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배후에 있는 개신교신학 전통 고찰

        최준호,김회권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The anachronistic Apartheid policy of RSA was legislated mostly during the 3 years from 1949 to 1952 and has had a destructive effect on the division of RSA into the white ruling groups and the oppressed and marginalized African natives until it was officially terminated in 1994. It is widely known that a few Christian theologies and their vehement proponents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legalization of the Apartheid policy and its half-century long enforcement in all the areas of RSA people’s life. More specifically the late 19 th Dutch reformist theology represented by Abraham Kuyper has been imputed to have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Apartheid policy into RSA, coupled with two other theological tenets such as the 19 th century race-focused mission theology and pietistic theology. A great deal of studies have thus appeared, which shed a positive light on the 19 th century Dutch reformist theology and its spokesman Abraham Kuyper’s idea of Sphere Sovereignty. Kuyper’s idea of sphere sovereignty has been influential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es. The present essay aims to show how Kuyper’s idea of sphere sovereignty has been utilized by the RSA’s Afrikaners in their attempt to forge an Apartheid theology. The thesis of this paper is that three Protestant theologies, esp. including the DRC’s so-called sphere sovereignty theology have been instrumental in the rise of the Apartheid policy. I have set forth three supporting evidences. First, the Apartheid policy was initiated and carried out by a number of theologians that claimed to aligned themselves with Kuyper’s theology of sphere sovereignty. Seven leading DRC theologians played a vital role in the legislation of the Apartheid based on their poor understanding of Kuyper’s theology in general and his idea of sphere sovereignty in particular especially during the 1940-50s. Furthermore, it has been shown that this idea of sphere sovereignty has been applied to public education, governmental policydecisions, and judicial areas. By this universal implementation of the idea of sphere sovereignty, the enforcers of the Apartheid remained convinced that they materialized Kuyper’s theology of God’s universal reign over all areas of human life. Secondly, Gustaw Warneck;s racist mission theology has been utilized to justify the white ruling groups’ separation of white people from black people. Thirdly, the 19th century pietistic theology has been capitalized upon to justify the Apartheid by privatizing the Christian faith. The present article ends with a caveat that we should be careful not to misuse or twist a Western theology when we try to recontextualize it in a Korean context.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백인 이민자들의 흑인 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이 공식적으로 법제화되어 강행된 기간은 20세기 중반(1948-1993년)의 약 반 세기 동안이었다. 1948년부터 1993년까지 발생한 남아프리카의 흑인들에 대한 백인정부의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차별과 억압은 개신교신학의 후원으로 가속화되었다. 개신교신학의 세 전통이 아파르트헤이트의 기획과 집행에 기여했다. 분리를 통한 번영을 추구한 네덜란드 개혁신학의 창조신학, 흑인차별을 정당화한 선교신학, 그리고 경건주의 신학이다. 이 중에서도 19세기 말 20세기 중반까지 맹위를 떨친 네덜란드 개혁신학의 영역주권론은 아파르트헤이트의 기획과 집행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네덜란드 개혁파 신학의 영역주권론에 재래적인 한국교회의 연구들은 그것이 칼뱅주의 신학의 상속자라고 예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네덜란드 개혁신학의 선봉이었던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론’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백인정부가 강행했던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에 끼친 부정적 영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본 논문의 중심논지는 남아공 (RSA)에서 일어난 거의 반세기 동안의 아파르트헤이트는 개신교 신학의 세 전통에 의해 지지되고 견인되었는데 그중에서도 네덜란드 개혁교회(Dutch Reformed Church, 이하 DRC)가 백인정부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입안, 기획, 실행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이 영향은 어떤 경우는 직접적 영향이며, 또 다른 경우에는 간접적 영향(개신교 신학전통의 축소이해, 혹은 오용)이다. 이 논지를 뒷받침하는 논거는 세 가지이다. 첫째, 남아공의 백인정부가 장기간 흑인차별을 정당화하는 과정에 네덜란드 개혁신학인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의 영역주권론을 활용 하였다는 것이다. 영역주권론을 신봉하는 신학자들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입안에 관여했다. 남아공 개혁교회(DRC)는 일곱 명의 신학 대변인들을 통해 아파르트 헤이트의 초기 입법화에 지대하고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신학적 이데올로기로 작동한 이 영역주권론은 영역주권론을 가르친 공교육 교과서, 정부 문서 외에 사법적 판단 시에도 인용되었다. 둘째, 아브라함 카이퍼의 창조신학과 궤를 같이하는 구스타프 바르넥(Gustav Adolf Warneck, 1834-1919)의 인종차별적 선교신학이 교회의 흑백분리를 넘어 사회정치경제적 흑백분리를 초래했고 백인에 대한 흑인 차별을 정당화했다. 셋째, 경건주의 신학이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를 묵인하거나 방조했다. 본 연구는 특별히 한국의 보수적 장로교단에서는 아브라함 카이퍼의 신칼뱅 주의 신학의 창조적 기여로 인정받는 ‘영역주권론’이 남아공에서 오용되었을 가능 성을 밝힘으로써 서구신학을 수용함에 있어서 철저한 분석과 비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점을 경각시키고자 한다.

