspective, durability, etc. That result from a belief of a priori essence.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is reasoning of rule and norm which control every performance and tradition, and explanation of that fundamentals. The emphasis of authentic folk, continuous traditions also imply that a priori thing which is supposed to worthy is establish in advance. And then the purpose of field-contextual study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which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is departed.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which challenge the static, the universal, the eternal return to the beginning place. From the viewpoint of departure which is anti-structuralism and consider a constructive process, return to the recognition of before departure which is structuralism and essentialism. In consequence, track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are crossed. As for th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turn’, the field-contextual study leave the trajectory of ‘epistemological return’. Post-structua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but on the other hand structuailism and constructivism are dominant in the trajectory of field-contextual study. On the different bas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and field-contextual study each settle down. At one time two methodology meet a little while,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return to the old place.

      • KCI등재

        조선시대 제의적 연행 인형 연구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03 韓國民俗學 Vol.37 No.1

        This research investigates ritual puppet performing object that appear in (boson dynasty. Discussed contents are following thing. 'How are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appearing in ritual performance?', 'How is the appearance of puppet performing objects and how are they produced?', 'How is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performed in each ritual performance?', 'what is the meaning of the puppet performing object?' As a result of discussion, puppet performing objects are appearing in Giuje(rite to pray for rain), Jeungchigi(straw effigy for exorcism childishness), Royal Court Naenongjak(imitation cultivation of land in Royal Court), Yammae ritual(imprecation ritual) etc. And this puppet performing objects hav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by makers who are confined by taboo', 'Non-individual appearance of which the natural element(biological, and material traits) are marked', 'Revealing in performance process', 'Transformation (perpetual transformation) as supernatural existence'. Because the performance context of reason that such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 is religious-magic ritual justly .These characteristics appear because is taking that presuppose and emphasize belief than interes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가면극의 축제극적 구조

        허용호(Heo Yong-Ho) 한국민속학회 2002 韓國民俗學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arnival structure of mask drama, and to confirm a this suggestion in Pongsan-mask-dance. The relationship of paragraphes of Pongsan-mask-dance has ritual frame in the beginning and end. And three paragraph group, Chungmadang(The scene of apostate Buddhist monk), Yangbanmadang(The scene of nobleman), Halmimadang(The scene of old woman) which represent indepent contents are arranged parallel. Structure of the three Madang which emerge from story system and character confrontation system have equally structure of carnival play. Chungmadang is carnival play of Nojang(The old Buddhist high monk)'s crowning and uncrowning which shows lewdness and expulsion of Nojang. Yangbanmadang is carnival play of Yangban's crowning and uncrowning which shows amusement and loss of authority and power of Yangban. Halmimadang is also carnival play of Miyal's crowning and uncrowning which shows wild nature and death of Miyal. Through these structure analysis, we know each madang holds the crowning and uncrowning Structure of carnival play in common. Therefore, we assume Pongsan-mask-dance has the crowning and uncrowning structure of carnival play. By the way, in terms of the different powerfulness of uncrowning of each Madang, Pongsan-mask-dance looks aside at the realisties of life. But Pongsan-mask-dance assimilates the requirement of the outside world, and to lay the requirement under it's own principle. It is sufficiently proved, to the face that the structure of the crowning and uncrowning. Through it makes a methodological detour, Pongsan-mask-dance accomplishes the logic of carnival by any means. Pongsan-mask-dance which has much the relation of the realisties of life not only expresses the dream of utopia within the limit of a specific ritual, to dissolve it through the psycholic catharsis, but also continues the potential energy even the horizon of every day. Strictly speaking, Pongsan-mask-dance is not the carnival in the Bakhtin's sense of the word. Because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actors and spectators. And a primitive footlight, namely, torchlight exists. Madang(ground) which is able to call stage is also prepared. Therefore Pongsan-mask-dance is indirect. However Pongsan-mask-dance absorbs the substance of carnival. That is, Pongsan-mask-dance is indirect carnival. Moreover the feature of indirect is useful. Because it settles partly the problem of scar or ill effect which is cause by temporary deviation of the officialdom during carnival time. An adjective that is called 'temporary' which decorates the feature of carnival represents the distance of between the utopia and the social real. Severe real stands in the finish of carnival. But carnival inscribes bear a hope in mind. In the finish of carnival, participant of Pongsan-mask-dance may wait for another carnival, or wait for living of carnival which is not temporary anymore.

