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화 비판의 기호학’과 조직의 신화 읽기

        이승현(Seunghyun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 인사조직연구 Vol.17 No.1

        이 글은 프랑스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의 ‘신화 비판의 기호학’ 틀을 사용하여 조직신화 읽기를 시도한다. 이 글에서는 조직과 조직 실재에 관한 ‘자연스러움으로 위장된 이데올로기’라는 기호학적 ‘이차체계’라고 ‘조직신화’를 정의한다. 조직신화는 조직의 역사에서 나온 자료를 포착하여 언어활동이라는 단순한 지위로 환원하며, 기표와 기의, 그리고 이 둘의 결합체인 기호로 구성된 언어체계를 훔쳐서 그 기호를 텅 비워 신화체계의 기표로 삼고, 그 기표를 새로운 기의와 결합하여 자연화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런 조직신화에는 신화 독자나 소비자가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는 이데올로기가 당연시하는 ‘상식’으로 위장되어 담겨 있다. 조직신화는 역사에서 얻은 일면의 진실을 조직 실재 전면을 이해하는 데 적용하여 복잡하고 모호하고 다의적인 조직 실재를 단순명료하게 인식하게 한다. 나아가, 신화 소비자의 행동을 규제하여 ‘자기실현적 예언’의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조직 실재로 구현된다. 조직신화의 기표를 가득 찬 기표로 보아 그 의미작용을 해체함으로써 조직신화를 읽을 수 있다. 이 글은 조직이론과 조직현장에서 통용되는 수많은 조직담론이 조직신화라고 보고, 조직신화의 기본 성격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보기로서 조직에 관한 근본 물음에 해당하는 ‘조직의 정의’에 관한 신화와 ‘합리성’의 신화를 읽어 본다. 나아가 현재 조직 이해를 지배하는 많은 조직신화가 특정한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쪽으로 치우쳐 있다고 주장하고, 대항신화를 풍부하게 개발하여 그 불균형을 해소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According to Barthes(1957), ‘myth today’ is a second-order semiological system as naturalized ideology. A myth contains tri-dimensional pattern(the signifier, the signified and the sign), but it has been constructed from a semiological chain which existed before it. That which is a sign in the first system becomes a mere signifier in the second. Everything happens as if myth shifted the formal system of the first significations sideways. He represents this lateral shift in the following way as a metaphor:2) Language - Myth - 1. Signifier 2. Signified 3. Sign(meaning) Ⅰ. SIGNIFIER(form) Ⅱ. SIGNIFIED(concept) Ⅲ. SIGN(signification) The signifier of a myth is at the same time meaning and form, full on one side and empty on the other. A myth takes hold of a signification already built in meaning and turns it suddenly into an empty, parasitical form. Newly acquired penury of the form calls for a signification to fill it. The form impoverishes the meaning and holds it at one’s disposal. The concept, the signified of the myth, wholly absorb the history which drains out of the form. It is determined, it is at once historical and intentional; it is the motivation which causes the myth to be uttered. Through the concept, a whole new history is implanted in the myth. The relation which united the concept of the myth to its meaning is essentially a relation of deformation. The meaning is distorted by the concept. Myth transforms history into nature. Because the intentions are naturalized, myth is experienced as innocent speech. In the eyes of myth-consumers,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have a natural relationship. A myth steals language to transform a meaning into form. In sum, what Barthes calls myth is a type of speech in which a sign, the associative total of a signifier and a signified, becomes a mere signifier of other signified. Myth contains an ideology mystified unconsciously or accepted as natural. Organizational life and reality is complex, ambiguous and equivocal, and hence organizations are open to multiple conflicting understandings all of which are plausible. Most descriptions and discourses about organizational phenomena usually contain truth to a certain extent. For this reason, it is often difficult to integrate competing plausible theories or explanations about the same phenomenon, and organizational theories and discourses have been discarded very seldom. The task to understand organizations is not to find the only one true picture of an organizational world, but to convert it into intelligible world. There are hidden ideologies about organization behind various organizational understandings. The ideologies seriously affect frames of reference, points of view, questions to ask and rules to find answers. There is some truth in most of all organizational understandings.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we explain and interpret organizational reality, and make decisions and behave; nevertheless, seldom disclose hidden ideologies, and accept them as natural or taken-for-granted. These ways of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reality have been dealt with under the topics of sense-making in organizational life, institutionalization, organizational discourse and organizational culture. But these approaches tend to focus on the discours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do not consider those of theorists. Organizational myth can be defined as a second-order semiological system as naturalized ideology about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reality. In this article, I apply Roland Barthes'‘semiology of mytho-critique’ to organizational myths. First, the nature and a tentative classification of organizational myths are suggested. Many myths are widely spread in organizational field, and embedded in the organizational discourses developed by many theorists and practitioners. A myth turns meaning of a sign into an empty form and fills it with new meaning intentionally. Taken for granted by myth consumers a