      • KCI등재

        파농과 비코 이후

        하상복(Ha, Sang-Bo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80

        이 글은 1994년 새로운 시작이 선언되었음에도 여전히 극복되지 않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의 문제들이 어떤 측면에서 초래되었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탈식민 투쟁에 직접 참여하며 진정한 흑인 해방을 위해 핵심적인 제안을 했던 프란츠 파농(Franz Fanon, 1925∼1961)의 사상과, 이러한 파농 사상의 영향을 받은 스티브 비코(Steve Biko, 1946∼1977)가 주도했던 ‘흑인의식 운동’(Black Consciousness Movement)의 관점에서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post-apartheid) 시기의 문제들을 검토한다. 오늘날 남아공의 현실을 논의하기 위해 파농과 비코의 관점에서 일차적으로 주목할 것은 완전한 탈식민화와 진정한 흑인 해방을 수행할 주체인 ‘민중’의 중요성이다. 이 부분은 민족 국가, 민족 정당과 민족 엘리트가 가질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한 파농과 비코의 예견과 관련된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아프리카민족회의(African National Congress, 이하 ANC)가 주도했던 백인 세력과의 타협과 흑인 정부의 출발을 평가하면, 그것이 민중이 배제된 위로부터의 타협이고 민중의 경제적 해방을 무산시킨 형식적 해방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민중의 대의를 거스르는 흑인정부의 문제점은 1994년 이후 채택되고 운영한 경제 정치 프로그램에서도 파악된다. 그 프로그램은 파농과 비코가 주장한 ‘인간’ 중심이 아닌 ‘자본’과 ‘시장’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이전 보다 더욱 강화된 불평등과 차별을 초래한다. 이런 문제를 고려할 때,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체제는 파농과 비코가 소망한 새로운 세계가 아니며, 기존 백인 세력과 변절한 일부 흑인들이 경제적, 정치적 영역에서 또 다른 차별과 억압을 강화하고 있는 체제로 판명될 수밖에 없다. 또한 흑인정부는 진정한 흑인 해방을 위해 민족정부가 가장 경계해야 할 양상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흑인 정부는 권력과 경제적 이득을 유지하고 확대하고자 인종주의와 종족 중심주의 등을 동원하는 등 민중의 대의에 역행하는 구시대의 악습을 반복하고 있다. 흑인 엘리트들도 흑인 대중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지적 나태함과 정신적 빈곤을 드러내며 개인주의적이고 속물적인 민족 부르주아지로 전락해버렸다. 파농과 비코의 경고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이 백인보다 더 하얀 얼굴을 취하면서 민중을 억압하는 존재로 추락해버린 것은 흑인 해방운동과 반아파르트헤이트 투쟁의 실패를 의미한다. 따라서 신(新)아파르트헤이트 체제 혹은 아파르트헤이트의 현대판으로 간주할 수 있는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체제의 문제들은 그 극복을 위해 흑인 민중에게 다시 해방의 여정에 나서야 한다는 과제를 던지고 있다. 오늘날 흑인 민중은 악화된 그들의 삶을 보다 인간적인 삶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힘든 또 다른 시작을 준비해야만 한다. 그 출발점은 현재 출현하고 있는 아래로부터의 다양한 실천들이 주장하는 대의에 동참하는 것이다. 그리고 불평등과 차별을 심화시킨 체제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개인, 지역, 국가 내의 ‘인간’ 중심적인 실천들의 연대를 통해 함께 문제제기를 하고 행동에 나서는 것이다. 이러할 때 파농과 비코가 바라는 ‘인간’적 얼굴을 가진 새로운 세계가 도래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socio-political issues happened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after the 1994 transition. Especially, this paper gives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problems that brought about by the members of the ruling elite in the ANC(African National Congress) and the black bourgeoisie from the perspectives of Frantz Fanon and Steve Biko. One notable idea among many that Fanon and Biko shared is the importance of ‘the people’ who are the main agents of decolonization and black liberation movement. This idea is relevant to the predictions of Fanon and Biko about the corruption and degeneracy of the national government, the national elites, and the national bourgeoisie. Based on this, several important events and programs were turned out to be against the cause of the people. The people were exclusive in the compromise between ANC and White rule of De Klerk, and they did not have the benefit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programs of the black government. After all, post-apartheid South Africa made a set of beneficiaries that included some of black leaders, the black elites, and the former ruling whites, and caused serious situation that inflicted pain on the majority of apartheid’s black victims. Furthermore, the members of the ruling elite did not grow out of old wrong practices that must be watched strictly. They fell back toward old tribal attitudes, organized tribal dictatorship, and used racist propaganda and xenophobic practices in order to maintain power and get some economic advantages. While they won the backing of the black people and then obtained power, they became the black who are whiter than the whites as Fanon and Biko strongly warned. So the leaders and elites in the black government led the black people to be in a more difficult and terrible position than they were. Therefore, these situations and facts considered, post-apartheid South Africa can be characterized as the modern edition of apartheid, not the beginning of the new world for the people. Not only does this make proof of the failure of creating the new world of equality and freedom, but encourages the black people to raise questions and act in solidarity with the groups of like-minded persons for achieving the human-centric world, not market-centric or capital-centric one.

