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지'의 여성영웅소설적 면모 고찰

        최은영 한국지역문학회 2020 한국지역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박경리의 '토지'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영웅성’을 조선 후기 창작된 여성영웅소설과 비교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특히 '토지'의 등장인물 중 ‘서희’를 중심에 두고 고소설과의 서사의 유사성을 통해 '토지'가 현대적 ‘여성영웅소설’이라는 장르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토지'와 '홍계월전'에는 ‘출생-위기-위기 극복-귀환’이라는 영웅소설의 서사 유형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토지'와 고소설의 여성영웅소설은 무남독녀로 태어나 가문의 위기를 극복한다는 점과 강혼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도 모티브에서도 유사성을 지닌다. 이러한 점에서 '토지'는 현대적 의미의 ‘여성영웅소설’이라고 장르를 규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제약을 극복하는 방식에서 전쟁이나 독립운동과 같은 남성적 영역에서 남성으로 위장을 통해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기질이나 성품을 통해 상인으로 성공한다는 점에서 고소설의 여성영웅과 차이를 지닌다. 또한 사회적 성공을 통해 가부장적인 역할을 모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여성으로 혈통을 이어 가문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여성적 가치를 이어나간다는 점에서 고소설의 여성영웅에서 한 단계 나아가는 현대적 의미의 여성영웅으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heroin novel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of 󰡔To-Ji(The Earth)󰡕 written by Park Kyoungri by comparing with a heroin novel created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To-Ji󰡕 describes a vast amount of historical backdrops from 1897 and 1930. If we, however, see centrally 3 parts narrative of a process of getting back a house that belonged originally to Seo-hee from Jo Jun-gu, then we can figure out a narrative flow of hero novel which goes to 'Birth-crisis-overcome the crisis-Return'. We can also find similarities with heroin novels from a motif of 󰡔To-Ji󰡕 that how to progress its main narrative. These similarities, therefore, can be that a main female character was born as an only daughter who cannot carry on her family line and thus faced to a difficulty(or crisis). After gaining social success, however, she did a mesalliance and gave a birth to a boy. 󰡔To-Ji󰡕, therefore, has characteristics of heroin novels genre with having a narrative pattern and a similar motif. There are, however, differences as well. These differences are that she finally succeeds as a merchant not by disguising as a man who joins to an army and exhibits her skills in the male-centered area such as an Independent Movement or wars but via her spirits and good natures. Succeeding as the merchant through her own effort, nature and skills is different from the old heroin novels. She does not imitate a patriarchal role and carry on her family. These are shown from that she keeps her virtues of female by sustaining her blood. As you can see from these points, this novel has the female character who have a modern sense of the heroin unlike with the ones found in the old heroin novels.

      • KCI등재

        <傅張兩門錄>의 작품 세계와 소설사적 위상

        이병직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4 No.-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work through <BooJangYangMoon Rock> and to seek the novelistic position. A few heros show strong actions in this work. Particularly the heroine appears in front, displays heroism, and love stories repeat many times. In the later part, the work indicates the family prosperity by adding the second generations' activities. The woman is changed into the man and shows many activities in a hero story. In the Chosun dynasty, outdoor activity in women has much limitation. Thus, through the story like this novel, the author destroys the limitation of outdoor activity in women, gives the women many opportunities, and tries to get the sympathy from the readers. The love stories have four times repetition in this work. Women fall in love with each other and they try to hide their identities in this story. That's the characteristic points. In one side, the character is hiding her identity, In another side, someone tries to find for her re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hiding and finding the identity, the story arouses the real interest. This story adapts the women-centralized narrative structure and tries to magnify women's consciousness in this work. The war and politics stories didn't draw much attention from women. So these are reduced in the story. Instead, there are many increasing stories associated with marriage, occasion, children and so on. And through these stories, the author emphasizes women's serious problems very much. The novelistic meaning of this work is as follows. First of all, it shows the family history in the title of this novel. However, this deals with the wonderful actions of women and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works. Second, the family story is happening with the story of women heroism combined. These two kinds of stories are happening together. That's the good properties. Finally, this work historically succeeds to next generation until the late of Chosun dynasty. 〈부장양문록〉은 17~18세기 한창 성행하던 국문장편소설을 포함한 가문소설의 영향 속에서 여성영웅적인 면모가 결합되어 형성되었으며, 〈김희경전〉·〈하진양문록〉 등과 함께 장편 여성영웅소설의 면모를 지닌다. 이 작품은 남녀복수주인공의 일대기에 입각하여 여성영웅적인 활약상이 돋보이는 영웅서사와 남녀 간의 결연갈등이 부각되어 있는 결연서사가 교직되어 있다. 여성영웅으로 활약하는 장소저의 모습에서는 충과 효가, 윤소저의 결연에서는 신과 절행이, 부소저의 혼사장애담에서는 절행과 부덕이 부각된다. 그리고 양가의 자손들이 장성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다른 집안과 혼사를 치른다는 가문소설적 내용이 가미되어 있다. 이 작품은 가문소설, 여성영웅소설, 국문장편소설 등 다양한 갈래적 속성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이 작품이 18세기 여성영웅소설과 가문소설이 서로 경쟁하는 구도 속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국가와 국가 간의 전쟁, 간신과 충신 간의 권력투쟁, 집안과 집안 간의 세력 다툼 등과 같은 대서사의 비중은 적고, 대신 혼사갈등에서 빚어지는 자잘한 이야기들, 부녀자의 연회 등과 같은 아기자기한 면모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런 것들은 모두 여성 독자를 고려한 서술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충돌하는 지점에서 여성이기 때문에 겪어야 하는 삶의 고뇌를 진지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의식이 부각되어 있다. 이 작품의 소설사적 위상은, 소설 제명에서 동일한 양문록 소설과 비교한 결과 〈하진양문록〉이 본 작품과 가장 유사하며, 가문소설과 여성영웅소설의 친연성을 두루 갖추고 있지만 소설사의 흐름을 고려할 때 가문소설에서 여성영웅소설로의 갈래 이동이 진행되는 지점에 놓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 작품은 〈이현경전〉의 여성영웅의 형상을 계승하고 있으며, 동시대의 〈김희경전〉?〈하진양문록〉과 함께 장편 여성영웅소설의 면모를 지니며,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이나 단편의 여성영웅소설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초기 여성영웅소설로 본 <이현경전>의 성격과 의미

