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섭과 물크 라즈 아난드 소설의 서발턴 비교 연구

        Anshuman Tomar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1

        본고에서 주요섭과 물크 라즈 아난드 소설의 서발턴 인물들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해 보았다. 식민지 시기 한국과 인도에서 하층민들은 계급적으로 심각한 차별과 억압을 받았고많은 작가가 이들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양국에서 비슷한 시기에 출생하여 문학활동을 했던 주요섭과 물크 라즈 아난드는 빈민들의 고통 받는 현실을 소설을 통해 사실적으로 보여주었다. 소설 속의 인물들은 비참한 삶을 살게 되고 방랑 생활을 하는 서발턴노동자, 가난한 여성 등이었다. 두 작가는 식민지 시기 사회적인 모순을 드러내면서 디아스포라적 생활을 하는 서발턴 인물과 가부장적 사회에서 억압, 착취와 학대를 당하였던여성 인물들의 모습을 묘사하였다. 주요섭 소설은 일제강점기 암울한 시기의 농촌 여성과 노동자들의 참담한 현실이 나타나며 상류층의 비도덕성과 지속적인 억압·착취 및 인권침해를 당한 수많은 하층민의 삶의모습이 드러나 있다. 물크 라즈 아난드는 식민지 시기 인도에서 억압·착취를 당하고 비참한 삶을 사는 불가촉천민, 농민들과 노동자들의 존엄성과 자각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줄목적으로 소설을 창작하였다. 그는 위선, 미신, 카스트 제도와 계급적 편견을 비판하였고여러 작품을 통해 이상주의적·혁명적 사회주의와 포괄적인 역사적 휴머니즘의 혼합을 보여주었다. 본고는 두 작가의 소설을 통해 고난을 겪어도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서발턴 인물들의 모습을 고찰하고 식민지 시기 양국의 사회 현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서발턴의 개념을 파악하고 주요섭과 물크 라즈 아난드의 소설 속에 드러난억압을 받는 서발턴 여성, 소외당하는 농민과 노동자들의 삶의 현실을 파악하려 한다. 두작가의 소설에 등장하는 서발턴 인물들은 비슷한 식으로 억압과 착취를 당하지만, 인물들의 행동 양식에 차이가 있다. 특히 물크 라즈 아난드 소설의 경우에는 그 시기 인도 사회에 존재하였던 불가촉성 차별 문제, 엄격한 카스트 제도, 종교적 광신주의와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언급이 많다. 이러한 서발턴 비교 연구를 통해 식민 통치하에서 억압을 받고 침묵을 강요당하는 하층민들의 삶의 현실과 그러한 비참한 상황에서 벗어나려 하는 이들의 강한 의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서발턴 인물들에 대한 그 시기 작가들의관점과 이러한 소설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전통과 담론 -전망적 요청을 겸한 단상-