      • KCI등재

        Reviewing South Africa’s Economic Role in Africa

        Hwang, Kyu Deug(황규득) 한국아프리카학회 2013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39 No.-

        1994년 첫 민주선거 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은 국제사회에서 공식적으로 민주정부로 인정을 받아 아프리카 역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주목을 받았다. 특히, 대아프리카와의 경제관계에 있어 서 남아공은 해외투자와 무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남아공은 자본, 상품, 인구이동을 촉진시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아프리카와의 경제관계에서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주도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는 남아공의 경제적 역할이 과연 어떠한 성격과 양상을 띠며 발전해왔는지에 대한 의문을 던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아파르트헤이트가 종식된 1994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인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첫10년 기간을 중심으로 남아공의 경제적 역할이 아프리카 대륙에 제기한 기회와 도전에 주목하면서 남아공-아프리카 경제관계를 재고찰하는데 주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국제사회로부터 따돌림을 받은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에서 정당성을 입증 받은 민주국가로의 재부활은 남아공 정부에게 국제사회와 특히 아프리카 역내 국가들과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리더십을 요구 받고 있다. 이러한 틀 속에서 남아공 경제계는 아프리카와의 경제관계에 있어서 광산과 에너지 영역을 뛰어 넘어 소매업, 건축, 제조업, 교통, 통신을 포함한 보다 폭넓은 영역에서의 주도적인 역할자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아프리카에서 남아공의 이러한 경제적 역할 부상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복잡한 이해와 도전을 제기하였다. 비록 이 시기 남아공은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주요한 해외 투자국으로 부상하였으나 남아공의 경제적 역할은 그 성격, 본질, 및 특징 면에서 비평적 재고찰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 하에서 특별히 남아공-아프리카 간 무역과 투자 관계의 성격과 특징을 중심으로 상기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Following its first democratic elections in 1994, South Africa officially rejoin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nations and immediately encountered expectations that it would provide leadership on the African continent. In terms of economic dimension, in particular, South Africa has asserted its presence on the continent through foreign investments and trade in Africa. In doing so, South Africa has become an important player in driving the flow of capital, goods and people on the continent. However, it is important to raise such a question that whether and how South Africa as the strongest economy in Africa has played its economic role on the continent. In this context, the paper attempts to reflect on South Africa’s economic role in Africa since the end of Apartheid era until the middle of 2000s with focusing on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at the role has created. Experiencing the transition from pariah to legitimate player, thus, the international prestige attached to South Africa’s democratic transition has conferred a new leadership role on the region’s prospects and projects. In this sense, the paper argues that South African businesses have emerged as the leading investors on the continent let alone the mining and energy sectors. In addition, South African businesses have been involved in various economic sectors including retail, construction, manufacturing, transport and telecommunications. However, the prominence of South Africa as a new economic player in Africa has proposed complexiti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post-Apartheid South Africa’s role on the continent. Although South Africa has been an active foreign investor in many African countries in the post-Apartheid period, yet, South Africa’s active economic involvement in the continent needs to be critically reconsidered within the context of the nature, character and type of South Africa’s economic relations with the other African countries. Thus, the paper tries not only to illuminate the character of South Africa’s trade relations with the rest of Africa but also to deal with the nuanced understanding of South Africa’s investment in Africa.

