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09년∼2018년 학술지 중심으로

        송건(Song Jian),정진자(Chung Jin-Ja)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여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의 연구 분야에서 향후 연구 과제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의 최근 10년간(2009∼2018)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한국과 중국의 학술지 논문 33편을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학술지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시각장애연구지, 중국은 现代特殊教育이 연구중심지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자 수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2인 공동연구, 중국은 단독(1인)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대학교수, 중국은 특수학교 교사가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유형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 중국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는 한국과 중국 모두 통합교육 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유형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중국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시각중복장애유아 연구동향 분석 연구 또는 다른 장애유형 유아 연구 동향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시각장애 유아에 대한 조기교육, 진단평가, 교육환경 및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중국에서는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associated with the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examine the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tudy of Korea and China s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 last 10 years(2009-2018) in Korea and China Journa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sociated with the serving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re were treated with 33 journal articles section of the final selection of Korea and China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z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journals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Korea showed the research center for the visual impairment and China for modern special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Korea has the most two-person research and China has the highest number of independent researc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by researchers,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by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in China was the largest. Four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study subject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and China. Fifth, the type of trend research results are Korea s research, China showed the greatest literature. Sixth,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that Korea and China had the most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al themes. Seventh, as a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Korea and China showed the most themes that studied inclusive education for infants. Eigh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Korea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topics for inclusive education using research and case studies and China using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up studies ne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disorders or to compare them with other trends in young childhood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tents of early education, diagnosis and eval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thod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in the future, and to apply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in China.

      • KCI등재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공연의 연구 동향 분석

        시유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무용공연 관련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토픽모델링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무용공연 마케팅전략 및 발전방안 연구, (2)무용공 연 공간 및 공연만족 재관람요인 연구, (3)무대환경이 무용공연의 대중성 활성화와 기여도 연구, (4)무용공연 현황 및 무용단 운영사례 융합 연구, (5)다양한 소셜미디어 활용한 무용공연 확정성 연구, (6)기술적용 무용공연 콘텐츠 방향 및 개발 연구 6 개의 주요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에 무용공연을 비롯해 무용 분야 관련 연구의 시기, 사회 변화에 따른 연구 트렌드와 주제를 파악하고, 연구자들의 변화 관심 주제의 주요 핵심어를 추출해 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시기별 주요 키워드를 비교 분석하였 다. 이에 다각화되고 융합되면서 신기술이 적용되는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한 발전적 연구의 필요성을 고민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research topics related to dance performanc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big data and examines research trend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e results derived from topic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1) Six major topics were derived: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and development plans for dance performances, (2) a study on the re-watching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spa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3) a study on the popularity and contribution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stage environment, (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nce performances and the convergence of dance group operations, (5)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dance performances using various social media, and (6)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applied dance performance contents. Accordingly, research trends and topics related to dance, including dance performances, social changes, key keywords of researchers' change interests were extracted, and keywor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esent academic changes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ly, the need for research to apply new technologies was emphasized as it diversified and fused.

      •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 :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오혜정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관련 연구과제를 발굴,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주제 학술논문 264편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연구자 동향, 학술지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주제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전반적 동향의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특히 2011년부터 2013년의 3년 동안 연구가 매우 활발하였다. 둘째, 연구자 동향을 살펴본 결과, 1인 단독 연구가 상당수였고 연구자 대부분은 교수, 대학원생 등 대학에 소속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 동향을 살펴본 결과, 문헌 연구로의 연구방법 편중이 심했다. 넷째, 연구주제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00년대 초반에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의 개념과 정체성, 역할, 이에 대한 성경적·신학적 근거, 관련 역사 등의 주제가 활발히 다루어진 반면 2010년대부터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실천(사역) 전략과 방법, 구체적 프로그램 또는 사업, 사역의 효과성 검증, 사례 탐구, 목회·선교와 연계한 고찰, 대상별 기독교사회복지 또는 교회 사회복지 방안 등 연구주제가 다양하게 확장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e-Commerce의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방향 고찰

