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왕립학회에 관한 논쟁을 통해서 본 17세기 후반 잉글랜드에서의 과학과 종교의 관계

        주의돈 ( Joo Eui-don ) 영국사학회 2019 영국연구 Vol.41 No.-

        본 논문은 1660년 잉글랜드에 설립된 왕립학회를 둘러싼 논쟁을 살펴본다. 왕립학회는 형이상학적인 주제를 배제하고 감각으로 인식 가능한 자연의 사물을 탐구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그것을 토대로 유용한 기술과 장치를 고안하고 향상시키고자 했다. 왕립학회의 회원들은 자신들의 연구가 하나님의 능력과 지혜를 드러내는 한편, 발전된 기술을 통해 사회에 유익을 줄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왕립학회를 부정적으로 바라본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들은 왕립학회의 신학문이 기존의 학문체계와 기독교 신앙 체계를 위협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논쟁은 당시 사람들이 종교와 과학 사이의 관계에 대해 일치된 의견을 갖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왕립학회는 종교적 사안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으며 과학연구에 관심을 둔 사람들을 종파에 상관없이 받아들였다. 이는 왕립학회의 과학활동과 특정한 기독교 종파를 연관 짓기 어려움을 보여준다. 한편 왕립학회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바라본 저자들은 물질 연구에 집중하는 과학이 득세한다면, 기독교 신앙을 뒷받침해온 전통적인 형이상학적 토대가 약화될 것을 우려하였다. 따라서 당시 새로운 활력을 띠기 시작했던 자연과학연구에 대해서 당대인들이 가졌던 입장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시기에 이미 자리매김하고 있었던 전통적 학문에 대한 그들의 태도와 연관지어 생각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bate over the Royal Society established in England in 1660. The Royal Society did not enquire into metaphysical problems, but explored the perceptible natural world and sought to develop useful skills and machines. The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believed that their works would illustrate God’s power and wisdom and prove beneficial to their society. However, the critics of the Royal Society thought that the new philosophy supported by the society would destroy the existing system of learning and the Christian faith. This controversy shows that there were disagreements among the people of the day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natural science. The Royal Society did not discuss religious issues and accepted as fellows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scientific researche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denomination. This militates against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scientific exploration of the Royal Society and any certain denomination. The critics were worried that the new philosophy focusing on the material objects would undermine the traditional metaphysics which had been propping up the Christian faith. Thus, to fully understand the attitude of the contemporaries towards natural philosophy, we might also need to take their views of the traditional learning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왕립학회의 생명연장 논의: 수혈을 중심으로, 1665-1669

        주의돈 ( Joo¸ Eui-don ) 영국사학회 2020 영국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1660년대 왕립학회에서 수혈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논의를 살펴본다. 당시 수혈은 인간생명의 연장을 가져다줄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진 새로운 기술이었다.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왕립학회 회원들은 동물의 신체적, 정신적 특징이 피에 흐른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수혈이 심신의 변화를 낳을 수 있을것인지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들은 젊고 건강한 동물의 피를 나이 든 동물이나 사람에게 수혈하여 기력을 회복시켜 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갖기도 했다. 한 실험에서 왕립학회 회원들은 유순한 양의 피가 사람의 정신병을 완화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양의 피를 사람에게 수혈했다. 한편 왕립학회가 출간하는 『과학회보』에 수혈과 관련하여 활발하게 투고했던 프랑스의 의사 드니는 수혈에 대해 잉글랜드의 회원들과는 다른 접근을 취했다. 그는 수혈을 통해 주입하는 피를 혈관에 주사하는 약의 일종으로 간주하였다. 그는 수혈이 오염된 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질병을 치료함으로써 인간생명의 연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드니는 잉글랜드인들과 마찬가지로 수혈이 정신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잉글랜드인이 피와 정신상태를 직접적으로 연관시키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드니는 정신이상이 피의 과도한 열기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며 수혈을 생리학적 치료의 방법으로 간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Royal Society’s debate about blood transfusion in 1660s.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in England tended to think that blood transfusion could transfer physical and mental characteristics from one animal to another. This approach included the idea that a young animal’s blood could rejuvenate an old animal or person. In an experiment, they transfused a lamb’s blood into a man with a mild mental disability,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gentle lamb’s blood would calm the man’s spirit. On the other hand, a French physician Denis, who actively contributed to Philosophical Transactions published by the Royal Society, took a more medical approach to blood transfusion. He hoped that transfusion would prolong human life by curing many diseases, which were considered at the time to be caused by unhealthy blood. Denis, too, tried to cure a mad man but with a different but with a different assumption. He thought that madness was caused by the excessive heat of blood, so he meant to cool down the heat in order to cure him. It shows that Denis looked upon transfusion as a physiological treatment.