        박양리(Park, Yang-Ri)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4 No.-

        이 글은 초기여성영웅소설로서 <이현경전>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여성영웅소설의 사적 맥락 속에서 이 작품이 지닌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현경전>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군담을 포함한 입 신양명담, 다양한 각도에서의 신분노출담, 혼사갈등으로 인한 남녀이합담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현경전>에서 주인공 현경이 남장을 통해 과거급제 - 출정입공 - 지위극대화의 과정을 이루고 있다. 이 때 군담은 후대의 작품과 달리 하나의 흥미요소로 부각되지 않고 담백하게 그려지고 있다. 후대의 여성영웅소설의 경우 신분노출은 하나의 사건을 통해 단선적으로 제시되지만, <이현경전>에서는 지루할 정도로 복잡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작품 전체에 있어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현경이 왜 여성으로 복귀해야 하는가에 대한 작가의 고민이 드러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여타의 여성영웅소설이 입공서사와 남녀이합서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비해 <이현경전>에서는 남녀이합이 작품 후반에 처음 등장하며, 혼사갈등을 중심으로 한 부부대립담으로 치환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현경의 영웅성은 온전하게 부각되는데 반해 남자주인공인 장연은 졸렬하게 그려지고 있다. <이현경전>의 여성영웅소설사적 의미는 몇 가지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여성영웅소설에 있어서 핵심요소인 입신양명구조가 <이현경전>에서 본격적으로 완성되었다. <이현경전>은 ‘권신에 의한 겁탈 문제’가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 시대의 작품인 <설저전>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설저전>에서 나타나지 않던 군담을 포함한 완벽한 형태의 입신양명구조가 <이현경전>에 이르러 비로소 나타나게 된 것이다. 둘째, 초기 여성영웅소설에서 오히려 진전된 여성의식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이현경전>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아무런 고민 없이 여성의 삶으로 복귀한 <설저전>의 주인공에 비해 <이현경전>의 주인공은 자신의 영웅성을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이는 곧 여성 자의식에 대한 진지한 탐구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셋째, ‘남녀불균형의 미학’을 온전히 그려내고 있는 소설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현경전>의 남주인공 장연은 모든 면에서 현경에 비해 모자라고 용렬한 성품이다. 심지어 남녀 주인공 사이의 직접적인 대결에서도 현경은 우위에 자리한다. 이는 초기여성영웅소설이 오히려 후대의 작품에 비해 남녀불균형의 미학을 충실히 따르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cret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eHyeonGyeongJeon>, an early heroine novel, and the significance of a heroine novel in the context of history. <LeeHyeonGyeongJe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consisting of the story for establishing oneself in life containing military story, the story for disclosing one's identity from diverse aspects, and the story for meeting and parting between men and women due to marital conflict, which are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LeeHyeonGyeongJeon> comprises the main character, HyeonGyeong's process of disguising herself as a man,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going to war and distinguishing herself at a battle, and maximizing her social status. Unlike the works of the later generations, the military story part is not magnified as an interesting factor but is treated lightly. In case of the heroine novels of the later generations, disclosing one's identity is presented in a unilinear mode through an event. However, in case of <LeeHyeonGyeongJeon>, it is complicated enough to be boring and forms a significant part in the whole work. This part reveals how great pains the author took about the reason for HyeonGyeong to return to a woman. While other heroine novels, meanwhile, closely connect the description of making a contribution and the description of meeting and parting between men and women, <LeeHyeonGyeongJeon>describes the meeting and parting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substituting the story of fight between husband and wife focusing on marital conflict. Though the heroine nature of HyeonGyeong is clearly expressed through such a process, the male main character, JangYeon is described as a childish and shameful pers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LeeHyeonGyeongJeon> as a heroine novel can be found in several aspects. First, the structure of establishing oneself in life, which is a core factor in a heroine novel, was completed earnestly in <LeeHyeonGyeongJeon>. <LeeHyeonGyeongJeon>can be said to be influenced by <SeolJeoJeon>, the work of the previous times, in that the issue of committing a rape on a woman by a powerful courtier. The perfect structure of establishing oneself in life containing military story, which <SeolJeoJeon> did not have, had not shown up until <LeeHyeonGyeongJeon>was written. Second, advanced female consciousness was discovered in the early heroine novel like <LeeHyeonGyeongJeon>. Compared to the main character of <SeolJeoJeon>, who returned to the life of woman without hesitation, the main character of <LeeHyeonGyeongJeon> would not easily give up her heroine nature. This means that an earnest study was conducted on the women's sense of identity. Third, the work is noteworthy in that it is an early novel which fully describes 'the aesthetics of the im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Jang-Yeon, who is a male main character of <LeeHyeonGyeongJeon>, is dull and inferior to Hyeon-Gyeong in all respects. Even in a face-to-fac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characters, Hyeon-Gyeong defeats him. This suggests that the early heroine novel follow the aesthetics of the im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more faithfully than the works of the later generations do.