        진경환 ( Kyoung Hwan Jin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1

        지금 전통담론은 그 계보학적 탐색과 진단을 요청받고 있다. 전통은 과거의 특정 역사를 의도적으로 불러낸 결과이다. 특정 공동체가 정체성과 관련하여 어떤 문제에 봉착했을 때, 대개는 과거의 기억들을 불러내고, 그 시간적 간격을 메워 불멸성, 말하자면 하나의 연속적인 자아를 상상한다. 이처럼 과거의 기억들로부터 호출되어 나오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 전반을 전통이라 할 수 있다. 전통이란 과거의 기억을 불러내어 민족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려는 욕망의 표현, 곧 현재적 필요에 따라 상상된 문화의 총체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역으로 우리는 항상 ‘전통의 호출’ 혹은 ‘전통의 발명’을 통해 끊임없이 현재로부터 부과되는 질문들에 답을 찾고 있는 셈이다. 각종 포스트주의들이 난무하는 21세기 이 개명한(?) 세상에서 과거의 전통담론들에 고착되어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는 현실은 그야말로 아이러니적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우선 특정 정치 체제나 세력이 어떤 이유로 특정의 역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가에 대한 해명이 반드시 요구된다. 그리고 소외되고 망각된 과거의 기억을 다채롭게 불러내고, 하나의 근대적인 동일성의 차원이 아니라 다성적(多聲的)이면서도 중층적인 정체성에 대한 탐색 작업의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통문화에 대한 맹목적인 예찬의 배후에 심각한 열등감이 놓여 있지 않은지, 혹은 그 보상을 위해 무작정 상찬의 길로 달려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냉철하게 성찰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성찰 위에서 추진해야 할 과제는 다음 세 가지다. 첫째, 전통이 단순히 과거의 잔재가 아니라 현재의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문화 권력, 곧 하나의 담론이거나 담론일 수 있다는 사실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담론의 생산과 유통, 소비의 역사적 과정과 그 기능에 대해 물음으로써, 전통을 공부하는 것이 이데올로기적 행위일 뿐 아니라 근대 이후 권력으로서의 자본의 지배와 그것의 역사를 재생산하고 공고화하는 작업이지 않은가 끊임없이 성찰해야 한다. 이렇게 할 때, 전통이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의한 왜곡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한 하버마스J. Habermas의 견해에 굳이 기대지 않더라도, 비로소 전통이 유의미한 자리와 위상을 갖게 될 것이다. 요컨대 전통에 대해 자유롭고도 격렬하게 비판을 가함으로써, 그 내부에 항상 토론의 여지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이다. 둘째, 그 동안 불온하게 주입된 기억에 균열을 내는 한편, 강요된 망각의 장막을 걷어내는, 기억의 전쟁이라고 할 수 있는 싸움을 시작해야 한다. 전통담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지배담론에 대항하는 여러 기억counter-memory들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깊이 성찰하고, 그것들을 적극 되살려내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셋째, 아래로부터의 관점을 다시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소수자의 존재와 그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이너리티는 주류 다수자의 기득권 체제에 구멍을 내고 그것을 무너뜨려 바꾸려는 비주류 저항?도전 세력이다. 차이를 동반하며 영원회귀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들 역시 차이를 동반하며 반복 등장한다. 이처럼 기성체제를 근본적으로 무너뜨리면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는 소수자 되기야말로 진보의 토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눈 여겨 보아야 할 것이 서발턴Subaltern 개념이다. 과거의 기억들로부터 호출되어 나오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 전반인 전통의 속성과 관련하여, 그리고 전통담론의 해체와 그 전망을 모색하려는 향후 과제를 놓고 볼 때, “헤게모니적 담론을 위기로 몰아넣는” 전략의 거점이 될 수 있는 서발턴의 시각을 전통 논의에 적극 도입해 보는 것은 여러 모로 의미 있는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Now the traditional discourse is made a ask for genealogical diagnosis. The tradition is the result of intentional interpretation of the past. When a community is faced at a crisis of identity, it invokes the memory of the past and images a successive ego. Namely the tradition is the expression of the desire which reconfirms national identity by invoking the memory of the past, or is `imaged wholeness of the culture` by made in the need of the present. Thus if we have a fixed idea of the past traditional discourse in a wild dance of the various `post-ism`, it must be the very ironic situation. Here is our starting point. We ought to seek our new perspective, and it will be a application of Subaltern in the study of the tradition.

