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문화콘텐츠 현황

        문선영 한국신종교학회 2018 신종교연구 Vol.38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state of cultural content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at is leaving traces in the new religion history of Korea. Although there are various definitions of cultural contents, generally cultural contents can be explained with the connection between ‘culture’ and ‘contents’. Thus, this study considers the contents including the religious cultural element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as ‘cultural content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e range of this study embraces publication, image, performance, and Cheonji Sunhak Won (Sunhak Garden of Heaven and Earth) currently promoted by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e words and lives of the founders, Sun-Myung Moon and Hak-Ja Han, are the sources and resources of the religious culture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Thus,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considers the founders’ words and lives important, and has published various types of books containing related contents. In addition, the monthly periodical 《統一世界》 is evaluated to be an important material with which people can look at its developmental process, recent news, and believers’ lives. PeaceTV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s providing various images and audio contents on the Internet related to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Hyojeong Media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s differentiated from PeaceTV in that it provides many programs with which people can easily learn believers’ activities and lives at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Many musicals focusing on the stories of the founders are becoming main cultural content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field of performance. In addition, Cheonji Sunhak Won (Sunhak Garden of Heaven and Earth) will play a role of museum, gallery, and educational institute notifying people of the founders’ lives and visions, and also will play a role of tourism attraction that the public can freely visit and where they can understand the religious culture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 역사에서 남다른 발자취를 남기고 있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문화콘텐츠 현황에 주목한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문화콘텐츠의 의미는 ‘문화’와 ‘콘텐츠’의 결합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종교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담겨진 콘텐츠를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문화콘텐츠’라고 전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출판, 영상, 공연 분야, 그리고 현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추진 중인 천지선학원에 초점을 맞춘다. 신앙의 대상인 창시자 문선명⋅한학자의 말씀과 생애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종교문화의 원천 및 자원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창시자 부부의 말씀과 생애를 중요하게 여기며, 이에 관한 내용을 다양한 형태의 서적으로 출판해 나오고 있다. 그리고 종단의 월간 정기간행물인 《統一世界》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발전 과정과 종단 관련 최근 소식, 종단 신앙인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사료가 된다고 평가된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PeaceTV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관련 다양한 영상과 일부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효정미디어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신앙인의 활동과 그들의 다양한 삶의 이야기와 생각 등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많이 있다는 점에서 PeaceTV와 차별성있는 영상 내용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창시자 부부에 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다수의 뮤지컬은 공연 분야에서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주요 문화콘텐츠가 되고 있다. 그리고 천지선학원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시자 부부의 생애와 업적, 비전을 총체적으로 알 수 있는 박물관, 전시관이자 교육관의 역할을 할 것이며, 많은 대중들이 자유롭게 찾아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종교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관광명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전망된다.

      • 한국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회고와 전망

        양승훈 ( Paul S. Yang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8 통합연구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지난 40여년 가까이 지속된 한국에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개괄한다. 한국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군사정권 치하의 1970-1980년대에 젊은 지성인들이 기독교적 신앙과 실천의 이원론적 분리를 고민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 세계관 운동에서 선구적 역할을 한 단체를 든다면 1981년에 설립된 ‘기독교대학설립동역회’(이하 동역회)와 1984년에 설립된 ‘기독교학문연구회’(이하 기학연)를 들 수 있다. 원래 동역회(후에 기독학술교육동역회로 개명)(이하 동역회)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대학 설립을 목표로 시작되었고, 기학연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학문을 목표로 시작되었지만 두 단체 모두 초기 활동은 한국 교회와 사회에서 기독교 세계관의 연구와 확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들을 통해 한국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한국 교회와 사회에 천천히 확산되기 시작했다. 기독교 세계관 운동이 시작된 이후 가장 중요한 사건은 밴쿠버기독교 세계관대학원(VIEW)의 시작과 초기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두 축이었던 동역회와 기학연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DEW가 시작된 1981년 이전을 태동기로, 1981년부터 VIEW가 설립되던 1997년까지를 확산기로, 그리고 1997년부터 동역회와 기학연이 통합된 2009년 전까지를 제도화기, 두단체의 통합이 이루어진 2009년 이후를 성숙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제도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VIEW의 사역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In this study, we take a brief look at the historical overview of Christian worldview movement(CWM) in Korea since 1981. CWM in Korea was initiated by young Korean Christians who were struggling with dichotomic division between Christian belief and practice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1970-1980s. In the initiating stage of CWM, there were 2 dominant organizations which lead the movement: Christian University Fellow-workers Association(later renamed as Disciples with Evangelical Worldview, DEW) founded in 1981 and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Studies(KSCS) founded in 1984. Originally DEW was started for founding a university with Christian worldview and KSCS for Christian scholarship. During the 1980s, however, the initial ministries of both organizations were focused on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Christian worldview. Through them, CWM spread and became a movement in Korean church and society. In the history of CWM in Korea, most significant events were the creation of Vancouver Institute for Evangelical Worldview(VIEW) in 1997 and the unification of DEW and KACS in 2009. In this paper we divide the CWM in Korea into 4 periods: Inception(before 1981 when DEW was started), Expansion(from 1981 to 1997 when VIEW was started), Institutionalization(from 1997 to 2009 when DEW and KACS were united), Maturity(after 2009). In particular, we try to give a special attention to VIEW ministry which played a dominant role for institutionalizing CWM.