      • KCI등재

        REWRITING THE HISTORY IN THE POSTAPARTHEID AFRIKAANS LITERATURE

        Moon, Jihie(문지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이 논문은 역사와 문학과의 관계성이란 관점에서 남아공의 작가 크리스토플쿠치어 Christoffel Coetzee의 『멘츠 장군을 찾아서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를 분석하고 있다. 남아공 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사회에서도 역사의 사실성과 허구성에 대한 문제, 역사기록의 주관성이나 재해석의 문제는 단순한 철학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실제로 호흡하고 느끼는 역동적인 현실에 관한 것임에 틀림없다. 문학 속 역사의 재구성 또는 역사소설에 접근하는 다양한 관점들은 『멘츠 장군을 찾아서』를 읽는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이 작품은 백인 제국주의의 역사와 더불어 보어전쟁을 바라보는 식민주의 역사관에 신선한 물음표를 던지며, 역사시간에 배운 보어전쟁에 관한 아프리카너의 역사기술과 실제 과거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분명히 시사한다. 작품 제목과는 달리, 이 소설은 전쟁영웅으로서의 멘츠장군의 행적을 추앙하며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전쟁 속에서 펼쳐지는 아프리카너들의 잔인함과 악행들을 조명하며, 지금껏 추앙 받았던 전쟁영웅들과 아프리카너 신화에 일침을 가하고 있다. 이로써 쿠치어의 소설은 보어전쟁 백 주년을 맞은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남아공에서 전쟁을 재평가하고 재해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거대담론의 전복, 사실과 허구의 문제, 파편적 주체와 연대기적 기술의 문제를 조명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역사와 문학의 관계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아파르트헤이트의 몰락을 기점으로 하는 1990년대 초 이래 지금까지 수많은 남아공 문학작품들은 타자의 관점에서 ‘역사 다시쓰기’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남아공 문학계의 중요한 특징이기도 하다. 『멘츠 장군을 찾아서』가 표방하고 있는, 숨은 역사를 찾아 온전한 과거를 기록하려는 시도는 역사의 민주화와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왜냐면 이러한 시도는 역사를 읽는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미래를 향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쿠치어의 소설이 출간된 훌륭한 타이밍을 결코 우연으로만 볼 수 없는 이유이다. 이는 보어전쟁 백 주년에 즈음하였던 시기였으며, 정권교체와 더불어 과거의 역사기술이 얼마나 왜곡되었는지, 그리고 정치의 변화에 따라 우리가 진실이라고 간주하던 것이 얼마나 허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의식이 남아공 사회 전반에서 그 무엇보다 큰 관심을 받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아프리카너 정체성에 대한 해체와 재평가를 시도하는『멘츠 장군을 찾아서』는 남아공의 민주적 미래상에 부합하는 관점과 가치관으로 ‘역사 다시 읽기’를 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신선한 지적 도전임에 틀림없다. In this paper I concentrate on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 (1998) by Christoffel Coetzee, as a good example that shows the processing of history into literatu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not only of South Africa but also of Korea), issues such as the problematizing of history, the questioning of facts that were once accepted, the relativisation of the importance of issues and events in the past and the present, scepticism about the authenticity of information and acceptance that fact and fiction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are not limited to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but form part of the normal way in which people actually experience reality. These various perspectives on history and literature could be utilised in this study with regard to the reading of the text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 This novel introduces an unsettling adaptation of the popular representation of the Boer War and makes it clear that Afrikaner historiography and the past do not necessarily coincide.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 does not portray a heroic general, but the unbridled brutality of a group of Boer warriors. This book presents a thorough demythologising of the official history of the Boer War. The text not only provides an extremely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re-interpretation of the Boer War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it also displays text attributes that could be accepted as postmodern problematiz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subversion of a master narrative, undermining the boundary between fact and fiction, the fragmentation of the subject and the linear narrative presentation. The rewriting of history in fiction by its reclamation through the eyes of the Other has taken definite shape since 1993 with the lifting of the conventional separation between historiography and fiction. The documentation of the past and the perception of "hidden history" in this novel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democratise the historical record. This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n archive for the future and an alternative form of historical documentation. In this spirit, Coetzee"s novel made a timely appearance; on the one hand it was a year before the anniversary of the Boer War and on the other hand, it was within a broader era in South African history where greater consciousness was developing with regard to how historiography had been manipulated in the past, how it was perverted and rigged, and how what was regarded as truth, changed when the seats of power were warmed by other rulers.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 could be considered as an intellectual challenge that reclaims the images of the past so that they may bear fruit in the future South Africa. 이 논문은 역사와 문학과의 관계성이란 관점에서 남아공의 작가 크리스토플쿠치어 Christoffel Coetzee의 『멘츠 장군을 찾아서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를 분석하고 있다. 남아공 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사회에서도 역사의 사실성과 허구성에 대한 문제, 역사기록의 주관성이나 재해석의 문제는 단순한 철학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실제로 호흡하고 느끼는 역동적인 현실에 관한 것임에 틀림없다. 문학 속 역사의 재구성 또는 역사소설에 접근하는 다양한 관점들은 『멘츠 장군을 찾아서』를 읽는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이 작품은 백인 제국주의의 역사와 더불어 보어전쟁을 바라보는 식민주의 역사관에 신선한 물음표를 던지며, 역사시간에 배운 보어전쟁에 관한 아프리카너의 역사기술과 실제 과거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분명히 시사한다. 작품 제목과는 달리, 이 소설은 전쟁영웅으로서의 멘츠장군의 행적을 추앙하며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전쟁 속에서 펼쳐지는 아프리카너들의 잔인함과 악행들을 조명하며, 지금껏 추앙 받았던 전쟁영웅들과 아프리카너 신화에 일침을 가하고 있다. 이로써 쿠치어의 소설은 보어전쟁 백 주년을 맞은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남아공에서 전쟁을 재평가하고 재해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거대담론의 전복, 사실과 허구의 문제, 파편적 주체와 연대기적 기술의 문제를 조명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역사와 문학의 관계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아파르트헤이트의 몰락을 기점으로 하는 1990년대 초 이래 지금까지 수많은 남아공 문학작품들은 타자의 관점에서 ‘역사 다시쓰기’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남아공 문학계의 중요한 특징이기도 하다. 『멘츠 장군을 찾아서』가 표방하고 있는, 숨은 역사를 찾아 온전한 과거를 기록하려는 시도는 역사의 민주화와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왜냐면 이러한 시도는 역사를 읽는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미래를 향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쿠치어의 소설이 출간된 훌륭한 타이밍을 결코 우연으로만 볼 수 없는 이유이다. 이는 보어전쟁 백 주년에 즈음하였던 시기였으며, 정권교체와 더불어 과거의 역사기술이 얼마나 왜곡되었는지, 그리고 정치의 변화에 따라 우리가 진실이라고 간주하던 것이 얼마나 허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의식이 남아공 사회 전반에서 그 무엇보다 큰 관심을 받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아프리카너 정체성에 대한 해체와 재평가를 시도하는『멘츠 장군을 찾아서』는 남아공의 민주적 미래상에 부합하는 관점과 가치관으로 ‘역사 다시 읽기’를 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신선한 지적 도전임에 틀림없다. In this paper I concentrate on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 (1998) by Christoffel Coetzee, as a good example that shows the processing of history into literatu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not only of South Africa but also of Korea), issues such as the problematizing of history, the questioning of facts that were once accepted, the relativisation of the importance of issues and events in the past and the present, scepticism about the authenticity of information and acceptance that fact and fiction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are not limited to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but form part of the normal way in which people actually experience reality. These various perspectives on history and literature could be utilised in this study with regard to the reading of the text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 This novel introduces an unsettling adaptation of the popular representation of the Boer War and makes it clear that Afrikaner historiography and the past do not necessarily coincide.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 does not portray a heroic general, but the unbridled brutality of a group of Boer warriors. This book presents a thorough demythologising of the official history of the Boer War. The text not only provides an extremely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re-interpretation of the Boer War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it also displays text attributes that could be accepted as postmodern problematiz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subversion of a master narrative, undermining the boundary between fact and fiction, the fragmentation of the subject and the linear narrative presentation. The rewriting of history in fiction by its reclamation through the eyes of the Other has taken definite shape since 1993 with the lifting of the conventional separation between historiography and fiction. The documentation of the past and the perception of "hidden history" in this novel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democratise the historical record. This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n archive for the future and an alternative form of historical documentation. In this spirit, Coetzee"s novel made a timely appearance; on the one hand it was a year before the anniversary of the Boer War and on the other hand, it was within a broader era in South African history where greater consciousness was developing with regard to how historiography had been manipulated in the past, how it was perverted and rigged, and how what was regarded as truth, changed when the seats of power were warmed by other rulers.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 could be considered as an intellectual challenge that reclaims the images of the past so that they may bear fruit in the future South Africa.

