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쓰기 교수,평가 개선 방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이지영 ( Ji Young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2 한국어문교육 Vol.12 No.-

        본고에서는 질 높은 쓰기 교육을 위한 쓰기 평가 방안을 구안하기 위해, 현행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쓰기 평가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틀과 평가 문항,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평가 쓰기 영역의 평가틀과 평가 문항을 분석한 후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중영역 간의 출제 비율 설정 시 논리성과 일관성을 더욱 확보해야한다. 또한 계획하기도 쓰기 결과물의 질을 좌우하는 단계임을 고려하여 이를 쓰기 평가에 포함하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 이에 덧붙여 출제 비율 설정 시 글의 종류도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학업성취도평가 쓰기 영역의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우리 나라 고등학생들은 조직 영역과 표현 영역에서 낮은 정답률을 보이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앞으로 쓰기 교수·학습 시 내용 조직과 표현 영역의 쓰기 교육을 더욱 강화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현행 쓰기 평가의 문제점을 가장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직접 쓰기 평가의 시행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직접 쓰기 평가를 시행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몇 가지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riting assessments which can support writing teaching. To achieve this, this study analyzed assessment frames, assessment items, assessment results. Fits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logicality and consistency for middle domain of writing assessment. And we have to seek ways to include writing plaining for writing assessment. Next, An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hows that Korean students have troubles organizing and expressing in writing. Therefore we should strengthen writing education of organizing and expressing. But, I think there should be fundamental solutions such as strengthening direct writing assessments. So this study suggest some alternative solutions.

      • KCI등재

        초등학교 쓰기 평가의 회귀 현상과 지향

        전제응 ( Je Eung Jeon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9 청람어문교육 Vol.40 No.-

        연구의 목적은 최근 초등학교에서 나타나고 있는 쓰기 평가의 회귀 현상을 규정하고, 쓰기 평가의 지향을 탐구하는 데에 있다. 쓰기 평가의 회귀 현상은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 실시와 평가 결과 공개로 인하여 학교 현장에서 왜곡된 쓰기 평가 상태를 말한다. 먼저, 쓰기 교육 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내용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쓰기평가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쓰기 평가의 회귀 현상을 세 가지 차원에서 규정하였다. 첫째, 쓰기 평가관의 회귀 현상이다. 둘째, 쓰기평가 방법의 획일화 현상이다. 셋째, 쓰기 평가 주체의 일원화 현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평가의 회귀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쓰기 평가의 세 가지 지향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쓰기 평가는 교섭적인 시각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쓰기 평가는 장기적인 쓰기 능력 발달 평가를 지향해야 한다. 셋째, 쓰기 평가에서 정의적 요소 평가를 지속적으로 지향해야 한다. 이러한 쓰기 평가의 지향점은 현재의 쓰기 평가 회귀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앞으로 연구를 통해 도달해야할 기대치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currence phenomenon and change of writing assessment in elementary school. The recurrence phenomenon means that the writing assessment grows from bad to worse by the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This paper surveyed the writing curriculum and teacher guided books. And, it made clear the recurrence phenomenon: (1) the recurrence of perspective (2) the simplification of assessment method (3) the unification of the assessor. This parer proposed three principles to overcome the recurrence of writing assessment. First, we will have the transactional view point. Second, we have to make a wider and deeper study about the assessment of writing ability. Third, we make more attention the writing motivation.

      • KCI등재

        쓰기 평가 방식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 분석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4