        김종칠(Jong-Chill Kim),신성식(Sung-Shik Shin),박재헌(Jae-Hun Park)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0 전자무역연구 Vol.8 No.1

        1990년대 후반부터 전자무역은 전자상거래, 전자무역, 전자물류, 전자무역 관련법규, 친환경 IT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런 흐름에 따라 전 자무역연구지가 출간되었다. 전자무역연구지는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에서 발 행하는 전자무역 전문학술지로써 2003년부터 발행을 시작하여 매년 4회 발행되며 각 기관 및 학계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경영학과 공학으로 단순 분류된 연구동향을 7개 분야로 연구주제를 설정하여 분류하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상거래에 관한 과거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 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거 연구동향은 국내 주요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검색하여 정 리하였다. From the end of 1990's, many research for a range of different sectors which are e-Commerce, e-Trade, e-Logistics, e-Policy, e-Law and Green IT have been presented. Depending on the need for a new research study, e-Trade Review has been published. e-Trade Review is a professional journal published by Korea e-Trade Researcher of Chung-Ang University. It is Published 4 times and contributing to each industry and academia. Now, e-Commerce is only divided to 2 sectors which are management and engineering. In this study, therefore, seven sectors are used for knowing more detailed trends about e-Commer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past research and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e-Commerce. Past studies summarized by using research papers and degree thesis.

      • KCI등재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의 연구동향

        문정희(Mun Jeoung-Hee),이혜숙(Lee Hye-Suk),박경희(Park Gyeong-Hee)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5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논문분석은 2003년부터 2017년까지 학술지 논문 30편 및 석·박사 학위 논문 47편으로 총 77편으로 연도별 및 전공별 동향, 대상자 동향, 종속변인에 대한 동향, 연구 방법에 대한 동향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도별 및 전공별 연구동향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 연구는 2003년 시작으로 2017년까지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학술지 논문 보다 학위 논문의 연구가 많았으며, 예술치료학과의 전공자가 많았고 학술지 중에서는 예술심리치료연구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주제별 동향에서는 초등학생 연령이 가장 많고, 남·여학생을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가, 참여자 수는 7명-11명이 가장 많았다. 셋째 종속변인의 연구 주제별 동향에서는 자기관련 변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의사소통 및 관계 변인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 방법에 대한 동향으로 실험 총회기는 10-19회기, 주 1회 실시, 한회기 당 60분, 연구대상 선별기관은 학교, 예술기법은 2가지 이상 사용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예술기법은 미술기법이, 통계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연구를 계획하고 진행하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the arts related to integrated art therapy for adolescents in Korea. Thirty journal articles and 47 volumes of a dissertation thesis from 2003 to 2017 were analyzed based on-, year and major, trends of subjects, trends of subordinate variables, and research methods. First, research on integrated art therapy for adolescents in the research trends by year and major has been steadily studied from 2003 to 2017. However, there have been much more thesis studies than journal articles, and there were many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 mong the academic journals, research on art psychotherapy was the most studied area.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s, male and female student studies and 7 to 11 participant studies were the most frequent ones. Third, self - related variables were the most frequent variables in the study subjects trends, and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variables also used. Fourth, trends in research method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eneral meeting washeld 10-19 times, weekly, 60 minutes for one session. Fifth, the most selective screening institutions were schools, and the method of using more than two artistic techniques was the most used technique; the drawing technique was the most used artistic technique. Finally, Wilcoxon sign rank verification was the most use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rt therapy for young people in the future, and will be a base for researchers planning and conducting such research.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디자인 관련 연구 동향