      • ‘서발턴(의) 역사’와 로컬 역사/로컬리티

        김택현(Kim Taek-Hye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

        인도의 서발턴 연구 집단은 식민주의 역사학과 민족주의 역사학에서 배제되어 온 민중을 역사의 주체로 복원하려는 문제의식 아래, 라나지트 구하의 작업이 보여주듯이, 서발턴 농민의 고유한 정치적 주체 의식과 실천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스피박의 개입을 계기로 이들은 역사 주체의 재현 문제와 서발터니티 개념에 대해 재사유하면서, 비서구 지역의 역사 인식을 서발턴화하고 있는 서구 지식/담론의 이데올로기적, 식민주의적 체계의 한계지점에서 통약불가능한 저항적 차이를 강조하는 ‘서발턴 역사’의 가능성을 모색하게 되었다. 인도만의 단독성을 보여주는 서발턴 역사는 인식론적으로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지리적 부속물에 불과한 지역사와는 다른 자기 인식을 보여주는 로컬 역사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로컬리티는 전지구적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지정학적으로나 인식론적으로 서발턴 위치에 있는 로컬의 대항적 타자성을 의미하며, 따라서 그것은 서발터니티의 지정학적 표현이다. 미놀료, 끼하노, 두셀, 카티비, 글리상 등은 서발턴 역사집단의 작업과 공명하면서 로컬리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기반으로 라틴 아메리카 대륙과 마그렙과 마르티니크의 역사들을 새롭게 사유하고자 한다. 근대성과 식민성이 접합된 전지구적 자본주의 체제의 인식론적 작동에 대항하면서 포스트식민적인 로컬 역사의 새로운 인식론을 추구하는 이들의 작업은, 각 지역의 특정한 역사적 경험에서 유래하므로 단독적이지만, 그 지역들에 대한 자본주의의 (신)식민주의적 지배의 보편성으로 인해 전지구성을 띄는 독자적인 개념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The early project of Subaltern Studies Group was to retrieve the subject position of the Indian people who had been excluded by the colonialist and nationalist historiographies. Ranajit Guha, a founder of this group, demonstrated the Indian peasant's singular consciousness and agency as the political subject in the history of colonial period. But, owing to the intervention of Gayatri Spivak, they came to rethink the questions such as the discursiv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ical subject and the subalternity of the subordinated. Further, they tried to prove the possibility of subaltern histories which would show the recalcitrant, incommensurable differences of the subaltern. While eurocentric History would continue to subalternize and silence the historical conceptions and knowledges produced in the non-West, those differences could resist the incorporating power of the West's ideological discourse/knowledge systems, at their limits. Subaltern history with its Indian singularity could be regarded as a local history. Local histories, at the level of epistemology, distinguish from the area histories, which simply form the geographically composed parts of the capitalist world system. And locality means an absolute otherness of the geopolitically and epistemologically subalternized local within or against the globalizing system of capitalism: it is a geopolitical analogy of subalternity. Sympathizing with Subaltern Studies's project, theorists such as Mignolo, Quijano, Dussel, Khatibi, Glissant etc., try to reconsider the local histories of Latin America, Maghreb, and Martinique with new thoughts of locality. Their researches of new epistemologies for the postcolonial local histories against the unitary history of capitalist modernity/coloniality are based on their respective local conditions, so that their own concepts are specific ones. But, since all of those conditions are derived from the common rule of (neo)colonialism, those concepts hold a globality needed for the subversion of an existing epistemological constellation.