        이 연구는 간접 및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으로는 경기 부천 지역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 8개 반 29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쓰기 평가와 관련한 주요 이론들을 고찰하여 쓰기 평가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추출한 후에, 이를 각각의 문항으로 개발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 문항의 주요 범주로는 ‘쓰기 과목의 성격’, ‘쓰기 교육과정’, ‘쓰기 수업 및 내용’,‘쓰기 수행’을 설정하고 이와 관련한 세부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양적 연구로서 예비 검사와 본 검사를 수행하였고, 분석 방법으로는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분석이 활용되었다. 간접 및 직접 평가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독립표본 t검증 결과에 따르면, 주요 범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대체로 간접 평가 방식은 ‘쓰기 수업 및 내용’과 ‘쓰기 교육과정’에서, 직접 평가 방식은 ‘쓰기 과목의 성격’ 및 ‘쓰기 수행’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간접 및 직접 평가 방식 각각 주요 범주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상관분석에 따르면, 대체로 간접 평가 방식에 비해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가 쓰기 평가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범주들 간에 보다 긴밀한 영향 관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현재 기존의 학교 현장에서는 쓰기 과목에서 주로 직접 평가보다는간접 평가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대상의 학교와 같이 간접 및 직접 평가 방식을 대등하고 활용하고 있는 학교의 학생들은 쓰기 과목에서 간접 평가와 직접 평가가 의도하고 중요시 여기는 부분에 대해 차이를 두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 문항들이 평가 요소들 간에 보다 긴밀한 영향 관계를 반영한다는 측면은 앞으로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학생들 또한 인식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ance of student``s Cognition about indirect and direct writing assessment. I carried out a survey of 290 K-12 students that studied in Pucheon Women`s high School. I consider the existing theories of the writing assessment and test tools were manufactured. Test tools were questioned that configure the items in the writing assessment factors. The major factors is ``nature of writing subject``, ``curriculum of writing``, ``writing classes and contents``, and ``writing performance``. As quantitative research, I use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various areas. Indirect writing assessment of ``curriculum of writing`` and ``writing classes and cotents`` are higher than direct writing assessment. but direct writing assessment of ``nature of writing subject`` and ``writing performance`` are higher than indirect writing assessment. In a correlation analysis on relations of each 4 major factors about Indirect and direct writing assessment. The result indicates that is generally highly correlated in direct writing assessment. So far school was primarily indirect writing assessment. but students recognize importance of direct writing assessment. This will be basic foundation for the activation of a direct writing assessment.

      • KCI등재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비교 연구

        박영민,최숙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1

        This study was comparative analysis of writing assessment between in-service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based on writing rater factor. 39 middle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were assessed by all 73 teachers who made up of 49 in-service teacher and 24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They assessed 39 argumentative essays equally and did not discuss about the assessment previously. So, they did not be affected by assessor discussion. Then, the result of argumentative essays assessment were analys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two assessor group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n the assessment result of middle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Although assessor did not discuss about their assessment, in-service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had high correlation in the assessment result of middle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essays. Second, although between two teacher group founded high correlation in assessment result, their assessment difference of formal grammar were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Because pre-service teacher of korean had strict writing assessment perspective, they rated the essays lower than in-service teacher of korean generally. Thir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assessment result, it was founded that when assessed, in-service teacher focused content of essay, but pre-service teacher focused content and grammar such as spell, punctuation equally. So pre-service teacher graded lowly for grammar factor in writing assess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reflective perspective about in-service teachers' specificity of writing assessment and writing assessment method. And futher studies needed are effect test of assessor discussion in writing assessment and affect analysis of teacher of korean as assessor' belief, correlation of between writing assessment and assessor discussion. 이 연구는 쓰기 평가에 대한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함으로써, 쓰기 평가의 전문성, 쓰기 평가의 결과, 쓰기 평가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 평가에 대한 이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하기 위하여, 현직 국어교사는 49명, 예비 국어교사는 24명에게 중학생 글 39편을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평가자 협의의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해 평가 과정에서 평가자 협의는 진행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글을 평가한 결과는, 평가자 협의를 거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 사이에 매우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둘째,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는 형식 어법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예비 국어교사들이 현직 국어교사보다 쓰기 평가 점수를 낮게 주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셋째,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평가 총점을 비교한 결과, 현직 국어교사는 글의 내용에 평가의 중점을 두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예비 국어교사는 내용 및 형식 요소를 균등한 관점에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 연구 결과는 현직 국어교사의 쓰기 평가 전문성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또한, 쓰기 평가에서 현직 국어교사의 평가 전문성이 드러나지 않은 원인과 현 쓰기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재고하도록 한다. 더불어 평가자 협의의 효과도 확증할 수 없는 결과가 나타났다. 평가자 협의와 쓰기 평가의 상관 등에 대한 논의가 추후 보완되어야 하며, 또한 평가자인 국어교사의 쓰기 신념 요인 등에 대한 영향 분석도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지식과 쓰기평가 태도 조사 연구