      • KCI등재

        한ㆍ일 신화의 비교연구

        김화경(金和經)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0

        본 연구는 일제의 어용학자들에 의해 그 실체가 부정되었던 단군 신화를 고찰하였고, 나아가서 이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 천황 가天皇 家 시조의 유래담인 니니기모미코토 신화를 비교하여, 일본의 지배계층 문화가 한국에서 건너갔다는 사실을 구명하기 위해서 마련되었다. 이러한 목적 아래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단국 신화는 후대에 만들어진 위작이 아니라, 그 이전부터 존재하던 것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동천왕 21년 조에 나오는 “평양은 본시 仙人선인 왕검王儉이 살던 곳이었다”는 기록과 북부여의 건국신화가 단군 신화와 같은 유형의 천손 강림시화였다는 것을 통해서도 증명이 된다고 보았다. 둘째, 이와 같은 한국의 천손 강림신화는 유목문화와 샤머니즘적인 세계관을 가진 터키계 민족들에 의해 내륙 아시아로부터 전래된 것이라는 추정을 하였다. 셋째 일본 천황 가의 시조 유래담으로 정착된 천손 강림신화도 이와 같은 단군 신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한국에서 단군 신화를 가진 집단의 세력이 일본의 고대 국가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렇게 볼 때, 일본에 고대국가를 만들었던 천황 가는 왕권이 천수天授에 의해 성립되었다는 천손 강림신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은 한국에서 유목문화와 샤머니즘적 세계관을 가지고 건너간 집단들이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결론은 고대사 연구를 통해 검증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지적해둔다.