      • KCI등재

        기지시줄다리기와 공동체

        허용호 ( Yongho He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9 No.-

        이 논문은 기지시줄다리기를 대상으로 그 연행 과정에서 형성되는 일시적 연행 공동체와 그러한 일시적 연행 공동체를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인 전승 공동체에 대한 고찰을 수행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한 이유는 그동안 기지시줄다리기 관련 연구들이 과거 지향적 편향성을 보였으며, 줄다리기 연행과 전승 주체에 대한 관심이 미진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줄다리기 연행과 전승의 주체인 공동체를 중심에 놓고, 현재 시점에서 논의를 진행했다. 논의는 우선 현재의 기지시줄다리기 연행에서 형성되는 공동체를 살피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기지시줄다리기 연행 공동체의 구성 양상과 그 특징, 그리고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공동체가 갖는 의미 등이 여기서 논의되었다.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기시지줄다리기 연행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이고도 관습적인 공동체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행에서 형성되는 연행 공동체와는 다른 속성이 여기서 논의되었다. 그 속성은 연행에서 형성되는 공동체와는 대립되는 것이지만, 묘한 긴장 관계를 가지며 기지시줄다리기를 떠받치고 있었다. 세 번째 이루어진 논의는 앞선 두 논의에서 나타난 현 기지시줄다리기 공동체의 특징과 과거 줄 난장 공동체의 특징을 비교해 보는 것이었다. 분명 차이가 있고 변화가 이루어졌지만 낯익은 현 전승 공동체의 성격이 여기서 보다 분명해졌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현재 벌어지는 지역 축제의 전형으로서의 줄 난장이라는, 기지시줄다리기가 갖는 독특한 위상이 파악될 수 있었다.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article is Gijisi tug of war, one of Korean traditional tug of wa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a temporary performance community, which is formed by playing Gijisi tug of war, and continuous transmission community, which enables to form a temporary community. In particular, this article might be meaningful for providing different perspectives with previous researches, focusing on contemporary traditional tug of war. First of all, this paper will explore the community which is formed by playing Gijisi tug of war. Especially, in this paper, the followings will be discussed; how community playing Gijisi tug of war is formed, what features it has, what`s the meaning of such temporary community and so on. In addition,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continuous and conventional community enable to paly Gijisi tug of war. As doing so, different features with the community of playing tug of war could be discussed. Such features are opposed to those of community formed by performance of tug of war, but they support Gijisi tug of war having strained relations. And then, this paper will compar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of Gijisi tug of war with those of ``Jul Nanjang community``. Among them, there are obviously differences, and both have changed; however, her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iar contemporary traditional transmission community will be clarified. And such comparative research might give the opportunity that Gijisi tug of war would find out its unique position in traditional tug of war.

      • KCI등재

        세계 차원의 전통예술 사유에 대하여 - 유네스코 체제와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허용호(Heo Yongho)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4