        류마리아 국어교과교육학회 2016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지식과 쓰기평가 태도 수준을 알아보고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에 의한 차이와 쓰기평가 지식-태도 간 상관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평가 지식은 절대적인 관점에서 대체로 낮은 편이었으며 연구대상자 들의 성별, 학교급, 경력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것 은 쓰기평가 지식이 생물학적 변인과 관련이 없고, 근무하는 학교급과도 상 관이 없으며, 쓰기평가 경험이 많을수록 쓰기평가 지식이 높을 것이라는 일 반적인 기대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한편, 쓰기평가 태도는 대체로 높은 수준이었다.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에 의한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은 ‘태도’라는 것이 정의적 영역에 속한 것으로, 성별이나 경험의 누적으로 이뤄갈 수 있는 성격이 아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쓰기평가 지식과 쓰기평가 태도간의 상관이 발견되지 않은 것은 그 만큼 쓰기평가 전문성이 복잡한 것이라는 확인과 쓰기평가 지식에 있어 ‘수행 지식’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하는 과제를 남긴다. 본 조사연구는 실제적 수준 파악에 그치고 진전된 논의가 없음이 한계로 나타난다. 그러나 쓰기평가 전문성을 가늠하는 요인에 대해 현장에 적용해 보고 그 결과를 통해 쓰기평가자의 재교육과 자기평가를 위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measure the writing assesment knowledge and writing assesment attitude of Korean teachers and find the differences by the features of su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attitude. The results showed the writing assesment knowledge of korean teachers have low level and the differences by sex, school level, career of subjects was not significant. It is contrary to people’s expectation that the more they have writing assessment experiences, the more they have writing assessment knowledge. Meanwhile, writing assesment attitude of Korean teachers generally showed high level.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were not significant, because ‘attitude’ belongs to affective domain and it can’t be improved by sex and increase of experiences. Inter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ssesment knowledge and writing assesment attitude was not found and it make sure that writing assessment speciality is complicated. In addition, it leaves task how to measure ‘assessment knowledge’. This paper has limitation that it is just understanding actual state and didn’t suggest any progressed discussion. But, it still has a value that it applied factors measuring writing assessment speciality in field and, as a result, proposed objective and correct information for reeducation and self-assessment of writing assessment teacher.

      • KCI등재후보

        쓰기 평가 연구의 주요 과제

        박영목 ( Young Mok Park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이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의 쓰기 평가가 학생들의 쓰기 학습을 실제적으로 도와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의 일차적인 목적은 쓰기 영역 교수학습의 개선에 두어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는 쓰기영역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에 대한 비판적 탐색을 반영하고 허용해야 한다는 점 등을 고구하였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쓰기 평가가 쓰기 교육의 본질에 충실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쓰기 능력의 발달에 대한 학교와 가정과 사회의 중요한 역할을 반드시 인식하고 반영해야 한다는 점, 쓰기활동에 내재된 복합성을 인식하고 반영해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는 공정하고 공평해야 한다는 점, 쓰기 평가는 학교 공동체에 그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점 등을 쓰기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쓰기 평가의 질적 개선과 제고를 위하여 시급히 연구해야 할 과제로서 쓰기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쓰기 영역 성취도 평가에 관한 연구, 국어과 쓰기 영역의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국어과 교사의 쓰기 평가 전문성 기준에 관한 연구, 논술 능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 쓰기 평가 방법과 도구에 관한 연구, 다중 매체 시대의 쓰기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쓰기 평가 과제에 대한 연구, 쓰기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goal of all types of writing assessment is to help students become better writers. Until recently, the formal assessment of student writing has focused on the quality of students`` finished texts. However, the emphasis on writing process has produced a different approach to writing assessment. The varied approaches currently used to assess writing ability reflect the changing beliefs about how writing should be taught and how writing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The key issues of writing assessment research are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 writing assessment. The key issues of writing assessment research are writing assessment standards,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y standard in writing assessment, direct assessment methods of writing ability, writing assessment methods in the age of multi-literacies, writing assignments,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writing assessment. The ideal form of writing assessment should be dynamic, equitable, instructionally effective, technically sound, and context based.