        김글,장동련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향을 체계 적으로 정리하여 향후 디자인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시할 기 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4차 산 업혁명’과 ‘디자인’을 키워드로 정하여 논문검색 사이트를 통 해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의 게재연도, 게재 학술지, 주제어, 연구내용, 연구방법으로 구분하여 연구 동향 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4차 산업혁명과 디자 인에 관련한 연구는 2016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으 며, 주로 예술체육학 관련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연구의 주제 어는 디자인 방법론, 융합기술, 디자인 교육, 디자인 유형, 디자 인 개념에 관한 주제어가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연구내용 을 분석한 결과 4차 산업혁명의 패러다임 변화에 적응하기 위 한 디자인의 제안에 관한 연구와 디자인의 방향과 디자인 역 량을 탐색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문헌을 조사하거나 사례 분석을 통해 결 론을 도출하는 질적연구방법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연구방법의 확대와 다양화가 필요하다. 둘째, 디자이너의 역할을 재고하고 역량을 재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 째, 학문 간 융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디자인은 그 특성상 기술과의 융합뿐만 아니라 경영학, 교육학 등 다학제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특히 디자인에서 인문학적 사고는 필수 요소이므 로 이와의 융합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를 통해 디자인 의 가치를 높이고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와 방안을 모색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su 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design field by syst ematically organi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4th in dustrial revolution and design. To analyze research trends, we select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sign’ as ke ywords and collected journal articles through a thesis sear ch site. The collected papers were classified into the year of publication, journal, key word, research content, and res earch method, an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s a re 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research related to th 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esign has been conducted in earnest since 2016, and has been mainly published in ac ademic journals related to arts and physical education. Ke y words of the study showed a large distribution of design methodology, convergence technology, design education, d esign types, and design concepts.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research on the design proposal and the researc h on the direction and capability of the design showed a large distribution.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l itative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 rch direction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method. Secon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rethink the role of designers and redefine their capabilities. Third, research on interdisciplinary convergen ce is needed. Design should create new design value thro ugh convergence with various disciplines as well as with technology. In particular, humanistic thinking in design is an essential element, and fusion with it is necessary. Ther e is a need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value of design through convergence with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d ucation.

      • KCI등재

        교원 현직연수 연구동향 분석 : 연구 영역, 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신현석,오찬숙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1980년부터 2012년까지 교원 현직연수 관련 연구 동향을 사전에 설정된 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교원 현직연수 관련 연구는 1980년대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학술지를 통해 본격적으로 연구논문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둘째, 교원 현직연수 연구는 일반적인 연수관련 논문이 0편(4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교과관련 연수 23편(25%), 정보화관련 연수 19편(20%), 비교과관련 연수 8편(9%)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주제는 「현직연수의 평가와 효과 분석」 27편(29%), 「프로그램 구성 및 연수모형 개발·적용」 26편(28%), 「교원 현직연수제도 및 체제 개선」 25편(27%), 「교원 현직연수 참여 실태 및 요구 분석」 15편(16%) 순으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는 각 주제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활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42편(45%), 양적연구 36편(39%)으로 주류를 이룬 가운데, 혼합연구는 8편(9%), 질적연구는 7편(7%)으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섯째, 현직연수 관련 연구는 초·중등교육이 분리되어 이루어지기 보다는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월등하게 많았다.

      • KCI등재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정민영(Jung, Minyoung),조영종(Cho, Young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계에서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다르게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차별점을 가지며, 최종적으로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연구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의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방법 분석대상 논문은 총 84편으로, 1차~3차 검증 절차를 통해 선정되었다. 결과 도출을 위해 김선은(2019)과 하혁, 박대원(2020)의 연구방법론을 참고한 연구동향 분석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기술통계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Excel 이다. 분석준거는 양적 변화 동향,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대상 동향이다.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중기~후기 구간에 발행된 논문이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교육과정 분석이었다. 셋째,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된 연구물이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연구논문의 항목을 중심으로 하는 문서였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들은 심층적이고 다방면에 걸쳐 시행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 극복을 위해서 연구자료를 더욱 충분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analyze research trend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fulfillmen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nalyz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research trend. Methods This study, 84 papers were selected. Study method is research trend analyze method. Specifically, first, trends of quantitative. Second, trends of major area and topics. Third, trend of research method. Fourth, trend of research subject. Results This study results. First,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search is steadily increase, and more than half of theses are publishehd in the mid-late period. Second, the major research area and topics was curriculum analyze. Third, among the research methods, 69 papers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 of the research were documents centerd on curriculum, textbooks, and research papers. Conclusions In the future, research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ed to be conducted in a more in-depth and multi-faceted manner.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 동향 분석