      • KCI등재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서사적 기반과 정착 과정

        정준식(Jeong, Jun-Sik) 한국문학회 2012 韓國文學論叢 Vol.61 No.-

        이 글은 여성영웅소설이 모색되던 17세기 말부터 나름의 장르관습이 완성되던 18세기 말까지를 초기 여성영웅소설시대로 규정하고, 이 기간에 창작된 여성영웅소설의 서사적 기반과 정착 과정을 탐구한 것이다. 초기 여성영웅소설은 ‘우월한 여성 대 열등한 남성’이라는 여성 우위의 구도를 기반으로 영웅담과 결연담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서사적 기반을 남장 여성의 영웅담, 한 남성 대 두 여성의 결연담, 여성 우위의 구도로 파악하고 이들의 생성 및 결합 양상을 검토하였다. 남장 여성의 영웅담은 17세기 말에 〈설저전〉에서 모색되고 18세기 초에 〈이현경전〉에서 완성되었다. 그 후 〈이현경전〉의 영웅담은 〈김희경전〉ㆍ〈홍계월전〉ㆍ〈하진양문록〉ㆍ〈부장양문록〉 등에 지속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 결연 담은 18세기 중반 이후 〈부장양문록〉ㆍ〈김희경전〉에서 온전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두 작품은 공히 ‘한 남성 대 두 여성’의 결연담을 핵심서사로 삼고 있는데, 이는 중국과 조선의 재자가인소설에 대한 풍부한 독서경험이 작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성 우위의 구도는 〈설저전〉을 제외한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공통 기반이 되었다. 다만 〈부장양문록〉ㆍ〈김희경전〉이 ‘한 남성 대 두 여성’의 결연담을 핵심으로 삼아 일부다처의 화락한 공존을 모색한 반면, 〈이현경전〉ㆍ〈홍계월전〉은 남녀의 극단적 대립을 그려내면서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초기 여성영웅소설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말에 이르는 기간 동안 모색, 형성, 정착되었다. 〈설저전〉은 여성영웅소설의 서사모형을 실험한 모색기의 작품이고, 〈이현경전〉ㆍ〈하진양문록〉ㆍ〈부장양문록〉은 〈설저전〉을 계승하여 단편과 장편의 여성영웅소설을 태동시킨 형성기의 작품이며, 〈김희경전〉ㆍ〈홍계월전〉은 각기 장편 및 단편 여성영웅 소설의 장르관습을 확립한 정착기의 작품이다. 초기 여성영웅소설이 정착되는 데는 남성영웅소설의 서사구조와 군담이 큰 영향을 끼쳤다. 이 과정을 통해 군담의 주체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뀌자 원래 지배이념을 수호하는 데 이바지하던 ‘국가서사’가 가부장적 모순에 대한 여성의 각성과 반발을 드러내는 ‘여성서사’로 성격이 바뀌었다. Early heroine novels show the aspects of combination of epic tales and love stories based on the female-dominant structure of ‘a superior woman to an inferior man’. Thereupon, this article understood the narrative ground of early heroine novels as the epic tales of a woman disguised as a man, love story of one man to two women, and the female-dominant structure and examined the aspects of their generation and combination. The epic tales of a woman disguised as a man was groped for in 〈Seoljeojeon〉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then was firmly established in 〈Yihyeongyeongjeon〉 at the early 18th century. After that, the epic tales of 〈Yihyeongyeongjeon〉 were constantly accepted in 〈Gimhuigyeongjeon〉ㆍ〈Honggyewoljeon〉ㆍ〈Hajinyangmunrok〉ㆍ〈Bujangyangmunrok〉, etc. to contribute greatly to establishing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ovels. Love stories came to have their integrity in 〈Bujangyangmunrok〉ㆍ〈Gimhuigyeongjeon〉 after the mid-18th century. The two works depict the nuclear narrative of love stories of ‘one man to two women’ in deed. The female-dominant structure became the common ground of early heroine novels except for 〈Seljeojeon〉. Early heroine novels were groped for, formed, and settled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il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Seoljeojeon〉 is the work in the period of groping to experiment the narrative models of heroine novels. 〈Yihyeongyeongjeon〉ㆍ〈Hajinyangmunrok〉ㆍ〈Bujangyangmunrok〉 are the works in the period of formation, and they succeeded to 〈Seoljeojeon〉 and quickened the birth of either short or full-length heroine novels. 〈Gimhuigyeongjeon〉ㆍ〈Honggyewoljeon〉 are the works in the period of settlement to establish the genre convention of either short or full-length heroine novels. In the settlement of early heroine novels, there was a great influence of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war stories of hero novels.