      • KCI등재

        류큐 국왕 신화의 문헌 기록과 구비 전승

        정진희(Jeong, Jin-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2

        구비 신화에서 문헌 신화로의 일방향적 발전은 신화사에 대한 통설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류큐 관찬 사서의 문헌 기록과 현대 오키나와의 구비 전승이라는 두 가지 양태로 전해지는 류큐 국왕 설화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문헌 신화와 구비 신화의 입체적 상관 관계를 드러냄으로써, 신화사에 대한 관습적 통설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본고에서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각각의 국왕에 대한 문헌 기록은 서사의 내용은 다르나 유사한 주제의 단위담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위담이 가장 강조되며, 통념과 달리 혈통적 신이성의 정도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기에 출생담과 가계담이 병존하고, 입신담과 혼인담은 신성성을 보완하기 위한 단위담으로 기능한다. 2. 국왕에 대한 구비 전승은 문헌 기록에 대한 반(反) 역사로 기능하며, 문헌 기록과 달리 국왕의 혈통적 신성성을 강조하고, 증거물과 합리화를 통해 전승의 진실성을 역설한다. 3. 문헌 기록의 소재적 원천은 오키나와의 구비 전승에 한정되지 않고 동아시아 문자 문화권의 공통 유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 슌텐왕 이야기의 실재 양상은 문헌 기록이 구비 전승을 제어하는 구심력으로 작용하기도 했음을 보여 준다. 신화사가 구비 신화에서 문헌 신화로 일방향적으로 전개되지 않았음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4. 국왕을 주인공으로 하는 이야기가 왕조의 신화로, 또 특정 지역 공동체의 신화로 기능할 때, 그 신화화의 논리는 전승 집단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류큐의 경우, 왕조 신화와 구비 신화의 사이에 또다른 신화 전승 집단, 즉 지역을 대표하는 사족 집단의 전승인 ‘유래기(由來記)’의 신화가 있다. 류큐의 국왕 신화는 각기 다른 향유 집단이 상호 영향을 주고 받으며 각각의 신화적 논리를 구축해 가는 가운데 전승되어 온 것임이 확인된다. 요컨대, 문헌 신화와 구비 신화의 상관 관계는 동일한 소재의 이야기가 여러 층위의 집단에서 다양한 갈래로 향유된 복합적 양상을 살필 때 명확히 드러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라야 심층적 신화 일반론이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From oral to documented’. It is one of the commonly accepted theories about mythology. By revealing the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documented myths and oral myths, this study revisits the customary theory of myth.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myths and documented myths, this article examines tales concerning the Kings of Ryukyu kingdom which have been handed down two kinds of mode; official documents of Ryukyu kingdom and oral texts in the present Okinaw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cumented myths are configurations of some unit-story(單位談) whose subjects are coronation, birth or pedigree, gaining fame, marriage and so on. The most emphasized unit is a coronation story. As the bloody sanctity of kings is diverse, the units of mythical birth and non-mythical pedigree coexist. The unit stories about gaining fame and marriage fuction to compensate for a missing sanctity. 2. Oral tales about kings are discourses against documented myths. Specifically, they emphasize the bloody sanctity of kings and the authenticity of mythical accidents by the presentation of material evidences and the rationalization of miracles. 3. The sources of documented myths are not confined to oral texts in Okinawa. Besides, the oral texts and documented myths of King Syunten(舜天王), show that documented myths sometimes controlled the variations of oral texts. In this case, the unilateral development from oral myths to documented myths is not true. 4. When the stories about kings function as myths in different groups, the logic of mythicization changes as well. In the case of Ryukyu, between the two groups-kingdom having documented myths and local communities having oral myths-, we can find another group which has their own myths, called ‘Yuraiki(由來記, record of familly origin)’. Thu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cumented myths and oral myths by looking at complex aspects of the mythological tradition. The theory of mythology will have to consider further studies on these complex relationships.

      • KCI등재

        재신화화론(Remythologization)에 관한 분석비평 연구 ― 케빈 벤후저(Kevin J. Vanhoozer)의 재신화화 신학방법론을 중심으로

        김성원 ( Kim Sung-won ) 한국조직신학회 2017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7 No.-