      • KCI등재

        1801년 영국-아일랜드 합방 -자유무역에서 문명화로-

        김철기 ( Kim Chulki ) 영국사학회 2021 영국연구 Vol.45 No.-

        이 글은 영국-아일랜드 합방법의 형성에서 영국사회의 근면한 습관 때문에 영국이 아일랜드와 자유무역에서 유리하다는 시각이 영국사회의 관습으로 영국이 아일랜드를 문명화한다란 관점으로 발전되었다고 주장한다. 자유무역과 문명화의 논리는 영국의 경제적 강점을 습관이나 관습 같은 영국사회의 성격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유사한 논리적 기반 위에 있었다. 영국수상 윌리엄 피트는 영국사회의 근면한 습관 때문에 자유무역이 영국에게 유리하다고 생각했지만, 그것이 아일랜드에게 불리하기 때문에 합방으로 아일랜드의 이익을 증진한다고 말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하지만 피트정부는 영국의 습관과 관습을 아일랜드로 이식하여 아일랜드를 문명화하면 아일랜드의 번영이 가능하다고 주장할 수 있었다. 이처럼 자유무역으로 국가통합을 한다면 영국 이익과 아일랜드 이익은 상충될 수밖에 없었지만, 문명화로 국가통합을 한다면 영국 이익과 아일랜드 이익은 상충되지 않고 두 나라가 함께 번영한다고 피트정부는 합방법을 정당화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rgues that in the making of the British-Irish Union, the view that the industrious habits of British society enabled Britain to outdo Ireland in their free trade developed into the perspective that British manners and habits were a means of civilizing Ireland. The rationales behind the Union’s free trade and civilization had a similar logical basis that both cases understood Britain’s economic strength in terms of the nature of British society such as habits and manners. British Prime Minister William Pitt believed that Britain’s industrious habits ensured Britain’s superiority in free trade with Ireland, but the very reason meant that free trade would not ensure the interest of the Irish economy after the Union. Yet Ireland’s prosperity would be promoted, if the British government were to civilize Ireland by transplanting British manners into Irish society. While free trade as a means of national integration posed a difficult question that the interests between the two economic nations tended to be conflicting, civilization as a means of national integration underpinned the claim that the interests of Britain and Ireland could be mutually promoted.

      • KCI등재

        영국사 속의 통합과 갈등: 개념적 개관

        김기순 ( Kim Ki Soon ) 영국사학회 2019 영국연구 Vol.42 No.-

        이 글은 통합과 갈등 개념을 중심으로 영국 근대사의 전개 과정을 개관하였다. 1707년과 1800년의 두 차례 지리적·민족적 통합과 단일 정치체의 형성은 영국사의 구조적 조건이었다. 이 구조가 지속하면서 헌정, 정치, 경제, 계급, 젠더, 종교, 문화, 정체성, 제국, 이민, 유럽과의 관계 차원에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통합과 갈등이 수반되었다. 18세기 이래 300년동안 영국은 유럽의 다른 나라들과 비교한다면 대체로 성공적인 국민 통합을 이루었다. 국가는 이 통합에서 핵심 역할을 하였다. 특히 19세기에 영국이 의회정치, 산업화, 제국 경영 분야에서 선도적이거나 모범적인 역할을 하였던 것은 이 성공적인 통합의 결과이면서 또한 원인이기도 했다. 혁명과 반란이 빈번했던 대륙의 나라들과는 달리, 영국은 체제의 유연성 덕분에 통합을 강화하고 갈등을 조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갈등의 대표적인 사례인 아일랜드의 분할과 독립이 보여주듯이 이 통합은 비완결적이었고, 제국이 해체된 20세기 말 이후 갈등의 양상은 통합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현재 영국 정치의 현안인 브렉시트 문제는 국내 차원의 갈등을 반영하는 것이자 유럽 차원의 통합에서 영국이 갈등의 주체가 된 사례이기도 하다. This essay surveys the evolution of modern British history in terms of integration and conflict. The structural condition of British history was the regional/national integration and the formation of a single polity that took place in 1707 and 1800 respectively. While this structure persisted, various and complex phases of integration and conflict accompanied in the fields of constitution, politics, economy, class, gender, religion, culture, identity, empire, immigration and the relation with Continental Europe. Compared to other European states, Britain generally and relatively succeeded in achieving national integration. The state was a key agent in this integration. Especially, nineteenth-century Britain was a leading or exemplary state in the spheres of parliamentary politics, industrialization and empire, which was simultaneously a result and a cause of this successful integration. Unlike other European countries where revolutions and rebellions were frequent, Britain could strengthen integration and regulate conflict due to the flexibility of its system. However, this integration was not complete, as the partition and independence of Ireland, among other things, demonstrated in the twentieth century. Further, aspects of conflict appeared more remarkable than that of integrat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 current chaotic Brexit phenomenon can be regarded not only as a reflection of domestic conflicts but a case that Britain plays a main conflicting role on the level of European integration.