      • KCI등재

        남아프리카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 형성과 인종차별 극복의 화해신학*

        최준호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3 복음과 선교 Vol.62 No.-

        South Africa's 50-year history of Apartheid (‘separation’ in Africans) lasted from 1948 to 1994. The white regime intensified human rights violation against the black by implementing racial discrimination policies against the black during this period. This paper shows that in the history of missionary in South Africa, Apartheid had signs of origin from the beginning. Missionary in South Africa began in earnest long after white people migrated from Europe, starting with the London Mission. Later, the South African Protestant community, led by the Dutch Reform Church, began the history of racism in earnest by preparing for the era of Apartheid. This paper describes the detailed process and presents evidence related to Apartheid, focusing on important persons. In addition, in this paper, it will be looked at black and Ubuntu theology, a Protestant effort to overcome the era of racism. The central persons in South African reconciliation theology are a black theologian, Dr. Alan Boesak(1946–present), and Anglican Archbishop Desmond Tutu(1931–2021), who presented Ubuntu theology. While dealing with the reconciliation theology, this paper concludes by briefly discussing the implic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and presenting subsequent studies.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은 약 50년간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아프리칸스어로 분리, 분열) 역사가 1948년~1994년까지 진행되었다. 백인 정권은 이 시기에 흑인에 대한 인종적 차별정책을 실행하여 흑인에 대한 인권침해를 심화시켰다. 본 논문은 남아공 선교역사 속에서 아파르트헤이트는 기원이 시작부터 조짐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남아공의 선교는 백인들이 유럽에서 이주한 이후 한참 후인 1795년 런던선교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에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주도하는 남아공 개신교계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를 준비하며 본격적으로 인종차별의 역사를 시작하였다. 이에 대한 본 논문은 자세한 과정을 서술하고 주요 핵심 인물을 중심으로 아파르트헤이트와 연관된 근거들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인종차별의 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개신교의 노력인 화해신학을 흑인신학과 우분투(Ubuntu) 신학을 살펴볼 것이다. 남아공 화해신학의 중심인물은 흑인신학자 알란 보삭(Allan Boesak, 1946∼현재) 박사와 우분투 신학을 제시한 데스몬드 투투(Desmond Tutu, 1931∼2021) 성공회 대주교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화해신학을 핵심적으로 다루면서 앞으로 한반도의 통일에 있어서 시사하는 점들에 대하여 간략하게 논의하고 후속적인 연구에 대해 제시함으로 결론에 도달한다.