        재신화화 신학은 불트만의 비신화화론을 비평하고 포스트-바르트(post-Barthian) 신학적 입장에서 성서의 신적소통행위(divine communicative action)의 타당성과 실제성을 천명하기 위해서 주장한 것이다. 본 논문은 벤후저가 주장하고 있는 재신화화론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비평하면서 신화에 대한 이해와 포스트모던 해석학적 신학방법의 일보 진전을 위한 분석비평연구이다. 벤후저의 신학방법은 신학이란 신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신을 경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에 의하면 헤겔이 실수한 것은 성서의 신-드라마(theo-drama)를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진리로 만든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신의 의사소통 행위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신-인 대화를 해석하는 것이 재신화화 신학의 핵심적 주장이다. 재신화화 신학은 신화론으로 다시 회귀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불트만의 비신화화론에서 놓친 “말하는 행위자”(speech agent)로서의 신을 다시 발견하고 “신적인 대화”(divine discourse)로서의 성서를 되살리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벤후저는 자신의 재신화화 신학방법은 불트만의 비신화화론과 정반대되는 것으로 자신의 신학방법을 분명하게 천명하고 있다. 벤후저가 새롭게 주장하고 있는 재신화화론, 신-드라마론, 의사소통의 행위론 등을 살피면서 그의 신학방법론에 대한 분석비평을 시도하고, 차세대 신학방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기반연구를 시도하였다. 정경-언어적 접근을 하면서 비정경적 도구인 아리스토텔레스의 mythos를 들여와서 신학적 도구로 삼는 것은 재신화화 신학 자체의 비연속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신의 의사소통의 실제적 사실주의를 주장하면서 이차성의 의미를 담고 있는 드라마 유비를 사용한 것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제일의 신학으로서 성서텍스트 중심의 신학을 주장한 것은 논리적이지만 성서텍스트를 넘어서 신의 은총이 내재되어 있는 자연과 전통과 인간의 경험도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을 소홀히 다룬 면이 있는 것을 다루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critically analyze primarily on Kevin Vanhoozer`s remythologizing theology for an advancement of Biblical hermeneutics for the postmodern generation. Indeed he has done outstanding works on an elaboration for enlightening of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of the Biblical text. Vanhoozer utilizes Balthasar`s theo-drama and Aristotelian mythos for proficient elucidation of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in the Canon. As he mentioned, his remythologizing theology is a completely opposite approach to demythologization of Rudolf Bultmann`s method, but it does not necessarily denote for him to restore mythologization again at all. Rather Vanhoozer did severe critic on Bultmann`s demythologization method, which misses the divine speech agent and divine discourses in the Biblical text. Remythologizing theology contains various insightful ideas, luminous linguistic skills, and extraordinary theological augmentations regarding the divine speech agent and divine discourses. His fine and serious elaboration for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within his theo-drama should be positively appraised. However, this essay points out several critical issues of his theology, that even though Vanhoozer`s theological method is a canonical-linguistic approach, he utilizes non-canonical notion of Aristotelian mythos so convincingly, which entails contradiction between canonical and mythos within his own theological scheme. Vanhoozer emphasizes practical actuality of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but he excessively utilizes secondary and circuitous device of analogia dramatis. Unnecessary employment of the terms of mythos and drama evokes a perplexity of consistency with conventional and practical ministry within the church. This inquiry suspects that still Vanhoozer could communicate his theology of the divine communicative action with contemporary audience without consuming those terms. Vanhoozer focuses on the Biblical text as the first subject of doing theology, because the text is the only source of theology, that is analogous to the philosophical method of Derrida who postulated that language is the only and prime source of philosophy. Accordingly, as he focused only on the Text, just as Barth had made mistakes, Vanhoozer did not pay heed much to the nature and human being within the created world as the sources of theology.

      • KCI등재

        朱蒙神話에서 東明과 朱蒙의 傳承文脈 硏究

        신현규(Shin, Hyun-Gyu)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1 한국문학과 예술 Vol.7 No.-