      • KCI등재

        한국에서 세계시민주의(cosmopolitanism)와 국가 자부심(national pride)의 관계와 그 정책적 함의

        황인정(Injeong Hwang)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국가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사람은 세계시민주의적 인식이 부족할까? 한국에서 국가 자부심과 세계시민주의는 어떤 관계를 보일까? 무역의존도와 시장 개방성 수준이 높은 한국은 경제적 세계화뿐 아니라 최근 한류열풍으로 인한 사회문화적 세계화의 한복판에 있는 국가이다. 세계화와 국가발전의 높은 상관관계는 한국인들이 세계시민주의적 인식과 국가 자부심을 충돌하지 않는 양립 가능한 가치로 인식할 가능성을 높인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세계시민주의적 성향을 갖는 사람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국가 자부심과 세계시민주의의 상관관계를 세계화에 따른 경제 및 문화적 지위 상승을 이룬 한국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에서 세계시민주의적 시각을 갖는 사람들이 시장의 개방성이나 이민자 유입 등의 세계화 관련 정책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갖는가에 대해 분석한다. 2023년 1월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국가 자부심이 강한 사람일수록 강한 세계시민주의적 성향을 갖고, 세계시민주의적 성향이 강할수록 세계화 정책에 대해 높은 동의를 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re people with a cosmopolitan world view less proud of their countries? Or vice versa? The relations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supranational identity have been a debatable topic among the scholars of nationalism and ethnicities. This paper seeks to find how the two seemingly mutually conflicting identities intertwin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using an online survey data. It also aims to find how the cosmopolitan view impact on the preferences about globalization policies including open markets and immigration policies. The South Korean national context provides an interesting example to test the relations between cosmopolitan world view and national pride because the country has risen as one of the Asian tigers and now as the center of K-culture that is consumed enormously by global fans thanks to the open market trade and globalization overall.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strong national pride is related to strong cosmopolitan views and people with cosmopolitan view are more likely to agree with globalization policies.