      • KCI등재

        제국의 로마 광장에서 소말리아 서발턴 여성의 역사 말하기 ― 이지아바 쉐고의 『아두아』에 나타난 독백을 중심으로

        박인하 ( Park Inha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3

        이 글의 목적은 소말리아계 이탈리아 여성 작가 이지아바 쉐고의 『아두아』를 가야트리 스피박의 서발턴 여성 논의로 조명하는 데 있다. 특히 이 글은 쉐고의 스피박 논의와 소설 속 아두아의 독백에 주목한다. 따라서 이 글은 먼저 쉐고와 스피박이 논하는 서발턴 여성의 목소리 문제를 살핀다. 이어지는 후반부에서는 소말리아인 여주인공 아두아를 스피박이 말하는 서발턴 여성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며, 아두아가 독백 속에서 회상하는 과거가 다름 아닌 서발턴 여성으로서의 묵살된 목소리라는 점을 밝힌다. 그런 뒤 현대 로마에 살아가는 아두아가 자신의 과거를 로마 광장에서 독백으로 풀어나가는 행위가 어떤 의미를 지닐지 탐구한다. 제국주의의 역사가 담긴 로마 광장에서 벌어지는 아두아의 독백 행위는 서발턴 여성 이야기와 역사를 말하지만 들리지 않는 것으로 제시됨으로써 현대 이탈리아의 식민 역사에 대한 무관심을 폭로한다. 이 글의 의의는 첫째로 『아두아』가 서발턴 여성 목소리의 묵살이라는 스피박의 문제의식과 맞닿아있음을 지적함으로써, 식민주의와 제국주의를 짚은 기존 비평에 더해, 이 소설이 서발턴 여성의 중층결정으로 인한 젠더 문제와 신식민주의의 동시적 작동을 문제시한다는 점을 밝힌다는 데 있다. 둘째로, 이 글은 광장에서의 아두아의 독백이 지닌 정치성을 살핌으로써 서발턴 여성이라는 자의식을 지닌 디아스포라 여성 아두아의 독백이 역사 속에 기입될 가능성을 연다고 주장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Adua by Igiaba Scego, a female Somali-Italian writer, from the perspective of Gayatri Spivak’s examination of subaltern women’s voice. This paper devote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ponymous protagonist Adua’s monologue. First, the paper examines Scego and Spivak’s concept of subaltern women’s voice. Next, the study argues that the Somali woman Adua can be considered as a subaltern woman according to Spivak’s terms and that Adua’s monologue describes how she has been silenced by both patriarchy and neocolonialism. In addition, this paper explores the setting of Adua’s monologue in a contemporary piazza in Rome. Placing Adua’s monologue in a piazza with a colonial legacy reveals the indifference of contemporary Italy to its history of colonialism. In doing so, this paper focuses on the subalternity of Adua,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prior research. This paper further asserts that Adua, as a diasporic woman conscious of her past identity as a subaltern woman, creates a possibility for public discourse on the unheeded history.

      • KCI등재

        여성 서사 속 기지(촌) 성매매 여성의 기억과 재현 -강신재․박완서․강석경 소설과 김정자 증언록을 중심으로-

        차미령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58

        This study explores the problems of women in the U.S. Military Bases prostitution in Korean female narrative, and in the context of the representation of subaltern. Focusing on the fictions of Kang Shin-jae, Park Wan-seo and Kang Sok-kyong, review the characters and events of the narrative to see what codes the narrative was organized by. This study explores the gap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presented object, and considers what it means. But this study is far from the reduction theory that the writer's class position defines the limits of his work. Also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mpossible not to consider the position of the author. It is not detected by dichotomy whether she is an agent or a victim. It contains the middle ground of the agent's character and victim's character. Testimony and literature encounter at the point of suffering to go beyond its impossibility. 이 연구는 여성 서사에 나타난 기지(촌) 성매매 여성의 문제를 서발턴 재현의 문맥에서 검토한다. 강신재, 박완서, 강석경 소설을 중심으로 서발턴 여성이 어떠한 재현의 코드에 의해 혹은, 반해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동시대 한국 여성의 ‘말할 수 없음’이 서발터니티와 어떻게 절합하는지 등을 검토한다. 먼저, 박완서는 미군 부대 근처의 여성이 ‘성매매에 처해지는’ 상황을 설득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여성의 성적 방종의 결과라는 관념을 탈코드화한다. 아울러 이들이 가족 내 존재라는 사실은 모성을 중심으로 한 이분법에 균열을 가한다. 한편, 강신재 소설은 여성이 겪는 고통과 분노를 서발턴 여성인물을 경유하여 표출한다. 소설에서 경제적 조건에 의한 노동이라는 사실은 비가시화되거나, 성적 관계가 곧 거래라는 사실이 밝혀지는 순간 여성들은 차이로 회귀한다. 작가는 이들의 성매매를 노동으로 인정하면서도, 그 속의 죽음정치적 속성을 간과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강석경 소설은 1980년대 초반의 시대적 상황과 연루된바, 반제국주의 담론의 영향을 강하게 드러낸다. 이로 인한 한계 또한 있으나, 취재에 기반한 소설은 서발턴 여성과 미군이 맺는 관계성이 생명권력의 자장 아래 놓여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예술계 내 여성의 서발터니티를 기지촌이라는 서발턴 공간에 중첩시키려는 시도의 양가적 측면을 비롯하여, 소설 속에서 죽거나 죽음을 향해 있는 존재로 묘사되는 서발턴 여성인물은 독자를 재현 불가능성의 문제와 마주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서발턴에게 문학이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함께, 김정자 증언록을 간략히 살펴본다. 이 증언록을 통해 생각해 본 서발턴 여성의 말하기는, 사후적인 ‘되기’의 방식으로 불가능한 시간을 뚫고 나오는 트라우마의 말이다.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는 작업이라는, 한계와 성취를 동시에 각인시키는 수식어는 비단 문학만의 것이 아니다. 증언과 문학은 그 불가능성을 넘어서려는 시도로서 조우한다.