      • KCI등재

        <옥주호연>의 창작 방법과 여성영웅소설사적 의의

        김대곤(Kim dae gon)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지금까지 은 '여성의 자아실현'이나 '남성중심 사회에 대한 비판'을 보여준 작품이라고 평가되었다. 그런데 이 형성되었던 19세기부터 여성영웅소설이 점차 대중화되었던 점, 이 필사본보다 방각본이나 활자본으로 활발히 유통되었던 점, 여성영웅소설 가운데 진지성을 보이는 작품은 초기 여성영웅소설로 한정해야 된다는 주장이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점 등으로 인해 의 진지성에 대한 평가는 다시 한 번 검증되어야 할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그래서 이 논문은 의 창작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작품의 진지성을 재검토하고, 여성영웅소설사에서 이 어디쯤 위치해 있는가를 확인해보고자 했다. 선행연구의 거듭된 평가와 달리 은 초기 여성영웅소설이 보여준 진지성을 적지 않게 훼손한 작품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 작품은 초반에 여주인공과 가부장의 극단적인 대립을 통해 당대 남성중심 사회질서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지만, 중․후반으로 진행되면서 남장을 둘러싸고 남녀주인공이 속고 속이는 흥미로운 상황만이 강조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에 대한 논의는 작품 초반에 가부장과 심각하게 갈등하는 여주인공의 모습만을 확대하여 얻은 결론이지, 작품의 서사구조나 주제의식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평가라 할 수 없다. 초기 여성영웅소설 가운데 과 이 심각한 갈등상황을 통해 남성중심 사회질서에 대한 반감을 표출한 사실을 고려하면, 은 초기 여성영웅소설이 구현했던 남성중심 사회질서에 대한 반감을 흥미소로 활용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의 가치는 19세기 독서대중의 바람을 담아낸 작품이라는 데서 찾아야 한다. 19세기는 중세질서에 대한 회의가 점차 확대되면서 중세사회의 붕괴가 가속화되었고, 방각본이 유통되어 특권계층의 전유물이었던 문학작품이 민중으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19세기 사회적․문학적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은 중세질서에 대한 낭만과 불만을 보여준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사유에서 벗어나고자 했다.'남녀 균형의 서술시각'을 통해 중세적 가족질서를 둘러싼 갈등과 화합보다는 1:1의 남녀 애정관계를 지향했으며,'감춤-드러냄의 지연 구조'를 마련하여 남장을 기반으로 한 남녀주인공의 갈등을 흥미소로 활용하였고, 역사적 사건인'진교병변'을 활용하여 소설적 리얼리티를 확보해 나갔다. 이처럼 은 중세 사회에 대한 낭만과 불만을 보여준 초기 여성영웅소설의 사유에서 벗어나, 19세기 독서대중의 새로운 지향가치를 담아낸 작품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의 작품세계는 19세기 여성영웅소설의 향방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은 남녀주인공이 군담을 통해 혼란한 사회질서를 존화양이론적 국가질서로 재편함으로써, 유가적 지향가치인'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획득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남녀주인공이 노중에서 자유롭게 만나 동행하는 과정을 통해, 구획된 남녀의 영역을 깨뜨려 애정을 성취하는 탈유가적 지향가치를 추구하고 있기도 하다. 이렇게 에서 유가적․탈유가적 사유가 공존하는 이유는 19세기 문학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사대부와 민중의 바람이 혼효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즉, 은 초기 여성영웅소설에서 영웅담을 통해'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실현하려는 사대부의 바람을 계승하면서도, 19세기에 소설 향유층으로 새롭게 편입된 민중의 진솔한 생활감정을 반영하여'남녀 동행에 의한 애정성취'를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의 모습은 사대부와 민중의 사유가 혼효되는 과정 속에서 전대 작품과 다른 19세기 여성영웅소설이 형성되었음을 알려준다. has been evaluated as one ofthe heroine novelswhich combine heroic and tenacious tale of both men and women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handle 'criticism of androcentric society' or 'self-realization of woman'. However, seriousness of is in a position of revalidation because of the several aspects thatheroine novel became popular in 19th century when was written, that was distributed as a commercial novel and a printed books than as a manuscript, and that there was an argument to restrict recent heroine novels with seriousness to only those of early stage novels. Thus, this thesis is to re-evaluate by examining 's manner of writing, and to identify its position among heroine novels. Unlike a series of evaluations of advanced research, is considered as a literary work that deeply destroyed its seriousness, described in those of early heroine novels. This literary work presents a repulsion of male-dominated public order of the time by a radical conflict between heroine and patriarch at the beginning, however, as it continues to middle phase and the latter half, only deceiving situation between hero and heroine is emphasized. The discussion, that has made so far, was concluded by focusing on heroine from the radical conflictsbetween heroine and patriarch, but not the discussion based on a narrative structure nor thematic consciousn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described in and among heroine novels,which reflect a repulsion of a male-dominated society order, is a literary work that depicts the repulsion, realized in early heroine novels, as an interesting element. The value of should be found where the desire of reading masses in 19thcentury was included in this work. In 19thcentury, as the skepticism of medieval order expanded, the erosion of middle age was accelerated, and the distribution of commercial novels led expansion of a literature that had been an exclusive property of the privileged class. In response to thes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in 19th century, intends to break away from early heroine novels which reflect romance and dissatisfaction of medieval order. Through descriptive perspective of the man and woman balance, it preferred the 1 on 1 relation between the sexes than the conflict and harmony of medieval family order,and prepared an interesting element as a conflict between different sexes by 'hide-revelation lag structure'. , also, secured fictitious reality by utilizing historical event, such as 'jingyobyeongbyeon'. Therefore, the meaning of is a new intended value of 19th century to reading masses that were different to preceded heroine novels. Also, the world of can be a significant evidence to judge the direction of 19th century heroine novels. As reorganizing the order of nation through the war history, it shows how Confucian intended value, 'Cultivate your morals, manage the family, then rule a nation and the world,' can be gained. By accompanying two different sex characters, earned none-Confucian vision.The coexisting reasons of Confucian vision and none-Confucian vision are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of 19th century literature milieu andthe confusion of two different desires between privileged class and ordinary people. In other words, succeedsthe ideaof privileged class,'Cultivate your morals, manage the family, then rule a nation and the world,'yet, reflects the new life feelings,'achievement by accompanying woman and man,'of ordinary peoplewhohadnewly transferred thoughts about 19th century novels. These reflection provesanew form of heroine novel was made under the confusion of two different desires between privileged class and ordinary people.