      • KCI등재후보

        교회와 국가의 관계: 아파르트헤이트와 신약성경 해석을 중심으로

        송영목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1 No.-

        The year 2019 was the centennial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Current Korean Christians should ponder the value of freedom and peace in order to love their state. The role of Korean Christians as patriotic peacemakers is important because of ongoing discrimination, inequality, and conflict within Korean society. Turning our eyes to South Africa, the rainbow nation, Apartheid ended 25 years ago and is a representative case of misusing the New Testament for racial discrimination.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peace and equality in South Africa has not been realistically realiz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tate by figuring out Apartheid and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in South Africa. Four steps of research are followed: (1)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by proponents of Apartheid, (2)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by opponents of Apartheid, (3) the influence of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to South Africa in the post-Apartheid period, and (4) a suggestion about the bibl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tate. This paper reasons that prope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Bible must be in the right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state. 작년에 3.1운동과 상해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기념했고, 올 해 한국전쟁발발 70주년을 맞이한 시점에, 그리스도인은 애국을 실천하기 위해서 자유와평화의 가치를 되새겨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억압과 갈등과 불평등이 똬리를틀고 있는 한국에서 교회가 감당해야 할 역할이 있기 때문이다. 다민족과 다인종이 어우러진“무지개 나라”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눈을 돌려보면, 인종간의“분리 발전”(separate development)이라는 명목으로 시작된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1948-1994)가 종식된 지 25년째다. 하지만 남아공에서 인종과사회 계층 간의 화해와 평등은 여전히 요원하다. 정부와 교회의 부적절한 결탁이 초래한 문제는 남아공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에 나타났다. 그 가운데 인종 차별과 사회 분열을 치유 중에 있는 남아공의 상황은 한국에서 교회와 국가 간의 정당한 관계 설정을 위한 거울 역할을 한다. 이 글의 목적은 교회가 신약성경을 오용함으로써 국가와 잘못 결탁한 대표적인 사례인 아파르트헤이트를 통해서, 한국에서 교회와 국가의 올바른 공적관계를 정립하는 방안을 찾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파르트헤이트를 찬성한 이들과 반대한 이들의 신약성경 사용을 각각 살핀 후,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의 신약성경 해석이 남아공 사회에 미치고 있는 영향도 탐구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교회가 국가와의 정당한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올바른 성경 해석과 적용이 중요함을 논증할 것이다.

      • KCI등재

        아파르트헤이트 시기의 대항기억과 재생산된 기록의 역사 담론 전시 『Rise and Fall of Apartheid : Photography and the Bureaucracy of Everyday Life』를 중심으로