      • KCI등재

        중국의 서발턴 연구 :개념, 주제, 쟁점

        장윤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3 중소연구 Vol.47 No.1

        This paper summarized the subaltern research conducted in the Chinese academic communit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that appear in the study of subaltern in China. The concept of the subaltern, which has been built by the Subaltern Research Group in India, has been translated as ‘底層’ in China. The concept of subaltern was mixed with the concept of the lower class, which was previously used in Chinese society, and was contextualized and used in a hierarchical stratum structur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ubalternity perspective,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oral and field surveys have been achieved in the research method. It has mainly analyzed the logic of collective behavior of the marginalized class in the process of reform, such as peasants, migrant workers(農民工) and unemployed workers. The study of subaltern in China has been conducted mainly to grasp the reality or solve problems by identifying the ‘底層’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in the process of social transformation. This procee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ak who needed the protection and attention of the state and local communities, limiting their understanding of new class phenomena and spreading the net function of the ruling ideology. In addition,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political and historical subaltern in the one-party system,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of ‘localization’ that returns the subalternity to a problem in a specific region. In the Xi Jinping era, there is an atmosphere of spreading the voices of the subalterns amid the policy stance of promoting rural revitalization and poverty eradication, but at the same time, criticism of the structural problems of power is suppressed. 이 논문에서는 중국 학계에서의 서발턴(subaltern)에 관한 기존 연구를 정리하고, 중국 서발턴 연구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한계가 무엇인지, 연구의 목적과 관점, 그리고 논의의 범주 및 쟁점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도 서발턴 연구그룹에서 구축해온 서발턴 개념은 중국에서 ‘저층’으로 번역되는데, 이는 그 이전에 중국사회에서 통용되던 저층 개념과 혼용되며 서발턴 개념 역시 위계적 분층구조 속에서 맥락화되어 사용되었다. 서발턴적 관점이 들어오면서 중국 학계에서 구술이나 현장 조사와 같은 연구방법이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고, 주로 농민, 농민공, 실직노동자 등 개혁 과정에서 주변화된 계층의 집단행동 논리를 분석해왔다. 중국 서발턴 연구는 ‘저층’을 사회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계층분화의 결과로 파악하면서 주로 실태파악이나 문제해결의 차원에서 진행되어왔고, 국가와 지역 공동체의 보호와 관심이 필요한 약자라는 관점에서 진행되어 새로운 계급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한하며 지배이데올로기의 순기능을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또한 일당체제라는 조건 속에서 정치적, 역사적 서발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고, 저층의 서발턴성을 특정 지역의 문제로 환원하는 ‘지방화’의 문제도 존재한다. 시진핑 시대 들어 향촌진흥과 빈곤탈피라는 정책 기조 속에서 저층의 목소리를 확산하는 분위기가 있으면서도, 구조화된 권력 문제에 대한 비판은 억압하는 양면적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비평 논문 : 헤게모니와 서발턴 민중 -라나지트 구하의 "서발턴 연구"와 역사학(2)-