      • KCI등재후보

        <하진양문록>에 나타난 여성영웅의 정서와 이중적 정체성 - 장르 결합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장시광 ( Jang Si Gwang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9

        이 글은 <하진양문록>에 나타난 여성영웅의 정서와 이중적 정체성을 살피고, 그러한 점이 이 작품에 여성영웅소설과 대하소설의 모습이 혼효되도록 한 계기가 됨을 밝히기 위해 기획되었다. 여주인공 하옥주는 다른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과 달리 규문의 죄인이라는 의식을 가지는데, 그 죄의식은 골육지변과 선술 습득, 남장 착용 때문에 발생한다. 하옥주는 이를 우애로써 동렬을 교화시키는 방법으로 해소하는데 이는 부도(婦道)를 통한 해소라는 점에서 대하소설의 서사 문법과 맥락을 같이한다. 하옥주는 이념과 성(性)의 면에서 이중적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이념 면에서 하옥주는 유가와 도가의 경계적 성격을 지닌다. 선계에 있을 때는 속계를 생각하고 속계에 있을 때는 선계를 그리워하는 이중적 모습을 보인다. 성적인 면에서 하옥주는 남자의 마음에 여자의 몸을 지닌 존재인바 이 때문에 능력과 자질이 자신보다 아래인 남편인 진세백과 갈등을 빚는다. 그렇지만 하옥주는 유가 이념과 여자라는 신분을 극복하지 못해 부도(婦道)를 지켜야만 했고, 그로 인해 그녀는 우울함의 정서를 함유한다. <하진양문록>은 여성영웅소설과 대하소설이 습합된 양상을 보인다. 제명이나 분량 면에서 대하소설의 면모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일대기로 끝난다는 점에서는 여성영웅소설과 유사한 면을 보인다. <하진양문록>에 장르적 결합이 일어나도록 한 결정적인 요인은 하옥주의 성격이다. 하옥주는 여성영웅소설의 주인공처럼 행동하지만, 길복 사건이나 동침 사건 등에서 남편에게 결국은 굴복당하고 부도를 지킨다는 점에서는 대하소설의 여주인공과 흡사한 면을 보인다. 하옥주는 전장에 나가지만 남성들과 대면하지 않고 도술로 적을 무찌른다는 점에서 여타 여성영웅소설의 여주인공과 다른 면모를 보인다. 신묘한 예지력으로 미래를 알아 남편을 돕는다거나, 전장에 나가지만 도술을 이용하는 모습은 대하소설의 여러 여성영웅이 습합된 모습이다. 이처럼 하옥주는 여성영웅소설과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여러 여성영웅의 모습이 결합된 새로운 유형의 여성영웅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a feeling of heroine and the dual identity on HaJinYangMunRok(<하진양문록>) and clarifying that the character of the long novel and the heroine novel is mixed because of it. HaOkJu believes she is a sinner of the boudoir because she got the Taoist magic and put on the cloths of male. She solves the trouble by reforming the another wife. HaOkJu has the dual identity in terms of the ideology and gender. She has the Confucianism and the Taoism in terms of the ideology. And she has a body of female and a spirit of male in terms of gender. She conflicts with JinSeBaek, her husband because of it. The mixed character of the heroine novel and the long novel is showed on this novel. The principal reason is due to the dual identity of HaOkJu. And She is a new heroine in terms of the long novel and the heroind novel.