      • KCI등재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세계화 윤리

        김일방(Kim Il-bang)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8 No.-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둘러싸고 의견들이 분분하다. 세계화 지지론자들은 세계화가 환경문제의 가장 큰 적으로 간주되는 빈곤의 해소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 기술 또한 개도국으로 널리 확대·이전함으로써 환경문제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에 세계화 비판론자들은 세계화가 오히려 선·후진국 간의 빈부격차를 확대해 왔고, 초국가기업들의 세계 시장 지배를 위한 과잉 생산을 불러왔으며, 개도국으로 공해산업 기술을 이전하게 함으로써 환경파괴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양측의 의견 대립의 각이 너무 커 어느 쪽의 입장이 더 설득력이 있는지 판단하기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이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대체로 비판론자들의 입장이 우세함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 우리의 현실이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을 거부하거나 회피하는 것을 허락하지도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으로 필자는 세계화의 부정적 유산은 과감히 수정·개혁하면서 긍정적 유산은 더욱 신장시켜 나가는 것을 제안하였다. 환언하면 기존의 승자독식의 세계화를 청산하고 ‘생태적 세계화’의 길로 세계화의 흐름을 바꿔 나가자는 것이다. 이를 위한 과제로 필자는 세계화를 추동하고 있는 선진국가들의 윤리적 반성에 기초한 세계화 윤리의 형성을 주장하였고, 그 구체적 내용으로서 책임의 윤리와 공평성의 윤리를 제안하였다. We find a wide and diverse range of opinions on the influence which the globalization exercises on the environment. Globalization supporters maintain that the globalization can solve the poverty which is regarded as the greatest enemy of the environment problems, and can spread up-to-date and communing with nature environment technology of the advanced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On the other hand, globalization critics advocate that the globalization produces benefits on the advanced countries, bur increases poverty on the developing countries therefore the environment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s growing from bad to worse. Like this, because the angle of opinion oposition between the globalization supporters and the globalization critics is too wide,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which side’s position has the strong persuasive power or not. But when we take into consideration synthetically the various opinions on this problem, we can find that the position of the globalization critics has the strong persuasive power. For all that, we are placed in surroundings that can’t refuse or avoid the globalization. Under this like situation, I suggested the best alternative plan that make a revision, reformation the negative heritage of the globalization and make a extension the affirmative heritage of the globalization. In other words, it is that liquidate the globalization that a winner makes a monopoly of all benefits and adopt ‘the ecological globalization’, ‘the green globalization’. As the task for us to achieve this, I suggested we should take ‘globalization ethics’ or ‘global ethics’ that is based on the moral self-examination of the advanced countries. 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globalization ethics include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and equity.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와 ‘대안’교과서 비교 -이슬람 세계를 중심으로

        서선화 ( Seo Sun-hwa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인문학술 Vol.4 No.-

        서구 중심적 역사서술로 인해 7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 내에서 가장 왜곡된 정체성을 부여받게 된 것은 이슬람 세계이다. 본고에서는 이슬람 세계의 서술 중 기존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부분에 대해 7차 교육과정 세계사 교과서와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에서 이를 어떤 식으로 서술하고 있는지 검토해 그 장점과 한계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7차 세계사 교과서는 서술 분량에 있어서나 내용 서술 면에 있어서 여전히 서구중심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계사인식의 변화에 따른 세계사 서술의 변화라는 학계의 흐름을 교과서 내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대안’교과서의 경우 기존 세계사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서구중심적 태도를 지양한다는 전제 아래 서술분량이나 내용 서술 면에 있어 균형적인 시각을 유지하려 노력한 흔적이 엿보였다. 하지만 완전히 서구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7차 세계사 교과서에서 수정된 문제점이 다시 나타나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 in which ‘the Alternative’ world history textbooks called ‘Live World History’ treats and overcom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description of the Islamic world presented in official world history textbooks. The National Association of History Teachers published ‘Live World History’ in order to overcome westernized historical misunderstanding. It tries to maintain a balanced view. It carefully considers the amount of description as well as the form of description to describe historical evernts. However, it does not completely shake off the westernized view that can be found in the existing world history textbook. Hence it is not an ultimate alternative but one of possible alternatives to the current description of the Islamic world. Consequetly,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ree ways in which to improve this description. First, the Islamic world needs to be presented holistically, since the holistic view integrates economy, culture, and society in terms of cross-cultural interactions across the regions. Second, the Islamic world needs to be described by those who have professional and extensive knowledge of the region and its peoples. Third, detailed explana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s guide book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Islamic world. It is essential to reformulate the narration of the Islamic worl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world history education. Efforts to provide a balanced perspective are needed to keep pace with the changing paradigm of world history. The history of the world is a result of mutual interaction and contributions from every civilization in the world. Consequently, world history textbooks should be written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diversity and correlativity.

      • KCI등재

        권위주의 체제에서 작가의 세계관 지양 Aufheben 문제(3)