      • KCI등재

        미국혁명기 아일랜드 의회독립 운동의 등장

        김철기 영국사학회 2022 영국연구 Vol.47 No.-

        The emergence of the Irish Parliamentary independence movement, which achieved its aim in 1782, has been treated in existing scholarship as a more or less natural phenomenon subsequent to the ‘Free Trade’ obtained in 1780. Yet the emergence of the Irish Parliamentary independence movement have to be explained rather than taken for granted, given the fact that the typical thinking before the American Revolution had been Free Trade and the British-Irish Union, This article argues that while the wide militar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Irish was the main dynamics of Irish popular politics, political economic relationships between Britain and Ireland fundamentally reshaped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Ireland’s Parliament independence. Decisive was British society’s lobbying that successfully obstructed in 1778 the Irish free trade bill of the British Parliament. This event had Irish Volunteers and Patriots distrust the nature of the British Parliament in ways in which it put priority on and was easily Influenced by the interests of the British, not those of the Irish. Therefore, they demanded Free Trade and no British-Irish Union and, after the acquisition of Free Trade in 1780, advanced the cause of Ireland’s Parliamentary independence from the British Parliament. These two perceptions, Free Trade with no Union or Parliamentary Independence, were two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same understanding of distrust in the British and their Parliament. 미국혁명기 아일랜드 의회독립 운동의 등장은 기존 역사 서술에서 1780년 자유무역 쟁취 이후의 자연스러운 발전 과정으로 다뤄졌다. 미국혁명기 전까지 일반적이었던 사고방식은 자유무역과 합방이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아일랜드에서 자유무역 이후 의회독립 운동의 등장은 문제시되고 설명되어야 할 역사적 현상이다. 이 글은 아일랜드인의 광범위한 군사적·정치적 참여가 의회독립 운동의 주요 동력이 되었으나 영국과 아일랜드의 정치경제적 관계 때문에 의회독립이라는 정치의식이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1778년 영국사회가 영국의회를 로비하여 아일랜드 자유무역 법안을 좌초시킨 사건이 결정적이었다. 이 사건으로 아일랜드의 지도적인 애국파와 의용군은 영국의회를 본질적으로 영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느라 아일랜드의 이익을 대변하지 않는 기관으로 불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들은 1779년에 자유무역을 요구하며 합방에 반대했고, 1780년에 자유무역을 얻고서는 의회독립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 둘은, 즉 자유무역과 반(反)합방 그리고 의회독립은 영국사회에 대한 영국의회의 불신이라는 점에서 같은 인식의 다른 시기적 표현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20세기 말, 21세기 초 영국 보수당의 역사교육정책과 역사전쟁