      • KCI등재

        한ㆍ중 여성영웅소설 속 전통적 결혼관 비교 연구

        박송희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0

        소설이라는 장르가 기본적으로 인간의 삶 속에 내포된 모순과 갈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여성영웅소설을 바르게 이해하고자 할 때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여성영웅’의 형상화를 통해서 드러내고자 했던 문제의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동일한 문화권에 속하지만 각자의 문화적 독자성을 띤 한국과 중국에서 ‘여성영웅’에 대한 인식은 당연히 다를 것이며 그 인식을 기저로 창작된 소설 또한 특수성을 갖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러한 문제의식을 양국 여성영웅소설의 여성의식의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 여성의식을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하여 보여 주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한국의 여성영웅소설의 여성영웅은 여성도 독립적인 인격체라는 것을 깨닫고 공적인 영역에서 자아를 실현할 수 있기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남성중심적인 구식 혼인 제도는 그녀들의 자아실현을 가로막았다. 그래서 이들은 사회적 성공을 위해서 혼인을 부정하는 태도를 보였던 것이다. 즉 결혼은 사회학적 성에서 생물학적 성으로 되돌리는 전제로 인식했던 것이다. 중국의 경우 혼인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작품에서는 부모에 의한 중매결혼, 재혼 금지 등 전통적 결혼의 불합리성에 대해 반발의식과 추구의식만 드러낼 뿐, 결혼이란 자체가 여성의 자아를 구속하는 장치임을 깨닫지 못한다. 그래서 작품에 나오는 여성영웅들은 혼인의 불합리성만 깨달을 뿐, 전통 혼인과 여성 자아실현 간의 갈등을 전적으로 인식하지 못했던 것이다. 중국소설에서 문제 삼는 것은 남녀의 성별 역할을 구분해놓은 규범 자체가 아니라 그 안에서의 인격적 평등이다. 반면 한국은 제도권으로의 진입에 성공한 후에는 애초에 문제 삼았던 남성적 제도나 규율의 차별성을 더 이상 문제 삼지 않고 오히려 그 제도에 철저히 동화되어가고 있다. 즉 중국의 여성영웅소설은 현실의 제도를 인정하는 소극성을 보이기는 하나 그 안에서나마 여성들의 구체적 현실을 포착하고 그에 입각한 저항 정신을 표출하는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이 경우 기존의 제도나 관습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분명하다. 그러나 여성 현실과 밀착되어 있으면서 인격적 평등이라는 존재론적 차원의 근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좀 더 진지한 성찰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China and Korea has a very active communication since ancient times because of the near geographic location. Buddhism was state religion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and Tang Dynasty; Confucianism was the main governance idea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Ming & Qing Dynasty. China and Korea we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that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had been fixed in the contemporary. Under the influence of patriarchy, women of those two countries were regarded as man’s possessions, living a depressed life. Bu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and the impact of new ideas, there’s a new change to people’s understanding of women and women’s understanding of themselves. Female consciousness awakening means to realize that women suffer from disadvantages just because they are women, the understanding of reality and the will of self-realization, etc. So,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female hero novels, the female consciousness of the heroine would be the point. In this study, by making a comparison with female consciousness in Chinese and Korean female hero novels, especially finding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rom the attitude to the traditional institution of marriage, indicates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of two countries’ cultures. The awaken female heroes in Korean female hero Novels have an independent personality. They wanted to realize their abilities in all the social fields. But, male-centered old marriage system hindered their self-realization. Therefore, for their success in the society, they held a negative attitude to the marriage. That is, they considered the marriage as a tool which converts social sex (gender) into biological sex. In short, the Korean female hero novels are enterprising and anomalous ones which ignore the regulation of contemporary “gender” and infringe the male field bravely. But, the Chinese female hero novels do not appear the negative consciousness to the marriage. In novels, they held the rebellion consciousness and the pursuit of freedom to the irrationalities of traditional marriage, such as forced marriage by parents, prohibition of remarriage, matched marriage and so on. But, they still haven’t realized that marriage itself is the restraint to female self. Therefore, female heroes in the novels just awake the irrationality of marriage. But to the contradiction between traditional marriage and female self-realization is not fully realized. In Chinese female novels, the focus is not on distinguishing the specification of gender roles, but on the equality of personality in the specification.