        유영하(RYU, Yeong - Ha)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7

        중국 사회주의에서 작가의 세계관은 일관되게 중시되었다. 특히 부르주아적 세계관에 대한 전환 요구와 그 방법에 대한 언설은 중국 사회주의 문예이론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점유해왔다. 세계관의 전환은 장기적인 과정인바, 부단히 학습하고 이해하고 노동자 농민과 가까이해서 완성해야만 하는 것이다. 역으로 말하면 생각하는 방법 즉 세계관은 대상을 학습하고 또 이해하면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과연 사람의 세계관은 전환될 수 있을까하는 문제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신경과학의 중요 이슈중 하나이다. 나는 세계관이 부르주아적이냐 아니면 프롤레타리아적이냐 하는 문제조차 본능의 영역으로 보고 싶다. 그래서 세계관의 이동이나 전환의 실례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가지고 바라본다. 그것은 자신이 스스로의 세계관이 전환되었다고 공표하는 것에 대해서나, 어떤 정치인의 입장이나 관점이 극좌에서 극우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 의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사물을 대하고 판단하는 가치체계는 본능과 같아서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의 성과에 따르면 노동이나 하방(下放) 등 보편적이고도 지속적인 프롤레타리아적 경험은 세계관의 형성이나 변화에 분명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한순간도 포기할 수 없는 사실은 그것도 상대가 누구냐 즉 유전자적으로 두뇌가 어떤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따라서 천차만별인 것이다. 즉 사람에 따라 그것의 영향이 클 수도 혹은 지극히 미미하거나 전무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두뇌나 유전자가 요지부동의 것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또 환경이 두뇌에 미미한 영향이나마 줄 가능성도 있다는 측면에서 마오쩌둥의 세계관 전환 요구는 타당하다. 노동이나 하방(下放)이 한 두 사람 - 그것도 성인이 아닐 경우 확률이 높다 - 을 바꿀 수 있을지는 모른다. 하지만 문제는 환경이다. 적어도 권위주의적 방법은 세계관 전환의 불가능을 예비한다. The Chinese socialism has consistently valued world view of writer. The discourses on a change of bourgeois world view have been of critical importance to the Chinese socialist literary theory. Writer"s change of world view is a long-term process that requires understanding and studying proletariat as well as being associated with them. The past studies of world view have consistently overlooked a problem of human natur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neuroscience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is the question of is it possible to change a human view of the world. I would like to think that even the subject of world view is proletariat or bourgeois belongs to the domain of instinct. So I have cast doubts on real instances of change or move of someone"s world view. For the same reason I am suspicious of a politician"s move from the extreme left to the extreme right. According to the recent result, consistent proletariat experiences such as labour, and xiafang(下放) are able to influence formation and change of world view. On this basis it was reasonable that Mao Zedong has asked writers to change their world view. However the possibility of change depends on the gene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s brain. Even though proletariat labour can change one person or two who are not adult, the key to change is environment. An authoritarian system does not allow any change of world view. 중국 사회주의에서 작가의 세계관은 일관되게 중시되었다. 특히 부르주아적 세계관에 대한 전환 요구와 그 방법에 대한 언설은 중국 사회주의 문예이론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점유해왔다. 세계관의 전환은 장기적인 과정인바, 부단히 학습하고 이해하고 노동자 농민과 가까이해서 완성해야만 하는 것이다. 역으로 말하면 생각하는 방법 즉 세계관은 대상을 학습하고 또 이해하면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과연 사람의 세계관은 전환될 수 있을까하는 문제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신경과학의 중요 이슈중 하나이다. 나는 세계관이 부르주아적이냐 아니면 프롤레타리아적이냐 하는 문제조차 본능의 영역으로 보고 싶다. 그래서 세계관의 이동이나 전환의 실례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가지고 바라본다. 그것은 자신이 스스로의 세계관이 전환되었다고 공표하는 것에 대해서나, 어떤 정치인의 입장이나 관점이 극좌에서 극우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 의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사물을 대하고 판단하는 가치체계는 본능과 같아서 쉽게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의 성과에 따르면 노동이나 하방(下放) 등 보편적이고도 지속적인 프롤레타리아적 경험은 세계관의 형성이나 변화에 분명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한순간도 포기할 수 없는 사실은 그것도 상대가 누구냐 즉 유전자적으로 두뇌가 어떤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따라서 천차만별인 것이다. 즉 사람에 따라 그것의 영향이 클 수도 혹은 지극히 미미하거나 전무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두뇌나 유전자가 요지부동의 것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또 환경이 두뇌에 미미한 영향이나마 줄 가능성도 있다는 측면에서 마오쩌둥의 세계관 전환 요구는 타당하다. 노동이나 하방(下放)이 한 두 사람 - 그것도 성인이 아닐 경우 확률이 높다 - 을 바꿀 수 있을지는 모른다. 하지만 문제는 환경이다. 적어도 권위주의적 방법은 세계관 전환의 불가능을 예비한다. The Chinese socialism has consistently valued world view of writer. The discourses on a change of bourgeois world view have been of critical importance to the Chinese socialist literary theory. Writer"s change of world view is a long-term process that requires understanding and studying proletariat as well as being associated with them. The past studies of world view have consistently overlooked a problem of human natur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f neuroscience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is the question of is it possible to change a human view of the world. I would like to think that even the subject of world view is proletariat or bourgeois belongs to the domain of instinct. So I have cast doubts on real instances of change or move of someone"s world view. For the same reason I am suspicious of a politician"s move from the extreme left to the extreme right. According to the recent result, consistent proletariat experiences such as labour, and xiafang(下放) are able to influence formation and change of world view. On this basis it was reasonable that Mao Zedong has asked writers to change their world view. However the possibility of change depends on the gene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s brain. Even though proletariat labour can change one person or two who are not adult, the key to change is environment. An authoritarian system does not allow any change of world view.