        21세기 진입을 전후해서 전 지구 차원에서 전통예술을 사유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류와 유네스코 체제가 그 사례이다. 두 사례는 전 지구 차원에서 전통예술을 사유하게 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바로 이점에 착안한 것이 본 연구이다. 논의는 유네스코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예술 논의를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무형문화유산의 유네스코 체제 곧,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대표목록 논의의 전개 양상, 구체적인 사례, 의의와 한계 등을 살폈다. 이어서 한류 현상에서 존재하는 전통예술의 양상을 살폈다. 한류의 전개 과정과 그 현상을 설명하려는 노력,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와 특징 등을 검토했다. 논의는 유네스코 체제와 한류 현상 사이의 비교로 이어졌다. 두 현상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지, 논의 전개 과정에서 만나는 지점은 없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는 2018년 벌어진 방탄소년단(BTS)의 <아이돌(idol)> 공연이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를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한류 현상 차원과 유네스코 체제 차원이 전통예술을 매개로 교차하는 대표적 사례이고, 그 공연이 제기하는 문제가 범상치 않았기 때문이다. The phenomenon of the Korean Wave and UNESCO Regime both have in common the fact that they give the traditional arts a global reach.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discussions on traditional arts and UNESCO.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is, the development patterns, specific example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discussions related 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re reviewed here. Subsequently, I looked at the aspects of traditional art existing in Hallyu,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allyu, efforts to explain the phenomenon, specific examples, and characteristics. The discussion led to a comparison between the UNESCO Regime and the Korean Wave phenomenon. I compare the two phenomena and highlight any commonalities.

      • KCI등재
      • KCI등재

        강신무ㆍ세습무 유형론의 비판적 고찰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05 한국무속학 Vol.0 No.9

        본고에서 필자는 충청도 앉은굿을 대상으로 강신무ㆍ세습무 유형론의 유의미성을 점검했다. 여기에는 충청도 앉은굿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충청도 앉은굿을 포괄하는 새로운 강신무ㆍ세습무 유형론 또는 새로운 무속적 유형론의 정립이라는 목적이 함축되어있다. 논의 결과, 충청도 앉은굿에는 강신무ㆍ세습무 유형론의 틀로는 설명하지 못하는 양상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비강신ㆍ비가계 세습 유형의 존재’, ‘독특한 신격의 존재와 인식’, ‘춤이 거의 없으며 경의 구송이라는 연행 방식’, ‘직접적이고 주술적인 축귀 방식의 재현’ 등이 그 실제 예이다. 더불어 상호 대립적이고 배타적으로 인식된 강신무ㆍ세습무 유형론의 대립 항목간의 결합과 혼재 현상이 충청도 앉은굿에 나타난다. ‘강신의 가계 세습’, ‘영적 세습’, ‘비강신법사에게 보이는 강신무들의 뚜렷한 사승관계’, ‘의식과 절차를 중요시하면서 주술성과 의례성을 강조’ 등이 나타나는 것이다. 충청도 앉은굿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양상은 ‘강신무 계열체의 재정립’, ‘세습무계열체의 재정립’, ‘대립항목 간의 상호 결합 가능성 인정’, ‘앉은굿의 독특함을 포괄할 수 있는 체계의 정립’ 등의 문제를 우리에게 제시한다. 이에 필자는 그 해결을 위한 첫 걸음으로 ‘충청도 앉은굿을 무속 연구의 본령에 위치지우는 일’과 ‘강신무 세습무 유형론의 전면적인 수정 작업’을 제안했다. This article intends to a critical examination of Gangsinmu(possessed shamans) -Saeseupmu(hereditary shamans) typology. For this critical examination, the subject of study is Chungchong-do Aneungut. Through this study, this article aims to have a proper appreciation of Chungchong-do Aneungut and a new establish of Gangsinmu- Saeseupmu typology or shamanistic typology which include Chungchong-do Aneungut. First, this article shows that Gangsinmu-Saeseupmu typology don't explain unique aspects of Chungchong-do Aneungut. And this article shows that items of Gangsinmu-Saeseupmu typology which were perceived mutual opposition, exclusive are combined and confused on Chungchong-do Aneungut. These characters of Chungchong-do Aneungut institute issues which are ‘reestablish of Gangsinmu paradigmatic corpus’, ‘reestablish of Saeseupmu paradigmatic corpus’, ‘mutual combine of oppositional items’, ‘establish of system which include unique characters of Chungchong-do Aneungut’. Thereupon this article suggest ‘make Chungchong-do Aneungut situated on the main subject of shamanism study’ and ‘overall revision of Gangsinmu-Saeseupmu typ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