      • KCI등재

        COVID-19 시대의 국어과 쓰기 평가 실태 조사

        박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쓰기 평가 실태를 파악하여 국어 교사들이 겪는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비대면 쓰기 평가 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2020년의 쓰기 평가 실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면 평가만을 실시한 국어교사들은 대면 수업 시수가 줄어든 점을 고려하여 쓰기 평가 과제나 평가 기준을 변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쓰기 평가 과제 측면에서 ‘협동 작문에서 개인 작문으로 변경, 주제 난도 낮추기, 쓰기 분량 감소’ 등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비대면 평가를 실시한 국어교사들은 실시간 비대면 평가보다는 주로 비실시간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거나 개인 과제 제출 등의 방법을 통해 쓰기 평가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행 과정보다 결과 중심의 쓰기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개인별 맞춤 피드백이 충실하게 제공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쓰기 평가 과제나 평가 기준을 변경하지 않은 이유는 대면 평가를 시행한 일부 국어교사들의 경우 비대면 쓰기 평가를 성적에 반영하는 것을 지양하라는 교육 당국의 지침 때문이며, 비대면 평가의 경우 실시간 매체를 활용해 대면 평가와 차이가 없는 쓰기 평가를 수행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비대면 쓰기 평가 시행을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dition of non-face-to-face writing assessment and to analyze the problems faced by Korea language teachers to propose an effective non-face-to-face writing assessment method. To this end, 133 Korea language teachers were surveyed on the condition of writing assessment in 20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 language teachers who conducted only face-to-face assessment changed writing assessment task or assessment criteria in consideration of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face-to-face classes. In particular, in terms of writing assessment tasks, changes such as ‘changing from collaborative writing to individual writing, lowering the level of difficulty in subjects, and reducing the amount of writing’ were notable. Second, Korea language teachers who conducted non-face-to-face assessment performed writing assessment mainly by using non-real-time online platforms or by submitting personal tasks rather than real-time non-face-to-face assessment. This suggests that results-oriented writing assessments were conducted rather than the performance process assessment, and that personalized feedback may not have been faithfully provided. Third, some Korea language teachers who conducted face-to-face assessment did not change their writing assessment task or assessment criteria because of the education authorities’ guidelines to avoid reflecting non-face-to-face writing assessments. And some Korea language teachers who conducted non-face-to-face assessment did not change their writing assessment task or assessment criteria because they performed writing assessment that did not differ from face-to-face assessment using real-time media.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ways to implement effective non-face-to-face write assessment.

      • KCI등재

        쓰기 기초학력의 재 개념화와 평가 틀의 개선 방향

        임천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개념을 재 정의하고 평가 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사용되는 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개념과 평가 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2007년 개정 쓰기 교육과정, 쓰기 발달 연구, 쓰기 평가 연구를 반영하여 쓰기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개념을 재 정의하고 평가 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쓰기 기초학력의 개념은 ‘생활에 꼭 필요한 최소한의 쓰기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쓰기 기초학력을 판단하기 위해서 수행 평가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평가 틀은 평가 목적, 평가 내용, 평가 과제, 평가 방법, 평가 결과 활용을 주요 구성 요소로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관계를 도식으로 나타내었다. 또 평가의 수월성을 위하여 다양한 평가 유형을 적용할 수 있는 변형 틀도 제안하였다. 평가 틀을 바탕으로 하여 문항을 개발할 수 있는 문항 틀도 함께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accomplishes re-conceptualization of writing foundation educational background diagnosis evaluation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 program of the evaluation frame. For this investigated critically the concept and the evaluation frame of the writing foundation educational background diagnosis evaluation which is used currently. And based on 2007 writing curriculum and a writing development research and a writing evaluation research re-defined the concept of writing foundation educational background diagnosis evaluation and proposed the improvement program of the evaluation frame. The concept of writing fundamental educational background defined in the minimum writing ability which is necessary to a life certainly. I asserted performance evalu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judge a writing fundament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from the accomplishment. The evaluation frame did an evaluation goal, an evaluation contents, an evaluation subject, a evaluation method and an evaluation resultant application with important constitutional factor. And put out a relationship among factors with the diagram. Also is proposed the variation frame will be able to apply the various evaluation type for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evaluation. Also the question item frame will be able to develop the question item proposed based on the evaluation frame.