        이 글은 설화 자체의 서사 문맥 구조 분석ㆍ비교작업을 통해 동명신화와 주몽신화가 다른 인물이라는 전승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여기서 밝힌 건국신화는 夫餘, 高句麗, 徐 등의 시조신화이다. 東明은 부여의 시조이고, 朱蒙은 고구려의 시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徐의 偃王 시조신화도 동명ㆍ주몽신화와 매우 비슷하며 그 구조상의 분석을 통해 부여의 동명 시조신화의 다른 형태로 볼 수 있다. 동명과 주몽의 잉태와 탄생에서 사건화소를 분석한 결과, ‘氣’로서 잉태하여 아들로 태어난 동명에 비하여 주몽은 ‘日光’에 의하여 잉태하여 ‘알’로 태어난 것으로 화소변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기 중국의 史書를 통하여 그 자료로 삼았다. 따라서 동명신화에서 주몽신화의 발전은 卵生신화를 형성시켰다. 동명신화의 모친에서 인물화소는 侍婢에 불과했으나, 이에 비하여 주몽신화는 河伯新의 딸, 즉 柳花로 상승하여 그 역할의 비중이 신화 구성상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 신분의 상승은 동명신화가 주몽신화로 전승되어 가는 과정 속에서 天神인 解慕漱에 대응하는 地神이면서 水神인 柳花 神話를 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다. 徐偃王의 신화 구조를 중심으로 대비하여 동명신화보다는 그 구성상, 특히 탄생에 있어서 같은 난생신화라 볼 수 있는 주몽신화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 더구나 그 신화의 본문 중에 ‘生卵’ㆍ‘朱弓朱矢’이 각기 주몽신화의 ‘誕生’ㆍ‘朱蒙’과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작업은 동아시아의 영웅이야기 즉, 서사문학으로서 시조영웅의 한 유형을 밝혀낼 수 있다고 본다. This article itself, the narrative of narrative context, structural analysi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Dongmyeong and Jumong myth of tradition the process aims to clarify. This article said, Buyeo, Goguryeo, Seo and the other founders is a myth. Dongmyeong is the founder of the Buyeu, Jumong is the founder of the Goguryeo can say. In addition, the Dongmyeong and Jumong myth, the founder eonwang Seo myths and is very similar to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founder of the Dongmyeong can be seen as another form of Buyeo mythology. The Dongmyeong and Jumong in the case of the conception and birth of pixels analyzed, ‘Qi’ as compared to the Dongmyeong, conceived and born as the son of Jumong ‘Daylight’ conceived by the ‘Eggs’ to be born a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variation pixel . In addition, each of the librarians throughout China and made its resource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Dongmyeong in the narratives in my life, Jumong narratives shaped the narrative. Mythical figures from the mother of the Dongmyeong in dispute is only the pixels, but Habaek In contrast, the new myth, daughter of Jumong, the Yuhwa and its role as a rising proportion of the plot is a big part is a myth. The rise of identity with the Dongmyeong, tales passed down tales in the process of Jumong cheonsinin Haemosu corresponding bore (Gisin) is Habaeknyeo (Yuhwa) have developed a narrative can be seen. Preface to the structure around the myth of the king over the makeup of the Dongmyeong, rather than myth, especially in the creation can be seen as ‘born of eggs’, Jumong stand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yth that there can be seen. Moreover, while the body of the mythical “saengran”, “jugungjusi” The Myth of each Jumong “Birth”, “Jumong” You can find their relevance. Therefore, this task that the hero’s story of East Asia, as the eponymous hero of epic poetry can reveal a type of believe.