      • KCI등재

        고전대하소설에 나타난 시비(侍婢)와 영웅적 여성인물의 관계성 고찰

        김민정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4 No.-

        Maids in classical epic novels are mainly helpers who serve their masters. Regardless of how excellent female owners belonging to the gentry ar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carry out their schemes due to the conservative nature of women of their status. That is why maids came to act as substitutes for owners. Maids can be divided into internal helpers and external helpers according to the space in which they perform their task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owners. This differentiation between types of help is even more prominent in cases where the owner is constructed as a “heroic female character” with excellent abilities. In classical epic novels, the trajectories of “heroic female character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female protagonists in female hero novels. Whereas female protagonists in female hero novels are portrayed as trying to escape from the life of a settled woman, the heroic female characters in classical epic novels are portrayed as conservative figures who conform to Confucian ideology without deviating from their lives as women while also living a life similar to that of female heroes in novels. Therefore, maids who serve heroic female characters carry out unethical and unfeminine actions in place of their owners so that the owners do not deviate from Confucian ideology. In this process, despite their active approaches, each maid is taken advantage of and used as a means for an end. This is an example of the reality of maid maids who were excluded and discriminated against within narratives. 고전대하소설의 시비는 기본적으로 주인을 조력하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사대부가 여성인 주인이 아무리 뛰어나다고 할지라도 그들의 신분이 가진 보수적인 특성으로 인해 활발하게 계교를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주인의 대리인으로 형상화되는 것이 바로 시비들이다. 따라서 시비의 유형을 시비의 수행 공간과 주인의 존재 유무를 기준으로 크게 내부형 조력자와 외부형 조력자로 나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비의 조력자적 성격은 주인이 뛰어난 능력을가진 ‘영웅적 여성인물’로 형상화될 경우에 더욱 두드러진다. 고전대하소설에서 ‘영웅적 여성인물’은 여성영웅소설에서의 여성영웅과는 방향성이 다르다. 여성영웅소설에서의 여성영웅이 고착화된 여성으로서의 삶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인물이라면, 고전대하소설에서의 영웅적 여성인물은 여성영웅의 삶의 양상과 흡사한 유형으로 묘사되면서도 여성으로서의 삶을 벗어나지 않고 유교적 이념을그대로 순응하는 보수적인 인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전대하소설의 시비들은그들의 주인이 유교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주인의 비윤리적, 비여성적 행위를 대신한다. 이 과정에서 시비들은 그들의 적극적인 양상과는 별개로 도구화된다.