        김중락 ( Joonglak Kim ) 영국사학회 2015 영국연구 Vol.34 No.-

        지난 25년 동안 영국은 두 번의 역사전쟁을 경험하였다. 둘 다 영국 보수당이 권력을 잡았을 때 일어났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 두 번의 역사 전쟁의 배경과 과정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마가렛 대처가 이끈 보수당은 세계사보다는 영국사, 그리고 개념과 이해보다는 사실위주의 지식을 중시하는 역사교육과정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유행한 학교역사 프로젝트(SHP)에서 역사교육의 미래를 발견한 이들은 정부의 계획에 반대하였다. 이러한 논란가운데 정부가 임명한 역사교육과정 초안그룹은 1990년 4월에 발표된 최종안에서 놀랍게도 타협안을 제시해지만 사실보다는 이해를 중시하는 입장을 보여주었다. 정부와 대처 수상은 압력을 동원하여 최종안에 대해 수정을 가하고자 하였으나 오히려 싸움만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역사학자들과 HA 중심의 역사교사들은 정부의 압력에 대해 비판을 퍼부었다. 결국 1991년 3월에 인쇄된 1991년 역사교육과정은 초안그룹의 입장을 다른 것이었다. 보수당은 전쟁에서 진 것이다. 2차 역사전쟁은 2013년 데이비드 캐머런 수상이 지도하는 보수당이 역사교육과정을 개정하고자 하면서 일어났다. 교육부 장관 마이클 고브는 새로운 역사교육과정을 통해 영국문화를 백인의 단일 문화라고 규정짓고 역사는 이것을 가르쳐야 한다고 믿었다. 그의 의중이 담긴 초안이 2013년 2월에 발표되자 대부분의 역사전문직은 경악을 감출 수가 없었다. 초안은 연대기 순으로 정치사 위주의 많은 영국사를 사실위주로 배워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사이먼 샤머, 리차드 에반스와 같은 영국 역사학자들뿐 아니라 HA가 행한 여론조사에서 대부분의 역사교사들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정부는 초안을 포기하였고 7월에 나타난 최종안은 역사학자들과 역사교사들이 요구하는 것을 크게 수용한 것이었다. 보수당이 일으킨 두 번의 역사전쟁은 모두 보수당의 실패로 끝이 났다. Britain experienced two history wars in the last 25 years. Both wars broke out when the Conservative Party took the powe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history wars. The Conservative Party under the leadership of Margaret Thatcher attempted to introduce an obligatory history curriculum, which focused on the British history rather than world history, and on the fact-based knowledge rather than concept and understanding. The government`s plan was strongly opposed by those who preferred the School History Project (SHP) which was designed to make students engage in historical research in the same way as historians do. The first history war broke out. The draft curriculum, published by History Working Group(HWG) in the midst of the war, surprisingly took a side with the government critics by emphasizing on understanding rather than fact. The government strongly pressed the HWG to revise the final plan but without success. In March 1991 the official history national curriculum was published without any serious revision from the final report. The Conservative Party lost the war. The second history war broke out in 2013 when the ruling conservative party under the leadership of David Cameron attempted to revise the existing history curriculum. They wanted more British history taught in schools. The British history they asked was a story of white mono-culture. When the education minister Michael Gove`s draft was published in February 2013, most of the historical profession were shocked to discover a long and chronological list of political facts in English history. Many famous historians like Simon Schama and Richard Evans vehemently criticised Gove`s draft. In a opinion poll of the HA, most history teachers found against the draft. Eventually the government had to give up a draft. The final draft, published in July, was welcomed by most historians and history teachers as it accommodated almost every demand of them. The two history wars is over with defeats of the Conservative Party. One lesson they learned is that they cannot win a history war without support from the history profess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국의 기억과 영연방, 그리고 `상상의 잉글랜드`

        이영석 ( Lee,Young-Suk ) 영국사학회 2016 영국연구 Vol.36 No.-

        1968년 8월 보수당 의원 이녹 파월은 한 보수당 집회에서 노동당 정부의 이민정책을 비판하는 연설을 했다. 이후 몇 개월간 영국사회는 파월의 연설을 둘러싸고 심각한 진통을 겪었다. 노동당의원과 보수당의 상당수의원들이 파월의 인종주의적 편견을 비난한 반면, 많은 백인들이 그의 연설을 지지하는 편지를 보냈다. 파월 사건은 영국사와 현대 영국사회에서 제국이란 어떤 의미를 지녔으며, 제국과 인종주의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되묻는 계기가 되었다. 2차대전 이후 영국 지식인들은 도덕적 부담감에서 제국주의를 비판해왔으며, 제국이 영국사의 지배적 동력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실제로 제국 경험이 영국인들의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특히 `백인성`에 대한 집착은 제국의 확장과 함께 형성된 것이며, 20세기 이민 추세가 백인자치령국가로 바뀐 것 또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자치령에 대한 영국인들의 긍정적인 변화는 이들 국가가 `백인성`을 중시하고 다른 인종에 대한 배제의 원칙을 새롭게 정립한 점과 관련된다. 그러나 19세기말 20세기 초 자치령에 대한 인식변화가 강력한 영국의 국력을 바탕으로 `대영국` 이념과 자연스럽게 연결된 것이었음에 비해, 1960년대 본토에서 해외로 이주한 영국인들의 집착은 변질된 영국사회를 대신해 해외 자치령에서 `상상의 잉글랜드`를 찾으려는 퇴행적인 태도에서 비롯되었다. In 1968, Enoch Powell, an MP of the Conservative Party delivered a speech which criticized the immigration policy of the Labour Government. Over the following few months, Powell`s speech caused uneasiness within the British society. Opinions were sharply divided between the majority of politicians who criticized Powell`s racist view and a large number of the white citizens who supported Powell`s view and sent him letters of encouragement. This Rivers of Blood Speech laid the cornerstone of asking modern English society and English history a question, What does Empire mean to them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mpire and racism? Post World War II, English intellectuals felt the moral obligation to criticize imperialism. They also denied that imperialism served as the main contributor to the England`s development. However, the intellectuals could not deny the heavy influence that imperialism had brought to the British people. The obsession to white supremacy was established along with the Empire`s expansion, and it triggered the British immigration policy of the 20th century to be replaced with the Dominions of the whites. British people`s positive approach to the dominion is consistent with how they valued white supremacy and excluded other races from the mainstream. Naturally,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the Dominions of the British Commonwealth were associated with the Empire`s increased national power. This perspective started to fade, and the British people migrated to the Dominions from Britain in the 1960s. Ironically at that time, British people were tired of the degenerated British society and they were migrating to find the imagined England in the Domin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