      • KCI등재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안

        고안나(An Na Koh) 제주학회 2012 濟州島硏究 Vol.38 No.-

        Learning of local history has advantages to help children have senses of closeness and liveliness by learning history through the local people`s tangible·intangible historic products and make them feel a curiosity about history. However, examining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localized textbooks weaknesses are found out that they don`t contain contents of local history as its learning materials, and that in narrative styles and methods they don`t stir up children`s interest and historic imagin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imed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s of the Jeju myth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and propose a direction of teaching local history for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planning and applying methods of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concept and need of learning local history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examined what meanings the Jeju myth had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In addition, in applying the Jeju myth to learning local history teaching methods were provided being divided into three types and workbooks were made by each type to apply them to practical classes. Based on the class conducted, we proposed the direction of learning local history. The values as a material of learning local history of the Jeju myth are as follows. First, the Jeju myth reflects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o lives in the times and contains the general public`s stories which are not left in official historical records. Second, the Jeju myth is an interesting learning material to find local customs and manners, natural environments and values etc. Accordingly, in the current study classes were conducted providing the method of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in three ways including reading differently , reading thickly and reading through little things .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survey obtained after conduction local history learning and class responses, the summary of the meanings of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is as follows. First, awareness was generated that learning local history using the Jeju myth is not boring but interesting and amusing. Second, as the Jeju myth is concerned with the existing shrine of the region and has contents handed down orally by shamans, it was a good material to make children feel living, changing and vivid history. Third, the Jeju myth contained stories of Jeju`s common people and stories to deny the narration of textbooks etc which are not addressed in centralized textbooks, a opportunity was given to inculcate critical consciousness of history. Third, the Jeju myth contained stories of Jeju`s common people and stories to deny the narration of textbooks etc which are not addressed in centralized textbooks, a opportunity was given to inculcate critical consciousness of history. However, if you conduct teaching local history using myths, you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involves how to select and present the myth. If you select the Jeju myth as a material of local history learning, you should select appropriate learning objectives and myth. In addition, when you present the myth, you should various methods such as a form of the play script, orally narrated children`s story, flash fairy tales, a form of historical data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yth contains what was orally narrated by a shaman without any correction, improper local dialects, slangs and cruel expressions may be inserted. Thus, the work to reorganize the volume and contents must be followed. Third, the historical values of myths and religious issues should be considered. Since myths are cultural products to reflect popular beliefs, they may cause misunderstanding inevitably. Teachers should be fully aware of there aspects and apply them to local history learning limiting them to their elements of the story. 향토사 학습은 지역 사람들의 유·무형의 역사적 산물을 통해 역사를 학습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역사에 대한 호기심을 느끼게 해주는 장점을 지니지만 현행 사회 교과서와 지역화 교과서는 내용 및 서술방식에 있어 아동들의 흥미 및 역사적 상상력을 자극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토사 학습의 개념 및 필요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고,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 제주신화가 어떤 의의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제주신화를 활용한 세 가지 학습 유형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실행한 수업을 바탕으로 향토사 학습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주신화의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신화에는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역사의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공식적인 역사기록으로 남지 않은 일반 민중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둘째, 제주신화는 향토의 풍습, 자연환경, 가치관 등을 찾아볼 수 있는 흥미로운 학습 자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안을 다르게 읽기 , 두껍게 읽기 , 작은 것을 통해 읽기 로 제시하여 수업을 실행하였다. 향토사 학습 실행 후 얻은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의 의의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은 지루하지 않고 즐거운 것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둘째, 제주신화는 현존하는 지역의 당과 관련되며 심방에 의해 구전되는 내용이므로 아동들에게 살아있는 역사, 변화하는 역사, 생동감 있는 역사를 느끼게 해주는 좋은 소개였다. 셋째, 제주신화에는 중앙집권적인 교과서에서는 다루어지지 않는 제주 민중의 이야기, 교과서의 서술을 부정하는 이야기 등이 담겨있어서 비판적인 역사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을 실행할 경우 다음의 세 가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신화 선정 및 제시 방식이다. 제주신화를 향토사 학습의 소재로 선정할 경우 학습목표 및 이에 적합한 신화를 골라야한다. 또한 신화를 제시할 때에도 연극 대본 형식, 구연동화, 플래시동화, 사료형태 등의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신화 번역 및 사료화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신화는 심방의 구연내용을 여과 없이 담고 있기 때문에 아동들이 접하기에는 부적절한 지역 방언, 비속어, 잔인한 표현들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분량 및 내용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셋째, 신화의 사료적 가치와 종교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신화는 민간신앙이 반영된 문화적 산물이기 때문에 교사는 이러한 점을 충분히 숙지하고 신화의 이야기적 요소에 한정짓고 향토사 학습에 활용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제주신화는 다루기에 따라 재미있는 향토사 자료가 될 수도 있고 난해하고 심오한 자료가 될 수도 있다. 이는 단점도 될 수 있겠지만 중학교, 고등학교로 이어지는 연속성에서 볼 때 향토사 학습 자료로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드러낸 것이라 여겨진다. 이처럼 제주신화를 활용한 향토사 교재의 단계형 자료 개발은 추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후보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 양상 -『신과 함께』< 신화편 >을 중심으로-