      • KCI등재

        女性英雄의 敍事的 傳統과 古小說에서의 受容과 變貌

        김용기(Kim Young-Ki)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2

        이 글은 여성영웅의 서사적 전통과 고소설에서의 수용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여성영웅의 개념을 ‘여성 우위’나 ‘내조적 여성영웅’과 같이 ‘남성성’이나 ‘남성영웅’을 염두에 둔 기존의 방식과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여성영웅의 능력 발휘는 여성의 자아성취라는 내적인 자족성과 연결될 때 의미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여성영웅의 능력발휘나 자아성취는 남성(남편)을 통해 대리적으로 드러나는 경우와, 여성 스스로의 노력과 행위에 의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필자는 전자에 해당하는 경우를 ‘잠재적 여성영웅’으로, 후자를 ‘실현적 여성영웅’이라고 명명했다. 전자의 경우는 설화에 나타나는 인물들인, 소서노, 평강공주, 우씨, 후녀, 신혜왕후 유씨, 장화왕후 오씨를 예로 들어 논의하였다. 그리고 후자에 해당하는 여성으로는 초기 여성영웅소설인 〈설저전〉의 설소저, 후기 여성영웅소설인 〈방한림전〉의 방관주를 예로 들었다. 이어서 전대의 설화문학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던 ‘잠재적 여성영웅’이 조선후기 고소설에서도 여전히 지속되어 나타났다는 점을 몇몇 작품의 여성들을 통해 제시하여, 여성영웅이 어느 특정 시기에 충동적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오랜 서사적 전통을 가지고 지속되고 변모되었음을 논의하였다. 여성영웅에 대한 이러한 필자의 논의는 여성영웅의 개념과 유형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공유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on researching the narrative tradition of heroines and the aspect of heroine acceptance in the old novels. Traditionally, masculinity and novel’s hero were kept in mind but the writer tried to approach heroinesfrom a different viewpoint which is focusing on women have the advantage over men and supportive heroines. Showing heroine’s ability was meaningful when it connected to the mental self-sufficiency of fulfilling themselves. There were two cases of showing heroine’s ability and self-fulfillment. One was that they were revealed by her husband and the other was that they were realized by heroines’ efforts and behaviors. The writer named the former ‘potential heroine’ and the latter ‘self-realization heroine’. On the examples of the former, the heroines of narrative novels like Soseono, Pyeongkang, Woosi, Whonyeo, Queen of Shinhei and Yousi were mentioned and the examples of the latter were Seolsojeo in the early heroine novel, 〈Seoljeojeon〉 and Bangkwanjoo in the late heroine novel, 〈Banghanrimjeon〉. On the basis of a few works, the writerpresented the facts that ‘the potential heroines’of the early narrative novels appeared continuously on the late old novels of the Joseon Dynasty and heroine was not a sudden appearance but a continued change with a historical tradition. The writer’s opinion of heroine is significant on the point of that it casts new consciousness on the notion of heroine and the classification of type.

      • KCI등재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방한림전>의 여성적 시각

        곽보미(Bo-mi Kwak)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6

        <방한림전>은 남성 주인공이 없고 여성과 여성 간의 동성혼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온 작품으로,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에 비추어 보았을 때 상반된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런데 여기서 두 가지 문제를 제기 할 수 있다. 하나는 여성 간의 동성혼 화소가 여성영웅소설에서 흔히 발견되는 화소라는 점, 다른 하나는 장르관습에 대한 구체적이고 일정한 기준이 부재한 채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기실 장르관습으로부터의 이탈 지표는 특정 화소의 유무 및 변화였던바, 역으로 관습적으로 통용되는 주요화소가 존재한다면, 이 화소를 장르관습을 나타내는 지표로 가정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여성영웅소설의 주요화소와 서사패턴 중 일부는 <방한림전>을 포함한 여성영웅소설에서 공통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곧 <방한림전>이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을 준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방한림전>의 경우, 주요화소의 결합 순서 및 서사전개 상의 위치에 차이를 보인다. 남장 화소 뒤에 부모부재 화소가 결합하고, 동성혼 화소 뒤에 정체고백 화소를 결합함으로써 남장과 동성혼 화소의 성격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 적강과 천정연 화소가 작품 후반부에 결합함으로써 여타영웅소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에 작자의 문제의식이 개입돼 있다는 사실이다. 동성혼이 방관주의 정체를 은폐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써 인식된 점, 반동인물인 주유랑을 여성영웅소설의 유형적 인물로 설정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무엇보다 영혜빙이 그간 동성혼에서 배제돼 있던 또 다른 여성의 존재를 주목하여 재창조해 낸 인물이라는 사실이다. 영혜빙은 가부장적 질서와 유교 이념에 의해 재현된 여성인물로부터 탈피하여, 가부장제의 여성상을 거부하고 남성젠더와 동등한 지위를 얻고자 한다. 이로 인해 <방한림전>의 동성혼은 남성으로서의 삶과 남성에게 통제 받지 않는 여성의 삶을 살고자 한 여성들의 연대라는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영혜빙은 방관주와의 관계에서도 종속된 존재로서의 여성상을 거부한바, 가부장제의 여성 지위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결국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에 대한 작자의 문제제기이며, 이로써 ‘여성들’의 주체적인 삶에 대한 하나의 모색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Banghanlimjeon has been noted, because it has no male character and the marriage between two women. In view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it has been antithetically evaluated. However, there are two problems: 1)The marriage between two women is the motif commonly found in Heroine Narrative. 2)Banghanlimjeon is discussed without specific standards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In fact, if there are motifs generally used between the narratives, it’s possible to assume that these belong in the same category. Actually, there are primary motifs & narrative patterns in the heroine narrative. It means Banghanlimjeon is based on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However, the changes of bond order and position of primary motifs in the epic make differences. The important thing, these changes are caused by an author who has a critical mind. It is supported by using same-sex marriage and setting antagonist, Joo Yu-Rang, who has a typical character in the heroine narrative. Above all, Yeong Hye-bing is recreated from the female characters who are ruled out of marriage. She comes out of them who are reproduced by the patriarchal system and Confucianism. With this, the same-sex marriage is becoming a solidarity between women who want to live each gender role without patriarchal control. In the end, Banghanlimjeon is created by an author who has a critical mind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