        김택현 ( Taek Hyeon Kim ) 영국사학회 2011 영국연구 Vol.25 No.-

        라나지트 구하는 그의 저서 『헤게모니 없는 지배』에서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을 전용하여 인도에서의 영국의 식민 지배는 주로 강제에 의존한 지배였다는 점에서 헤게모니를 결여하고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식민적 권력관계는 영국에서만이 아니라 인도에서 유래하는 패러다임들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영국과 인도 양쪽에서 유래하는 패러다임들의 이중적 의미는 과잉결정의 효과들을 낳았고, 그 효과들은 식민 지배의 모순들과 엮이면서 인도에서의 지배/종속관계를 독특하게 구조화했다. 이러한 권력관계 하에서 인도의 서발턴 민중은 근대적 정치로서는 이해 불가능한 다르마적 저항의 정치를 보여주었으며, 이 저항의 정치가 인도의 역사 안에서 인도 부르주아 엘리트의 협력의 정치와 공존했다는 것이다. 민족주의 엘리트인 간디 역시 민족주의 운동을 이끌면서 서발턴 농민들로부터 헤게모니를 얻고자 했으나 결국 실패했다고 구하는 평가한다. 간디는 영국의 식민주의만이 아니라 서구의 근대성까지 공격하면서 영성의 정치를 강조했고 비폭력적인 민족주의 운동에 농민들을 동원하려 했으나, 서발턴 농민들은 간디가 설정한 정치적 한계를 넘어서 투쟁했다는 것이다. 간디가 이러한 농민들의 정치적 열기를 민족주의 운동의 틀 안에 묶어 두기 위해 규율을 강제한 것 자체가 엘리트 정치와 서발턴 정치의 모순의 징후였고, 민족주의자들이 서발턴 민중에 대해 헤게모니를 행사하지 못했다는 증거였다고 구하는 해석한다. Ranajit Guha, in his book Dominance without Hegemony, defines the character of the British colonial state in India as a dominance without hegemony, because it was impossible for that state to assimilate the civil society of the colonized people in India to itself. According to Guha, this paradox generated the fusion and overdetermination of two distinct paradigms, one of which was derived from the British political culture of the colonizers and the other from the precolonial political traditions of the colonized. The coalescence and divergence of two idioms from these two politico-cultural paradigms determined the tensions in the British rule of India. So, in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colonial era in India, as Guha puts it, everything is an outcome of this process of overdetermination. And that outcome was a tissue of paradoxes, which pervaded the colonial relationship of power and defined the originality of the colonial politics in India. But, it was in the polity devoid of any notion of citizenship, Guha argues, that the subaltern people emerged. The values informing their resistances were charged with religiosity, which meant a legitimacy conforming to the ethics of Dharma far distanced from secular political morality. So, dharmic protests of the subaltern people were the most incalculable factors of politics under colonial rule and were manifested amply and explicitly in the history of colonial India. According to Guha, Gandhi was the first nationalist politician to recognize that it was needed for his campaigns to mobilize the mass and energy of the subaltern peasants. So, he wanted to regulate and discipline the crowds in order to elicit their obedience to him and his leadership. But the peasants brought to the nationalist campaigns remained in the politics of the subaltern domain, so that his disciplinary leadership could not control the subaltern peasants. This conflict between the elite and the subaltern domains of politics was symptomatic of the fact that Gandhi`s attempts in a bid to mobilize the energies of mass political movements for hegemonic dominance were finally failed.

      • KCI우수등재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 대한 그람시의 개입 -서발턴과 재현-