        이혜린 한국기록학회 2022 기록학연구 Vol.- No.74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인종분리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1948년부터 1994년까지 시행했다. 이 정책의 주요 내용은 백인과 인도인, 혼혈인, 흑인 등 인종을 계급화하고, 계층에 따라 거주지와 개인 재산 소유, 경제적 활동 등 모든 사회적 행위를 제한하는 것이었다. 백인을 제외한 모든 인종이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받았고, 탄압받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시민들은 무차별한 폭력을 일삼는 정부에 저항하였고, 이들을 지탄하는 여론은 지역 사회를 넘어 세계 곳곳으로 확대되었다. 이를 가능하게 한 것 중 하나는 폭력 현장을 자세히 기록한 사진 이미지들이다. 민중 탄압을 포착했던 외신 기자들은 물론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사진작가들은 개인의 차원에서 소외되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을 기록하는데 몰두했다. 이들이 현실을 알리려는 의지가 없었고 실제로 이를 사진으로 기록하지 않았다면, 많은 사람이 인종 차별로 기인한 사태의 참혹함을 알지 못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아파르트헤이트의 여러 단면을 포착해 그와 관련한 여러 기록을 전시한 『Rise and Fall of Apartheid: Photography and the Bureaucracy of Everyday Life』를 주목하고, 사진에서 묘사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자행된 인종 차별의 면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전시는 아파르트헤이트가 시작된 1948년부터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잘못된 역사관을 바로잡으려는 진실화해위원회가 출범한 1995년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전시에 출품된 수많은 사진은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피터 마구베네(Peter Magubane), 이안 베리(Ian Berry), 데이비드 골드블라트(David Goldblatt), 산투 모포켕(Santu Mofokeng) 등이 촬영한 것으로, 다양한 아카이브를 비롯한 박물관, 미술관, 언론 매체의 소장품이다. 전시에 출품된 사진들은 일차적으로는 사진작가들의 작업 결과물이다. 사진 작품인 동시에 1960년대 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과거를 증명하는 매체이지만 역사학이나 기록학적인 관점보다는 사진사와 미술사의 영역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하지만 전시된 사진들은 기록물로서의 특성이 있고, 그 안에 담긴 맥락 정보는 역사를 다양한 시각으로 되짚어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연구된 영역에서 확대하여 다양한 시선으로 당대를 살펴보고, 이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시에서 선보인 사진 작품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공식 기록에 포함되지 않은 사건과 사람을 증명하고 서술한다. 이런 점은 보통 사람들의 기억, 개인의 기록을 통해 사회적으로 소외된 인물과 사건을 역사적 공백으로 편입시키고, 여러 매체로 재생산되어 기록 생산의 맥락을 강화하고 확산시킨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세계화와 신학적 결과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를 중심으로

        배아론 고신신학회 2016 고신신학 Vol.- No.18

        이 논문은 현재 세상(즉 세계화)의 추세와 정치적 결정 사이의 관계가 신학적 규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폈다.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를 예로 들었다. 세계화의 흐름은 아파르트헤이트를 가능하게 했으며, 동시에 종식시켰음도 자명했다. 아파르트헤이트가 과거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기독교를 위협하는 것은 그것은 세계의 추세가 성경적 규범을 세계화의 추세와 현대인의 필요의 요구에 알맞게 조작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해결책으로서 이 논문은 개혁주의 교리와 주의 깊은 상황화에 근거한 구체적 입장의 필요성을 촉구한다.

      • KCI등재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아프리칸스 문학과 역사 다시 쓰기:크리스토플 쿠치어의 『멘츠 장군을 찾아서』를 중심으로