      • KCI등재

        세계시민의 역할 과제를 중심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재구상

        배영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2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지만 아직 세계시민교육이 무엇인지 그 정체 파악이 용이치 않다. 여러 가지 윤리적 덕목과 합리적 능력들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으로 지적되고 있지만, 그러한 교육이 실제로 세계시민의 실천과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세계시민을 키워내기 위한 교육 내용을 고민하는 대신, 세계시민이라면 수행해야 할 ‘역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드러내고, 그러한 역할 수행을 증진시키는 방향에서 어떠한 교육이 필요한지를 모색하는 가운데 세계시민교육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세계화 시대 국가 및 세계정치의 역동을 고려하는 가운데 세계시민이 수행해야 할 네 가지 기본 역할 과제를 드러낼 수 있었고, 그러한 역할 수행 증진을 위한 세 가지 세계시민교육의 영역과 세계시민교육의 실행 관련 시사점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 public has taken interest in world citizenship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trends of globalization, that include the evolution of a multicultural society, as well as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ethnic strife, and terrorism. At present, schools and a few NGOs are providing some world citizenship education, but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what world citizenship education is and how it can be put into practice. Many scholars have attempted to define it, but without much success.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world citizenship education,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citizens themselves. What should they do as citizens? This question is fundamental because it is not clear what a world citizen is in the first place. Study results indicate new objectives, topics, and directions of world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세계시민의식과 도덕 교육의 이론적 관계 정립 : 세계시민이론과 중학교 도덕 교육과정 분석

        김진희,차승한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3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moral education to enhance global citizenship as espoused within a moral education context.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Researchers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on global citizenship theorists such as Kant, Arendt, Nussbaum and Appiah. Findings/Results: Major findings showed that global citizenship should be meaningfully implemented while engaging aspects of moral education. Particularly, global ethics should form a central component to imbed it properly within the curriculum. Also,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urrent national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s already adapted to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to some degree. However, devotion and engagement in the public sphere is poor when compared to other elements. Valu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oral education and could contribute to nurturing global citizenship in practice by utilizing a specific subject. 본 연구는 국제사회에서 세계시민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세계시민의식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도덕 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성의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세계시민의식 함양이 도덕 교육에 주는 의미를 분석하고, 현행 중학교 도덕 교육에 세계시민의식의 내용을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칸트, 아렌트, 너스봄, 아피아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분석하였고, 각 이론에서 중시한 ‘세계관찰자, 도덕적 공동체, 뿌리내린 세계시민’ 담론을 세계시민적 정체성(belonging), 세계시민적 태도(attitude), 세계시민적 개입(engagement)과 연계지어 논리적으로 정련함으로써 도덕 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세계문제에 대한 다양한 쟁점을 다루는 글로벌 윤리 개념이 세계시민의식과 도덕 교육 사이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한국의 현행 도덕 교육과정은 세계시민의식과 관련한 내용을 직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나, ‘공적 영역에 대한 헌신’을 반영하는 내용 요소는 빈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의 상황에 맞는 세계시민의식의 개념 정립을 위해 학교교육의 장면 중 중학교 도덕 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을 내실화하는 단초를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실천방향에 대한 철학적 성찰: 카신의 언어 논의를 중심으로