        박진철(Park Ji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의 분석은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의 관련 연구 쟁점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성을 모색하고 연구 영역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한국어교육에서 멀티미디어 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된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과 주요 학술지 게재 논문 257편을 2019년 1월부터 3개월 간 검색한 후 연구물의 시기별, 유형별(학위논문, 학술지),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우선 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 및 절차를 기술하고 기술의 발달과 학습 형식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용어를 정리하였다. 멀티미디어의 활용 연구는 시기별로 2000년대 초반에는 연구물의 수가 많지 않았으나 2010년부터 급격히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달에 기인한 것으로 기술적 환경이 조성과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의 등장과도 무관하지 않다. 유형별 연구 동향 분석 결과 대부분이 학술지와 석사 학위 논문에 치우쳐 유형별 편중성이 심각했다. 학술지의 경우 한국어교육 관련 대표 학술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기타 학술지의 경우 교육학, 교육공학, 멀티미디어학, 컴퓨터・정보통신공학 등으로 다양했는데 이는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관련 연구가 세부 주제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범주에 속하는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기능적 측면에서의 연구 동향은 학습자 중심의 자가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 고 다음은 교사 중심 수업에서 시청각 자료로서의 도구적 활용 방안 연구 순이었다. 한국어교육 측면에서 연구 동향은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적용 및 활용을 다룬 ‘교수법 일반’으로 분류될 수 있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과정 개발 및 분석 연구, 교수 자료 개발 연구 등의 순이었다. 또한 교육 내용에 대한 분류는 언어 기능 교육 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언어 지식 교육 연구가 그뒤를 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rends in multimedia utilization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since 2000. Thi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will allow us to look at related research issues in multimedi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lore future directions and discuss areas of research. To this end, we examined 257 master s and doctorate paper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and 257 papers published since 2000 when multimedia-related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research trends by timing, type (degree paper, academic journal), and subject. First, the analysis objects and procedures for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the newly emerged terms were put together as the technology developed and the learning style changed.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multimedia did not have much research in the early 2000s, but it has increased sharply since 2010. This is due to the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and is also related to the creation of a technical environment and the emergence of new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In the research trends by type, most of the studies subject to analysis were biased towards academic journals and master s thesis, which led to serious bias by type. However,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journals was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one or more categories of multimedia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those related to education, multimedia, computer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engineering. First of all, research trends in functional aspects led to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learner-oriented self-learning, followed by the research on tooling utilization as audiovisual material in teacher-centered classe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rends were most frequently classified as professional law general, which deals with the educational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multimedia, followed by research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analysis and research on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In addition,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 was the largest study of multimedia utilization for language functional education, followed by language knowledge education research.

      • KCI등재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박상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2

        이 논문은 현직교사교육(현직교육)의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반성적 검토를 통해 향후 현직교육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주제어 검색을 통해 현직교육에 관한 연구 총 200편을 선별·분석하였다. 분석준거로는 현직교육 유형,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교과 관련성 등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2000년대 중반 이후 현직교육 관련 논문이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둘째, 현직교육 유형별로는 기관중심 연수가 학교나 개인중심 연수보다 현저히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 면에는 양적연구와 문헌연구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는 반면 질적 연구나 혼합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는 적었다. 넷째, 연구주제 면에서는 현직교육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현직교육 질 관리에 해당되는 현직교육 평가 및 효과분석연구, 현직교육 실제를 기술하는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교과 분야별로는 과학, 영어, 체육교과 분야 현직교육 연구들이 다른 교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직교육의 개념 및 범위의 명료화, 학교 현장 중심의 현직교육 확대, 현직교육 효과 개념의 명료화 및 효과 분석 연구의 확대, 현직교육 연구를 위한 다양한 이론적 틀과 방법론 개발 등 크게 네 가지 점에서 연구 동향 분석을 비판적,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관련 분야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