        문지희(Jihie M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이 논문은 역사와 문학과의 관계성이란 관점에서 남아공의 작가 크리스토플쿠치어 Christoffel Coetzee의 『멘츠 장군을 찾아서 Op soek na generaalMannetjies Mentz』를 분석하고 있다. 남아공 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사회에서도 역사의 사실성과 허구성에 대한 문제, 역사기록의 주관성이나 재해석의 문제는 단순한 철학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실제로 호흡하고 느끼는 역동적인현실에 관한 것임에 틀림없다. 문학 속 역사의 재구성 또는 역사소설에 접근하는다양한 관점들은 『멘츠 장군을 찾아서』를 읽는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이 작품은 백인 제국주의의 역사와 더불어 보어전쟁을 바라보는 식민주의 역사관에 신선한 물음표를 던지며, 역사시간에 배운 보어전쟁에 관한 아프리카너의 역사기술과 실제 과거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분명히 시사한다. 작품 제목과는 달리, 이 소설은 전쟁영웅으로서의 멘츠장군의 행적을 추앙하며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전쟁 속에서 펼쳐지는 아프리카너들의 잔인함과 악행들을 조명하며, 지금껏 추앙 받았던 전쟁영웅들과 아프리카너 신화에 일침을 가하고 있다. 이로써 쿠치어의 소설은 보어전쟁 백 주년을 맞은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남아공에서 전쟁을 재평가하고 재해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거대담론의 전복, 사실과 허구의 문제, 파편적 주체와 연대기적 기술의 문제를 조명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역사와 문학의 관계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아파르트헤이트의 몰락을 기점으로 하는 1990년대 초 이래 지금까지 수많은남아공 문학작품들은 타자의 관점에서 ‘역사 다시쓰기’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현상은 남아공 문학계의 중요한 특징이기도 하다. 『멘츠 장군을 찾아서』가 표방하고 있는, 숨은 역사를 찾아 온전한 과거를 기록하려는 시도는 역사의 민주화와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왜냐면 이러한 시도는 역사를 읽는 대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미래를 향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쿠치어의 소설이 출간된 훌륭한 타이밍을 결코 우연으로만 볼 수 없는 이유이다. 이는보어전쟁 백 주년에 즈음하였던 시기였으며, 정권교체와 더불어 과거의 역사기술이 얼마나 왜곡되었는지, 그리고 정치의 변화에 따라 우리가 진실이라고 간주하던 것이 얼마나 허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의식이 남아공 사회 전반에서그 무엇보다 큰 관심을 받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아프리카너 정체성에 대한 해체와 재평가를 시도하는『멘츠 장군을 찾아서』는 남아공의 민주적미래상에 부합하는 관점과 가치관으로 ‘역사 다시 읽기’를 해야한다고 주장하는신선한 지적 도전임에 틀림없다. In this paper I concentrate on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1)(1998) by Christoffel Coetzee, as a good example that shows the processingof history into literatu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not only of SouthAfrica but also of Korea), issues such as the problematizing of history, thequestioning of facts that were once accepted, the relativisation of theimportance of issues and events in the past and the present, skepticism about the authenticity of information and acceptance that fact and fictionare difficult to distinguish, are not limited to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but form part of the normal way in which people actually experience reality.These various perspectives on history and literature could be utilised in thisstudy with regard to the reading of the text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Mentz. This novel introduces an unsettling adaptation of the popularrepresentation of the Boer War and makes it clear that Afrikanerhistoriography and the past do not necessarily coincide. Op soek nageneraal Mannetjies Mentz does not portray a heroic general, but theunbridled brutality of a group of Boer warriors. This book presents athorough demythologising of the official history of the Boer War. The text notonly provides an extremely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re-interpretation ofthe Boer War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it also displays text attributesthat could be accepted as postmodern problematization of the relationship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subversion of a master narrative, underminingthe boundary between fact and fiction, the fragmentation of the subject andthe linear narrative presentation. The rewriting of history in fiction by itsreclamation through the eyes of the Other has taken definite shape since1993 with the lifting of the conventional separation between historiographyand fiction. The documentation of the past and the perception of "hiddenhistory" in this novel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democratise the historicalrecord. This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n archive for thefuture and an alternative form of historical documentation.In this spirit, Coetzee's novel made a timely appearance; on the one handit was a year before the anniversary of the Boer War and on the other hand,it was within a broader era in South African history where greaterconsciousness was developing with regard to how historiography had beenmanipulated in the past, how it was perverted and rigged, and how whatwas regarded as truth, changed when the seats of power were warmed byother rulers. Op soek na generaal Mannetjies Mentz could be considered asan intellectual challenge that reclaims the images of the past so that theymay bear fruit in the future South Africa.

      • KCI등재

        존 쿳시의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와 탈근대성

        장시기(Si-Ki Cha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0 비평과이론 Vol.15 No.1

        John M. Coetzee’s novels are divided into two kinds of novels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the abolition of Apartheid in South Africa. Apartheid novels with the exception of his first novel, Dusklands, have mostly very abstract and ambiguous characters and narrative backgrounds of novels. Post-Apartheid novels with the exception of his autobiographical novels, Boyhood and Youth, have mostly very concrete and self-reflective characters and narrative backgrounds of novels. And his first novel, Dusklands and his autobiographical novels, Boyhood and Youth are the core novels in which we can appreciate differences and consistencies between two kinds of novels before and after the abolition of Apartheid in South Africa. Dusklands is comprised of two stories of “Vietnam Project” and “Narrative of Jacobus Coetzee” in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historical time and geographical place. But Walter D. Mignolo’s “modern/colonial world-system” theory helps us to consider of two different stories as one modern/colonial world-system's narratives in which the first and the third phases of the Western European global design colonize the global local lives in Vietnam and South Africa. In this respect, Coetzee’s novels before the abolition of Apartheid in South Africa, In the Heart of the Country, Waiting for the Barbarians, Life and Times of Michael K, and Foe are post-modern novels in which deconstruct of the South African local Apartheid lives and the global epistemological Apartheid made by the modern European philosophical epistemology of dichotomy of white and black(or coloured)of the first phase, civilization and barbarian of the second phase, developed countries and undeveloped(or developing) countries of the third phase in the modern/colonial world-system. Boyhood and Youth are two autobiographical stories of South African modern colonial Apartheid experiences and English postmodern modernity experiences in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historical time and geographical place. But Walter D. Mignolo’s “modern/colonial world-system” theory helps us to consider of two different stories as one modern/colonial world-system’s narratives in which the modern Western European global design colonizes the South African local lives. In this respect, Coetzee’s novels after the abolition of Apartheid in South Africa, Disgrace, The Lives of Animal, Elizabeth Costello, and Slow Man are trans-modern novels in which are consisted of the trans-modern knowledge of other language, other logic and other thinking based on other trans-modern lives than the modern/colonial lives in the modern/colonial world-system. Other language, other logic and other thinking in the trans-modern novels of John Coetzee are the process of languaging in becoming minority, the ecological logic of becoming something and the thinking of ecological 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