        윤선인,조윤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is paper examines the idea of language in Barbara Cassin (2016) in relation to the current discourse of the identity issues in practi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first explores the phenomena of globalization in the world and global citizenship in education. This paper in particular focuses on the historical discourses of cosmopolitanism which have theoretically served the idea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discusses that they are related to the universal humanism based on the exile experience of Dionysus, the Kantian peace discourse suggested from the wars in the rise of nation and nationality, and the tensions in individual identity between the national/collective and the universal. In reading of Cassin (2016), this paper suggests that such tensions should be revisited through one’s understanding of identity based on the exile experience of language. Arendt eloquently describes her experience of exile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language that is in faltering equivocity. This is the human condition in the sense of the unfamiliarity and the uncanniness in lives. In line with this, it suggests re-thinking of identity in its plurality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the practice of education that is to re-visit the language in the world that we all share. 본 연구는 바바라 카신의 언어 논의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의 실천적 방향으로서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재성찰을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오늘날 세계시민교육의 배경이 되는 담론으로서 세계화의 현상에 대한 분석과 세계시민성, 세계시민교육의 관련성을 간략히 탐색하였다. 관련하여, 세계시민성 개념의 형성에 영향을 준 세계시민주의 담론의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오늘날 세계시민주의의 쟁점을 누스바움과 아피아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세계시민주의개념은 이방인의 추방 경험에서 비롯된 인류 보편성 담론, 국경국가의 등장에 따른 분쟁을 해소하기 위한 평화담론, 애국주의와 보편적 인류애로 요약되는 소속감과 애착심 담론으로 요약된다. 이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오늘날 세계시민주의 담론의 근저에는 궁극적으로 개인이 이해하는 자기 정체성의 형성 문제와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바바라 카신은인류 보편성과 애착심 간의 긴장을 아렌트의 이방인 경험 논의를 토대로 인간의 조건이 되는 언어의 속성으로서언어 다양성을 제시하며 그에 따른 자기 정체성에 대한 재성찰을 촉구한다. 교육의 일이란 우리가 건설하고자 하는세계의 언어를 점검하는 일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면 세계시민교육은 바로 자기 언어에서 형성되는 정체성에 대한사유에서 출발해야 함을 제안한다.

      •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사회복지정책의 윤리적 가치

        박형진 ( Hyung Jin Park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9 극동사회복지저널 Vol.5 No.-

        세계화 담론에서 세계화 옹호론자들은 복지국가가 재정 적자를 경험하는 상황이 바로 복지국가의 위기이며, 이에 대해 복지국가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즉 그들의 시각에서 빈곤과 여러 사회문제는 세계화를 통한 경제성장과 사회발전으로의 수렴으로 해결될 수 있다. 또한 그들은 자유, 효율, 성장이라는 가치를 통한 활동들이 결과적으로 인간복지를 이끌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동안 세계화 속에서의 경제성장은 생산성 증대에만 몰두해 왔다. 생산성 증대가 인간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경제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복지라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생산성을 증대하는 과정에서 인간존엄성의 가치가 도외시되거나 노동이 비인간화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세계화 속에서의 사회복지정책은 인간복지를 위한 정의의 가치를 바탕으로 경제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에 부합하는 정책들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세계화에서 생산과 이윤의 극대화보다 중요한 것은,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의 공동결정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세계화의 목표와 가치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통해 모두를 위한 사회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중심으로 본 논문은 세계화의 등장배경으로서 자유무역과 자유경쟁원리를 살펴보고, 세계화 논의에서 옹호론과 반대론의 시각과 주장 및 세계화로 인한 문제점들의 특징과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사회복지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본 글은 세계화 반대론자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복지국가의 사회복지정책에서 핵심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가치의 문제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necessity of ethical value in the proces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restruction of welfare state. To study the reason, this paper examines discourses on the globalization and indicates that the globalization brought by neo-liberalism emphasis values of liberty, efficiency, growth and this values also intensify capital power and labor flexibility in the labor market. Several debates imply that the changes and effects of globalization by neo-liberalism caused an increase in socio-economic inequality not only between capital and labor but also within workers and working poors have been spread widely. That is to say, neoliberalists urge us to accept the ideology and policy ideas that the maximization of self-interest is the most justifiable motive of our behaviors. To overcome this tendency each country and welfare policies have to play a new role. In other words, welfare policies have to focus on human welfare and worker`s human rights in the proces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