        김헌기 ( Kim Hun-ki ) 한국서양사학회 2019 西洋史論 Vol.0 No.140

        이 논문은 이탈리아의 마르크스주의자 안토니오 그람시의 작업과 그것의 전유의 결과로서 서발턴 연구집단의 역사서술의 관계에 대해 논한다. 그람시는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의 사회구성체와 정치에 관한 논의를 상속하는 동시에 당대의 마르크스주의 내부의 경제결정론을 비판하며 마르크스주의 역사 전망의 정정을 모색하였다. 그가 독창적으로 정교화한 헤게모니 개념은 토대와 상부구조의 관계에 관한 환원주의의 기각이자 그에 대한 실제적 사유이다. 헤게모니는 강제적 수단에 의한 지배뿐만 아니라 동의에 의한 지도에 주목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그람시가 당시 이탈리아에서의 혁명적 정치의 관건으로 생각했던, 여타의 종속집단들에 대한 프롤레타리아트의 동의 획득이라는 실천적 문제와 맞닿아 있다. 그람시는 _옥중수고_에서 지배집단의 주도권 하에 있으면서도 일정한 자율성을 보유하는, 엘리트의 재현에서 이해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는 종속집단들을 설명하기 위해 서발턴 개념을 창안하였다. 서발턴 연구집단은 이 개념을 전유하여 식민지 인도 농민봉기의 성격을 조사하는 역사서술 기획에서 사용하였다. 이 집단의 작업은 지배담론과 공모한 역사학에서 항상 서발턴 위치에 놓이는 봉기참가자의 지위에 주목하고, 역사학적 재현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서발턴 연구집단이 대행한 그람시의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 대한 개입은 그람시 사유의 포스트식민 발전의 실천적 형태 가운데 하나로서, 자기비판적 역사가들에게 역사의 근본 범주들을 비판적으로 재성찰할 것을 요구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tonio Gramsci’s works and Subaltern Studies’ historiography as a result of appropriating the former. Gramsci, inheriting the argument for social formation and politics from classical Marxism, fought against the economic determinism resulting from it, in an effort to shift the Marxist perspective on history. The concept of hegemony Gramsci creatively elaborated was the rejection of economic reductionism and the product of the practical thinking of the relationship of base and superstructure. That concept gave him a way to note the political leadership through consent as well as the domination through coercion, which was also closely related to a practical issue of the revolutionary politics in Italia in his times, the alliance between the proletariat and other subordinate groups. In Prison Notebooks, Gramsci invented the concept of subaltern to describe subordinate masses having a relative autonomy, even under the initiative of the dominant group. Subaltern Studies Group appropriated that concept and used i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s of peasant insurgency in colonial India. That works paid attention to the peasant insurgents in historiography colluding with dominant discourse in which they were always located in subaltern position, thus raising a radical question of historical representation. Gramsci’s intervention in Marxist historiography, executed by Subaltern Studies in postcolonial condition, created a practical form of his thought and requested self-critical historians to cast critical eyes on the systems of representation in historiography. (Sungkyunkwan University / kim.hunki7@gmail.com)

      • KCI등재

        서발턴 여성의 시와 봉기: 1980년대 ‘버스안내양’의 문화적 재현과 최명자 시의 문제성

        배하은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9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and the contexts of which makes the following question problematic: “Can the subaltern women speak?” The focal point of the analysis is female bus attendants(annaeyang), one of the major subaltern women in Seoul during the 1970s, which were occasionally represented in literature and films as well. I will analyze female bus attendants’ speech act(especially suicidal ones), its various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the political, social, cultural dynamics determining the speech act in this paper. The double-binding of female bus attendants is noticeable in their figure represented in the film titled Girls Gone to the City(1981) and the issue of which they were trying to prevent the film from being played because of its abusive representation. They are in the double bind of either simply being subjects dominated by the military dictatorship, or being represented as victims of sexual abuse and exploitation by elite male artists. In either case, they are not allowed to be agents of their speech and act. Therefore, their voice claiming their rights and shouted through many protests-including even the suicidal ones-are not to be heard, nor to be decoded, only left in the space of the “differend.” Therefore, it is quite a ground-breaking event that in 1985 a poet named Choi Myungja, a former female bus attendant published a book of poems titled Our Wish(1985); not only because her poems were the first literary self-representation achieved by a female bus attendant against the hegemonic patriarchal representation established by male elites, but also because it decodes and deconstructs that established one. It is clear that the issue of subaltern women's writing poetry in the relation of the question "Can the subaltern women speak?" pertains to the deconstruction of subaltern women's subjectivity and agency. 이 글은 ‘서발턴 여성은 말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난제로 만드는 조건과 맥락을 보다 세밀하게 규명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1970~80년대 ‘버스안내양(여차장)’의 화행, 그것에 대한 다양한 문화 양식의 재현, 그 가운데 말해지거나 말해지지 않았던 것들을 중층결정한 정치·사회·문화적인 역학을 분석한다. 특별히 영화 <도시로 간 처녀> 사건과 영화 속 ‘버스안내양’ 재현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당대 대표적인 도시 서발턴 여성이었던 ‘버스안내양’들이 다음과 같은 이중구속의 상태에 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버스안내양’은 개발독재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동원된 피지배 대상으로 간주되거나, 섹슈얼리티의 폭력과 착취의 대상으로 재현된다. 둘 중 어느 쪽이든 ‘버스안내양’은 자신의 말과 행위의 주체로서 재현될 수 없고, 구성될 수도 없다. 그리하여 집단적인 시위는 물론이거니와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방식까지 동원하여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했던 ‘버스 안내양’들의 목소리는 들리지도 읽힐 수도 없었던 “디페랑의 공간” 속에 남아 있게 된다. 한편 1985년 ‘버스안내양’ 출신으로는 최초로 시집을 출간한 최명자 시의 문제성을 기성 문화에서 ‘버스안내양’을 재현해온 방식과 맥락에 맞세워 볼 때, 규범적 재현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코드화, 담론환원적 해석을 이탈하고 초과하는 시적 발화의 양상이 드러난다. 서발턴 여성이 말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이루어지는 화행으로서 서발턴 여성의 시 쓰기는 그녀들의 봉기와 마찬가지로 서발턴 여성 주체를 탈구축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새로운 지구사와 서발턴 연구의 도전