      • KCI등재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지식 차이 분석 - 성별, 학교급, 경력을 중심으로

        이은정 ( Lee Eun-jeong ) 한국작문학회 2020 작문연구 Vol.0 No.47

        이 연구는 국어교사의 쓰기평가 지식 차이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쓰기평가 전문성 신장에 대한 필요 정보를 탐색하고 지원을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 문항의 형태에 따라 쓰기평가 지식 요인 평균이 달라지는 것에 주목하여, 검사 도구 문항 형태를 모두 선택형으로 수정하였다. 연구 결과, 쓰기평가 지식 요인인 쓰기평가 방법, 쓰기평가 결과 처리 및 활용, 쓰기평가 윤리의 평균은 각각 채점 척도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검사도구 형태를 선택형으로 바꿈으로써, 선행 연구에 비해 각각의 요인 평균이 모두 상승하였다. 성별에 따른 측정 요인의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쓰기평가 윤리 요인에서 중학교 교사의 평균이 고등학교 교사에 비해 높았다. 쓰기평가 방법 요인은 5년 미만의 저경력 교사의 평균이 20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고경력 교사를 위한 쓰기평가 전문성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가 필수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쓰기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으로는 국어교사 양성과정에서부터 쓰기평가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현직 교사들의 교내 국어 교과 협의회 활성화를 통해 지속적인 쓰기평가 연수 경험 확대와 교육청 단위의 쓰기평가 전문협의체 구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Korean teachers’ knowledge of writing assessment to promote support by explor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about growth in writing assessment expertise. A preceding study noted that the average knowledge for writing assessment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question. In this study, all types of constructed-response items were modified to multiple-choice item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writing assessment method, the handling and application of writing assessment results, and the ethics of writing assessment which are the factors of the writing assessment knowledge, fell short of the scoring scale average, respectively. By changing the type of the measurement tool to multiple-choice items, the average points of each factor all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preceding study.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measurement factors were found, and the average score of middle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writing assessment ethics factor.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writing assessment method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score of teachers with low levels of experience, under one to five years,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ith high levels of experience of over 20 years. This suggests that discussions on a literacy assessment specialty education program for highly experienced teachers are essential. The expertise of the writing assessment of Korean teachers can be enhanced as follows: implementing a program to provide practical experience in writing assessment for pre-service Korean teachers; expanding the experience of writing assessment training through the activation of Korean teachers’ associations in schools; and forming a professional writing assessment consultative body at the level of the Office of Education.

      • KCI등재

        쓰기 평가 협의 과정에 나타난 쓰기 평가자의 인식 연구

        서수현 ( Soo Hyun Seo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4 No.-

        이 연구는 쓰기 평가 과정에서 나타나는 평가자의 인식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쓰기 평가 협의 과정을 통해 살펴 본 결과, 평가자들은 쓰기 교육과 쓰기 평가에 대한 각기 다른 담론에 위치하면서 평가를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평가자의 위치에 따른 상이한 인식은 쓰기 과제의 해석, 쓰기 평가 준거의 해석, 쓰기 평가 이후 점수 부여 등 여러 국면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났다. 평가자들은 평가 과정에서 자신의 인식이 서로 다른 담론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기도 하였고, 이들 사이에서 충돌을 겪으면서 인지적 갈등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평가자들은 갈등 과정에서 자신의 입장을 관철하기보다 충돌을 회피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조정하는 양보의 양상을 보였다. 평가자의 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은 이와 같이 쓰기 평가의 여러 국면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단초로 앞으로 쓰기 교육을 실제 수행하는 교사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spects on rater`s awareness in the direct assessment of writing. This research is on the hypothesis that writing assessment is reflected in the view of writing and the view of learning to write. The analysis explored complicated ways in which rater`s belief and academic background and experience associated with the writing assessment aligned and conflicted. Rater`s awareness has appeared in a variety of ways to interpreting of writing task and writing evaluation criterion, and grading. There ar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among these views. In order to maximize what they offer to learners, this research suggest that teachers of writing can benefit from being aware of the existence of all views of writing and learning to write and pedagogic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