        김진철 ( Jin Chul Kim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1 No.-

        본 연구는 제주신화를 소재로 하는 웹툰 『신과 함께』 <신화편>을 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에 수용된 제주신화의 변형 양상과, 현대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신화편>의 이야기들은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거나 장애를 극복하고 신으로 좌정하는 신화의 내력담 구조를 그대로 차용하고 있지만 인물의 성격과 사건 전개의 변화를 통해 논리적인 비약을 보완하여 개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각 이야기마다 오늘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현대적 가치들을 반영하고 있다. 먼저 원형 신화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배경 이야기를 제시하거나, 등장 인물에게 새로운 설정을 부여하여 성격을 강화하고, 기존에 없던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키기도 한다. 이를 통해 인물의 행동에 타당성을 갖추도록 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건 전개의 변형을 통해 신화에 대한 작가의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원형 신화의 서사를 단순히 재현하여 전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의 사람들이 추구해야 하는 현대적 요소를 반영하여 공감을 얻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동일한 인물을 다른 이야기에 등장시키는 방법을 통해 각 편의 서사를 연결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었다. 이러한 장치들은 <신화편>의 여러 이야기의 세계를 통합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이와 같이 웹툰 『신과 함께』의 <신화편>은 제주신화의 원형성을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변형과 각색을 통해 신화를 재해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aspects of acceptance and reinterpretation of the times of Jeju myth in <Sinhwa> of webtoon With God which is evaluated as the most successful culture contents that have Jeju myth motif. In <Sinhwa> it adopts a narrative structure of Jeju myth that the god is sit by solving problems, but it shows various efforts to overcome a contingency of archetype mythology. To begin with, it shows background stories which are not in archetype mythology, reinforces characteristic with giving new settings to characters, or presents new characters. This gives validity on characters’ behaviors. Also, through a transformation of events development, it shows new point of view about myths. A writer reinterprets and passes on the narrative of archetype mythology, besides gains the sympathy by reinterpreting universal values that people should seek. Next, there is a system that connects each piece’s narratives through presenting same character indifferent stories. This system makes people consider worlds in many stories in <Sinhwa> an integrated world. Thus, <Sinhwa> in webtoon With God keeps archetype of Jeju myth and reinterprets the myth with transformation and dramatization.

      • KCI등재

        비유-신화적 예배

        최승근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5 복음과 실천신학 Vol.37 No.-

        예배는 하나님의 이야기를 실행하는 것이다. 즉 예배는 이야기의 특성을 지 닌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 교회의 예배가 실행하는 이야기는 어떤 성격의 이야기인가? John Dominic Crossan은 우리가 말하는 이야기가 신화와 비유로 구분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의 개념을 토대로, 이 짧 은 논문은 기독교 예배는 비유-신화적 이야기를 실행해야 함을 주장한다. 다 시 말해, 예배는 비유-신화적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먼저 Crossan의 신화와 비유의 개념을 간략하게 요약 하고 설명한다. 그리고 그의 개념을 토대로 예배는 신화적 특성과 비유적 특성 모두를 가지고 있음을 보인다. Crossan의 신화와 비유의 관점에서 오늘날 교 회의 예배를 점검한 후, 신화적 특성에만 치우친 예배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진정한 기독교 예배가 되기 위해선 비유-신화적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 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비유-신화적 예배를 드리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으 로 교회의 전통적인 사중구조를 따르는 예배를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는다. Christian worship does God’s saving story. It means that worship has a narrative-character. Then what kind of story is God’s saving story? What kind of story Christian worship have to do? According to John Dominic Crossan, stories we have and tell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yth and parable. Based on Crossan’s concept of myth and parable, this short paper insists that Christian worship has to does parabolic-mythic story; our worship must be parabolic-mythic. This paper first summarizes and explains Crossan’s concept of myth and parable. It then demonstrates that Christian worship has both mythic and parabolic characters. After examining today’s worship, this paper indicates that it is mythic only and emphasizes that the genuine Christian worship must be parabolic-mythic worship. Then who can we do parabolic-mythic worship? This paper shows that the church’s traditional fourfold-structure of worship could be a good frame to design such worship. It then draws a conclusion.