        Angelika Eppl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이 논문은 유럽과 미국의 역사학계에서 대립하는 두 접근법, 즉 새로운 지구사와 서발턴 연구를 결합시킨다. 새로운 지구사는 일국적 역사들이 아니라 “지구호”의 역사(브루스 매즐리쉬)에 초점을 맞추어 유럽중심주의를 극복하고자 한다. 이런 제안과 서발턴 연구그룹, 특히 디페쉬 차크라바티와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의 비판을 대면시켜 봄으로써, 본고는 서구의 역사적 사고가 새로운 지구사에 심대하면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영향을 미쳤음을 지적한다. 새로운 지구사는 익명적인 전지구적 구조들에 집중한 나머지 개개의 경험들을 담지 못하여 유럽 중심주의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명확해지고 있다. 반대로, 서발턴 연구의 접근법은 전지구적 구조들을 파악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고는 결론적으로 ‘아래로부터의 지구사’를 제안한다. 이 ‘아래로부터의 지구사’는 서발턴 연구의 도전과 맥을 같이 하며, 그들의 비판을 지구사에 적용한다. 역사가들이 해야 할 것은 어떻게 로컬적인 것이 전지구적으로 형성되는지, 동시에 어떻게 전지구적인 것이 로컬적으로 구성되는지를 설명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역사가들은 자신의 서사가 내포한 “중심주의”를, 유럽, 아시아, 세계 그 어느 지역에 초점을 맞춘 것이든, 명시화하여 드러내어야 한다. This article links together two conflicting approaches within the European and US-American academic discipline of history: New Global History and Subaltern Studies. New Global History aims to overcome Eurocentrism by focusing on the history of “Spaceship Earth” (Bruce Mazlish) instead of national histories. By confronting this suggestion with the criticism of the Subaltern Studies Group? mainly from Dipesh Chakrabarty and Gayatri Chakravorty Spivak?the article shows the profound but hidden influence of Western historical thinking on New Global History. It becomes obvious that New Global History has not succeeded in overcoming Eurocentrism due to its concentration on anonymous global structures and its failure to include individual experiences. The Subaltern Studies’ approach to history, on the other hand, fails to grasp global structures.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plea for a “global history from below”. This global history from below ties in with the challenge of Subaltern Studies and applies their criticism to global history. What historians have to do is show how the local is formed globally and, at the same time, how the global is put together locally. The article assumes that this is only possible when the historian discloses the “centrism” of his or her narration by making it explicit?be it a “centrism” focusing on Europe, Asia, or whatever region in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