      • KCI등재

        중국신화에서의 파격적 상상력 ―곤우(鯀禹) 신화와 저인(氐人) 신화를 중심으로―

        정재서 한국구비문학회 2009 口碑文學硏究 Vol.0 No.29

        The mythical imagination of other imaginations attains the highest perfection of exception, because it is so strange and nonsensical. The oldest chinese mythology, ShanHaiJing(山海經), has been said ‘a strange book’ from ancient times. It is filled with mysterious and fabulous contents and enough to be said ‘natural history of strangeness’. So if we want to find the most exceptional story, naturally cannot but open this mysterious book ShanHaiJing. Especially, in this study, we have presented the myth of Kun-Yu(鯀-禹) and Diren(氐人) to consider an exceptional imagination of chinese myth. Because they have two views about the conception of exception, one is that the conception of exception deviates from cultural tradition of ancient China, other is that it becomes estranged from our imaginative world after modern times. In a discussion about Kun-Yu myth, we analyzed Kun’s death and Yu’s succession using an Oedipus complex. In China in which the Oedipus myth motif was not obvious, Kun-Yu myth can be said a rare case showing its concealment and adaptation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not to cooperate with a generalization of analysis mechanism, Oedipus complex, but to emphasize the universality and locality both through confirming the modification of myth according to the cultural climate. Because we don’t want to join in a fantasy that all cultrue can be analyized by an Oedipus complex, and we also cannot agree the arrogance that only chinese culture can be the unchangeable substance In a discussion about Diren myth, we were conscious of the western mermaid image, looked into the chinese mermaid in genealogical and followed its periodic transition aspects. In result, we could find the mermaid had been imaginated in two different cultural area had same problems of identity, otherness, ect. but had different symbols like a male and a female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climate such as understanding about the animality and the ocean culture. 여러 상상력 중에서도 신화적 상상력은 가장 기괴하고 황당하여 파격의 극치를 이룬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신화집 『산해경(山海經)』은 고래부터 ‘기서(奇書)’로 운위(云謂)되어 온 만큼 ‘기(奇)의 박물지’라 할 정도로 기괴하고 황당한 내용들로 가득 차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상상력 중에서 가장 파격적인 내용을 찾아보고자 할 때 당연히 기서 『산해경』을 펼쳐보지 않을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중국신화의 파격적 상상력을 고찰함에 있어 특별히 곤우(鯀禹) 신화와 저인(氐人) 신화를 제기하여 논구하였다. 그것은 파격의 개념을 고대 중국의 문화 전통에서 일탈한 경우와 근대 이후 우리의 상상세계로부터 멀어진 경우의 두 가지 관점에서 취했기 때문이었다. 곤우 신화에 대한 검토에서 우리는 곤의 죽음과 우의 계승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원용하여 해석하였다. 오이디푸스 신화 모티프가 현저하지 않은 중국에서 곤우 신화는 그것의 은폐, 각색을 보여주는 드문 사례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검토의 목적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해석 기제의 일반화에 협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풍토에 따른 신화의 변용을 확인함으로써 보편성과 지역성을 다함께 강조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우리는 세계의 모든 문화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해석될 수 있다는 환상에 동참하고 싶지도 않지만 중국 문화만이 고정불변한 실체라는 오만에도 동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저인 신화에 대한 검토에서 우리는 서양 인어의 이미지를 의식하면서 중국의 인어를 계보학적으로 살펴보고 그것의 시대별 변이 양상을 추적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두 문화권에서 상상된 인어가 정체성· 타자성 등의 문제를 공유하면서도 동물성에 대한 인식, 해양문화 등 문화적 풍토의 차이에 의해 대표적 표상이 남성과 여성으로 각기 달리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신화내부 시간범주에 따른 알타이신화 모티프 분류

        양민종(Yang Min-jong) 고조선단군학회 2010 고조선단군학 Vol.22 No.-

        Altaic myth-tales have been regarded by us as a collection of whole bunch of similar fantastic stories which contains Altaic mythological themes and characters. So it is quite natural for us to think that altaic myth-tales does not have a logically successive time structure within myth-talesstory-texts. However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re are certain possible common structures in the various Altaic myth-tales with which we can understand the Altaic myth-tales as a whole Mythology System, like a Chinese Mythology, an Indian Mythology, a Greek Mythology and so on. So the author tries to pin point 3 categories which may restructure the various myth-tales as a successive logical structure, like a Chinese mythology or a Greek mythology. The author suggests the 3 steps of Altaic Myth-tales with a view point of myth-time-logic. The first step is 〈altaic mythology before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The second phase is 〈altaic mythology after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The final stage is 〈an open myth-tales toward the epos-tales〉. Within above 3 categories, the author gives us various altaic myth-tale motifs which justify the author’s theory. If we can admit the authors suggestion as one of perspective ways of studies, it might b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intrinsic structure of altaic myth-t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hopes, can contribute to other myth-tales researchers to think over the possibilities and values of a certain Altaic myth-tale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